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9:38:20

이슬람 마카체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c0000> 파일:UFC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aa9872,#8c7a55> 헤비급 라이트 헤비급 미들급
존 존스
(1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페레이라
(3차 방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드리커스 두 플레시스
(1차 방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웰터급 라이트급 페더급
벨랄 무하마드
파일:미국 국기.svg
이슬람 마카체프
(3차 방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일리아 토푸리아
(1차 방어)
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스페인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밴텀급 플라이급 BMF
메랍 드발리쉬빌리
파일:조지아 국기.svg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드레 판토자
(3차 방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맥스 할로웨이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aa9872,#8c7a55> 여성 밴텀급 여성 플라이급 여성 스트로급
줄리아나 페냐
파일:미국 국기.svg
발렌티나 셰브첸코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파일:페루 국기.svg
장웨이리
(2차 방어)
파일:중국 국기.sv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c0000>
파일:UFC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aa9872,#8c7a55> 초대1 2대2 3대 4대 5대
젠스 펄버
(2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01년 2월 23일~2002년 3월 23일)
션 셔크
(1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06년 10월 14일~2007년 12월 8일)
B.J. 펜
(3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1월 19일~2010년 4월 10일)
프랭키 에드가
(3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10년 4월 10일~2012년 2월 26일)
벤 헨더슨
(3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12년 2월 26일~2013년 8월 31일)
<rowcolor=#aa9872,#8c7a55> 6대 7대 8대 9대3 10대4
앤소니 페티스
(1차 방어)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8월 31일~2015년 3월 14일)
하파엘 도스 안요스
(1차 방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5년 5월 14일~2016년 7월 7일)
에디 알바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6년 7월 7일~2016년 11월 12일)
코너 맥그리거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016년 11월 12일~2018년 4월 8일)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3차 방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4월 8일~2021년 3월 19일)
<rowcolor=#aa9872,#8c7a55> 11대5 12대
찰스 올리베이라
(1차 방어)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1년 5월 15일~2022년 5월 7일)
이슬람 마카체프
(3차 방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2022년 10월 22일~)
<colbgcolor=#0c0000><colcolor=#fff> 1 젠스 펄버는 계약 분쟁으로 2002년 3월 23일 UFC에서 이탈하면서 타이틀을 반납했다. 이후 2003년 2월 28일 B.J. 펜우노 카오루가 라이트급 토너먼트 챔피언전을 벌였는데 여기서 무승부가 나오면서 다시 공석이 되었다.
2 션 셔크는 약물 양성 반응으로 2007년 12월 8일 타이틀을 박탈당했다.
3 코너 맥그리거는 지속적으로 방어전을 하지 않았고 UFC 223에서 새로 챔피언전을 함으로서 자동으로 타이틀이 박탈되었다.
4 하빕 누르마고메도프는 2020년 10월 25일 UFC 254를 끝으로 은퇴를 선언함으로써 타이틀을 반납했다.
5 찰스 올리베이라는 2차 방어전이었던 저스틴 게이치와의 경기에서 계체량을 실패하여 라이트급 타이틀을 박탈당했다.
}}}}}}}}} ||
파일:1000012094.png
이슬람 마카체프
Islam Makhachev
<colbgcolor=#000><colcolor=#aa9872,#8c7a55> 본명 이슬람 라마자노비치 마하체프
([ruby(Ислам, ruby=I s I a m)] [ruby(Рамазанович, ruby=R a m a z a n o v i c h)] [ruby(Махачев, ruby=M a k h a c h e v)])
출생 1991년 10월 27일 ([age(1991-10-27)]세)
소련 러시아 SFSR 다게스탄 ASSR 실디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거주지 다게스탄 공화국 마하치칼라
신체 178cm / 70kg[1] / 179cm
27전 26승 1패
5KO[2], 12SUB[3], 9판정[4]
1KO[5]
테마곡 Dreams - DJ Nariman
UFC 랭킹 라이트급 챔피언, P4P 1위
주요 타이틀 2016 WCS 세계 삼보 선수권 대회 (컴뱃 삼보) -74kg 금메달
UFC 12대 라이트급 챔피언
기타 UFC 라이트급 타이틀 방어 3회 (현재)
2023 ESPN MMA 어워드 올해의 남성 파이터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전적3. 커리어4. 파이팅 스타일5. 기타

[clearfix]

1. 개요

러시아 다게스탄 출신의 UFC의 라이트급 종합격투기 선수. UFC 제 12대 라이트급 챔피언이다.

2. 전적

3. 커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슬람 마카체프/커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파이팅 스타일

기본적으로 레슬링삼보을 기반으로 한 레슬러/삼비스트이지만 사우스포 스탠스를 취하며 상대의 공격을 슬립 후 던지는 강력한 왼손 카운터와 변칙적인 킥과 빰 클린치에서 니킥[6] 활용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다방면으로 아주 준수하고 체력 또한 뛰어나서 많은 선수들이 마카체프를 기피한다.

하빕과 같은 팀메이트라서 팬들이 서로 자주 비교하는 편인데 대체적으로 비록 그래플링/레슬링에서 보이는 파괴력과 지배력, 완력은 하빕만큼은 아니지만 테크닉과 스피드가 좋고, 반면 타격 스킬은 전반적으로 하빕보다 더 좋다는 평판이 지배적이다.

다만 하빕의 타격은 오로지 레슬링/그래플링 셋업을 위해서 하는 스타일이라 애초에 공격보다는 방어에 치중한 전형적인 인앤아웃 스타일이라서 공격적인 펀치와 킥을 사용하는 마카체프의 타격 스타일과는 완전히 다르다. 하빕의 스탠딩 타격이 물주먹 소리를 듣긴 하지만 실제 펀치에 실을 수 있는 힘이 약하다기 보다는 처음부터 상대를 속이기 위한 셋업일 뿐 펀치를 섞을 마음이 없기 때문에 가깝다. 오히려 풋워크와 헤드무브먼트, 하이가드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정타를 거의 허용하지 않는 하빕과 달리 마카체프는 같이 맞불을 놓거나 카운터로 맞대응하려는 경향이 있어 역으로 카운터를 허용하여 위험했던적이 몇번 있기 때문에 이 둘의 타격 테크닉을 곧이곧대로 비교하기는 무리다.

반대로 하빕의 레슬링/그래플링이 상대방을 펜스에 몰아넣고 테이크다운/파운딩/가드페스를 동시에 노리는 등 매우 공격적이고 적극적인 반면, 마카체프의 레슬링은 테이크다운 방어에 치중하고 유도식 반격 테이크다운과 풋스윕을 많이 노리는 편이다. 물론 그렇다고 자유형 레슬링 스타일의 태클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태클 역시 마카체프의 경기에서 매번 필수적으로 나온다. 하빕과 같이 레슬링을 사용하여 상대방을 강력하게 밀어붙이며 압박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지는 않지만, 경기 중 필요한 경우에는 하빕과 유사한 강력한 레슬링 압박을 보여준다. 하빕에 비해 케이지 중앙에서의 그라운드 공방도 즐기는 성향이다.

하빕은 킥캐치에 약하다는 평을 들었으나 마카체프는 킥캐치에 상당한 강점이 있으며 타격을 섞으면서 동시에 킥을 캐치해 하단 테이크다운으로 전환하거나 중심을 무너뜨려 거리를 좁혀 더터복싱 후 클린치로 연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리고 하빕만큼 케이지 컨트롤을 강력하게 하거나 상위포지션에서 눌러놓고 파운딩을 치는 능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해 그라운드 컨트롤이 압도적이지는 않다. 그 대신 서브미션은 하빕보다 훨씬 적극적으로 다채롭게 사용하는 편이다.

특기할만한 점은 주짓떼로를 상대로 그래플링으로 압도한다는 점이다. 그라운드에 눕히기만 하면 상대를 처음부터 압도하는 하빕과 달리 상대를 깔고 눕히면서 기술 공방을 펼치다가, 라운드가 지나면 지날수록 상대의 체력을 고갈시키고 수를 읽어내면서 말려죽이는 스마트한 타입인데 주짓떼로들도 여기에 말려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상대적으로 파운딩 활용도가 덜하지만 이 점이 오히려 상대가 움직일수 있을만한 공간을 잘 주지 않게 되고, 클로즈 가드에 묶여있어도 손목 컨트롤도 상당히 좋다. 상대가 어떻게든 나와 터틀 포지션으로 가면 한손, 한다리를 묶고 상대를 압박하는 라이드로 상대의 체력을 깎아먹고 싯 벨트 포지션을 뺏아낸다. 여기에 끊임없이 서브미션을 노리기 때문에, 주짓떼로들도 처음엔 어느정도 대처를 하지만 라운드가 지날수록 퍼지고 읽히면서 아무것도 못하다가 모이세스전 처럼 서브미션을 헌납하게 된다.

스탠딩에서 상대의 타격을 쉽게 허용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분당 유효타격 흡수치가 0.95로, UFC 전 체급에서도 최저치를 다툴 정도로 낮다. 당장 더스틴 포이리에도 패배 후 마카체프가 헤드무빙이 좋아서 정타가 적었다고 했다.

다니엘 코미어는 순수 자유형 레슬링은 하빕보다 오히려 마카체프가 더 좋다고 dc&helwani 팟케스트에서 평가했고, 하빕도 어느 정도 인정하는 듯 하다.

초기에는 안전지향적인 그래플링과 맷집을 비롯한 하드웨어 탓에 하빕에 비하면 임팩트가 적었으나 시간이 지날 수록 하빕과는 차별화되는 장점인 테크니컬하고 날카로운 스탠딩 타격과 클린치 게임이 부각되어 다른 방향으로 완성된 선수라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5. 기타


파일:1000018988.jpg
[1] 경기 당일 체중은 79kg(174lb)이고, 평소 체중은 84~86kg(186~190lb)이라고 한다.[2] 3KO, 2TKO[3] 트라이앵글 초크(3), 인버티드 트라이앵글 초크(1), 암바(2), 리어 네이키드 초크(2), 암 트라이앵글 초크(2), 기무라(1), 다스 초크(1)[4] 만장일치(8), 스플릿(1)[5] 1KO[6] 니킥은 경기에서도 위력적이지만 경기전 스파링 파트너들에게도 악몽인데 스파링에서 바디니킥으로 스파링 파트너들을 힘들게 했다. 스파링 파트너로 참가했던 PFL소속 선수인 모블리드 하이불라예프와 유튜버인 넬크 보이즈도 공통적으로 증언했다.[7] 2~3L의 식염수는 관련 규정을 한참 뛰어넘는 용량이다.[8] 그러나 올림픽에서 유일하게 2번 이상 국가적으로 도핑을 장려하여 국제 스포츠 연맹에서 징계를 받은 전적이 있는 러시아 출신이고 이미 하빕의 다게스탄 사단에서 하빕의 사촌이 도핑으로 적발되어 처벌받는 등 도핑으로부터 완벽하게 자유로운 것은 아니라며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들 역시 존재한다.[9] 당연하게도 옆에있는 사람은 하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