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메이저 스튜디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D43F8, #050371)" {{{#!wiki style="margin:0px -11px -6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0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3D43F8><colcolor=#FFC100> WARNER BROS. (워너 브라더스) | MOTION PICTURE GROUP.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 뉴 라인 시네마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애니메이션 GAMES 워너 브라더스 게임즈(포트키 게임즈) TELEVISION GROUP. WARNER BROS. TELEVISION Warner Bros. Unscripted Television Alloy Entertainment DC DC 코믹스 | DC 스튜디오(DC 유니버스 인피니트) ANIMATION 워너 브라더스 애니메이션, 카툰네트워크 스튜디오, 해나-바베라 스튜디오 유럽 직배사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HBO | HBO | CINEMAX | HBO필름 | Magnolia Network | |
CNN Global | CNN | HLN | Investigation Discovery | |
US Networks Group | Factual Networks 디스커버리 채널, 애니멀 플래닛, 사이언스 채널 American Heroes Channel Entertainment & LIFESTYLE TBS, TNT, TruTV, TCM, TLC, HGTV Food Network, Destination America, OWN Travel Channel, Discovery Life Kids, English Adult & Classics 카툰네트워크, 어덜트 스윔, 부메랑, 카투니토 | |
SPORTS | TNT SPORTS, Eurosport, 모터트렌드 Bleacher Report, AT&T SportsNet | |
STREAMING | 맥스(스트리밍) | 디스커버리+ | |
International | TVN Group(폴란드) | Three | Real Time DMAX | Giallo | NOVE | |
해체 및 분사 | 머시니마, TMZ, The CW, NBA TV,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22af>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Warner Bros. Pictures | }}} | |
<colbgcolor=#0022af><colcolor=#fff> 업종명 | 영화 산업 | |||
사업 내용 | 영화 제작 및 배급 | |||
설립일 | 1923년 4월 4일 ([age(1923-04-04)]주년) | |||
설립자 | 해리 워너, 앨버트 워너, 샘 워너, 잭 L. 워너 | |||
대표 | CEO 겸 회장 마이클 드 루카, 파멜라 앱디 (WBMPG)사장 제시 어먼, 스티브 스피라 | |||
본사 소재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캘리포니아 버뱅크 | |||
모기업 | 워너 브라더스 엔터테인먼트 | |||
| | | | | | | | |
[clearfix]
1. 개요
창립 100주년 축하 영상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는 미국의 영화 제작 및 배급사로, 워너 브라더스 모션 픽처 그룹의 주력 스튜디오다.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아 버뱅크에 위치한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단지에 있다.
1923년 4월 4일에 창립한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현 워너 브라더스 엔터테인먼트)가 모태로 사업 영역 확장과 합병, 피인수를 거쳐 사명에서 픽처스가 사라져 워너 브라더스의 영화 사업 부서 브랜드의 이름으로 존재하다 2003년 모회사 타임 워너에 의해 워너 브라더스가 워너 브라더스 엔터테인먼트로 재편하는 과정에서 영화 사업 부서를 자회사로 만든 것이 현재의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다.
영화 제작 외에 운영, 극장 배급,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애니메이션, 뉴 라인 시네마, DC 스튜디오, 캐슬 락 엔터테인먼트 등 워너 브라더스 모션 픽처 그룹 산하 스튜디오와 서드 파티 제작사 영화의 배급과 홍보도 담당한다.
2. 역사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의 연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워너 브라더스 문서의 역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00년대에는 워너 브라더스 영화들이 당대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기억될 정도로 엄청난 전성기를 누렸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해리 포터 시리즈의 배급권을 구입해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로 대박을 터뜨렸으며, 판타지 장르의 고전인 톨킨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로도 전무후무한 흥행을 기록했다. 사이버펑크의 명작으로 불리는 블레이드 러너와 매트릭스, 배트맨 시리즈를 위시한 DC 코믹스 원작 영화 역시 유명하다.
2000년대 중반부터 아이맥스 기술에 관심이 많아 2004년 폴라 익스프레스를 시작으로, 슈퍼맨 리턴즈, 해리 포터 등 다양한 블록버스터 영화를 아이맥스로 변환하여 시장에 내놓았다. 그야말로 아이맥스 상업 영화의 선구자로 당시에는 거의 독점 공급이나 마찬가지였다. 2009년 아바타의 성공 이후로는 거의 모든 제작사가 자사 블록버스터의 아이맥스 버전을 내놓는다.
이렇듯 화려한 컨텐츠로 2000년대 후반에는 할리우드 배급사 중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워너는 미국에서 가장 많은 영화를 배급하는 스튜디오라 점유율이 높지만 많은 작품을 배급하는 만큼 흥행작과 실패작의 수익 차이가 어마어마하게 나기도 한다. 2008년부터 3년 연속 시장 점유율 1위에 올랐는데, 해리 포터 시리즈와 코미디 영화로 대성공을 거둔 행오버, 특히 크리스토퍼 놀란[1]의 영향이 컸다.
거기에 흔히 대흥행의 기준으로 언급하는 전 세계 10억 달러 돌파 영화가 유니버설 픽처스와 더불어 월트 디즈니 컴퍼니 다음으로 많은 회사이기도 하다.[2] 2013년 이후부터는 흥행세가 약간 주춤한 모양새이나, 그래도 맨 오브 스틸과 아카데미 감독상을 받은 그래비티, 해외 배급을 담당한 인터스텔라의 흥행 성적이 좋았고, 2015년에 개봉한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는 액션 영화의 걸작이라는 호평을 들으며 나름 선전했다. 해리 포터 외전격인 신비한 동물사전 실사영화 시리즈도 첫단추를 잘 꿰었다. 2012년 호빗: 뜻밖의 여정 이후 몇년 간 10억 달러 돌파 영화가 없다 2018년에 개봉한 아쿠아맨과 2019년에 개봉한 조커가 각각 10억 달러 수익을 돌파해 오랜만에 10억 달러 흥행작을 배출했다. 2020년에는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이 재개봉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2019년에 Cinelytic이라는 AI 기반 영화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3]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21년 개봉 영화들은 영화관과 HBO 맥스 스트리밍 서비스로 동시 공개할 것이라 발표했는데 # 이같은 결정은 워너 브라더스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알려져 큰 논란이 됐다. OTT 동시 공개 결정에 대해 배우, 감독, 제작사 등과 논의를 거쳐야 하는데 그 과정을 생략하고 발표한 것이다. 배우와 감독들은 극장 흥행시 개런티를 못받게 될 입장이 됐으며, 듄과 고질라 VS. 콩을 제작한 레전더리 엔터테인먼트 또한 강하게 비판했다. 크리스토퍼 놀란[4], 드니 빌뇌브[5], 존 추도 워너 브라더스를 비판했다. 배우들과 레전더리는 변호사를 고용해 법적 대응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원더우먼 1984를 HBO 맥스로 동시 개봉한 패티 젠킨스도 놀란의 의견에 동의하며 워너 브라더스를 비판했는데 코로나 시국이 시국인 만큼 일시적으로 동시 개봉하는건 이해하고 원더우먼의 동시 개봉도 그런 이유였으나 코로나가 지나간 이후에도 이런 방식을 사용한다고 발표하는건 문제가 있다며 비판했다. # 사전 유출 염려로 논의조차 가지지 않았는데, 논의를 해도 반대했을 사안이라 독자적으로 결정했다고 한다. # 이에 워너미디어 CEO 제이슨 킬라는 감독들의 분노가 고통스럽다고 밝혔다. #
2022년에 공개하는 영화들은 극장에 단독으로 개봉하여 45일이 지나야 HBO 맥스나 PVOD 등으로 공개할 수 있는 계약을 북미 및 영국 극장 체인과 체결했다. # HBO 맥스 동시 공개로 잡음이 많았지만, 워너 브라더스가 제작하는 블록버스터 영화들이 더 이상 개봉을 연기하지 않는 건 그나마 좋은 소식.[6]
2023년 기준 워너 브라더스에서 가장 많은 제작비를 투입한 영화는 저스티스 리그로 3억 달러가 들어갔다. 잭 스나이더의 저스티스 리그로 인한 재촬영 비용 7,000만 달러까지 포함하면 3억 7,000만 달러가 들어간 것. 최고 흥행작은 월드 와이드와 북미 모두 바비로 북미 6억 달러, 월드와이드 14억 달러를 기록했다.
3. 로고
4. 작품 목록
자세한 내용은 워너 브라더스/작품 문서 참고하십시오.5. 주로 활동하는 영화인
<rowcolor=#FFC200> 클린트 이스트우드 | 존 M. 추 | 알폰소 쿠아론 |
<rowcolor=#FFC200> 스탠리 큐브릭 | 팀 버튼 | 마틴 스코세이지 |
<rowcolor=#FFC200> 토드 필립스 | 크리스토퍼 놀란 | 존 웰스 |
<rowcolor=#FFC200> 마이클 커티즈 | 조지 클루니 |
가장 저명한 영화사인 만큼 많은 감독들이 이곳을 거쳤는데, 마틴 스코세이지, 스티븐 스필버그, 리들리 스콧, 스탠리 큐브릭, 클린트 이스트우드, 조지 밀러, 팀 버튼, 피터 잭슨, 데이비드 핀처, 알폰소 쿠아론, 크리스토퍼 놀란, 드니 빌뇌브, 기예르모 델 토로, 폴 토머스 앤더슨 등의 거장들과 함께 했다.
자주 협업한 감독으로는 크리스토퍼 놀란[7], 클린트 이스트우드, 제임스 완, 제임스 건[8], 스탠리 큐브릭, 잭 스나이더[9], 토드 필립스, 벤 애플렉, 조지 밀러, 팀 버튼[10], 워쇼스키 자매, 배즈 루어먼[11], 드니 빌뇌브, 폴 토머스 앤더슨[12], 알폰소 쿠아론, 가이 리치[13], 존 추[14], 폴 킹 등이 있으며, 시간이 지나 다른 곳으로 움직인 감독들도 있지만, 이름만 들어도 대단한 감독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한 영화사다. 메이저 영화사 중 상업 영화, 예술 영화 가리지 않고 골고루 일한 영화사는 워너가 독보적인 편.
리들리 스콧과는 궁합이 안맞는데, 스콧의 대표작 블레이드 러너를 배급했으나 많이 알려진 대로 흥행에 참패했고, 이후에도 몇 번 워너와 협업했으나 전부 흥행에 실패하는 등 이상할 정도로 워너 브라더스가 스콧의 작품을 배급하면 실패하는 징크스가 있다.
배우로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많이 활동했다. 디카프리오의 커리어 절반이 워너 브라더스 배급 영화로, 대중적 장르 영화 선호도가 낮은 디카프리오를 상업 영화에 출연시킬 수 있는 유일한 영화사라는 이야기도 있다.[15] 이외에는 벤 애플렉[16], 조지 클루니, 라이언 고슬링[17] 등이 있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톰 크루즈가 워너 브라더스와 계약해 두 배우의 향후 활동의 중점이 될 전망이다.
데이비드 핀처는 벤 애플렉과의 화상 인터뷰에서 창작적 자유가 낮은 제작사라고 비판했는데, 자신의 맹크는 워너 브라더스 같은 영화사는 절대 못 만들게 했을 작품이라고 언급했다.[18] 핀처는 세븐[19], 조디악,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로 워너 브라더스와 작업한 이력이 있다.
핀처의 말대로 워너 브라더스는 제작자와 경영진의 간섭이 심하기로 악명이 높은 영화사이다. 놀란이나 이스트우드처럼 이미 거장의 반열에 들었다면 상관없이 투자하는 영화사지만[20], 그 정도가 아니라면 불평과 비난을 가하는데, 심지어 협업이 진행형인 감독도 대놓고 비판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프로듀서마다 달라서 드니 빌뇌브의 사례처럼 큰 흥행작이 없어도 프로듀서의 마음에 들었다면 자유를 보장하는 경우도 있다. 워너 브라더스는 철저하게 제작자의 영향력이 강한 프로듀서 중심 영화사라 어떤 작품이든 제작자의 이름을 보는 것도 좋다. 배우 캐스팅도 감독보다는 프로듀서가 하는 경우가 많아 배우의 계약에 따라 출연이 정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AT&T가 워너미디어 인수 후 AT&T CEO 존 스탠키가 더 이상 간섭이 없을 것이라 언급한 이후[21] 실제로 원더우먼 1984와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가 상부의 간섭 없이 제작했다고 감독들이 밝혀 개선된 것으로 보여진다.
6. DC 코믹스와의 관계
모회사가 DC 코믹스를 자회사로 거느린 덕분에 그들의 대표 캐릭터 슈퍼맨, 배트맨을 영화로 제작, 흥행하며 슈퍼히어로 영화의 개척자가 됐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이후로 팀 버튼이 궤도에 올린 배트맨을 조엘 슈마허가 말아먹은데 이어 슈퍼맨마저 슈퍼맨 리턴즈로 침몰해 버렸다. DC와 관련은 없지만 이런 상황에서 매트릭스의 워쇼스키 형제가 만든 스피드 레이서마저 쫄딱 망해 회사의 운명마저 불투명해졌으나, 슈퍼히어로 영화의 새 막을 열어 젖힌 다크 나이트가 초대박을 쳤다. 북미에서만 무려 5억 달러의 수입을 올려 당시 기준으로 타이타닉의 뒤를 이은 2위의 성적을 기록한 대성공이었다.[22]이후 워너 브라더스는 다크 나이트를 성공시킨 크리스토퍼 놀란에게 전폭적인 지지와 지원을 보내 그의 작품 거의 대부분[23]을 제작, 배급했다. 슈퍼맨 차기작을 맡긴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고문으로 부분적으로만 참여하고[24] 잭 스나이더에 메가폰을 맡겨 2013년 6월 14일에 맨 오브 스틸이 개봉했다. 저스티스 리그 영화도 놀란에게 맡긴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놀란은 부정했고 이후 DCEU를 총괄한 잭 스나이더가 저스티스 리그의 연출을 맡았다.
한편 같은 DC의 슈퍼히어로 그린 랜턴을 영화화한 그린 랜턴: 반지의 선택이 앞서 2011년에 개봉했는데, 슈퍼맨 리턴즈는 그린 랜턴에 비하면 성공적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쫄딱 망했다. 그린 랜턴의 실패로 당초 그린 랜턴을 시작으로 이어나갈 예정의 DC 유니버스 계획도 연기되어 2년 뒤에 맨 오브 스틸이 개봉해서야 DC 확장 유니버스가 시작될 수 있었다.
예전부터 DC 코믹스와 충돌이 잦았는데, 수익을 지나치게 추구한 나머지, 원작 본연의 작품성이나 슈퍼히어로들의 매력 등을 파괴한 것이 그 이유다. 조엘 슈마허, 마틴 캠벨[25], 잭 스나이더 등 시리즈 코믹북 히어로 영화의 시작을 만드는 고민이 담긴 감독들의 인터뷰들과 다소 후속을 위해 서두르는듯한 언급들이 이를 반증한다. DC 코믹스 영화 중 왓치맨의 작가 앨런 무어가 비난을 쏟은 것도 원작 반영 등의 이유 때문으로, 워너 브라더스가 수익을 위해 아동 친화적으로 만들기를 요구해서 나온 게 바로 희대의 망작 배트맨과 로빈인데, 관객층을 좀 더 성인 위주로 가려던 조엘 슈마허와 전혀 다른 방향을 원한 결과 일어난 참사다.
DC 확장 유니버스의 첫번째 작품 맨 오브 스틸은 비주얼, 액션 연출 부분에선 호평, 스토리에선 다소 루즈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6억 5,000만 달러의 무난한 흥행 수익으로 DCEU의 포문을 열었다. 하지만 맨 오브 스틸 이후 DC 확장 유니버스는 원더우먼 이전의 두 편을 모두 망작으로 만들어 평가가 좋지 못한 방향으로 기울었다. 배트맨 대 슈퍼맨: 저스티스의 시작은 워너 브라더스의 무리한 기획과 원작 파괴로 대차게 비난 받았으며, 수어사이드 스쿼드도 워너 브라더스의 재촬영 지시와 작품 분위기 때문에 갈아엎었다는 등 간섭이 심한 정황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흥행 성적과는 별개로 팬들의 신뢰도는 점차 무너지다 그나마 원더우먼이 좋은 평가를 받아 만회할 기회를 얻었다. 제프 존스가 DC 스튜디오의 전신인 DC 필름스를 설립해 개선의 여지를 보이는 듯 했으나, 우여곡절 끝에 개봉한 저스티스 리그가 비평, 흥행에 있어 큰 실패를 기록했다. 같은 달에 개봉한 마블의 토르: 라그나로크와 대비되어 더욱 부각됐는데, 워너 브라더스 임원들의 해임 직전 연말 보너스를 지키기 위해 개봉일을 그대로 고수하고 상영 시간도 2시간으로 줄인 것이 드러나자 수뇌부를 향한 비판이 거세게 쏟아졌다. 그러나 저스티스 리그도 못한 10억 달러 돌파를 아쿠아맨이 달성하고 샤잠! 또한 미국 외의 호불호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 평가와 흥행에서 준수한 성적을 받아 어느 정도 만회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기세를 오래 이어가지 못한 것과 더불어 코로나19 악재가 겹치며 버즈 오브 프레이와 원더우먼 1984는 미묘한 흥행과 평가,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는 비평적으로는 호평을 받았으나 극장 흥행은 크게 실패했다.
한편 DCEU와는 별개인 DC 코믹스 원작 영화 조커는 5,000만 달러의 비교적 저예산 제작비로 R등급 최초 10억 달러를 돌파한 흥행 스코어를 기록했으며, '조커'는 코믹스 캐릭터 중 배우에게 아카데미상을 두 번 안긴 유일무이한 캐릭터가 되었다. (2009년 남우조연상 히스 레저, 2019년 남우주연상 호아킨 피닉스)
7. 역대 타이틀
1923~2023 타이틀 변천사 |
역대 타이틀 사진
인트로에 나오는 스튜디오는 최초의 유성 영화 재즈 싱어를 만든 스튜디오로, 현재도 버뱅크에 있으며 로고가 그려진 물탱크도 그대로 있다.
로고가 배트윙 로고로 변한다. (위: 배트맨 포에버, 아래, 배트맨과 로빈) |
1998년 리썰 웨폰 4에 삽입된 타이틀로 워너 실드가 폭발한다. |
1998년 75주년을 맞이해 리뉴얼한 타이틀로 현재의 타이틀은 이때 탄생했다. |
1998년작 유브 갓 메일의 타이틀 |
모회사 사명 변경으로 2018년 틴 타이탄 GO! 투 더 무비스부터 기존의 타임 워너에서 워너미디어로 바뀌었다.
8. 여담
- 한국 법인에서 사용하는 공식적인 한글 표기는 '워너브러더스 픽처스'로 픽처스만 띄어쓰기가 적용되고 발음표기를 따라 브라더스가 아닌 브러더스로 표기한다. 한국 법인의 법인명은 '워너브러더스코리아(주)'다.
- 2009년 1월 중순에 한국에서 비디오 시장 철수를 선언하였다. 현재는 해리슨 앤 컴퍼니라는 업체[30]를 통해 DVD와 블루레이를 출시한다. 같은 워너미디어 계열 HBO의 영상 매체(왕좌의 게임 등)와 뉴 라인 시네마 영화도 유통한다.
- 1950년대에 들어 RKO 라디오 픽쳐스가 경영이 어려워지자 영화 판권을 워너 브라더스로 매각해 대부분의 RKO 영화 판권은 워너 브라더스에게 있다. 대부분은 아니지만 1950년대 이전에 유나이티드 아티스트가 제작한 영화들의 판권도 보유 중이다.
- 한국 한정으로, 북미 흥행이 실패했거나 안 되겠다 싶은 영화들은 모조리 비디오 시장으로 직행해 영화광들의 원성이 높다. 인히어런트 바이스,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미드나잇 스페셜이 대표적인 피해작.
여기에 DVD 시절과 달리 블루레이 시대 이후 홈 비디오 시장에서는 짠돌이 경영으로 일관해 세계적으로 원성이 많다. 고전 영화 팬덤 사이에서 워너 브라더스의 입지는 대략 '무슨 생각이냐 명작을 시궁창에 버릴 생각이냐'로 정리 가능하다. 2016년부터 그동안 간만 보던 워너 아카이브가 본격적으로 블루레이 발매에 신경쓰며 조금 나아졌으나, 구성은 영 부실하다.[31]
- 인디 영화나 비영어 영화를 전담하는 스페셜티 디비전 브랜드가 없는 메이저 스튜디오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워너 인디펜던트 픽처스가 있었으나 2008년 뉴 라인 시네마에 병합됐다. 이후 픽처하우스로 넘어갔으나 활동을 거의 하지 않는다. 때문에 중저예산 영화 같은 경우 직접 배급한다.
- 1996년에 터너 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해 워너 브라더스는 1986년 5월 이전의 MGM 영화 작품들에 대한 대부분의 판권을 지니게 되었다.
- 할리우드 메이저 제작사 중 마케팅을 잘한다고 알려졌다. 대표적인 예가 영화 조커에서의 부정적인 반응의 노이즈 마케팅이다. 이외에 예고편도 잘 만든다.
이와는 반대로 영화 개봉을 앞두고 임원진들을 비롯한 내부 인사들에게 공개하는 내부 시사회 이후 편집이 가해지면 해당 영화는 혹평을 받는다는 징크스가 있다. 특히 DCEU 영화들이 이런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인지 내부 시사회에서 안 좋은 평가가 나왔다는 소식이 뜨면, 오히려 관객들이 기대하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 작품성과는 별개로 영화들의 음악을 잘 지원해주는지, 전반적인 영화들의 음악들이 호평을 받는다. 한때 말이 많았던 DCEU의 영화들도 음악은 저스티스 리그를 제외하면 다들 인정할 정도다. 아무래도 모회사에 워터타워 뮤직이란 레이블이 있어서인 것도 있는 듯. 한스 짐머, 제임스 뉴튼 하워드, 알렉상드르 데스플라, 마이클 지아키노, 정키 XL 같은 거장부터 벤자민 월피시, 루드비히 고란손 같은 젊은 음악감독까지 잘 지원하는 편이라고 한다.
9. 둘러보기
미국의 영화 배급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b133e><colcolor=#fff> 메이저 | 월트 디즈니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 유니버설 픽처스 · 파라마운트 픽처스 · 소니 픽처스 |
미니메이저 | STX 엔터테인먼트 · 라이언스게이트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 앰블린 파트너스 | |
밀레니엄 필름스 · 와인스틴 컴퍼니 · A24 · 아마존 MGM 스튜디오 · 안나프루나 | ||
중소 | 크런치롤 · Well Go USA · Shout! Factory · Fathom Events · 하노버 하우스 | |
매그놀리아 픽처스 · 오픈 로드 필름즈 · Eleven Arts · 3D 엔터테인먼트 · GKIDS | ||
IFC 필름스 · Neon · Grasshopper Film · 렐러티비티 미디어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세기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27/1928년 | 1928/1929년 | 1929/1930년 | 1930/1931년 | |||||
워너 브라더스 | 찰리 채플린 | 없음 | |||||||
1931/1932년 | 1932/1933년 | 1934년 | 1935년 | 1936년 | |||||
월트 디즈니 | 없음 | 셜리 템플 |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 시간의 행진 | |||||
1936년 | 1937년 | ||||||||
W. 하워드 그린 해럴드 로슨 | 에드가 버겐 | W. 하워드 그린 | 현대미술관 영화도서관 | 맥 세네트 | |||||
1938년 | |||||||||
J. 아서 볼 | 월트 디즈니 | 디아나 더빈 미키 루니 | 고든 제닝스 외 10인 | 올리버 T. 마쉬 앨런 데이비 | |||||
1938년 | 1939년 | ||||||||
해리 워너 | 더글러스 페어뱅크스 | 주디 갈랜드 | 윌리엄 카메론 멘지스 | 영화구호기금 | |||||
1939년 | 1940년 | 1941년 | |||||||
테크니컬러 USA | 밥 호프 | 네이선 레빈슨 | 월트 디즈니 윌리엄 가리티 존 N. A. 호킨스 RCA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와 그의 동료들 | |||||
1941년 | 1942년 | ||||||||
레이 스콧 | 영국 정보부 | 샤를 부아예 | 노엘 코워드 | 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 |||||
1943년 | 1944년 | 1945년 | |||||||
조지 팔 | 밥 호프 | 마가렛 오브라이언 | 리퍼블릭 스튜디오 대니얼 J. 블룸버그 리퍼블릭 스튜디오 사운드 부서 | 월터 웡거 | |||||
1945년 | 1946년 | ||||||||
내가 사는 집 (영화) | 페기 앤 가너 | 해롤드 러셀 | 로런스 올리비에 | 에른스트 루비치 | |||||
1946년 | 1947년 | ||||||||
클로드 자먼 주니어 | 제임스 바스켓 | 윌리엄 니콜라스 세릭 앨버트 E. 스미스 조지 커크 스푸어 | 빌과 쿠 (영화) | 구두닦이 (영화) | |||||
1948년 | 1949년 | ||||||||
월터 웡거 | 무슈 빈센트 (영화) | 시드 그라우만 | 아돌프 주커 | 진 허솔트 | |||||
1949년 | 1950년 | ||||||||
프레드 아스테어 | 세실 B. 드밀 | 자전거 도둑 (영화) | 루이스 B. 메이어 | 조지 머피 | |||||
1950년 | 1951년 | 1952년 | |||||||
말라파가의 벽 (영화) | 진 켈리 | 라쇼몽 (영화) | 메리안 C. 쿠퍼 | 밥 호프 | |||||
1952년 | 1953년 | ||||||||
해럴드 로이드 | 조지 미첼 | 조셉 M. 쉔크 | 금지된 게임 (영화) | 20세기 폭스 | |||||
1953년 | 1954년 | ||||||||
벨 & 하웰 컴퍼니 | 조셉 브린 | 피트 스미스 | 부스 & 롬 컴퍼니 | 대니 케이 | |||||
1954년 | |||||||||
켐프 니버 | 그레타 가르보 | 존 휘틀리 | 빈센트 윈터 | 지옥문 (영화) | |||||
1955년 | 1956년 | 1957년 | |||||||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영화) | 에디 캔터 | 영화 및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 | 길버트 M. 앤더슨 | 찰스 브래킷 | |||||
1957년 | 1958년 | 1959년 | 1960년 | ||||||
B. B, 카헤인 | 모리스 슈발리에 | 버스터 키튼 | 리 드 포레스트 | 게리 쿠퍼 | |||||
1960년 | 1961년 | ||||||||
스탠 로렐 | 헤일리 밀스 | 윌리엄 L. 헨드릭스 | 프레드 L. 메츨러 | 제롬 로빈스 | |||||
1962년 | 1963년 | 1964년 | 1965년 | 1966년 | |||||
없음 | 윌리엄 J. 터틀 | 밥 호프 | 야키마 카넛 | ||||||
1966년 | 1967년 | 1968년 | 1969년 | ||||||
Y. 프랭크 프리먼 | 아서 프리드 | 존 챔버스 | 오나 화이트 | 케리 그랜트 | |||||
1970년 | 1971년 | 1972년 | |||||||
릴리안 기시 | 오슨 웰스 | 찰리 채플린 | 찰스 S. 보렌 | 에드워드 G. 로빈슨 | |||||
1972년 | 1973년 | 1974년 | |||||||
앙리 랑글로아 | 그루초 막스 | 하워드 혹스 | 장 르누아르 | 메리 픽포드 | |||||
1976년 | 1977년 | 1978년 | |||||||
없음 | 마가렛 부스 | 월터 란츠 | 로런스 올리비에 | 킹 비더 | |||||
1978년 | 1979년 | 1980년 | 1981년 | ||||||
현대미술관 영화과 | 할 엘리아스 | 알렉 기네스 | 헨리 폰다 | 바버라 스탠윅 |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
미키 루니 | 할 로치 | 제임스 스튜어트 | 국립예술기금 | 폴 뉴먼 |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
알렉스 노스 | 랄프 벨라미 | 없음 | 코닥 |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
구로사와 아키라 | 소피아 로렌 | 머나 로이 | 사티야지트 레이 | 페데리코 펠리니 | |||||
1993년 | 1994년 | 1995년 | 1996년 | ||||||
데보라 카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커크 더글러스 | 척 존스 | 마이클 키드 |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스탠리 도넌 | 엘리아 카잔 | 안제이 바이다 | 잭 카디프 | 어니스트 리먼 |
21세기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
시드니 푸아티에 | 로버트 레드포드 | 피터 오툴 | 블레이크 에드워즈 | 시드니 루멧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로버트 올트먼 | 엔니오 모리코네 | 로버트 F. 보일 | 없음 | 로렌 바콜 | |||||
2009년 | 2010년 | ||||||||
로저 코먼 | 고든 윌리스 | 케빈 브라운로 | 장뤽 고다르 | 일라이 월랙 | |||||
2011년 | 2012년 | ||||||||
제임스 얼 존스 | 딕 스미스 | 돈 앨런 페네베이커 | 할 니덤 | 조지 스티븐스 주니어 | |||||
2013년 | 2014년 | ||||||||
안젤라 랜스버리 | 스티브 마틴 | 피에로 토시 | 장클로드 카리에 | 미야자키 하야오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
모린 오하라 | 스파이크 리 | 제나 로우랜즈 | 성룡 | 린 스털마스터 | |||||
2016년 | 2017년 | ||||||||
앤 V. 코츠 | 프레더릭 와이즈먼 | 찰스 버넷 | 오웬 로이즈먼 | 도날드 서덜랜드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아녜스 바르다 | 마빈 레비 | 랄로 쉬프린 | 시실리 타이슨 | 데이비드 린치 |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웨스 스투디 | 리나 베르트뮐러 | 없음 | 새뮤얼 L. 잭슨 | 일레인 메이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리브 울먼 | 피터 위어 | 유잔 팔시 | 다이앤 워런 | 안젤라 바셋 | |||||
2023년 | |||||||||
멜 브룩스 | 캐롤 리틀턴 |
}}}}}}}}} ||
[1] 북미 배급을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담당한 인터스텔라까지 포함하면 총 6개의 영화를 연출했는데, 이 영화들의 월드와이드 총합 성적이 40억 7천7백만 달러(한화로 약 4조 6천억원)다. 그야말로 2010년대 워너 브라더스 흥행의 가장 큰 공을 세운 감독이라고 할 수 있을 듯.[2]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다크 나이트,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다크 나이트 라이즈, 호빗: 뜻밖의 여정, 아쿠아맨, 조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바비 총 9편. 이 중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다크 나이트,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2부, 바비는 그해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했다.[3] 향후 영화에서 특정 배우들의 가치를 미리 측정하고 영화 흥행을 예측하는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하며 이 시스템에 따라 영화 제작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한다.[4] HBO 맥스 동시 공개에 대해 감독과 배우들은 들은 게 전혀 없었고 그저 Loss leader(특정 상품의 가치를 낮추는 대신 더 많은 고객을 유인해 결과적으로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 유인 상품이라고 표현하며 강하게 비판했다. #[5] AT&T가 워너 브라더스를 인수하고 난 후 워너 브라더스가 이상해졌다는 강한 비판을 했다. #[6] 타 배급사 텐트폴 영화들은 대부분 2021년 하반기에 개봉할 예정이다.[7] 현재는 유니버설로 넘어갔다.[8] DC 스튜디오를 총괄해 워너 브라더스 위주로 활동할 예정이다.[9] 저스티스 리그 관련 문제로 현재는 관계가 틀어졌다.[10] 디즈니와 같이 워너와 제일 많이 협업했다.[11] 2010년대 이후. 2010년대 이전에는 주로 20세기 폭스와 협업했다.[12] 초기 시절에는 주로 워너 브라더스의 자회사 뉴 라인 시네마가 영화를 만들었다.[13] 킹 아서의 실패로 관계가 끝났다.[14] 현재는 위키드 연출로 인해 유니버설로 갔다.[15] 디카프리오를 닥달해 인셉션에 출연시킨 일화가 유명하다.[16] 배우로서든 감독으로서든 워너 브라더스와는 끈끈한 관계로 애플렉의 알코올 중독 재활 영화도 배급했다.[17] 디카프리오와 비슷한 케이스로, 장르 영화 선호도가 낮은 고슬링의 몇 안 되는 장르 영화는 전부 워너 브라더스 작품이다. 출세작 노트북은 워너 브라더스의 자회사 뉴 라인 시네마의 작품이다.[18] 이는 애플렉이 먼저 꺼낸 얘기를 받아친 것에 가깝다. 즉 애플렉이 먼저 워너 브라더스를 언급했다.[19] 워너 브라더스의 자회사 뉴 라인 시네마.[20] 이스트우드는 메이저 스튜디오 기준으로 저렴하게 찍는 편이라 손실이 나도 크지 않아 상부에서 편을 들어주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스트우드를 폄하하고 빚진 것 없다며 무시한 데이비드 자슬라브가 영화판 자네가 주임원사인가로 까인 것도 이 때문.[21] 2021년 5월 17일, 디스커버리와 워너미디어의 합병을 발표했다. 지분 관계는 기존에 워너미디어를 인수해 모회사가 된 AT&T 쪽이 우위에 있으나, 경영진은 디스커버리 쪽 인사로 선출되어 영화 산업 쪽의 지휘는 사실상 디스커버리 측에서 맡게 되었다.[22] 월드와이드로 비교하면 당시 다크 나이트보다 더 높은 수익을 낸 영화로는 타이타닉과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이 있다.[23] 인셉션, 다크 나이트 라이즈, 인터스텔라, 덩케르크, 테넷.[24] 크레딧에는 제작자로 올라갔다.[25] 그린 랜턴 때문에 욕을 먹긴 했지만 사실 캠벨은 007 시리즈를 두 번이나 부활시킨 장본인으로 고전 영웅 쾌걸 조로 또한 현대에 다시 부활시킨 능력 있는 감독이다.[26] 영상은 정확히는 2003년~2018년까지의 로고다. 하단의 모회사명이 자꾸 바뀌여서 그런건데 자세한 건 워너미디어 참조.[27] 다만 이 영화 한정으로 로고와 배경이 빨간색에 음악도 기존의 것이 아니다.[28] 루드비히 고란손이 맡았다고 한다.[29] 영상 테마와 음악은 로고를 변경한 2021년에 도입했으나 2022년에 워너미디어와 디스커버리의 합병으로 모회사 이름이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로 변경되었다. 과거에는 WB가 쓰여진 방패 가운데를 "WARNAR BROS.(사업 분야)"라고 쓰여진 고리가 감쌓으나, 2021년에 사라지고 테두리가 가늘어지면서 그 부분과 WB 글자의 금빛이 옅어졌다, 디스커버리 합병 이후 다시 금빛 로고를 사용한다.[30] 회사 대표가 워너 브라더스 홈 비디오 코리아 대표를 역임한 이현렬이다.[31] 복원 담당 부서 같은 경우엔 상당히 일을 잘 한다는 평가가 많다. 워너 아카이브 블루레이는 어지간하면 화질과 음질 모두 블루레이 리뷰 사이트에서 좋은 점수를 받는다.[32] '이퀄리티 라이더'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인종과 성별, 성 지향성을 가진 출연진과 스태프들을 일정 비율 이상으로 고용하겠다는 정책이다. 이 정책을 첫번째로 적용한 영화가 저스트 머시인데 조커와 더불어 워너 브라더스가 아카데미에 적극적으로 밀은 영화이다.[33] 18개월 동안 한번 쯤은 여성 감독과 여성 스태프들이 만드는 영화에 참여하겠다는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