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ffbc00> | }}} | ||||
[[틀:울산광역시의 리무진(급행)버스| 급행 ]] [[틀:울산광역시의 직행좌석버스|직행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일반 ]] [[틀:울산광역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울산광역시의 시내지선버스|지선 ]] [[틀:울산광역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울산광역시의 마실버스|마실 ]] [[틀:울산광역시의 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111 | 112 | 114 | 115 | 118 | 121 |
122 | 124 | 128 | 132 | 134 | 142 | |
213 | 215 | 216 | 217 | 219 | 225 | |
226 | 236 | 246 | 313 | 318 | 323 | |
333 | 343 | 353 | 363 | 373 | 383 | |
412 | 413 | 414 | 415 | 416 | 417 | |
418 | 422 | 423 | 428 | 432 | 438 | |
442 | 452 | 462 | 472 | 482 | 513 | |
514 | 515 | 518 | 523 | 533 | 543 | |
711 | 712 | 713 | 714 | 715 | 716 | |
718 | 721 | 722 | 723 | 724 | 725 | |
728 | 732 | 734 | 735 | 742 | 743 | |
744 | 752 | 753 | 754 | 762 | 763 | |
772 | 773 | 818 | 918 | |||
[1]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노선 |
1. 개요
- 구 122번
- 울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 거리 77.8km.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42번 | |||||
기점 |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방어진공영차고지) | 종점 | 울산광역시 북구 창평동(농소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4:50 | 기점행 | 첫차 | 04:50[1] |
막차 | 22:55 | 막차 | 22:55 | ||
운행거리 | 72km | ||||
평일배차 | 15~25분(1일 54회) | 주말배차 | 20~30분(1일 38회) | ||
운수사명 | 유진버스 | 인가대수 | 13대[주말] | ||
노선 | 꽃바위 - 현대비치타운 - 방어동행정복지센터 - 대왕암공원입구 - 동부경찰서 - 현대중공업.울산대학병원 - 현대청운고 - 남목고등학교 - 성내 - 현대자동차정문 - 현대출고교차로 - 효문교차로 - 연암동 - 연암초등학교 - 화봉시장 - 화봉중 - 울산공항 - 화봉초등학교 - 송정LH1단지 - 송정하우스디 - 매곡에일린의뜰1, 2차 - 월드메르디앙2단지 - 매곡푸르지오1차 - 오토밸리로효성, 에듀파크에뜰 - U스타시티 일동미라주 - 유황사우나 - 농소공영차고지 |
3. 역사
3.1. 8번 시절
- 구 8번이 전신이다. 구 122번과는 많이 다른 노선이었는데 그 시초는 방어진 노선 중에서도 노선 변화가 가장 극심한 8번으로 운행 경로는 '삼산 - 버스터미널 - 공업탑 - 시청 - 옥교동(성남동) - 학성공원 - 북울산전화국 - 병영사거리 - 기능대학(현 폴리텍대학) - 북구청 - 화봉시장 - 연암초교 - 효문초교 - 효문공단 - 현대자동차 - 남목 - 현대중공업'으로 상당히 굴곡진 노선이었다. 신설 초기에는 공업탑이 기점이었으나, 공업탑차고지가 폐쇄되면서 삼산까지 연장되었다.
- 2003년 3월 1차 노선개편 때 '효문공단 - 화봉동' 구간은 구 33번(현재 122번)에 넘겨주고 방어진에서 출발, 병영동에서 회차하여 순환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당시 경로는 '현대중공업 - 남목 - 현대자동차 - 농심메가마트 - 학성초교 - 북울산전화국 → 선우시장 → 동여중 → 서동시장 → 한국폴리텍대학 → 산전마을 → 병영사거리 → 북울산전화국 → 이후 역순'이었다. 동구 쪽에서 북울산전화국 방면으로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었고, 또한 병영사거리에서 바로 동여중 쪽으로 가는 노선도 101번이 유일했다.[3]
3.2. 101번 시절
- 2003년 8월 개편 때 번호가 101번[4]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경에는 운행회사가 공동운수협의회에서 유진버스로 변경되었다.
- 방어진발 북구 노선 증설민원으로 인해 2007년 12월 22일에 병영순환노선에서 '화봉동 - 신천 - 매곡' 구간을 연장했고 번호도 122번으로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3.3. 122번 시절
- 122번으로 변경 이후 452번과 같이 화봉동을
겁도 없이생략하고 다니는 노선이기도 했다. 물론 지금은 한 차례 개편으로 화봉동을 들리고 452번은 없어졌지만.지금은 442번과 712번이 화봉동을 겁도 없이 생략하고 다닌다.북구청앞[5]으로 바로 쏴주는 시원한 선형을 자랑했다.
- 매곡푸르지오, 극동스타클래스 단지 내 도로가 개통하면서 2008년 1월 15일에 이 곳을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9년 5월 30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0년 3월 1일에 호계 미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1년 3월 28일에 종점이 매곡에서 매곡월드메르디앙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원래는 2011년 1월 31일에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정류장 설치가 늦어져 2011년 2월 14일로 한 번 늦춰졌고 도로 준공도 늦어져 한 번 더 연기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1 관련 공지사항 2
- 그러다가 2011년 11월 1일에 화봉동을 지나 경제진흥원 방면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병영사거리는 경유하지 않게 되었다.[6] 이후 122번은 112번과 같이 산업로[7]를 달리며 진정한 방어진발 북구 주요지 노선으로 변모한다.[8] 관련 공지사항
- 2012년 2월 29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4년 10월 30일부터 6시 50분~8시와 17시~18시에 매곡산업단지 지원운행을 실시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5년 6월 8일에 산업로, 북구청남문, 효문사거리를 경유하지 않고 오토밸리로를 통해 연암종점을 지난 뒤 벽산아파트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는 울산 시내버스 역사상 최초로 오토밸리로를 정식 노선으로 운행하게 되는 것이다.[9] 효정고등학교와 울산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통학이 조금이나마 더 편해질 전망이다. 기존 변경안은 1104번의 폐지를 대체하기 위해 봉수로 구간을 운행하기로 하였으나 매곡~중공업간 통근 수요 때문에 없던 일로 되었다.
봉수로의 버스 노선은 혼돈으로
- 2017년 12월 30일에 매곡현대아파트 대신 효성해링턴플레이스와 약수윗마을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2월 22일에 매곡 에일린의 뜰 1,2차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21년 12월 11일에 일동미라주 경유로 변경되면서 중산동 구간에서 약간의 굴곡이 생기게 되었다.
- 2022년 1월 28일에 종점이 북울산역으로 변경되고, 편도로 경유했던 '매곡푸르지오1차 - 약수윗마을 - 매곡종점 - 공공산후조리원' 구간을 양방향 경유하게 되면서 매곡119안전센터는 미경유하게 되었다.
3.4. 142번으로의 변경 이후
- 2024년 12월 21일부터 시내버스 대개편으로 노선번호가 142번으로 변경되며, 종점이 북울산역에서 농소공영차고지로 바뀌었다. 그리고 세부 경로도 많이 바뀌는데, 벽산아파트 경유가 아닌 연암동 경유로 바뀌고, '송정동 - 매곡휴먼시아' 구간이 폐지되면서 송정지구를 경유하며[10] 북울산역 역사가 아닌 오토밸리로 상의 북울산역 앞 보행육교를 경유하게 된다. 그리고 북울산역 이후 경로가 '매곡에일린의뜰 - 월드메르디앙 - 매곡푸르지오아파트 - 효성해링턴 - 일동미라주 - 매곡119안전센터 - 유황사우나 - 산업로 - 농소차고지로 바뀌면서 결과적으로 이 노선의 수요처인 신천을 미경유하게 된다. 이로써 신천에서 산업로로 직통하여 울산공항을 이어주는 일반노선은 전멸하게 되었다.
4. 특징
- 유진버스 노선 중 인가대수가 가장 많다.
- 동구에서 출발하여 오토밸리로와 산업로를 모두 경유하며 북구 방면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또한 매곡까지 유일하게 가기 때문에 출퇴근 수요가 상당히 많고 울산공항에서 매곡으로 빠르게 가는 환승 수요를 다 잡기 때문에 도심을 경유하지 않음에도 많은 수요를 보여준다.
- 462번, 752번, 북구01번, 북구08번과 같이 출퇴근 시간대에 매곡산업단지를 경유하는 지원노선이 있다.
- 한동안 저상버스가 단 한 대도 존재하지 않는 노선이었는데 2020년 하반기부터 이 노선에서도 7년 만에 저상버스를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 1X2번대 노선들 중 유일하게 철도역과 연계된다.
- 송정과 매곡을 잇는 둘뿐인 노선이다.[11]
4.1. 노선[12]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22번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오토밸리로 | |
▼ | ▲ 매곡119안전센터 | |
호계매곡6로 | 신천로 | |
매곡에일린의뜰1,2차 ▼ | ||
호계매곡1로 | ||
월드메르디앙1단지 ▼ | ||
매산로 | ||
매곡현대아파트 ▼ | ||
매곡1로 | ||
매곡휴먼시아 ▼ | ||
신천로 | ||
농소2동주민센터 ▼ | ▲ 극동스타클래스 | |
호계로 | ||
유아교육진흥원 ▼ | ▲ 시장2리 | |
산업로 | ||
화봉중학교앞 ▼ | ▲ 울산공항 | |
화봉로 | ||
LG진로아파트 ▼ | ▲ 화봉시장 | |
상방로 | ||
상방마을 ▼ | ▲ 벽산아파트앞 | |
무룡로 | ||
효문교차로 ▼ | ▲ 연암 | |
오토밸리로 | ||
아랫율동 ▼ | ▲ 현대출고교차로 | |
염포로 | ||
성내 ▼ | ▲ 성내 | |
방어진순환도로 | ||
방어진초등학교 ▼ | ▲ 대왕암공원입구 | |
꽃바위로 | ||
▼ | ▲ 화암 | |
화잠로 | 문현로 | |
꽃바위 ▼ | ||
문현로 |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122번(지원1)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오토밸리로 | |
▼ | ▲ | |
매곡로 | 신천로 | |
매곡119안전센터 ▼ | ||
매곡산업로 | ||
일신정밀 ▼ | ||
매곡산업2길 | ||
▼ | ||
매곡산업로 | ||
▼ | ||
오토밸리로 | ||
▼ | ||
호계매곡6로 | ||
매곡에일린의뜰1,2차 ▼ | ||
호계매곡1로 | ||
월드메르디앙1단지 ▼ | ||
매산로 | ||
매곡현대아파트 ▼ | ||
매곡1로 | ||
매곡휴먼시아 ▼ | ||
신천로 | ||
농소2동주민센터 ▼ | ▲ 극동스타클래스 | |
호계로 | ||
유아교육진흥원 ▼ | ▲ 시장2리 | |
산업로 | ||
화봉중학교앞 ▼ | ▲ 울산공항 | |
화봉로 | ||
LG진로아파트 ▼ | ▲ 화봉시장 | |
상방로 | ||
상방마을 ▼ | ▲ 벽산아파트앞 | |
무룡로 | ||
효문교차로 ▼ | ▲ 연암 | |
오토밸리로 | ||
아랫율동 ▼ | ▲ 현대출고교차로 | |
염포로 | ||
성내 ▼ | ▲ 성내 | |
방어진순환도로 | ||
방어진초등학교 ▼ | ▲ 대왕암공원입구 | |
꽃바위로 | ||
▼ | ▲ 화암 | |
화잠로 | 문현로 | |
꽃바위 ▼ | ||
문현로 |
5. 연계 철도역
- 일반 철도역: 북울산역(ITX-마음, 무궁화호, 누리로)
==# 둘러보기 #==
송정지구 경유 시내버스 | ||||
112 | 142 | 225 | 226 | |
236 | 246 | 412 | 482 | |
북구02 | 북구07 | 북구08 | 북구11 | |
울산공항 경유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
매곡지구 경유 시내버스 |
[1] 매곡에일린의뜰1,2차부터 7회(주말 5회) 운행하며 북울산역발 첫차는 꽃바위 04:50 출발차량[주말] 9대[3] 지금도 (구)동여중(현 약사중학교)을 지나가는 노선은 모두 삼성아파트, 홈플러스 방면으로 운행한다. 또한 동구에서 병영가는 버스인 128번도 2011년 11월 개편으로 생긴 노선이니 말 다 했다.[4] 2013년 11월 개편으로 신설된 지금의 101번과는 다른 노선이다.[5] 북구청남문 정류장이 아닌 두왕사거리 방면 정류장(ID - 40331)[6] 병영 구간은 새로 만들어진 132번에게 넘겨 주었다.[7] 울산공항~효문사거리[8] 참고로 112번과 122번은 이 시기부터 2014년 12월 27일까지 꽃바위부터 송정동까지의 노선이 동일했다. 이후로는 각각 서남구수협과 방어동행정복지센터를 경유하고 2019년 12월 7일부터 각각 진장로와 오토밸리로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동구와 북구(강동동가는 121번 제외. 이 노선은 동구청을 경유한다.)를 잇는 노선들은 모두 일산해수욕장, 현대중공업을 경유하게 되었다.[9] 214번과 246번도 이 구간을 운행하긴 하지만 정식이 아닌 지원운행이다. 다만 246번은 2021년 개편으로 오토밸리로를 정식으로 운행하게 되었다.[10] 233번이 폐선됨에 따라 대신 경유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11] 다른 노선은 북구11.[12] 122번 시절 노선이다. 개편 내역 적용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