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e4a3f,#43454d><bgcolor=#5e4a3f,#010101><tablebgcolor=#fff,#1c1d1f> ☕ 커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커피 종류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bgcolor=#a38778,#000> 블랙 커피 | 에스프레소 (리스트레토 · 룽고) · 아메리카노 · 드립 · 아랍 커피 · 콜드 브루 · 튀르크 커피 | 아이스 커피 질소 커피 | |||||
| 베리에이션 커피 | 우유를 넣은 커피 (스팀 밀크 · 카페라테 · 바닐라라테 · 카페오레 · 카페모카 · 카푸치노 · 코르타도 · 마키아토 · 플랫 화이트 · 카페 콘 레체) 콘 판나 · 아인슈페너 · 아포가토 · 샤케라토 · 로마노 · 방탄커피 · 달고나 커피 · 프라페 · 아샷추 | |||||||
| 커피 칵테일 | 깔루아 (B-52 · 깔루아 밀크 · 벨벳 해머 · 블랙 러시안 · 에스프레소 마티니 · 오르가즘 · 퀵퍽 · 푸스 카페 레인보우 · 화이트 러시안) · 아이리시 커피 · 카페 로열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5px -1px" | <colbgcolor=#a38778,#000>추출 방식 및 기구 | 에스프레소 (에스프레소 메이커 · 전자동 머신 · 반자동 머신 · 캡슐 · 파드 · 레버 · 휴대용) · 드립 커피 (드리퍼 · 드립 커피 메이커) · 콜드 브루 · 프렌치 프레스 (클로버) · 모카포트 · 달임식 · 에어로프레스 | ||||
| <colbgcolor=#a38778,#000> | 자판기 커피 · 맥심 · 카누 · 칸타타 · 스타벅스 비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 |||||||
| T.O.P · 칸타타 · 레쓰비 · 스타벅스 · 조지아 · 맥스웰하우스 · 네스카페 | ||||||||
| 문화 및 기타 문서 | 카페 · 루왁커피 · 바리스타 · 크레마 · 모카 · 대용 커피 · 커피 젤리 · 카페인 · 디카페인 · 커피스틱 · 커피 체인점 · 카공족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유명 체인점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 한국계 프랜차이즈 | |||||
| 외국계 프랜차이즈 | ||||||||
1. 개요
대한민국의 저가커피 브랜드이다.현재 전국 300 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 상세
명칭인 '우지커피'의 '우지(Oozy)'는 걸쭉한 액체가 천천히 흘러나오거나 스며 나오는 상태를 묘사하는 영단어로, 우지커피는 이 단어의 액체를 커피로 보고 그 의미를 '진하고 밀도 있는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다'로 해석하고 있다.다른 저가 커피 브랜드들과는 달리 주로 대도시에만 위치하는 브랜드다보니 아는 사람들만 아는 브랜드다.
3. 커피맛
커피 맛[1]이 상당히 고급지고 깔끔하다는 평이 많다.커피맛은 대개 신맛과 약간의 단맛이 나며 의외로 쓴맛은 거의 없다.[2][3]
[1] 사실 커피 알바를 했을때 기준으로 그리고 국제 바리스타할때 가장 중요한 내용은 바로 커피의 맛이다. 아르바이트나 커피 업종계열 자격증 까지 다 중요하게 여긴다. 이게 없으면 커피를 사먹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아시아 스페셜티 커피협회 기준 이다.[2] 일단 커피의 맛은 로스팅을 볶을때의 맛이 달라지고, 커피체리에 나오는 씨앗 한마디로 생두(그린빈)으로 이루어진 로부스타,아라비카,리베리카 종류별로 맛이 다 다르며 ,에스프레소 추출시간에 따른 맛이 달라지는 경우로 커피의 맛의 구성 원인의 3가지가 있다. 일딴 생두는 로스팅을 하면 원두가 되고 원두인 상황에서 로스팅을 적게 하면 신맛 로스팅을 적절히 하면 신맛 단맛이 나고 오래 볶으면 탄맛, 쓴맛이 강하게 난다. 그래서 생두를 로스팅해 로스팅의 시간을 줄여 신맛과 단맛이 나겠금 만든것 같다. 그리고 원두 자체는 로부스타보단 아라비카일 확률이 높은게 로부스타는 쓴맛이 강하며 단맛이 적다. 반면 아라비카는 단맛이 높고 부드러운 맛이 나는게 특징이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건 생두를 로스팅할때의 그 원두의 볶는 시간이며 원두의 종류 이다. 추출시간이 맨 마지막으로 볼수 있다.[3] 아라비카를 사용하는 업체는 테라커피로 스페셜티를 사용하는데 이게 아라비카 품종이다. 그래도 달고 부드러운 원두를 사용한다. 간혹가다. 여긴 쓴맛이 있는 경우가 있는게 이건 생두(그린빈)의 로스팅을 길게 하여 쓴맛이 강하게 나고 탄맛이 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