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북한 정부에서 1959년에 고시한, 문화어를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원문 텍스트
2. 규정
2.1. 제1장 서론
- 제1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조선 음운을 충실히 반영시킴을 원칙으로 하되, 조선어 받침을 중심으로 하는 어음 교체 현상과, 조선어음의 결합적 변화만은 그대로 표기한다. 그러나 조선어의 매개 단어의 형태론적 구성을 특히 명시할 필요가 있는 그런 경우에는, 조선어 철자법에 충실하게 외국 자모를 대조시킨다.
- 제2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의 표기상 단위는, 조선어 철자법의 일반적 규정을 준수한다. 즉, 매개 단어는 띄여 쓰되, 각종의 보조적 단어는 붙여 표기한다.
- 제3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해당 외국어의 현행 자모 체계에 의거하며, 새로운 자모, 새로운 보조적 기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제4항 : 외국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해당 외국어의 음운 조직과 그의 정칙 발음법의 일반적 원칙과 모순될 수 없다.
- 제5항 : 본 표기법에서는 로씨야어 자모와 로마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관한 일반적 규칙을 규정한다.
- 〔부기〕 외국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법은 어디까지나 해당 외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며, 따라서 외국 자모를 사용하는 조선 문자의 알파비트적 사용과 관련되는, 문자 개혁적 시도와는 구별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표기법에서는 외국 자모를 사용하는 조선 문자의 알파비트적 사용법에 대하여 규정하지 않는다.
2.2. 제2장 로씨야어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적 규칙
- 제6항 : 로씨야어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특수한 어음론적 변화가 없는 한, 조선어의 매개 자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로씨야어 자모를 대조시킨다.
조선어 자모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일반용 к н т р м п с н ч чх кх тх пх х кк тт пп сс чч 과학용 к н т ль м п с нъ ч чх кх тх пх х кк тт пп сс чч
조선어 자모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ㅐ | ㅒ | ㅔ | ㅖ | ㅚ | ㅟ | ㅢ | ㅘ | ㅝ | ㅙ | ㅞ |
일반용 | a | я | е | ё | o | ё | у | ю | ы | и | aй | яй | э | е | oй | уй | ы | вa | вo | вaй | вэ |
과학용 | a | я | ŏ | йŏ | o | ё | у | ю | ы | и | aй | яй | э | е | oй | уй | ый | вa | вŏ | вaй | вэ |
* 〔부기〕 《일반용》이라 함은 일상적 언어 행위에서의 조선어 표기에 리용할 것이며, 과학용은 조선어에 대한 과학적 표기에 리용된다. 따라서 《과학용》에는 《ŏ》에서와 같이 단모음 부호 《◌̆》를 《o》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제7항 : 조선어의 무성 파렬음, 또는 무성 파찰음 《ㅂ, ㄷ, ㄱ, ㅈ》 등은 한 단어 가운데의 유성음 사이에서 절음화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유성음화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로씨야어 자모 《п, т, к, ч》가 아니라, 자모 《б, д, г, з》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i〕 자모 《ㅂ》의 경우
* 〔ii〕 자모 《ㄷ》의 경우
* 〔iii〕 자모 《ㄱ》의 경우
* 〔iiii〕 자모 《ㅈ》의 경우
* 〔주〕 : (*)표는 과학용이 일반용과 구별되는 경우를 제시한다.안변 | Aнбён *Aнбйŏн |
함북 | Хaмбук |
연백 | Ёнбaйк *Йŏнбaйк |
강동 | Кaндoн *Кaнъдoнъ |
진도 | Чиндo |
양덕 | Яндек *Янъдŏк |
웅기 | Унги *Унъги |
왜관 | Вaйгвaн |
룡강 | Рёнгaн *Рёнъгaнъ |
상주 | СaнзУ *СaнъзУ |
장진 | Чaнзин *Чaнъзин |
사인장 | Сaинзaн *Сaинзaнъ |
* 제8항 : 조선어 받침은 모음 앞에서는 자기 음가대로 잘 소리나나, 자음 앞이나 또는 어말에서는, 내파음으로 되여 발음 위치가 같은 받침끼리 서로 같아진다, 따라서 조선어 받침은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대조 표기한다.
조선어 자모 | ㅂ | ㅍ | ㅄ | ㄷ | ㅌ | ㅅ | ㅆ | ㅈ | ㅊ | ㄱ | ㅋ | ㄲ | ㄳ | ㅎ |
모음 앞 | б | пх | пс | д | тх | с | сс | з | чх | г | кх | кк | кс | х |
자음 앞/어말 | п | п | п | т | т | т | т | т | т | к | к | к | к | х |
조선어 자모 | ㄹ | ㄼ | ㄿ | ㄺ | ㄾ | ㄽ | ㅀ | ㄻ | ㄴ | ㄵ | ㄶ | ㅁ | ㅇ | |
모음 앞 | р | рб * льб | рпх * льпх | рг * льг | ртх * льтх | рс * льс | рх * льх | рм * льм | н | нз | нх | м | н *нъ | |
자음 앞/어말 | р * ль | п | п | к | р * ль | р * ль | р * ль | м | н | н | н | м | н *нъ |
*〔부기 1〕 : 어간의 끝소리가 《ㄼ》으로 끝난 단어 가운데서 자음 앞의 《밟》과 《넓적, 넓죽》에서의 《ㄼ》만은 《п》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부기 2〕 : 어간의 끝소리가 《ㄹ》로 끝난 단어와 첫소리가 《ㅏ, ㅓ, ㅗ, ㅜ, ㅡ》등 모음으로 시작된 자립적 단어가 합쳐서 새로운 합성어를 형성하는 경우에, 《과학용》 표기로써는 《ㄹ》를 《ль》가 아니라, 《р》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부기 3〕 : 《ㅎ》, 《ㄹㅎ》, 《ㄴㅎ》 받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그별하여 표기한다.
* 제9항 : 조선어를 외국어 자모로 표기함에 있어서 모음자와 함께 사용되나, 자기 고유의 음가를 가지고 있지 못하는, 기호 《ㅇ》은 외국어 자모로 대조하여 표기하지 않는다.밟고 | папко |
밟지 | папчи |
넓적하다 | непчек-хада *нŏпчŏк-хада |
넓죽하다 | непчук-хада *нŏпчук-хада |
울안 | уран |
살얼음 | сарŏрым |
물오리 | мырори |
*〔i〕 : 《ㅎ》음이 다음에 오는 자음 《ㄱ, ㄷ, ㅂ, ㅈ》와 합쳐서, 각각 《ㅋ, ㅌ, ㅍ, ㅊ》로 소리 나는 경우에는 《кх, тх, пх, чх》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ii〕 : 《ㅎ》밭침 밑에 자음 《ㄴ, ㅅ》가 와서, 《ㅎ》음이 《ㄴ, ㅅ》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각각 《н, c》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iii〕 : 받침 안에 있는 《ㅎ》가 잘 발음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표기상 반영시키지 않는다.
좋다 | чотха |
좋고 | чокхо |
좋지 | чочхи |
끊다 | ккынтха |
끊고 | ккынкхо |
끊지 | ккынчхи |
앓다 | артха *альтха |
앓고 | аркхо *алькхо |
앓지 | арчхи *альчхи |
놓네 | ноннэ |
놓소 | носсо |
닿네 | таннэ |
닿소 | тассо |
끊소 | ккынссо |
않소 | анссо *альссо |
끊어 | ккыне *ккынŏ |
끊네 | ккыннэ |
뚫어 | ттуре *ттурŏ |
뚫네 | ттурнэ *ттульнэ |
좋아 | чоа |
좋네 | чонэ |
인천 | Инчхен *Инчхŏн |
왜관 | Вайган |
원산 | Вонсан *Вŏнсан |
양주 | Янзу *Янъзу |
의주 | Ызу *Ыйзу |
집이 | чиби |
집을 | чибыр *чибыль |
날이 | нари |
날을 | нарыр *нарыль |
밟아 | парба *пальба |
밟으니 | парбыни *пальбыни |
핥아 | хартха *хальтха |
핥으니 | хартхыни *хальтхыни |
흐르다 | хырыда |
흘러 | хле *хлŏ |
오르다 | орыда |
올라 | ола |
누르다 | нурыда |
눌러 | нуле *нулŏ |
핥아 | хартха *хальтха |
핥으니 | хартхыни *хальтхыни |
*〔부기 1〕 : 조선어의 한 단어 가운데서 소리 나는 설측음 《ㄹㄹ》도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부기 2〕 : 끝소리가 《ㄹ》이나 《르》로 끝난 동사 어간에 토 《리》가 가첨되여서, 설측음 《ㄹㄹ》로 소리나는 때에도 자모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 제12항 : 현대 조선어의 정칙 발음법에서 인정되여 있는 결합적 어음 변화는 변화된 대로 로씨야어 자모를 대조하여 표기한다.걸레 | келэ *кŏлэ |
놀라다 | нолада |
빨레 | ппалай |
달래다 | талаида |
올리다 | олида |
놀다 | норда *нольда |
놀리다 | нолида |
날다 | нарда *нальда |
날리다 | налида |
흐르다 | хырыда |
흘리다 | хылида |
오르다 | орыда |
올리다 | олида |
* 〔i〕 : 구강 폐쇄음이 비강 자음 《ㄴ, ㅁ, ㅇ》 또는 류음 《ㄹ》앞에서 비음 자음으로 변화되는 경우
* 〔ii〕 : 비강 자음 《ㄴ, ㅁ, ㅇ》 밑에서 류음 《ㄹ》이 《ㄴ》으로 변화되는 경우
* 〔iii〕 : 자음 결합 《ㄴㄹ》 또는 《ㄴㄴ》이 《ㄹㄹ》로 변화되는 경우에는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 〔iv〕 : 어간의 끝소리가 《ㄷ, ㅌ》로 끝난 단어 밑에 《이, 히》와 같은 토가 와서, 자음 《ㄷ, ㅌ》가 구개음화되여서, 《ㅈ, ㅊ》로 소리 나는 경우에는, 각각 《з, чх》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 〔부기 1〕 : 현대 조선어 철자법에서 어간의 끝소리가 《ㄴ, ㅁ》으로 끝난 동사 밑에 자음 《ㄷ, ㅈ, ㄱ》등으로 시작된 토가 오면서, 그것이 발음상 된소리로 들리는 경우에는 자모 《ㅅ, ㄷ, ㅈ, ㄱ》등을 《сс, тт, чч, кк》 등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 〔부기 2〕 : 둘받침 《ㄹㅁ》, 《ㄴㅈ》으로 끝난 형용사나 동사 밑에 자음 《ㅅ, ㅈ, ㄷ, ㄱ》등으로 시작된 토가 오면서, 그것들이 발음상 된소리로 되는 경우도 〔부기 1〕과 같이 처리한다.
* 제13항 : 조선어의 한자 어휘 가운데서 어두음이 《ㄹ, ㄴ》인 것은 언제나 자모 《л, 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독립 | тонннип *топънип |
왕십리 | Вансимни *Ванъсимни |
부엌문 | пуекмун *пуŏкмун |
앞마다 | аммада |
합니다 | хамнида |
받는다 | паннында |
벗니 | понни *пŏнни |
쫓는다 | ччоннында |
빚니 | пинни |
깎는다 | кканнында *кканънында |
동래 | Тоннай *Тонънай |
독립 | тоннип *тонънип |
심리 | симнм |
전라 | Чела *Чŏла |
신라 | Сила |
곤난 | колан |
굳이 | кузи |
미닫이 | мидази |
땀받이 | ттамбази |
받이 | пази |
굳히다 | кучхида |
핥이다 | харчхида *хальчхида |
묻히다 | мучхида |
신소 | синссо |
신다 | синтта |
신지 | синччи |
신고 | синкко |
심소 | симссщ |
심다 | симтта |
심지 | симччи |
심고 | симкко |
젊소 | чемссо *чŏмссо |
젊다 | чемтта *чŏмтта |
젊지 | чемччи *чŏмччи |
젊고 | чемкко *чŏмкко |
룡산 | Рёнсан *Рёнъсан |
녕월 | Нёнвор *Нйŏнъволь |
라주 | Разу |
리천 | Ричхен *Ричхŏн |
례산 | Ресан |
문'간 | мунккан |
발'등 | парттын *парттынъ |
코'등[A] | кхоттын *кхоттынъ |
초'불 | чхоппур *чхоппуль |
밤'잠 | памччам |
이'솔[A] | иссор *иссоль |
발'달 | парттар *пальтталь |
결'심 | кёрссим *кйŏльсим |
잠'간 | чамккан |
문'자 | мунчча |
의'과 | ыкква *ыйкква |
헌'법 | хенбеп *хŏнбŏп |
코'날 | коннар *конналь |
수'놈 | сунном |
수'말 | сунмар *сунмаль |
* 〔i〕 : 앞 단어의 끝 소리가 자움인 경우에는 《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이 때 앞 단어의 끝 소리가 《ㄴ, ㅁ, ㅇ》 등으로 그 소리를 바꾸는 경우에는 《нн, мн, нн(*нъ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 〔ii〕 : 앞 단어의 끝 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발음에 따라 《нн》으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 〔iii〕 : 앞 단어의 끝 소리가 《ㄹ》인 경우에는 《л》로 대조하여 표기한다.
담'요 | тамнё |
편'윷 | пхенют *пхйŏннют |
콩'엿 | кхоннет *кхоннйŏт |
갓'양 | каннян *каннянъ |
앞'이 | амни |
흙'일 | хыннир *хынъниль |
대'잎 | тайннип |
채'열 | чхайннёр *чхайннйŏр |
뒤'요랑 | туйннёрян *туйннёрянъ |
물'약 | мулак |
들'일 | тылир *тылиль |
길'요강 | килёган *килёганъ |
밤(栗) | паам |
별(星) | пеер *пйŏŏль |
곰(熊) | коом |
굴(窟) | куур *кууль |
일(事) | иир *ииль |
김일성 | Ким Ирсен *Ким Ильсŏнъ |
리순신 | Ри Сунсин |
을지문덕 | Ырччи Мундек *Ыльччи Мундŏк[5] |
대동강 | река Тайдонган *Тайдонъганъ[6] |
금강산 | гора Кумгансан *Кумганъсан[7] |
모란봉 | гора Моранбон *Моранбонъ[8] |
꽃 | ккочх |
꽃을 | ккочхыр *ккочхыль |
꽃닢 | ккочхнипх |
꽃닢 아래 | ккочхнипх арай |
일 | ир *иль |
강 | кан *канъ |
없다 | епста *ŏпста |
없었습니다 | епсесссыпнида *ŏпсŏсссыпнида |
2.3. 제3장 로마 자모에 의한 조선어 표기에 관한 일반적 규칙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492da> 한국어 | 조선어학회 - 한글학회 1948년 문교부 - 1959년 문교부 - 1984년 문교부 - 1956년 북한 - 한불자전 · MR · 예일 · 1997년 국어원 시안 · ISO/TR 11941 김복문 · 한세 · 유만근 · 양병선 · 21세기 |
일본어 | JSL - 훈령식 - 일본식 - | |
표준중국어 |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 |
광동어 |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 |
민어 | 민남어백화자 - | |
객가어 | 객가어백화자 - | |
아랍어 |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페르시아어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 |
아르메니아어 | ||
조지아어 | ||
그리스어 | ||
히브리어 | ||
힌디어 | IAST - | |
티베트어 |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 |
타이어 | ISO 11940 - | |
벨라루스어 | BGN/PCGN - | |
불가리아어 | ||
러시아어 | BGN/PCGN - | |
우크라이나어 | BGN/PCGN - | }}}}}}}}} |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현재 북한에서 사용하는 공식 체계}}}에 대한 내용은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재 북한에서 사용하는 공식 체계: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제20항 : 로마 자모로써 조선어를 표기함에 있어서는, 특수한 어음론적 변화가 없는 한, 조선어의 매개 자모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조선어 자모를 대조시킨다.
조선어 자모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로마 자모 k n t r m p s ng ts tsh kh th ph h kk tt pp ss tss
조선어 자모 | ㅏ | ㅑ | ㅓ | ㅕ | ㅗ | ㅛ | ㅜ | ㅠ | ㅡ | ㅣ | ㅐ | ㅒ | ㅔ | ㅖ | ㅚ | ㅟ | ㅢ | ㅘ | ㅝ | ㅙ | ㅞ |
로마 자모 | a | ya | ŏ | yŏ | o | yo | u | yu | ŭ | i | ai | yai | e | ye | oi | wi | ŭi | wa | wo | wai | we |
* 〔부기 1〕 : 모음 《ㅓ, ㅡ》에 대해서는 《ŏ, ŭ》로 대조하되, 부호 《ŏ》를 붙이지 않을 수 있다.
* 〔부기 2〕 : 모음 《ㅐ, ㅚ, ㅟ, ㅢ》에 대해서는 《ai, oi, wi, ŭi》로 대조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a͜i, o͜i, ŭ͜i》와 같이 련결 부호 《 ͜ 》를 붙인다.
* 제21항 : 로마 자모에 의한 조선어 받침의 대조는 다음과 같다.* 〔부기 2〕 : 모음 《ㅐ, ㅚ, ㅟ, ㅢ》에 대해서는 《ai, oi, wi, ŭi》로 대조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a͜i, o͜i, ŭ͜i》와 같이 련결 부호 《 ͜ 》를 붙인다.
조선어 자모 | ㅂ | ㅍ | ㅄ | ㄷ | ㅌ | ㅅ | ㅆ | ㅈ | ㅊ | ㄱ | ㅋ | ㄲ | ㄳ | ㅎ |
모음 앞 | b | ph | ps | d | th | s | ss | dz | tsh | g | kh | kk | ks | h |
자음 앞/어말 | p | p | p | t | t | t | t | t | t | k | k | k | k | h |
조선어 자모 | ㄹ | ㄼ | ㄿ | ㄺ | ㄾ | ㄽ | ㅀ | ㄻ | ㄴ | ㄵ | ㄶ | ㅁ | ㅇ | |
모음 앞 | r | lb | lph | lg | lth | ls | lh | lm | n | ndz | nh | m | ng | |
자음 앞/어말 | l | p | p | k | l | l | l | m | n | n | n | m | ng |
* 제22항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발음상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련결부 《-》를 붙인다. (제16항을 참조하라).
* 〔i〕 : 앞의 음절이 《ㅇ》으로 끝나고 뒤의 음절의 첫 소리가 모음인 경우.
* 〔ii〕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ㄴ》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ㄱ》인 경우.
* 〔iii〕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ㅇ》으로 끝나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ㄱ》인 경우.
* 〔iv〕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ㅏ》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ㅣ》인 경우 (단모음 《ㅐ》를 대조해서 표기할 《ai》와 구별하기 위하여)
* 〔v〕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ㅗ》고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ㅣ》인 경우. (단모음 《ㅚ》를 대조해서 표기할 《oi》와 구별하기 위하여).
* 〔vi〕 : 앞 음절의 끝 소리가 《ㅡ》과 뒤 음절의 첫 소리가 《ㅣ》인 경우 (단모음[9] 《ㅢ》를 대조해서 표기할 《》와 구별하기 위하여)
* 〔부기〕 : 모음 《ㅐ, ㅚ, ㅢ》를 《ai, oi, ui》와 같이 련결 부호 《》를 붙이여 표기한다면, 본항 〔iv〕, 〔v〕, 〔vi〕의 규정은 무의미하다.
평양 | Phyŏng-yang |
녕원 | Nyŏng-wŏn |
광양 | Kwang-yang |
한강 | Han-gang |
만경대 | Man-gyŏngdai |
강경 | Kang-gyŏng |
강계 | Kang-gye |
사이 | sa-i |
나이 | na-i |
모이 | mo-i |
쪼이다 | tsso-ida |
그이 | kŭ-i |
쓰이다 | ssŭ-ida |
사이 | sai |
새 | sa͜i |
모이 | moi |
뫼 | mo͜i |
그이 | kŭi |
긔 | kŭ͜i |
3. 특징
4. 표기 예시
5. 기타
6. 문제점 및 비판
7. 관련 문서
[A] 문화어에는 사이시옷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 적는다.[A] 문화어에는 사이시옷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 적는다.[3] 원문에서는 "Канввон"이라고 적혀있으나 오타로 추정된다.[4] 과학적 표기에서는 ㅇ의 표기가 нъ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5] 원문에는 O 위의 브레이브 부호가 제거되어 Ыльччи Мундoк으로 적혀있으나 오타로 추정된다.[6] 원문에는 어두 자음의 무성음화가 반영되지 않은 Дайдонган *Дайдонгьганг 으로 적혀있으나 오타인 것으로 생각된다.[7] 역시 원문에서는 Кумгангсан으로 오타가 났다.[8] 원문에는 Моранбонг으로 적혀있다.[9] ㅢ는 음운론상 이중모음인데 어째서 단모음으로 서술했는지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