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4:54:58

흥친왕

완흥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d43, #29176e 20%, #29176e 80%, #190d43);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흥선대원왕 일가
흥선헌의대원왕 흥친왕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rowcolor=#ffd400> 고종 일가
완효헌친왕 의친왕 영친왕
}}}}}}}}}
흥친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재면
제2대

윤용구
제3대

이경직
제4대

이재면
제5대

이재순
제6대

민영규
제7대

이재순
제8대

윤용구
제9대

민병석
제10대

민영규
제11대

이재순
제12대

이재완
제13대

민영소
제14대

이재완
제15대

민병석
제16대

민영철
제17대

이재극
제18대

이근상
제19대

윤용구
제20대

심상훈
제21대

이재극
제22대

박영효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22대

박영효
제23대

이윤용
제24대

민병석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42140, #4A2d5b 20%, #4A2d5b 80%, #34214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흥선대원군 흥친왕 영선군 이우 이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7px-The_Imperial_Seal_of_Korea_03.png
일제강점기 왕공족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궁가의 종주와 그 배우자만 표기
왕족
창덕궁 이왕(왕공족 수장)
창덕궁 이왕 척(순종) 창덕궁 이왕 은(영친왕)
창덕궁 이왕비
이왕비 윤씨(순정효황후) 이왕비 마사코 여왕
덕수궁 이태왕
덕수궁 이태왕 형(고종)
공족
운현궁 종주
이희(흥친왕) 이준(영선군) 이우(흥영군) 이청(운현궁 종주)
운현궁 공비
이희공비 이씨(흥친왕비) 이준공비 김씨 이우공비 박찬주
사동궁 종주
이강(의친왕) 이건
사동궁 공비
이강공비 김씨(의친왕비) 이건공비 이성자(마츠다이라 요시코) }}}}}}}}}
운현궁 제2대 궁주
<colbgcolor=#29176e><colcolor=#ffd400>
조선 장종의 현손
완흥군 | 完興君
대한제국 장조의 현손
흥친왕 | 興親王
파일:흥친왕이희.jpg
흥친왕 초상화
출생 1845년 7월 20일
한성부 정선방 구름재동 흥선군 사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운현궁)
사망 1912년 9월 9일 (향년 67세)
경기도 경성부 안국정 운현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운현궁)
묘소 흥원(興園)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d400> 본관 전주 이씨
재록(載錄) → 재면(載冕) → 희(𤏴)
부모 부친 흥선헌의대원왕
(興宣獻懿大院王, 1821 ~ 1898)
모친 여흥순목대원비
(驪興純穆大院妃, 1818 ~ 1898)
형제자매 3남 3녀 중 장남
배우자 풍산 홍씨, 여주 이씨
자녀 2남 3녀
종교 유교 (성리학)
무경(武卿)
우석(又石)
작호 조선: 완흥군(完興君)
대한제국: 흥친왕(興親王)
비고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등재
친일인명사전 등재
}}}}}}}}} ||

1. 개요2. 생애3. 평가4. 가족과 후손5. 대중매체에서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선왕족, 대한제국의 황족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 흥선대원군의 적장자로 고종황제의 친형이다.

다만, 고종은 익종(효명세자)양자로 가서 영조의 5대손이 되었고, 흥친왕은 족보상으로 영조의 동생인 연령군의 5대손[1]이므로, 친형제이지만 법적으로는 12촌이다.

2. 생애

1845년 음력 7월 20일 한성부 중부 정선방 돈녕부상계 니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운현궁에서 흥선군(훗날의 흥선대원군)과 현부인 여흥 민씨(훗날의 여흥부대부인) 사이의 적장남으로 태어났다. 흥선군은 안동 김씨 김병기의 의심을 피해 바보인 척하면서 고의로 장남인 이재면의 관직을 청탁했다고. 어린 시절 잠깐 둘째 큰아버지 흥완군 이정응의 양자로 출계했다가 동생 고종이 즉위한 뒤 다시 본가로 돌아갔다.[2] 흥선대원군은 나이가 찬 이재면 대신[3] 아직 어려 당분간 섭정할 수 있는 차남 이명복을 왕으로 추대했다.

그뒤 아버지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던 1864년(고종 1) 정시(庭試) 문과에 병과 8위로 급제하고, 규장각과 예문관 등에서 여러 벼슬을 지낸 뒤 승정원 도승지로 승진한다. 1874년 아버지 대원군이 축출당한 뒤에도 이래도 응, 저래도 응 하는 성격 덕택에 관직을 유지했다. 사실 대원군의 축출 과정에서 아버지가 축출당하는 것을 방조했는데 적장남임에도 아버지가 자신이 아닌 동생을 왕으로 추대한 것에 불만이 있었다는 추측도 있다.

흥선대원군이 믿고 의지한 몇 안 되는 사람이었다고 한다. 소설가 장덕조에 의하면 그가 '오랫동안 불우한 환경에서 염량세태의 무정함과, 인간의 배신을 뼈저리게 느껴온 흥선대원군은 새로운 세력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도 좁은 범위 안의 복심인물(腹心人物)과 골육을 등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1882년 청나라로 끌려간 흥선대원군은 그에게 살려달라는 편지를 여러 통 띄워 보낸다. 아버지의 편지를 본 이재면은 바로 청나라 텐진으로 달려가 아버지를 모셨다. 흥선대원군이 귀국한 후 정변을 기도할때마다 이런저런 관직에 임명됐지만 실패로 끝나면서 축출당했다.

1898년 흥선대원군이 죽을 때 어가가 궁궐을 출발했느냐는 질문을 연발했지만, 아버지의 임종 소식을 전했다가는 동생 손에 죽을 것이 두려워서 끝까지 입다물고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유약하고 무능한 아버지라서 그랬는지 그의 장남 이준용은 아버지 이재면이 죽을 때 눈물 한 방울도 흘리지 않아서 무루공자[4]라고 조롱받았다고 한다.

고종은 대원군과 함께 여러차례 쿠데타 모의를 했던 조카 이준용을 상당히 미워했고, 이는 그의 아버지이기도 했던 이재면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왕족이 쿠데타 루머만 퍼진 경우라 하더라도 죽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단순 연루된 정도가 아니라 쿠데타 세력에 의해 왕으로 추대까지 된 이재면은 목숨을 부지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왕족으로서 대우받았다는 것을 볼때, 고종은 형 이재면을 살려두는 차원을 넘어 최대한 보호했다고 볼 수 있다.

1899년 족보상 고조부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어 완흥군(完興君) 군호를 받고[5][6] 1910년에 육군 부장에 임명되면서 흥친왕(興親王)에 봉해졌다.

경술국치 때 황족 대표로 참여하여 조약 체결을 승인했고, 친왕에서 공으로 지위가 격하되었다. 1912년 사망했는데, 고종은 그의 빈소로 가서 곡을 하였다.

3. 평가

파일:2017-12-08 06-26-49.jpg
<colbgcolor=#29176e> 운현궁에서 친척들과 함께. 왼쪽부터 흥친왕 이재면, 영선군 이준용, 완순군 이재완, 의양군 이재각. 전부 친일인명사전에 이름을 올린 인물들이다.
한일병합 당시 특별하게 행동한 것은 없지만, 어째서인지 일본은 그에게 다른 인사들의 몇 배나 되는 거액의 은사금을 줬고 그는 늙어서 판단력이 흐려졌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별 말 없이 이걸 그대로 받았다. 결국 이 때문에 심한 비난을 받고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덕분에 아들 이준용과 나란히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하지만 한일병합 당시에도, 이전에도 크게 문제될 행보를 보이지 않았고 친일인명사전도 돈 받았다는 거 말고는 어떤 근거도 대지 못했기에 '그냥 주는대로 받았더니 어쩌다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었다.' 라고 평가하는 시선도 존재한다. 어떤 시각으로 보든간에 대부분 악독했다기보다는 유약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4. 가족과 후손

정실 부인 2명과 첩실 1명 사이에서 총 2남 3녀를 두었다.

장남은 위에서도 언급한 영선군 이준용이고 차남은 이문용이다. 이문용은 19세에 자식없이 요절하였고, 이준용은 47세까지 살았으나 아들을 두지 못했다. 그래서 흥친왕의 실제 남계 자손은 단절되었고 흥친왕의 남은 직계 후손들은 전부 여계 후손이다. 단, 둘 다 양자를 들여 법적인 남계 후손은 있다. 이준용의 양자는 고종의 아들 의친왕의 차남 이우이고, 이문용의 양자는 완순군의 손자 이해명이다. 이들을 통해 전주 이씨 흥친왕파가 이어지고 있다.

장녀는 군수 김인규와 혼인하여 슬하에 2남을 두었고, 차녀는 비서승을 지낸 김두한[7]과 혼인하였다. 측실에게서 본 3녀는 주사를 지냈던 김규정과 혼인하였다.#

5. 대중매체에서

파일:풍운 이재면.png}}} ||
<colbgcolor=#29176e> 〈풍운〉의 흥친왕
* 1982년 KBS 드라마 <풍운>에서는 배우 김천만이 연기했다.
파일:조선왕조 오백년 이재면.jpg}}} ||
<colbgcolor=#29176e> 〈조선왕조 500년 - 대원군〉의 흥친왕
* 1990년 MBC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 - 대원군에서는 배우 이원재가 연기했다. 어릴 적에 둘째 큰아버지 흥완군양자로 갔다가 동생 고종(유영휘 분[8])이 즉위한 후 성인이 된 모습으로 본가에 돌아왔다. 전반적으로 아버지 흥선대원군(임동진 분)의 말을 잘 듣는 순한 성격으로 나왔으며 고종(김홍석 분[9])과의 갈등도 묘사되지 않았다.
파일:찬란한 여명 흥친왕.png}}} ||
<colbgcolor=#29176e> 〈찬란한 여명〉의 흥친왕
* 1995년 KBS 드라마 <찬란한 여명>에서는 배우 이문환이 연기했다.
파일:명성황후 완흥군.png}}} ||
<colbgcolor=#29176e> 〈명성황후〉의 흥친왕
* 2001년 KBS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배우 한범희가 연기했다. 흥선대원군(유동근 분)의 장남으로 아버지로부터 '소 같은 바보'라고 멸시당해서 한때 외삼촌인 민승호(김효원 분)의 편에 가담한다.[10] 대체로 강직하고 아버지와 동생에 대한 애정이 지극하지만[11] 우유부단하고 심약해 아버지에게 거의 항상 한소리 듣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파일:객주 완흥군.png}}} ||
<colbgcolor=#29176e> 〈장사의 신 - 객주 2015〉의 흥친왕
* 2015년 KBS 드라마 <장사의 신 - 객주 2015>에서는 배우 정재곤이 연기했다. 임오군란 에피소드에서 등장했으며 천봉삼(장혁 분)을 찾아와 명성황후(최지나 분)의 얼굴 그림을 보여주면서 “중전을 꼭 찾아내라” 하며 “보부청에 힘을 실어주겠다” 한다. 여담으로 극중 인물들이 그를 완흥군으로 언급했는데 이재면은 대한제국 수립 후 완흥군 군호를 받았기 때문에 오류이다.

6. 여담

파일:흥친왕.png}}} ||
<colbgcolor=#29176e> 흥친왕의 초상화 및 사진

7. 둘러보기

<colbgcolor=#29176e>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1px"
{{{#!wiki style="font-size:0.90em; letter-spacing: -0.8px"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영친왕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실선은 친자, 점선은 양자 관계임
※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함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 기호는 사후 추증된 인물이며, 흥선헌의대원왕을 제외하면 대한제국 수립 이전 사망한 왕족임
}}}}}}}}}}}} ||




[1] 연령군 - 낙천군(양자, 생부는 경창군의 5대손 이채) - 은신군(양자, 생부는 장조(사도세자)) - 남연군(양자, 생부는 인평대군의 5대손 이병원) - 흥선대원군(4남) - 흥친왕(장남).[2] 원래 흥완군은 자신의 친아들 이재원이 있었는데 자식없이 죽은 큰형 흥녕군 이창응양자로 보낸 뒤 자식을 새로 얻지 못하고 일찍 죽어 정작 자신의 후사가 없던 상황이었다. 그래서 이재면을 입양했는데 그마저 돌아가 다시 양자를 들여야했고 결국 21촌이나 되는 선조의 9남 경창군의 10대손 완순군 이재완이 입적되어 대를 이었다.[3] 철종이 승하할 당시 이재면의 나이는 19세, 즉 당시 기준으로는 이미 성인이었다. 따라서 이재면을 왕위에 올리면 사실상 흥선대원군은 섭정을 할 수가 없다.[4] 無淚公子. 눈물없는 사나이.[5] 군호는 왕실의 본관 완산(전주)의 '완(完)'에 어머니 민씨의 본관 여흥의 '흥(興)'에서 따왔다.[6] 은언군계 : 증(贈)[13] 덕안군 이재덕, 경안군 이재성, 청안군 이재순.
은신군계 : 증(贈) 완림군 이재원, 완순군 이재완, 증(贈) 완영군 이재긍, 완흥군 이재면.
은전군계 : 증(贈) 인양군 이재근, 의양군 이재각, 예양정 이재규.
[7] 이 인물과는 동명이인.[8] 아역.[9] 성인.[10] KBS의 드라마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글[11] 외숙 민승호나 훗날 자신 대신 이재선(이우석 분)을 추대한 안기영(이원용 분)에게 '동생(고종, 이진우 분)에게 보위를 뺐겼다' 운운하는 말을 들을 때 화를 내고 일본과 결탁해 임금이 되려던 아들 이준용(안승민 분)을 불효자라며 혼내는 것으로 보아 동생이 임금임과 자신 및 아들이 왕재가 아님을 인정했다. 또한 아버지의 서장자인 이복형 이재선에게는 '자네' 라며 하대한다.[12] 조선총독부에서 편찬한 《이희공실록(李熹公實錄)》에 따르면 태어나자마자 지은 이름은 이재록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