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23:51:31

올림피아(다큐멘터리)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1d> 파일:타임지 로고 화이트.svg타임지
선정 100대 영화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순위 없음, 알파벳 순)
아귀레, 신의 분노아푸 트릴로지이혼 소동베이비 페이스
국외자들배리 린든베를린 알렉산더 광장블레이드 러너
보니 앤 클라이드브라질프랑켄슈타인의 신부춘희
카사블랑카샤레이드천국의 아이들차이나타운
중경삼림시민 케인시티 라이트시티 오브 갓
가까이서 본 기차랑주씨의 범죄군중아메리카의 밤
십계우회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공작 부인
이중 배상닥터 스트레인지러브취권2E.T.
8과 1/2400번의 구타패왕별희니모를 찾아서
플라이대부 1편, 2편석양의 무법자좋은 친구들
하드 데이즈 나이트그의 연인 프라이데이살다고독한 영혼
신체 강탈자의 침입이것이 선물멋진 인생칸다하르
친절한 마음과 화관킹콩레이디 이브최후의 명령
아라비아의 로렌스레올로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카메라를 든 사나이
맨츄리안 켄디데이트세인트루이스에서 만나요메트로폴리스밀러스 크로싱
내 미국 삼촌무쉐뜨나야칸니노치카
오명올림피아워터프론트옛날 옛적 서부에서
과거로부터페르소나피노키오싸이코
펄프 픽션카이로의 붉은 장미갈증레이징 불
쉰들러 리스트수색자셜록 주니어모퉁이 가게
사랑은 비를 타고더 싱잉 디텍티브한 여름밤의 미소뜨거운 것이 좋아
스타워즈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선라이즈성공의 달콤한 향기
스윙 타임택시 드라이버동경이야기협녀
우게쓰 이야기그녀에게율리시즈의 시선움베르토 디
용서받지 못한 자화이트 히트베를린 천사의 시요짐보
출처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독일의 여성 영화감독 레니 리펜슈탈이 제작한 다큐멘터리로 포장한 선전 영화.

1936 베를린 올림픽을 기념해서 촬영한 다큐멘터리로, 베를린 올림픽의 여러 장면을 탁월한 영상 미학으로 담아냈다. 그러나 실제 이 작품의 다큐의 주제는 '강인한 신체를 가진 아리안 민족의 아름다움을 찬양한다'로써, 감독의 앞선 작품인 의지의 승리와 함께 히틀러나치즘파시즘의 대표적 선전물로 꼽힌다.

당시 대회의 마라톤 종목 금메달리스트인 손기정의 우승 장면도 당연히 잘 담겨있다.



영상 기술적으로만 보면, 우리가 현대 스포츠 중계에서 볼 수 있는 모든 중계 및 촬영 기법을 제대로 정립하고 최고 수준으로 빚어낸, 그야말로 영화사에 길이 남을 기념비적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지금도 뉴스 스포츠 영상이나 운동 경기, 특히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대형 스포츠 대회의 중계를 보면, 레니 리펜슈탈이 이 작품을 통해 집대성하고 정립한 기법들이 대거 동원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1]

이 작품은 인간의 육체를 찬양하는 탐미적인 접근, 스포츠 선수를 영웅화 하는 시각, 장엄한 음악, 기계적이고 역동적인 효과의 반복, 빠른 호흡의 편집, 과감한 클로즈업, 슬로우 모션, 집중적인 앙각(Low Angle)[2] 촬영, 팬(PAN, Panoramic viewing) 촬영 기법의 적극적인 활용 등을 통해, 스포츠 중계에 가장 적합한 영상이 매우 유려하게 구현되어 있다. 사실 올림픽과 같은 대형 스포츠 행사나 중계의 주요 목적 중에는 국가를 통합하고, 국민의 열광을 이끌어내고, 민족주의나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를[3] 표현하는 정치적 선전(propaganda)의 효과도 엄연히 포함되어 있다. 나치즘이 발흥하는 당시, 베를린 올림픽이라는 거대한 국제 스포츠 이벤트를 통한 최고 수준의 정치적 선전 달성을 목적으로, 천재적 영화감독인 레니 리펜슈탈이 자신의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해 만들어 낸 작품이 바로 '올림피아' 였던 것.

어쨌든 영상미학의 이토록 탁월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분명히 이 작품은 나치즘을 위한 선전의 목적이 뚜렷했기 때문에, D. W. 그리피스국가의 탄생과 함께 세계 영화 역사에서 가장 논쟁적인 작품 반열에 올라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올림피아'에서 정립된 수많은 영상 기법들이 이후 세계 스포츠 중계의 교과서이자 표준이 되었다는 지점은 매우 아이러니한 부분이다.

2부작으로 제작되었으며 1940년대에 2작 모두 국내에서 개봉했다. 광복 이후 상영 기록이고, 일제강점기부터 들어와 상영된 적이 있는지는 불명이다. 거기에다 세기상사가 재수입해 60년대에 역시 2작품 모두 재개봉까지 했다. 물론 국내 홍보 시에는 선전 영화라는 언급이 일절 없었고, 손기정이 출연하는 올림픽 다큐멘터리라고 홍보했다. 제목은 1편이 《올림피아 1부: 민족의 제전》(Olympia 1. Teil - Fest der Völker), 2편이 《올림피아 2부: 미의 제전》(Olympia 2. Teil - Fest der Schönheit)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런 다양한 기법은 비단 스포츠 관련 중계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어서, 보도 중계, 다큐멘터리 촬영, 정치적 홍보 등 다양한 영상 연출에 지금도 무수히 활용되고 있다. 그만큼 영화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이라는 것.[2]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 보는 각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앙각 촬영을 잘 활용하면 피사체가 매우 대단하고 위엄있어 보인다.[3] 흔히 국격 상승, 국뽕이라고도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