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5 23:33:50

연제부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혁거세 후 남해 후 유리 후 탈해 후
알영부인 운제부인
1
이리생부인
2
사요왕의 딸 김씨
아효부인
파사 후 지마 후 일성 후 아달라 후
사성부인 애례부인 지소례왕의 딸 박씨 내례부인
벌휴 후 내해 후 조분 후 미추 후
석골정의 모후 아루부인
1
아이혜부인
2
운소부인
광명부인
흘해 후 내물 후 실성 후 눌지 후
석공한의 모후 보반부인 아류부인 차로부인
자비 후 소지 후 지증왕 후 법흥왕 후
1
김복호의 딸
2
김미사흔의 딸
1
김습보의 딸
2
선혜부인
연제부인 보도부인
진흥왕 후 진지왕 후 진평왕 후 무열왕 후
1
사도부인
2
소비 부여씨
지도부인
1
마야부인
2
승만부인
문명왕후
문무왕 후 신문왕 후 성덕왕 후 효성왕 후
자의왕후
폐비 김씨
2
신목왕후
성정왕후
2
소덕왕후
1
왕비 박씨
2
혜명부인
3
정종의 딸 김씨
경덕왕 후 혜공왕 후 선덕왕 후 원성왕 후
사량부인
2
경수태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 숙정부인
소성왕 후 애장왕 후 헌덕왕 후 흥덕왕 후
계화부인 왕후 박씨 귀승부인 정목왕후
희강왕 후 민애왕 후 신무왕 후 문성왕 후
문목왕후 윤용왕후 정계부인
1
소명왕후
2
장보고의 딸
헌안왕 후 경문왕 후 헌강왕 비 효공왕 후
문의왕후의 모후
1
문의왕후
2
차비 김씨
의명부인 왕비 박씨
신덕왕 후 경명왕 후 경애왕 후 경순왕 후
의성왕후 왕비 김씨 왕비 죽방부인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지증왕의 왕비
연제부인 | 延帝夫人
출생
(음력)
470년대~480년대 추정[1]
신라?
사망
(음력)
528년 이후[2]
신라?
능묘 미상
재위기간 신라 왕비
500년 11월 ~ 514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성씨 박(朴)
연제(延帝)?
부모 부친 등흔(登欣)[3]
모친 미상
부군 지증왕
왕자 김원종, 김입종
왕녀 어사추(?)[4]
종교 불교
신장 약 173~180cm[5]
시호 연제부인(延帝夫人)
호칭 영제부인(迎帝夫人) }}}}}}}}}

1. 개요2. 행적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 지증왕의 왕비, 법흥왕의 어머니, 성은 박씨, 이름은 불명. 삼국사기에서는 연제부인(延帝夫人), 삼국유사에서는 영제부인(迎帝夫人)이라고 불린다.

2. 행적

그녀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기록이 다양하다.일단 미사흔의 사례에서 보이듯이 欣과 許는 통용이 가능한 한자로 본다.

삼국유사에 실린 지철로왕 이야기에서는 연제부인이 키가 7자 5치로 굉장히 키가 컸다고 나와있다. 지증왕음경이 너무 커서 신붓감을 찾지 못하고 있다가, 연제부인의 거대한 똥을 보고 연제부인을 찾아서 왕비로 삼았다. 자세한 내용은 지증왕 문서 참조.

그의 키 7자 5치에 대해서는, 1자를 30cm라고 한다면 약 225cm. 현대에도 거인증에 걸리지 않는 이상 이런 키는 나오지 않기 때문에 현실성이 없다 여겨진다. 그리고 1자를 18cm로 가정하면 135cm인데 이 경우는 아무리 고대라 할지라도 큰 키는 아니다. 당시 1척이라고 언급되던 물건이 23.7cm였던 적이 있으니 척의 길이를 23~24cm로 적용하면 173~180cm인데 이 키는 고대를 기준으로 생각해봐도 그런대로 가능한 키이면서 동시에 당시 기준으로는 어마무시한 여성의 키일 것이 때문에 앞뒤가 들어맞는다. 대충 170~180cm정도였는 듯.

불국사 고금창기에 따르면 528년, 법흥왕 재위 기간 중 법흥왕의 어머니 연제부인이 원해서 불국사가 건축되었다고 하며 연제부인은 그 후 비구니가 되었다고 한다.#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지증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생애
가족 부친 습보 갈문왕
아내 연제부인
장남 김원종 · 차남 김입종 · 왕녀 어사추?
관련 장소 천마총
관련 문서 포항 냉수리 신라비 · 포항 중성리 신라비
}}}}}}}}} ||


[1] 지증왕이 재위 초반인 500년에 부인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역산하면 480년대쯤에 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아들인 법흥왕과 입종 갈문왕의 나이를 생각해본다면 결혼 시기는 이전이었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거기다 지증왕이 그 시기가 되면 너무 연로해진다는 점도 감안해야 하고, 그래서 추정해본다면 박씨 가문과 연관되어 있는 신궁의 설치시기가 487년이고 이것을 지증왕이 주도했다면 이 시기를 두 사람의 혼인 시기로 잡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출생시기는 조금 더 앞당겨질 수 있을 것이다.[2] 528년 당시 연제부인이 원해서 불국사가 건축되었다는 기록이 있다.[3] 등허(登許)라고도 한다.[4] 학자마다 해석이 다르다. 울주 천전리 암각화 항목 참조.[5] 삼국유사에 7척 5촌이라 나온다. 다른 각주에도 서술하지만 현재의 척은 일본이 개항이후 피트를 척으로 번역한 것이 넘어온 것이다. 고대사의 1척은 거의 전한의 1척인 23~24cm를 기준으로 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