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2:09:23

경수태후

만월부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혁거세 후 남해 후 유리 후 탈해 후
알영부인 운제부인
1
이리생부인
2
사요왕의 딸 김씨
아효부인
파사 후 지마 후 일성 후 아달라 후
사성부인 애례부인 지소례왕의 딸 박씨 내례부인
벌휴 후 내해 후 조분 후 미추 후
석골정의 모후 아루부인
1
아이혜부인
2
운소부인
광명부인
흘해 후 내물 후 실성 후 눌지 후
석공한의 모후 보반부인 아류부인 차로부인
자비 후 소지 후 지증왕 후 법흥왕 후
1
김복호의 딸
2
김미사흔의 딸
1
김습보의 딸
2
선혜부인
연제부인 보도부인
진흥왕 후 진지왕 후 진평왕 후 무열왕 후
1
사도부인
2
소비 부여씨
지도부인
1
마야부인
2
승만부인
문명왕후
문무왕 후 신문왕 후 성덕왕 후 효성왕 후
자의왕후
폐비 김씨
2
신목왕후
성정왕후
2
소덕왕후
1
왕비 박씨
2
혜명부인
3
정종의 딸 김씨
경덕왕 후 혜공왕 후 선덕왕 후 원성왕 후
사량부인
2
경수태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 숙정부인
소성왕 후 애장왕 후 헌덕왕 후 흥덕왕 후
계화부인 왕후 박씨 귀승부인 정목왕후
희강왕 후 민애왕 후 신무왕 후 문성왕 후
문목왕후 윤용왕후 정계부인
1
소명왕후
2
장보고의 딸
헌안왕 후 경문왕 후 헌강왕 비 효공왕 후
문의왕후의 모후
1
문의왕후
2
차비 김씨
의명부인 왕비 박씨
신덕왕 후 경명왕 후 경애왕 후 경순왕 후
의성왕후 왕비 김씨 왕비 죽방부인
}}}}}}}}}


만월부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F072A, #b9062f 20%, #b9062f 80%, #9F072A); color: #fbe673; min-height: 33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진흥왕 조 무열왕 조 효소왕 조
성덕왕 조
경덕왕 조
지소태후 문정태후 신목태후 태후 김씨
혜공왕 조 선덕왕 조 원성왕 조 소성왕 조
헌덕왕 조
흥덕왕 조
경수태후 정의태후 조문태후 성목태후
희강왕 조 민애왕 조 신무왕 조 문성왕 조
순성태후 선의태후 헌목태후 정종태후
경문왕 조 효공왕 조 신덕왕 조 경순왕 조
광의태후 의명태후 정화태후 계아태후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 경덕왕의 계후
만월부인 | 滿月夫人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0%,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라 혜공왕조 왕태후
경수태후 | 景垂太后
}}}}}}}}}
출생 연대 미상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사망 780년 4월 이후 (향년 미상)
신라 금성 추정
(現 경상북도 경주시)
능묘 미상
재위기간 신라 왕후
743년 4월 ~ 765년 6월
신라 왕태후 | 섭정
765년 6월 ~ 780년 4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경주 김씨
만월(滿月)?
부모 부친 김의충(金義忠)
형제자매
1남 1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형제 - 김옹(金邕, ? ~ ?)
본인 - 경수태후(景垂太后, ? ~ ?)
배우자 경덕왕
자녀
1남 [ 펼치기 · 접기 ]
장남 - 혜공왕(惠恭王, 758 ~ 780)
작호 만월부인(滿月夫人)
→ 왕태후(王太后)
시호 경수태후(景垂太后)
}}}}}}}}} ||

1. 개요

[clearfix]

1. 개요

신라 중대의 왕후. 제 35대 경덕왕의 계비이자 제 36대 혜공왕의 어머니.

아버지는 서불한 김의충이고 남매로는 경덕왕 대 시중을 지낸 김옹이 있다.

경덕왕의 원비 사량부인[1]이 폐출된 이후 입궁하여 왕후가 되었고, 오랫동안 후계자가 될 아이를 가지지 못하다 늦은 나이에 겨우 외동아들 혜공왕을 낳는다.

혜공왕이 8세의 나이로 즉위하자 만월부인은 섭정이 되었고, 당나라로부터 태후로 책봉까지 받았다. 게다가 혜공왕 대 완성된 성덕대왕신종에는 태후인 그녀를 찬양하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혜공왕은 결국 시해당하고, 만월부인 또한 행적이 묘연해지게 된다.

에밀레종 설화에서 실언으로 어린 자식을 죽게 한 어머니가 바로 만월부인을 상징한다는 설이 있다. 특히 설화의 또 다른 판본에서는 종 만드는 장인이 실패를 거듭하자 과부인 그의 여동생이 자신의 아이를 제물로 바쳐 종을 완성케 했다고 전하는데, 여기서 종 만드는 장인은 만월부인의 남매로 혜공왕 대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던 김옹을 상징하며, 만월부인이 남매인 김옹의 권세를 위해 아들 혜공왕을 희생시켰다고도 한다.
[1] 김순정의 딸인데, 속일본기에 따르면 만월부인의 남매인 김옹은 김순정의 손자이니, 곧 김옹과 만월부인에게 사량부인은 고모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