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Stalker. 배틀테크 세계의 이너 스피어제 강습형 배틀메크. 단, STK-4P는 중량형 배틀메크이다.
2. 제원 정보
| STK-3F 스토커의 메크 제원 정보 | ||
| <colbgcolor=#000000> 중량 | 85톤 | |
| 동체구조 | 타이탄 H1 | |
| 동력로 | 스트랜드 255 핵융합 엔진 | |
| 보행속도 | 시속 32km | |
| 주행속도 | 시속 54km | |
| 장갑 | 밸리언트 라멜러 (13.5톤) | |
| 냉각기 | 일반 냉각기 20기 | |
| 무장 | 오른팔: | |
| 왼팔: | ||
| 오른쪽 몸통: | ||
| 왼쪽 몸통: | ||
| 생산자 | 아이리안 배틀메크 유한회사, 트렐셔 중공업 | |
| 주 생산 공장 | 시로 III(아이리안), 트와이크로스(트렐셔) | |
| 최초 생산년도 | 2594년 | |
| 통신 시스템 | 크로놀 PR | |
| 조준 추적 체계 | 스파 3c 타이트 밴드 | |
| 가격 | 746만 3825 C-빌 | |
| 기종 특성 | 팔이 작거나 없음, 흔함, 전투 컴퓨터 | |
3. 설명
스토커는 2594년 통합 전쟁(Reunification War) 시기에 강습용 메크로서 만들어진 배틀메크로, 배틀테크 세계에서는 꽤 흔한 편이다. 걸어다니는 화력포대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강습용 멕이므로, 느리고 강력한 화력을 지닌 전형적인 강습 멕이지만 무게는 중량메크들보다 약간 더 무거운 85톤. 물론 85톤도 충분히 강습형이긴 하다.기본 무장은 제원표에 적힌 것과 같이 클랜의 팀버 울프처럼 장거리, 중거리, 단거리 모든 영역을 다 커버할 수 있는 만능 무장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천천히 적을 향해 접근해가면서 원거리 무장부터 차근차근 꽂아넣어서 피해를 누적시켜가다가 접근할 때가 되면 결국 압력을 버티지 못한 적기를 터트려버리는 식으로 운영한다.
또한, 무장 위치가 대부분 동체 중앙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도 특징. 엄밀히 말하자면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와 중구경 레이저는 양 옆에 작게 돌출된 미사일 발사대(팔) 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나 워낙에 짧기에…. 이후 전략 작전 문서에서 기체 특성으로 팔이 작거나 없음(원문 No/Minimal Arms)이란 특성이 소개되었다. 스토커 시리즈들은 모두 이 특성을 지니고 있다.
다만, 무장 시스템에서 볼 수 있듯이 에너지 무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 즉, 열 관리가 매우 까다롭다는 것. 설정상, 스토커에는 원래 적과의 거리를 계측해서 어느 무장을 어떤 조합으로 발사하는지 알려주는 화력 관제 컴퓨터가 달려 있었다. 이 컴퓨터의 조언을 따르면 무장에서 발생하는 열을 최소화하면서 가장 출중한 지속 화력을 퍼부을 수 있었으나, 로스텍이 되면서 파일럿의 재량으로 남게 되었다. 그래도 일부 낡은 스토커 중에는 아직 이 컴퓨터가 달린 물건이 있다. 기종 특성으로 발열량을 4점 줄여주는 전투 컴퓨터로 반영되어있는데, 기종 특성 적용이 허용될 경우 꽤나 유용하다. 기종 특성 없이 20 냉각일 경우 장거리는 LRM+대구경 레이저, 근거리는 중구경 레이저+SRM으로 딱 나눠 운용하는데, 전투 컴퓨터를 사용하게 되면 근거리에서도 사격 페널티 안 받는 발열 수준을 유지하며 대구경 레이저를 한 턴 정도 더 쓸 수 있게 해 줘서 화력이 확실히 오른다. 그만큼 운용할 때 어떤 무장 조합으로 사격 계획을 짤까 머리가 복잡해지지만.
장갑은 기본형에서 13.5톤으로 상당한 편이라, 속도가 느린 단점을 무마할 정도는 된다. 후방으로 포위당하지만 않으면 오랜 시간동안 포격을 버텨낼 수 있어서, 적진 두터운 부위를 찌르고 들어가는 강습 임무에 자주 투입된다.
다만… 이 스토커 하면 유명한 것이 걸어다니는 딜도, 다리 달린 바이브레이터라는 악명인데. 저 희한하고 웃기게 생긴 디자인에도 사실 다 의미가 있다. 속도가 느린 스토커는 공격 임무도 임무지만, 도시 방위 임무도 자주 맡게 된다. 그런때 두터운 장갑과 귀두처럼 생긴 동체로 건물을 찌르고 들어가 파괴하면서 뚫고 들어가는 용도로 디자인했다고 한다.
스토커는 85톤 멕의 묵직한 차체가 견뎌야 하는 하중 스트레스 때문에 여러가지 구조적 약화 증상을 보이는 일이 잦았다. 노후화된 스토커는 그래서 일부 무장을 내려서 85톤 꽉 채우지 않은 언더건 야전 개수를 하는 일이 있었다. 하지만 거기서 더 나아가 내골격까지 일부 감량해서 완전한 70톤이나 75톤 멕으로 마개조해버리는 일도 있었던 모양이다. 이런 개조 버전 중 현재 공식 기록 용지로 인정받는 모델은 4P 뿐이지만, 비공식적 공방 개수는 좀 더 있었던 모양.
4. 개량형들
- STK-3Fb: SLDF 왕실 연대용 강화판.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를 중앙 동체에 장착하였고, 대구경 레이저를 사거리 확장 모델(ER LL)로 교체했고, 6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제거하면서 10연장 장거리 미사일을 15연장으로 업그레이드 했으며, 아르테미스 미사일 조준 시스템을 장착했다. 그리고 냉각기를 부피는 더 크지만 냉각 효율을 두배로 높인 이중 냉각기 17기로 업그레이드했다. 덕분에 장거리 미사일과 ER 대구경 레이저를 동시에 쏘면서도 발열 제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2016년 10월 멕워리어 온라인에 등장했다.
- STK-3Fk: 6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2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4문으로 교체했고, 1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에는 아르테미스를 장착한 모델이다. DCMS의 부대인 제4 빛의 검 대대에서 사용했다고 한다.
- STK-3H: 대구경 레이저를 제거하면서 1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20연장으로 업그레이드 한 장거리 미사일 포격 버젼. 다만 탄약이 2톤밖에 없어 금방 바닥나는 편이다. 기본형과 함께 멕워리어 온라인에 등장한다.
- STK-4N: 열 효율을 증가시킨 버전이며 4P와 함께 일명 "스몰커"로 불리는 기종 중 하나이다. 1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 한 기를 제거한 자리에 냉각기 6기를 추가 장착했다. 덕분에 대구경 레이저를 수월하게 쏠 수 있었으나 장거리 교전은 약간 힘들어졌다. 멕워리어 온라인에 등장한다. FASA 시절에는 이 기종도 아래의 4P와 마찬가지로 골격 스트레스 때문에 감량한 모델이었다. 구 4N은 70톤까지 줄였다고. 하지만 최신판 기록지에서 설정을 엎었기에, 공식 감량형인 일명 "스몰커"는 4P 뿐인 것이 됐다.
- STK-4P: 운용 초기에는 85톤이라는 중량 덕분에 구조적인 문제가 많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LRM-10을 하나 줄여 75톤으로 다이어트한 버전. 엔진 출력과 동체 중량 등 많은 부분을 75톤급에 맞게 재설계해서 장갑량을 동일하게 유지한 기종인데, 특이하게도 원본 스토커와 별개의 메크가 아닌 변형 기종으로만 취급된다.
- STK-5M: 자유 행성 연대에서 개량한 물건으로, 이중 냉각기 17기를 장착하고, 대구경 레이저 두문을 ER 대구경 레이저 한문으로 교체하였다. 또 나크 미사일 신호기를 장착하여 미사일 유도를 돕는 역할을 부여했다. 남는 하중으로 장갑을 1톤 강화했다. 이 또한 멕워리어 온라인에 등장한다.
- STK-5S: 3050년에 발견된 성간연대 기술로 개량된 버젼으로 초경량 엔진을 장착하고 대구경 레이저 두문을 대구경 펄스 레이저 두문으로 변경하였으며 셀룰러 탄약고(이하 CASE)가 장착되어 피격 시 안정성이 올라갔다. 또한 AMS도 장착되어 방호력이 좋아졌다. 다만 냉각 능력은 그대로라서 원본 3F처럼 금방 과열된다. 멕워리어 온라인에서 등장하는 기체로, 현재 가장 비싼 모델이다.
- STK-6M: 5M을 개량한 모델로,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완전히 없애고 중구경 레이저를 ER 모델로 업그레이드하였다. 또 1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아르테미스를 장착한 15연장으로 교체했다. 또한 장거리 미사일들은 CASE로 보호된다.
- STK-7D: 내구성 보강을 위해 일반 엔진과 스탠다드 섀시가 채용되었으며 대구경 레이저를 ER PPC로 교체하고 중구경 레이저를 중구경 펄스 레이저로 6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대를 4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로 대체했다. 조준 컴퓨터도 차용하고 있다.
- STK-7C3BS: 7D와 마찬가지로 ER PPC를 주 무장으로 채택했으나 몇 가지 실험적인 개량이 이루어졌다. 근접 무장이었던 중구경 펄스 레이저를 소구경 변속 펄스 레이저로 교체했고,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5연장 다중 미사일 발사기(이하 MML-5)로 교체했다. MML-5의 탄약은 셀룰러 탄약고 II(이하 CASE II)로 보호되며 또한, 통신 장비로 C3 증폭 보조 유닛을 채용했다.
- STK-8S: 라이란 연방 개수 모델이다. 엔진을 경량 핵융합 엔진으로 교체하여 더 많은 무장을 장착할 수 있게 되었고. 각 거리별로 단거리 및 중거리는 중형 가우스 라이플, 장거리는 ER 하전 입자포 2정으로 커버하고 단거리 전투를 위해 ER 중구경 레이저와 중구경 펄스 레이저가 두문씩 장착되었다.
- STK-9F: 기본형의 암흑기 버전. 기존 스토커 운용자들에게서 아래의 스토커 II가 어색하다는 피드백이 오자, 재래식 스토커 무장 프로파일을 되도록 유지한 채로 경화 장갑을 장착한 절충형으로 제시한 모델. 중구경 레이저 네문을 제외한 나머지 무장을 클랜제로 대체하였다. 먼저 6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와 1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모두 클랜제로 대체하고 대구경 레이저 두문을 모두 클랜제 대구경 펄스 레이저로 업그레이드하였다. 또한 미사일들은 모두 CASE II에 격납하고, 조준 컴퓨터[5]와 클랜제 경형 능동 감지기가 설치되었으며 2중 냉각기 13기로 열을 제어하고 있다. 장갑은 스토커 II에서 채용한 경화 장갑으로 대체하였으며 이 모든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해 이너제 엔도강으로 뼈대를 만들고 255 출력 경량 엔진을 채용하였다.
4.1. 전용기들
- STK-3F Jagawen: 드라코니스 연맹 소속인 자가웬 토리소보 준장이 개인용으로 피팅한 전용기. 근접전 특화를 위해 1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를 6연장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로 교체하고, 열 효율을 높히기 위해 냉각기를 추가로 장착했다.
- STK-3F Jamison: 울프 용기병대 제타 대대의 지휘관인 J. 엘리엇 재미슨이 타던 전용기이며 3054년에 제작되었다. 기본적으로는 기본형인 3F의 클랜제 기술 버전이다. 2중 냉각기와 철섬유 장갑을 채용하였으며 2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 2기, 6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2기, 대구경 펄스 레이저 2문, ER 중구경 레이저 4문을 무장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셀룰러 탄약고로 미사일을 보호했다.
4.2. 스토커 II
@STK-9A 기준| 중량 | 85톤 |
| 동체구조 | 아이리안 38급 섀시(엔도강) |
| 동력로 | 스트랜드 255 핵융합 엔진 |
| 보행속도 | 시속 32km |
| 주행속도 | 시속 43km |
| 장갑 | 리스-675 경화 장갑 27톤 (셀룰러 탄약고 II 채용) |
| 무장 | 아이리안 군수 산업 10연장 초장거리 미사일 발사기 2기 마그나 마크 III 중구경 레이저 8문 |
| 냉각기 | 이중 냉각기 10개 |
| 생산자 | 아이리안 배틀메크 유한회사 |
| 주 생산 공장 | 시로 III |
| 통신 시스템 | 아이리안 E.A.R. |
| 조준 추적 체계 | 와셋 어그레서(조준 컴퓨터 채용) |
| 가격 | 1128만 9625 C-빌 |
| 기체 특성 | 팔이 작거나 없음, 전투 컴퓨터, 구동부 강화 |
3137년에 새로 롤아웃된 스토커의 후계 모델이다. 여담으로 이 디자인은 멕워리어 온라인에서의 스토커 인게임 디자인이다.
기존 스토커의 역할을 암흑기 시대 버전으로 재해석한 무장 배치를 보여준다. 주 무장은 10연장 초장거리 미사일 발사기이며 중구경 레이저 8문으로 보조하고 있다. ER 레이저가 대중화된 시기에 일반 레이저를 채용한 특이한 구성이다. 중구경 레이저 8문을 모두 쐈을때 24 발열을 이중 냉각기 10개(20 냉각)+ 전투 컴퓨터 냉각 4점으로 완전 냉각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다. 떡장갑 믿고 버티고 서서 쏘는 것이 특기라서 이동에 의한 발열마저도 생략할 수 있다. 중구경 레이저의 부족한 사거리는 조준 컴퓨터가 주는 보너스로 중장거리 사격의 명중률을 높이는 것으로 부분적으로 벌충 가능하다.
경화 장갑 27톤과 CASE II 덕분에 기존 스토커를 뛰어넘는 떡장갑이 되었다. 다만 동체 조종석과 경화 장갑을 같이 채용한 탓에 조종술 굴림에 +2 페널티를 받으므로 한계 이상으로 두드려맞을 때 넘어질 위험이 매우 큰 편이다. 게다가 팔이 없어서 넘어졌을때 일어나기 위한 판정은 거의 실패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다행히 경화 장갑은 아머 핍이 하나 까져야 1대미지로 간주하므로 실질적으론 40+ 대미지를 입어야 조종술 굴림을 하기에 대미지 자체에는 비교적 잘 버티는 편. 그 외 험한 지형에 들어갈 때 PSR을 요구하는 것은 그냥 정지사격만 하고 이동을 안해버리면 된다는 식으로 해결 가능하고.
초장거리 미사일로 클랜 무기조차도 닿지 않는 사거리에서 미사일을 날리다가, 초장거리 미사일의 최저사거리 내까지 적이 파고들면 8문의 중구경 레이저 40점을 조준 컴퓨터로 꽂아 죽이는 극한의 니가와 전법에 맞춰 설계됐다.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 정지 사격을 주로 하며, 정지 사격시 필연적으로 따르는 나의 피격 대미지는 경화 장갑의 떡장갑으로 버텨낸다. 동체 조종석을 사용해 럭키 헤드샷마저도 무마해버린다.
실제로 이런 스토커 II의 전법과 특성을 모두 보여주면서 스토커 II가 유명해진 전투가 있다. 렉스부르크 행성에서 FWL의 지방군인 제13 아트리안 드라군(이 당시엔 FWL가 쪼개져 있었고 마릭-스튜어트 커먼웰스 소속)이 클랜 울프를 상대로 벌인 "럼 릿지 전투"이다. 13 아트리안 드라군의 후퇴를 돕기 위해 부대에서 가장 느린(경화 장갑이라 주행 속도가 깎여 3/4 속도다) 스토커 II 2대가 후방 호위로 남았다. 현지 술도가가 있는 언덕 위에 올라선 두 대는 쫓아오는 클랜 울프의 지휘관에게 오픈 채널로 도전을 걸었다. 울프 지휘관 스타 캡틴 반갈터는 경멕과 전투 차량으로 구성된 이중성(Binary: 멕 10대, 또는 전투 차량 20대)으로 덤비겠다고 답했고, 스토커 II 멕워리어 프레스텍은 "좀 더 데려올 때까지 기다려주겠다"며 도발했다. 열받은 울프 이중성이 달려들기 시작하자 스토커 II는 교과서적인 상호 엄호 하에 후퇴 기동과 정지 사격을 한대씩 번갈아 실행하면서 ELRM의 막대한 사거리로 차량 이중성을 모두 조졌다. 적에게 경멕 4대만 남은 시점에서 프레스텍의 스토커 II가 다리가 부서지며 쓰러져 탈락. 혼자 남은 멕워리어 클라인의 스토커 II는 술창고로 들어가서 남은 클랜 경멕들과 난투를 벌였고, 술통이 터져서 잘 익은 럼주가 흩날리는 가운데 결국 스토커 II 혼자만이 서서 버티고 있었다. 그 스토커 II는 그 난리 속에서도 콕핏이 완전히 깨지지 않았을 정도로 장갑이 남아 있었다. 하지만 멕워리어 클라인은 뉴로헬멧 피드백으로 내출혈을 입어, 조종간을 쥔 채로 사망했다. 둘의 분투를 높게 산 클랜 울프는 이 전투를 추상록에 올렸으며, 클라인의 유해는 휴전 깃발으로 감싸 FWL군에게 돌려주었다. 프레스텍은 본즈맨으로 잡혔으나 머지 않아 멕워리어 지위로 복귀한다. 노획한 두 대의 스토커 II는 클랜 울프 내에서 수리해서 라이란 상대로 유효하게 써먹었다.
5. PC 게임에서
기존의 레거시 PC게임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다.[6]5.1. 멕워리어 온라인
공식적으로 PC 게임에서 최초 등장한 것은 멕워리어 온라인이다[7].체험판 강습 메크로 제공되며 세계관 설정에 따라 몇 가지 배리에이션이 존재한다. 화력이 막강하기에 게임 내에서도 상당히 자주 선택되는 메크 중 하나.
3F 모델을 제외한 나머지 모델은 허리 회전 각도가 매우 좁기 때문에 근접 난전시 매우 취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동체가 정면으로 길쭉히 나와있는
조종석(콕핏)과 무장의 위치가 거의 비슷하거나 좀 더 위로 올라가있으며 조종석으로부터 멀찍히 떨어져있지도 않게 조밀조밀하게 모여있는 형상이라 (사격시 지형지물에 걸릴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무장운용이 매우 간편하고 상당히 많은 에너지와 미사일 하드포인트로 무장을 주렁주렁 달고 다닐 수도 있기 때문에 여전히 자주 보이는 강습 메크이다.
5.2. 배틀테크
기동력 위주인 배틀마스터와는 반대로 화력 위주이다. 적으로 등장시 공격력이 엄청나게 강하지만 방어력이 낮은 편이므로 빠르게 처치해야 한다. 직접 사용할 경우 장거리 무기로 숨어서 공격하거나 최전선에서 사용하려 한다면 장갑을 올려주자.5.3. 멕워리어 5: 용병단들
[DLC1] 이너 스피어의 영웅들 DLC부터 등장.[DLC2] 소집 DLC부터 등장.[DLC1] [DLC1] [DLC3] 라살하그의 비상 DLC부터 등장.[DLC6] 솔라리스 대결 DLC부터 등장.[DLC1] [DLC1] [DLC5] 용의 책략 DLC부터 등장.[DLC1] [DLC7] 케렌스키의 그림자 DLC부터 등장.[DLC7] 케렌스키의 그림자 DLC부터 등장[DLC1] [DLC7]
5.4. 멕워리어 5: 클랜
[DLC1] 고스트 베어의 섬광 폭풍 DLC부터 등장.[DLC2] 투카이드의 울프들 DLC부터 등장.[DLC1] [DLC2] [DLC2] [DLC1] [DLC1] [DLC1] [DLC2] [DLC1] [DLC1] [DLC2] [DLC1] [DLC2]
적으로 자주 등장하는 메크이며 매우 강력한 공격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집중사격해서 죽여야 한다. 다행히 방어력은 낮은 편이다.
6. 관련 문서
[LRM] 미사일 총 24회 분(총 2톤.)[LRM] [SRM] 미사일 총 30회 분(총 2톤).[SRM] [5] 이너스피어제 조준 컴퓨터를 채용했으므로 조준 컴퓨터는 4톤이다.(클랜제 대구경 펄스 레이저 두문 12톤+중구경 레이저 4문 4톤)[6] 비공식을 포함하면 멕워리어 4 용병단의 복수 멕텍 멕팩 1이 최초가 된다.[7] 2012년 12월 패치로 등장했다.[8] 본디는 ERPPC 6문 세팅을 했었다. PPC는 최소사거리 제한이 있어서 근접공격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발열이 별로 높지 않았고 동시발사 발열페널티도 없었기 때문에 최소사거리 제한이 없었던 ERPPC가 애용되었다. 그때는 방어력 증가 특성도 없었던 시절에 알파 스트라이크 2번만 날려도 120점의 데미지를 내는 세팅의 스토커를 너도나도 타고 나오면서 경량, 중형, 중량형들은 그냥 맞았다 하면 터져버리고 강습급이라도 1타는 어떻게 버텨도 2타에서 터져버리며 천하의 아틀라스조차 PPC 6문을 들고나온 스토커 떼거리에 폭죽이 되어버렸다. 게다가 이러한 사태를 피라냐측에서 몇달동안 거의 방치를 해버리고 기껏 내놓은 해결책이 고작 ERPPC 발열 증가여서 ERPPC 6문을 쓰던 스토커들은 그대로 일반 PPC 6문(...)으로 갈아타면서 있으나마나한 패치가 되어 버렸고, 2013년 멕온은 PPC온라인 등 갖은 조롱을 당하면서 유저들이 급감했었다. 2013년 말에서야 동시발사 페널티 패치가 등장하면서 PPC 스토커의 악몽은 일단락 되었다. 사실상 멕온의 동시발사 페널티 및 발열증가의 장본 멕인 셈. 이후 스토커가 사라지니 하이랜더로 새로운 문제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