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7:31:34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 #00009b;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르봉 왕정복고|
왕정복고
]]
<nopad> 루이 18세
초대 제2대 제3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장 조제프 데솔
<nopad> 루이 18세
제4대 (제2대) 제5대
엘리 디카즈 아르망 에마뉘엘 드 비네로 뒤 플레시스 조제프 드 빌리에
<nopad> 샤를 10세
제6대 제7대 제8대
장바티스트 게이 쥘 드 폴리냐크 카지미르 드 로슈슈아르
||<-4><bgcolor=#000092><tablebgcolor=#fff,#1c1d1f> [[7월 왕정|
7월 왕정
]] ||
<nopad> 루이 필리프 1세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자크 라피트 카지미르 페리에 장드디외 술트 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nopad> 루이 필리프 1세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 에두아르 모르티에 빅토르 드 브로이 아돌프 티에르
<nopad> 루이 필리프 1세
제17대 (제11대) (제16대) (제11대)
마티외 몰레 장드디외 술트 아돌프 티에르 장드디외 술트
<nopad> 루이 필리프 1세
제18대 (제17대)
프랑수아 기조 마티외 몰레
}}}}}}}}}
프랑스 왕국 초대 총리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1]
Charles-Maurice de Talleyrand-Périgord
파일:Charles Maurice de Talleyrand Périgord.jpg
<colbgcolor=#ffffff><colcolor=#000092> 출생 1754년 2월 2일
프랑스 왕국
사망 1838년 5월 17일 (향년 84세)
서명
파일: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서명.svg

1. 개요2. 생애3. 미디어4. 음식 외교5. 이야깃거리

1. 개요

프랑스 혁명 시기부터 나폴레옹 전쟁을 거쳐 왕정복고 시기까지 활약한 프랑스정치인이자 외교관. 흔히들 탈레랑이라고 부른다.

동 시대 라이벌이었던 오스트리아의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영국의 캐슬레이 자작 로버트 스튜어트와 더불어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더 나아가 유럽 외교사에 길이 남을 전설적인 외교관으로 평가받으며[2] 프랑스 역사상 최초의 총리직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내 • 외정에 두루 능통한 인물로 여겨진다.

또한, 과학사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인물인데, 프랑스 혁명 당시 관습적으로 사용되던 단위계 대신 미터법의 규격[3]을 제정함으로서 지금 전 세계가 m와 kg을 단위로 쓸 수 있게 하여 과학, 특히 물리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인물이다.[4]

2. 생애

본래 귀족 집안의 자제로 그의 집안은 대대로 장군을 배출한 명문가였으나 탈레랑은 선천적으로 다리를 저는 몸이었기에 일찍이 성직자의 길에 입문했다. 집안도 좋고 본인도 능력이 있었기에 34세가 되는 1788년 오툉(Autun)의 주교서품되었지만,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교회 재산의 국유화를 주장하는 등 혁명정부를 지지하였다. 1790년 7월 프랑스 혁명의 기원이었던 바스티유 감옥 습격사건을 기념하는 미사를 집전했다가 가톨릭 교회로부터 파문당했고 이후 미국으로 망명했다.

1796년 귀국해 총재정부의 외교를 담당하다가 나폴레옹을 도와 그의 정권 획득과 함께 외무장관에 취임하였다. 탈레랑은 나폴레옹이 독일과 스페인을 침략한 것이 프랑스의 외교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오스트리아 및 러시아와 내통하며 나폴레옹의 정책을 방해하다가 1810년 사임하였다.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루이 18세의 외무장관, 루이필리프 정부의 런던 주재 대사로 일하면서 오랫동안 프랑스 외교의 중심에 섰다. 특히 유럽 질서를 재편하기 위해 열린 빈 회의에서 능수능란한 외교술을 발휘하여, 프랑스는 패전국임에도 불구하고 영토 재편 과정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유럽의 주요 강대국으로 계속 남을 수 있었다. 이는 나폴레옹 이후 또 다른 단일 패권국가가 등장하여 유럽 질서를 좌지우지하는 것을 꺼리고, 절묘한 세력균형의 형성과 유지를 선호했던 주요 참가국들의 의도를 간파한 결과였다.

파일:external/www.vienna-unwrapped.com/congress_of_vienna_071-500x330.jpg
빈 회의의 풍자도.[5]

1838년 향년 84세로 파란만장했던 생애를 마감했는데, 죽기 몇 시간 전 과거 자신에게 내려졌던 파문 조치를 용서받으면서 종부성사[6]를 받았다.

3. 미디어

파일:external/content8.flixster.com/4317210_std.jpg

파일:external/dcc302462925a02f799d54921dd685aae3ed95f8c222a1d93220a2452eab5eae.jpg

2002년 제작된 프랑스의 TV 전기영화 <나폴레옹>에서 존 말코비치가 탈레랑 역으로 열연했다. 외모상의 싱크로율도 대단했지만, 속을 알 수 없을 듯한 표정, 능수능란한 언변, 교활함 등 탈레랑 특유의 모습들을 훌륭히 재현해 냈다. 극중 역할과 비중은 중국 초한지장량, 삼국지제갈량에 결코 뒤지지 않는 책사.

일본 작가 아토다 다카시(阿刀田 高) (1935년 ~ )가 쓴 단편 <나폴레옹광>에서는 일본의 부유한 사업가가 나폴레옹광이라서 나폴레옹에 대한 걸 거액을 주고서라도 사 모으는 내용이 나온다. 하림 사장인가?[7] 그가 나폴레옹에 대한 걸 소설 속 화자인 주인공에게 말하면서 탈레랑을 황제 폐하(나폴레옹)를 배신한 매국노라고 분노하는 것을 들은 화자가 "탈레랑은 프랑스에선 프랑스에 큰 이득을 안겨준 인물로 높게 평가하지 않느냐."며 나폴레옹을 배신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고 하자 불쾌한 반응을 보이는 장면이 나온다.

전략 게임 <라이즈 오브 네이션즈>의 나폴레옹 시나리오에서 프랑스 진영이 사용할 수 있는 보너스 카드 중 하나로 등장하여 한 턴 동안 국가 간 강제로 전쟁이나 동맹을 맺을 수 있게 한다.

2023년 나폴레옹에서는 폴 라이스가 분했는데, 나폴레옹의 통수를 까는 음흉한 모습은 거의 잘리고 나폴레옹의 외교 심부름이나 다니는 것이 주로 나왔다.

4. 음식 외교

빈 회의마리앙투안 카렘이라는 희대의 학구파 천재 요리사와 같이 음식외교를 펼쳐서, 미스터 초밥왕 같이(...) 음식으로 외교를 풀어나갔다. 당시에 이미 유럽 최고의 명성을 가진 요리사였던 카렘의 명성과 명성에 걸맞은 그의 요리, 추가로 탈레랑 본인의 쩌는 말빨이 결합하여, 나폴레옹 전쟁의 뒷처리를 담당하는 회의에서 패전국인 프랑스가 조각 나지 않고 영토를 거의 온존하여 이후에도 유럽의 강대국일 수 있게 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데 성공하였다.[8]

5. 이야깃거리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의 애인인 플라오 백작 또한 탈레랑의 사생아이다. 나폴레옹 3세의 친부가 루이 보나파르트가 아니라는 소문이 퍼지자 플라오 백작이 자연스럽게 친부로 의심받았다. 물론 백작 본인은 부정했지만. 만약 이 가설이 사실이라면, 빈 체제 구성에 참여한 탈레랑은 제정을 부활시킨 나폴레옹 3세의 친할아버지가 되는 셈이다. 게다가 나폴레옹 3세의 쿠데타를 막후에서 지휘한 모르니 후작[16]은 플라오와 오르탕스의 공인(...)된 사생아였는데, 공식적으로는 이 둘이 이부형제이지만, 가설대로라면 그냥 친형제였던 셈. 한편 유명한 화가 외젠 들라크루아 또한 탈레랑의 사생아라는 추정이 있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을 원칙대로 적용하면 '드탈레랑페리고르'가 되지만 워낙 '탈레랑'으로 잘 알려져 있어서 관용적 예외가 인정된다. 또한 붙임표로 이어진 인명 등의 경우, 여러 요소가 하나의 단어를 이루는 복합어로 보고,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붙여 적는 것이 규정 용례이다.[2] 다만 대내적 정치 사안에 있어서 탈레랑은 반동적인 메테르니히보다 훨씬 리버럴했다.[3] 특히 m의 규격을 의미한다. 당시 프랑스 혁명 위원회에서는 길이의 단위로 크게 3가지의 제안이 올라왔는데, 하나는 누가 봐도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어서 제외되었으며, 다른 두 가지가 각각 주기가 1초인 단진자의 길이, 다른 하나가 적도에서 북극점까지의 자오선의 1000만분의 1이라는 길이였다. 탈레랑은 이 중에서 단진자의 길이는 1초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는 어려움을 이유로 측량을 통해 확실하게 구할 수 있는 자오선의 길이에서 길이단위를 정의하는 것으로 지정하여 지금의 미터법을 낳았다.[4] 자세한 내용은 앙투안 라부아지에 참고.[5] 그림 맨 오른쪽이 탈레랑. 왼쪽에서 두 번째가 그의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메테르니히이다.[6] 이때 손바닥에 성유를 바르는 대신 손등에 바르게 했다고 한다. 상대는 신부였고, 탈레랑 본인은 그래도 주교였기 때문이다. 특히 당시 가톨릭 신부를 탄압하던 혁명이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고, 이 신부가 서품받은 지 얼마 안 된 신입이라서 성사 집전이 서툴었다보니, 한때 정통 신학교육을 받은 주교 탈레랑이 선배로써 따끔하게 충고를 했다고 한다. 참고로 이 따끔한 충고를 들은 신부도 나중에 오를레앙 주교직에 오른다.[7] 닭고기 도매업으로 유명한 하림 회장이 나폴레옹광이라 프랑스에서 경매로 올라온 나폴레옹이 쓰던 모자를 무려 26억원이 넘는 거액을 주고 사서 화제가 된 바 있다...[8] 사실 나폴레옹이 탈출하여 부랴부랴 대충 마무리 된 덕이 더 크지만.[9] '누아르 콤 르 디아블, 쇼 콤 렁페르, 퓌르 코 머낭쥬, 두 콤 라무르.' 대중적으로 익숙한 한국어 외래어표기법 표기상으로는 ㄹ이지만 현대 프랑스어(정확히는 탈레랑이 살던 18세기부터)의 r은 모두 구개수음으로 한국인의 귀에는 ㅎ발음에 훨씬 가깝게 들린다. 굳이 쓰자면 '누아-ㅎ 콤므 르 디아블르, 쇼 콤므 렁페-ㅎ, 퓌-ㅎ 콤므 어낭주, 두 콤므 라무-ㅎ'. 잘 보면 r표기로 끝나는 단어가 앞으로갔다 뒤로갔다 하며 운율을 만들고 있다.[10] 이준익 감독의 영화 <평양성>에서 이 대사가 패러디가 됐는데, "정치는요, "그렇다." 하면 그건 "그럴지도 모른다."는 뜻이고, "그럴지도 모른다."는 뜻은 "그거는 마 안 된다."는 뜻이고, "그거는 안 된다." 카는 놈은 마, 그런 놈은 정치인도 아입니더."라고 나왔다. 작중에서는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에 태종 무열왕과의 약속대로 당나라신라에게 대동강 이남을 신라 영토로 인정해 주겠다고 한 당고종의 발언에 대해서 김유신문무왕에게 이렇게 조언한 것. 실제로도 그렇게 흘러갔다.[11] 게다가 성직자 출신이어서 (푸셰는 수도자 출신) 나폴레옹이 로마 교황과 정교 협약을 맺고 실로 오랜만에 성당에 나와 미사를 드릴 때, 나폴레옹의 부하들 중 미사를 올릴 줄 알았던 사람은 푸셰와 탈레랑뿐이였다. (프랑스 혁명정부 시절 가톨릭과 성직자들은 탄압을 받았고, 나폴레옹과 그의 부하 장군들도 종교를 깊이 믿는 사람이 적었다.)[12] 블뤼허가 사단장 달고 처음 출진한 전투였는데, 나폴레옹에게 말 그대로 영혼까지 털리고 본인도 포로가 되었다.[13] 당시 미국은 땅도 크고 영국 외 이민자들도 있었지만 아직 현재에 비할 바는 아니었다. 이후 미국 요리는 영토를 넓히고 이민자들을 많이 받아들이며 다채로워진다. 물론 현재 미국에서도 프랑스 요리를 고급으로 치지만.[14] 2대 디노 공작 에드몽 드 탈레랑페리고르(Edmond de Talleyrand-Périgord, 2er Duc de Dino)의 아내. 에드몽은 적자가 없는 탈레랑의 상속자였다.[15] 카트린이 나폴레옹의 황후 조제핀 드 보아르네를 통해 로비를 했다고 한다.[16] 알퐁스 도데의 후원자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