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ax-width:10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88em; margin: 5px 0px 13px" | |
[[그루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그루트 프로필.png]()
그루트
]][[닥터 스트레인지(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닥터 스트레인지 프로필.png]()
닥터 스트레인지
]][[매그니토(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그니토 프로필.png]()
매그니토
]][[베놈(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베놈 프로필.png]()
베놈
]][[캡틴 아메리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캡틴 아메리카 프로필.png]()
캡틴 아메리카
]][[토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토르 프로필.png]()
토르
]][[페니 파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페니 파커 프로필.png]()
페니 파커
]][[헐크(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헐크 프로필.png]()
헐크
]] |
[[네이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네이머 프로필.png]()
네이머
]][[매직(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매직 프로필.png]()
매직
]][[미스터 판타스틱(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미스터 판타스틱 프로필.png]()
미스터 판타스틱
]][[문 나이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문 나이트 프로필.png]()
문 나이트
]][[블랙 위도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위도우 프로필.png]()
블랙 위도우
]][[블랙 팬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블랙 팬서 프로필.png]()
블랙 팬서
]][[사일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사일록 프로필.png]()
사일록
]][[스칼렛 위치(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칼렛 위치 프로필.png]()
스칼렛 위치
]][[스쿼럴 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쿼럴 걸 프로필.png]()
스쿼럴 걸
]][[스타로드(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타로드 프로필.png]()
스타로드
]][[스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톰 프로필.png]()
스톰
]][[스파이더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스파이더맨 프로필.png]()
스파이더맨
]][[아이언맨(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맨 프로필.png]()
아이언맨
]][[아이언 피스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이언 피스트 프로필.png]()
아이언 피스트
]][[울버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울버린 프로필.png]()
울버린
]][[윈터 솔져(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윈터 솔져 프로필.png]()
윈터 솔져
]][[퍼니셔(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퍼니셔 프로필.png]()
퍼니셔
]][[호크아이(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호크아이 프로필.png]()
호크아이
]][[헬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헬라 프로필.png]()
헬라
]] |
[[로켓 라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켓 라쿤 프로필.png]()
로켓 라쿤
]][[로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로키 프로필.png]()
로키
]][[루나 스노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루나 스노우 프로필.png]()
루나 스노우
]][[맨티스(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맨티스 프로필.png]()
맨티스
]][[아담 워록(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아담 워록 프로필.png]()
아담 워록
]][[인비저블 우먼(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인비저블 우먼 프로필.png]()
인비저블 우먼
]][[땅상어 제프(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땅상어 제프 프로필.png]()
땅상어 제프
]][[클록 앤 대거(마블 라이벌즈)|![파일:Marvel Rivals-Heroes_클록 앤 대거 프로필.png]()
클록 앤 대거
]]}}}
||<|2><tablewidth=100%><tablealign=center><height=10px><#343346>
}}}}}}자세한 내용은 공식 사이트 참고
||<nopad> | ||||
나타샤 로마노프는 스나이퍼 건으로 저 멀리 있는 적의 머리를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 충격봉을 휘둘러 근접한 위협을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요원이다. 블랙 위도우 스탠 바이. 누가 블랙 위도우 바이트의 맛을 보고 싶은 거지? | ||||
블랙 위도우 | ||||
<colbgcolor=#343346><colcolor=#fff> 본명 | Наталья Альяновна Романова 나탈리야 알리야노브나 로마노바 | |||
성우 | 로라 베일리 | |||
난이도 |
[clearfix]
1. 개요
<nopad> |
소개 영상 |
>Stepping out of the shadows.
그림자에서 벗어나겠어.
그림자에서 벗어나겠어.
마블 라이벌즈의 등장 히어로. 블랙 위도우의 주인공이자, 어벤져스의 멤버 중 한 명인 나탈리야 알리야노브나 로마노바이다.
2. 능력 정보
블랙 위도우 기본 능력 정보 | |
<colcolor=#fff> HP | <colbgcolor=#ffffff,#1c1d1f><colcolor=#000,#fff>250 |
이동 속도 | 6m/s |
레드룸 라이플을 든 상태에서 근접 공격 시 총을 휘두른다.
2.1. 일반 공격
블랙 위도우의 좌클릭 공격은 두 가지로 분류되어 있으며, 숫자 키인 1과 2 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각각 배정된 무기를 전환할 수 있다. 무기를 전환할 시에는 약간의 딜레이가 존재하며, 전환 이후에 3초가 지나면 사용하지 않는 무기의 탄약이 자동으로 재장전된다.2.1.1. 좌클릭 - 위도우 바이트
<colcolor=#000,#fff>유형: 근접 피해: 45 사정 거리: 3m 공격 속도: 초당 2회 |
저격수인 블랙 위도우가 접근에 허용했을 때 사용하게 될 근접 무기.
의외로 DPS가 90으로 근접 암살자 수준으로 피해량이 높기에 기습적으로 침투해온 암살자들을 역으로 몰아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2.1.2. 좌클릭 - 레드룸 라이플
<colcolor=#000,#fff>유형: 히트 스캔 피해: 120(10m)~60(20m) 공격 속도: 초당 0.83발 탄약 수: 8 치명타 판정: 있음 |
충전 없이 그냥 쏘면 되는 볼트액션 라이플. 생각보다 지향 사격 명중률이 높아서 적이 근접했을 때도 노줌 샷으로 때리기 좋다.
우클릭 조준 사격과 비교하면 거리별 피해 감소가 있다.
2.2. 스킬
2.2.1. 우클릭 - 크리티컬 샷
<colcolor=#000,#fff>유형: 히트 스캔 피해: 120 공격 속도: 초당 0.83발 탄약 수: 8 치명타 판정: 있음 조준 시간: 0.3초 |
우클릭을 꾹 누르면 조준경 시점으로 전환되고 거리별 피해 감소가 사라진다. 위도우 바이트를 든 상태에서 시전하면 자동으로 레드룸 라이플로 교체된다.
조준경 상태에서는 시야가 극히 제한된다. 우회로가 많고 기동성이 뛰어난 영웅이 많은 마블 라이벌즈에선 이 단점이 더욱 부각된다. 조준 상태에서는 접근해온 다른 영웅에게 당하기 쉬우니 사플을 하거나 수시로 조준을 해제하면서 주변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블랙 위도우 고수들도 100% 헤드샷이 나오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헤드샷을 못한다고 과하게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팀과 소통을 꾸준히 하면서 끊어주는 것만 잘해도 본전이다. 이것만 잘해도 활활 불탄다. 공속이 느리고 한 발당 120이기 때문에 약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딸피인 적군을 몸샷으로 끊어주는 플레이는 당연한 플레이다.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강력한 피해를 주기 때문에 화력 지원 무기로써도 꽤 훌륭하다. 아군 암살자 영웅이나 지속 피해를 주는 영웅이 노리는 적을 공격할 때 굳이 헤드샷이 아니더라도 적 힐러가 반응하기도 전에 쉽게 잡아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2.2.2. 좌 Shift - 날렵한 발걸음
전방으로 빠르게 질주하며, 질주하면서 슈퍼 점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colcolor=#000,#fff>유형: 이동 이동속도 증가: 33% 최대 에너지: 120 에너지 비용: 초당 12(달리기), 24(점프) 에너지 회복: 초당 30 |
여느 FPS 게임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달리기로, 에너지 비용이 있지만 쿨타임이 없어서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주로 전장을 빠르게 합류하거나 고지대를 찾아 적을 제거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다만, 어느 정도 달려야 슈퍼 점프를 할 수 있기에 갑작스런 기습에 취약하다는 것이 여전하다. 또한 장전 중엔 달리기가 불가능해 습관적인 장전이 위험할 수 있다.
2.2.3. E - 에이전트 마스터리
회전 킥으로 적을 블로우 합니다. 목표에게 명중하면 다시 한번 시전할 수 있으며, 적 1명을 선택해 후크를 발사한 후 적의 위치로 이동하여 다시 회전 킥을 시전합니다. | |
<colcolor=#000,#fff>유형: 근접 회전 킥 공격력: 35 회전 킥 거리: 5m 두번째 회전 킥 공격력: 35 두번째 회전 제압 지속시간: 1초 |
위도우의 방어기. 첫 발차기로 피해를 주면 두번째로 다시 시전시 타격한 적을 와이어로 납치해 1초 제압과 킥을 날리는 기술.
2번째 타격 성공시 스나이퍼 라이플로 확정타를 맞출 수 있다. 이 스킬 때문에 근접한 암살자라 하더라도 방심하면 이 스킬에 맞고 역으로 처치당할 수 있다.
2.2.4. Q - 에너지 버스트
전자 라이플의 절멸 모드를 활성화하고 목표 지점을 향해 고에너지 플라즈마탄을 발사하여, 범위 내 적에게 피해를 입히고 지면에 플라즈마를 남겨 주변 적들을 감속 상태에 빠뜨립니다. | |
<colcolor=#000,#fff>유형: 비행 물체 비행 물체 속도: 100m/s 폭발 범위: 5.6m~8m(최대) 피해: 120~170(최대) 플라즈마 수: 7~20(최대) 플라즈마 범위: 반경 1.5m 감속: -80% 지속 시간: 10초 궁극기 충전량: 2800 |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ff,#1c1d1f>"Plasma burst!"
(전자 폭발!)
"Mind the exploding plasma."
(조심해, 플라즈마 폭발이야!)
(전자 폭발!)
― 적군 또는 본인 사용
"Mind the exploding plasma."
(조심해, 플라즈마 폭발이야!)
― 아군 사용
||최대 0.6초까지 차징을 시작하고 발사해 피해와 둔화 지대를 생성하는 궁극기.
감속량이 굉장히 높다. -80% 둔화는 거의 이동기 없는 영웅들에겐 속박이나 다름 없기에 한타 기여도가 부족한 블랙 위도우의 단점을 조금이라도 보안해줄 수 있다. 다만 피해량이 딜러의 궁극기 치고는 200도 되지 않고 둔화 영역도 불균일하게 퍼져 완벽하게 단점을 가리는 정도는 아니다.
특히, 최후방에 자리를 잡아야할 저격수가 굳이 궁극기를 쓰기위해 앞으로 전진해야 할 필요는 없다. 그냥 멀리서 발사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다.
범위 피해를 주는 스킬이라는 점에서 다가오는 암살자를 공격하고 마지막 타격을 노리는 선택지도 괜찮다.
2.3. 협공 스킬
2.3.1. C - 초감각 추적
호크아이가 매의 시선을 블랙 위도우에게 가르칩니다. 매의 시선을 습득한 후 블랙 위도우는 적의 잔상을 포착하여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 |
<colcolor=#000,#fff>지속 시간: 8초 잔상 생성 간격: 0.5초 잔상 지속 시간: 3초 재사용 대기시간: 30 필요 영웅: |
팀에 호크아이가 있으면, 활성화 되는 능력으로 사용하면 8초 동안 상대방이 잔상을 생성한다. 그 잔상을 공격하면 본체에 100% 피해를 줄 수 있는 강력한 능력이다.[1] 저격 시 시야가 감소되는 블랙 위도우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안해주는 기술이다.
다만 팀에 호크아이와 함께 저격수가 2명이라는 불안정한 조합이 완성된다는 것이 큰 단점이다. 이미 좋은 성능의 호크아이가 저격수 포지션을 채우고 있어 현재 메타상 저격수가 2명 이상일 필요가 없어 쓰일 여지가 적고 시너지 자체만 보더라도 잔상에는 헤드샷 판정이 없어 히트스캔 무기라는 점 때문에 잔상이 본체를 가려 헤드샷 판정이 지워지면 오히려 독이 되는 상황 또한 발생한다. 협공 능력 자체는 1티어급으로 평가받는 로켓 라쿤과 비교해보면 정말 아쉬운 기술.
3. 평가
마블 라이벌즈에서 가장 정통 저격수 성향이 강한 캐릭터로, 뛰어난 기동성을 활용해 적절한 위치를 확보하고 초장거리에서 적의 주요 표적을 단숨에 처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지만 암살과 대규모 싸움에 취약하며, 높은 수준의 실력을 요구한다는 전형적인 저격수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3.1. 장점
- 게임 내 최정상급의 단발 화력과 킬 결정력
장거리에서 오로지 한 발만으로 최대 240의 강력한 순간 화력을 꽂아넣을 수 있는 블랙 위도우의 킬 결정력은 가히 마블 라이벌즈 영웅 중 최상급이다. 때문에 상대에게 견제당하지 않을 적절한 위치에서 좋은 조준 실력만 있다면 그 어떤 영웅보다 빠르고 확실하게 킬을 쓸어담을 수 있다.
- 준수한 기동력
저격수답지 않게 기동도 준수한 편이다. 순간적인 기동성은 암살자들인 사일록, 스파이더맨에 비해 못하지만 쿨타임이 없는 이동기인 '날렵한 발걸음(Shift)' 덕에 지속 기동성은 그들에게 꿀리지 않는다. 사실상 저격 능력과 더불어 블랙 위도우의 핵심적인 장점으로 기동성이 높아서 저격과 사정거리를 100% 발휘할 수 있는 고지대에 손쉽게 자리잡을 수 있고, 위기 상황에서도 도주함으로써 생존력도 매우 높아진다.
- 나쁘지 않은 근접 능력
저격수라는 탈을 써서 그렇지 근거리에서도 은근 강하다. 오버워치의 위도우메이커와 달리 블랙 위도우는 노줌샷이 가능하며, DPS 90이라는 근접 딜러 수준의 피해력을 가진 근접 무기와 근접 제압기 에이전트 마스터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적 암살자가 대놓고 진입하는 게 위도우의 눈에 띌 경우 노줌 좌클릭을 맞힌 후 발차기와 근접 무기로 적절히 때려주면 역으로 암살자를 몰아낼 수 있다.
- 가장 교전 거리가 긴 대미지 딜러
저격수 답게 가장 멀리서 안정적으로 화력 지원이 가능하다. 이는 투사체 공격을 하는 호크아이와 사거리에 따라 피해량 감소가 있는 헬라보다 특출난 장점. 게다가 날아다니는 아이언맨이나 스톰을 잡아내는 역할로써 독보적인 위치를 자랑한다.
3.2. 단점
- 높은 에임 의존도
블랙 위도우의 무기를 왜 헤드샷 한방으로 만들면 안되는지 프로급에 준하는 플레이어들의 영상들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만큼 저점도 낮지만 고점(블랙 위도우 기준의 고점)이 굉장히 높아 웬만한 숙련도로는 블랙 위도우를 다루기가 어렵다.
- 방벽에 취약함
장전이 없는 호크아이와는 달리 지속 화력이 굉장히 떨어진다. 이 단점을 블랙 위도우는 긴 사거리에서의 헤드샷과 강력한 순간 피해로 찍어누르는 데, 좁은 통로에서 적 탱커의 방벽을 공격하는 대미지 딜러가 블랙 위도우 뿐이라면 특히 이 단점이 두드러진다. 방벽 때문에 적에게 유효한 피해를 별로 입히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보인다면 과감하게 영웅을 바꾸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 나쁜 성능의 궁극기
블랙 위도우를 못 써먹을 영웅으로 꼽는 두 번째 이유가 궁이 구리다는 점이다. 광역 둔화라고는 하지만 직격을 한다고 해서 죽을 만큼 피해를 주는 것도 아니고 다른 대미지 딜러 궁극기와 비교해봤을 때 적을 손쉽게 제거하기 보다 보조하는 용도로써의 성격이 강해 아쉬운 점이 많다. 정말 극단적으로 말하면 사실상 아이언맨 궁 하위호환이다.
3.3. 상성
- 블랙 위도우가 상대하기 힘든 히어로
- 대부분의 암살자 히어로: 모든 원거리 딜러들의 천적이며 블랙 위도우도 마찬가지이다. 에이전트 마스터리로 피해도 그 전에 썰려버리는 일이 다반사이다. 그러나 무기가 히트스캔이고 근접에서 에이전트 마스터리의 2번째 공격이라도 맞으면 스나이퍼 라이플이 확정타가 되기 때문에 일방적인 상성은 아니다. 게다가 궁극기가 범위 피해기 때문에 잘못 건드렸다간 역으로 당하는 그림도 나온다.
- 방벽 스킬을 가진 히어로: DPS가 떨어지고 장탄수가 적어 장전도 자주해야 하는 통에 일반적으로는 긴 사거리를 통해 후열에 딜러나 힐러를 노리지 탱커를 노리지는 않는다. 그러나 화물맵 특성상 일자 통로에 좁은 구간에서는 스쿼럴 걸과는 반대로 어쩔 수 없이 무력해진다. 또한 기동성이 좋고 방벽 스킬을 동시에 갖춘 캡틴 아메리카는 상당히 까다로운 난적.
- 블랙 위도우가 상대하기 쉬운 히어로
- 사거리가 짧고 원거리가 약한 히어로: 마블 라이벌즈에서 공격 사거리가 가장 긴 히어로 답게 블랙 위도우는 라인전에서 사거리 하나로 매우 막강한 위력을 발휘한다. 헤드샷의 추가 데미지도 살벌한 데다 그것도 장거리에서 펑펑 쏴재끼는 블랙 위도우는 이들의 입장에선 그야말로 악랄한 사신으로 군림한다.
- 비행하는 히어로: 이들은 상시 비행 능력을 얻은 대신 공격이 투사체거나 사거리가 짧다는 단점을 가졌다. 블랙 위도우는 사거리에 따른 대미지 감소가 없고 히트스캔인 덕에 명중률에서 엄청난 우위를 가지며 볼트 액션 무기 특성상 엄폐물을 끼고 싸우면 완전히 일방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4. 전시
4.1. 코스튬
4.1.1. 기본
4.1.1.1. 블랙 위도우
|
블랙 위도우의 기본 스킨.
4.1.2. 희귀
4.1.2.1. 치명적인 독
|
"이 복장은 마음에 드는 걸. 하지만 독이 치명적인지 다시 확인하는 게 좋을 거야. 화난 우주 티라노사우루스의 발을 밟혀 삶을 끝내고 싶..." |
<colcolor=#000,#fff><마블 라이벌즈> S0에서 첫 등장 |
기본 스킨에 보라색과 청록색 느낌을 더한 스킨.
4.1.3. 특급
4.1.3.1. 아크틱 에이전트
|
"난 여러 인생을 살아왔어... 하지만 이제는 더 이상 과거를 외면하지 않을 거야." |
<colcolor=#000,#fff>MARVEL 스튜디오 <블랙 위도우> (2021)에서 등장 |
2021년에 개봉한 실사 영화 블랙 위도우에서 러시아 설산 교도소 진입 때 입은 흰 임무복.
어째서인지 기본 스킨보다 엉덩이가 더 튀어나와 있다.[2]
4.1.4. 전설
5. 기타
- 본작 정식 출시 당일인 2024년 12월 6일, 3·4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CEO를 역임했던 마이크 이바라가 X에서 본작의 블랙 위도우가 오버워치 시리즈의 위도우메이커를 베꼈다고 주장했는데,[3] 정작 원작인 마블 코믹스의 블랙 위도우는 1964년에 데뷔한 캐릭터로 등장은 훨씬 더 먼저이고, 단순히 히어로 슈팅 게임의 저격수라는 역할로 따져도 팀 포트리스 시리즈의 1996년에 공개된 첫번째 작품인 팀 포트리스부터 이미 존재한 병과 캐릭터인 스나이퍼가 원조이다. 끝내 해당 트윗은 비웃음거리가 되면서 삭제되었다.
- 다만 굳이 '블랙 위도우를 저격수 캐릭터로 만들어야 했었는가?'에 대한 의문에는 거의 모든 마블 팬들이 회의적인 편이다. 특히 트레이드 마크인 블랙 위도우 스팅의 전기 충격기를 사용하는 모습은 온데간데 없고 저격총을 쏘고 있으니 어색하다는 평이 많다.
- 본작의 블랙 위도우는 미래의 닥터 둠에 저항하는 2099년 세계의 블랙 위도우이다. 외양의 경우 닉 퓨리의 생명 연장 세럼 덕분에 젊은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정작 닉 퓨리 본인은 노환으로 현시점에서는 이미 고인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