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7 00:00:32

반요 야샤히메(애니메이션 1기)

반요 야샤히메 1장에서 넘어옴

파일:hanyo-yashahime-logo.png
등장인물 · 추측 및 떡밥 · 비판
TVA 1기 (평가) · TVA 2기 (평가)
반요 야샤히메 (2020~2021)
[ruby(半, ruby=はん)][ruby(妖, ruby=よう)]の[ruby(夜, ruby=や)][ruby(叉, ruby=しゃ)][ruby(姫, ruby=ひめ)]
Yashahime: Princess Half-Demon
파일:반요 야샤히메.키 비주얼.jp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장르 시대극, 판타지
감독 사토 테루오(佐藤照雄)[1]
시리즈 구성 스미사와 카츠유키(隅沢克之)[2]
메인 캐릭터 디자인 타카하시 루미코[3]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히시누마 요시히토
미술 감독 이케다 시게미(池田繁美)
마루야마 유키코(丸山由紀子)
색채 설계 사토 미유키(佐藤美由紀)
촬영 감독 오가와 시게미(小川滋見)
편집 니이 카즈히로(新居和弘)
음향 감독 나구라 야스시(名倉 靖)
음악 와다 카오루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사사키 신(佐々木 新)
사와베 노부마사(沢辺伸政)1~13화
비젠지마 미키토(備前島幹人)14~24화
사사키 카나(佐々木加奈)
치프 프로듀서 오가타 나오히로
콘도 슈호(近藤秀峰)
나가이 코지(永井幸治)
프로듀서 나카 토시카즈(仲 寿和)
애니메이션 제작 선라이즈
제작 선라이즈
쇼가쿠칸
요미우리 테레비
방영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 2020. 10. 03. ~ 2021. 03. 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10. 14. ~ 2021. 03. 31. 자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11. 16. ~ 2021. 04. 29. 더빙[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요미우리 테레비 · 닛폰 테레비
(토) 17:30
파일:중국 국기.svg 빌리빌리 / (토) 18: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박스
(수) 22:00자막
(금) 22:30자막
(목) 20:00더빙
() 21:00더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챔프TV
(월·화·) 23:00자막
(요일) 21:30더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원
() 23:00자막
(화) 22:00더빙
스트리밍
[[Laftel|
LAFTEL
]]
,
자막, 더빙
자막 더빙
자막, 더빙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4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방영 전 반응2.2. PV
3. 등장인물4. 주제가
4.1. OP14.2. ED14.3. OP24.4. ED2
5. 회차 목록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6.1.1. 자막6.1.2. 한국어 더빙
6.1.2.1. 참여 성우진6.1.2.2. 더빙판 반응
7. 평가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타카하시 루미코의 만화 이누야샤의 후속작 오리지널 애니메이션[5]반요 야샤히메 시리즈 중 제1기.

이누야샤 애니메이션이 지난 2010년 완결편이란 타이틀을 달고 종영하였으니 무려 10년만의 신작이다.[6] 2020년 5월 9일 갑작스럽게 제작 정보가 공개되었으며, 2020년 10월부터 재채기 대마왕 2020 후속으로 방영한다. 예정 방영 화수는 2쿨. 제작은 전작과 동일하게 선라이즈가 맡으며, 제작진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참고로 전작인 이누야샤를 굳이 번역한다면 '개요괴'(직역시 '견야차')가 되는 것처럼, '반요 야샤히메'을 번역하면 '반요 요괴공주'(직역시 '반요 야차공주')가 된다.

최종화인 24화가 방영된 후 후속 시즌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2. 공개 정보

이누야샤셋쇼마루의 딸들이 주연이라고 한다. 링크1 링크2 링크3

2020년 6월 9일 이누야샤, 카고메 성우의 참여가 공개되어 본편 출연이 확정되었다.

2020년 8월 7일 PV가 공개되며 토와가 현대로 넘어오게 된 이유가 공개되었다.
기획을 주도한 인물은 이누야샤 애니메이션의 각본가였던 스미사와 카츠유키(隅沢克之)이다. 아니메쥬 2020년 9월호 인터뷰에서 밝히길 이미 3년도 더 전부터 속편을 구상하려고 했으나 이누야샤의 결말이 완벽하다고 판단해 기획을 보류하다가 2년 뒤 미국의 한 코스프레 쇼에서 '이누야샤 후속작을 보고 싶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본격적으로 제작준비에 들어갔다고 한다. # #, 그렇다면 이 작품의 기획 기간은 1년도 안 된다.[8] 결심을 하곤 1~3화의 각본을 써서 타카하시 루미코를 찾아갔으며 바로 허락을 받았다고 한다. 9월호 번역

방영전 공개된 키워드에 따르면 세츠나의 기억을 찾기 위한 '7개의 무지개빛 구슬 - 무지개빛 진주(虹色真珠)'가 작 중 중요한 도구라고 한다. 전작에서 개 대장의 무덤이 봉인된 이누야샤 눈의 흑진주에서 설정을 따 온듯.

1화는 위에서 말한 과거에 연재됐던 이누야샤 후일담 외전이 애니화되어서 회상 형식으로 나오게 된다.

스미사와에 의하면 초기에는 토와와 세츠나 2인 주인공 체제였는데 둘만으로는 스토리 전개가 힘들다고 판단해 모로하도 포함시켰더니 일이 척척 풀렸다고 한다. 예전 본인이 신인이었을 때 쇼난폭주족의 작가 요시다 사토시로부터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인물이 3명 혹은 5명일 때 이야기가 잘 풀린다"는 조언을 들은 적이 있었다고 한다. 아니메쥬 10월호 인터뷰 번역

북미 성우 감독은 제일런 K 카셀이 담당한다.

2.1. 방영 전 반응

원작의 인기에 힘입어 정보가 공개되자마자 큰 관심을 끌고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원래 만화의 주요 등장인물들의 다음 세대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주역으로 내세운 정식 후속작이라는 점은 보루토와 동일하며, 원작 애니 제작진이 제작하며 원작자가 만화로 연재하지 않는단 점에서는 드래곤볼 GT와 유사점이 있다. 다만 이누야샤는 소년만화 중에서도 특히나 코믹스와 애니메이션의 관계가 밀접했던 작품이고 이야기와 인물을 던져놓고 즉흥적으로 완성시켜가는 성향의 타카하시 루미코가 여차하면 애니메이션 쪽 설정 역수입에도 망설임이 없었던지라 토리야마 아키라가 불개입을 강조하며 선을 그은 드래곤볼GT와는 차이가 크다.

가장 큰 궁금증을 자아내는 것은 주인공 3인방의 설정과 원작 캐릭터들의 행방. 친자매 사이인 토와와 세츠나, 그리고 이들의 사촌인 모로하는 자세한 사정은 알 수 없으나 모두 어려서부터 부모와 떨어져 자랐다는 설정이다. 팬들은 카고메, 이누야샤, 셋쇼마루에게 무슨 일이 있었길래 특별한 소식도 없고, 딸내미들도 부모에 대해서 제대로 알지도 못한 채 어려서부터 방치되어 각자도생을 하고 있는 건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게다가 코하쿠와 소타 외의 다른 캐릭터, 특히 미로쿠산고, 싯포묘가 영감 같은 원작 레귤러는 물론 쟈켄과 토와와 세츠나의 어머니로 추측되고 있는 또한 언급이 전혀 없는 것이 의아하다는 반응. 미륵이나 산고는 등장 확정된 히구라시 소타나 카에데[9] 코하쿠를 보면 전혀 자연사할 수가 없는 시기다. 게다가 쟈켄과 묘가 영감은 요괴이고, 그 요괴조차 자연사했다기엔 또 싯포 같은 어린 요괴가 남아있지 않을 리 없다는 게 문제다.

인기작의 후속편의 소식임에도 불구하고 팬들은 기대하기보다는 걱정과 우려의 반응을 많이 보이고 있다. 가장 핵심적인 이유는 본편에서 떡밥들을 모두 정리하고 깔끔하게 완결 냈던 작품을 굳이 2세 설정을 붙여가며 후계작을 만든다는 점 자체이며 루미코 작가가 직접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 등장인물들의 과격한 설정에서도 반감을 가지는 팬들이 한국과 일본 양국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보이고 있다. 상기한 대로, 전작의 주인공들의 자녀인데 전부 없는 듯한 삶을 살아왔다는 점. 인기가 좋았던 작품의 후속작이면 으레 전작의 요소나 인물이 팬서비스로써 나오기 마련인데 이런 과격한 설정은 팬들을 납득시키는 전개가 나오지 못한다면 나중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더욱이 세 주인공의 부모 중 3명은 전작에서 주인공들이라 문제가 더 크다. 요컨대 가장 건드리기 민감한 부분을 건드렸다는 것.

전작의 인기에 편승해서 나온 속편은 대체로 망하는 경향이 있고 특히 2010년대 중후반 이후에 나온 드래곤볼 슈퍼보루토같은 히트작 애니메이션의 후속작들이 그렇게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팬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또한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이누야샤와 셋쇼마루의 딸들 이야기보다 완결 시점에서 멀지 않은 미래 이야기, 즉 이누야샤히구라시 카고메의 신혼생활 이야기나 셋쇼마루와 링의 관계, 싯포와 코하쿠 등 전작에서 비중있게 다뤄졌던 주·조연의 이야기를 다루는 편이 나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혹은, 전작에서 나오지 않은 과거의 이야기인 개 대장셋쇼마루의 어머니 or 이자요이의 첫 만남 혹은 이누야샤셋쇼마루의 어린 시절 등 본편 이전을 다룬 프리퀄을 만들었으면 어땠을까라는 반응도 있다.[10]

공개된 인터뷰를 보면 타카하시 루미코가 직접 각본을 짜지는 않아도 모든 각본을 감수하며 캐릭터 디자인과 설정까지 상당히 깊게 관여하고 있으므로 절대 참여하지 않았다고 할순 없다.[11] 이누야샤 완결편에서 화수 제한으로 사용되지 못한 에피소드를 재활용한다는 말이 있으니 전작 인물들의 출연은 생각보다 많을 수도 있다. 그리고 핵심 제작진인 감독, 총 작화 감독, 각본, 음악은 애니메이션 1기부터 참여해 온 베테랑 멤버들이며 이누야샤라는 작품에 대한 이해도에 대해서는 나무랄 면이 없는 사람들이다. 이누야샤는 본래 애니메이션의 인기가 압도적이고, 원작보다 애니에서 더 호평받는 스토리도 있고 심지어 원작이 애니의 영향으로 바뀌는 부분도 있을 정도로 원작과 연계가 긴밀한 작품이라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12] 드래곤볼과는 많이 다르다.

반요인 이누야샤는 강아지귀를 가지고 있어서 반요임을 외형상으로 바로 구분할수 있었는데, 같은 개요괴 혼혈인 토와와 세츠나는 인간과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있어 이누야샤만 변종이냐는 소리도 나왔다. 하지만 이누야샤를 꼼꼼히 봤으면 알겠지만 반요들은 제각기 외형상 특징이 다르다. 박쥐요괴 아버지와 인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시오리는 머리카락 색깔과 피부빛만 빼면 외형 자체는 인간과 다를 게 없었던 반면 지넨지는 요괴 아버지가 인간 어머니 앞에 나타났을때는 분명 인간의 형상이었음에도 인간과는 완전히 다른 체격과 외모를 지녔다. 심지어 규오처럼 낮에는 인간의 모습, 밤에는 요괴의 모습이 되는 케이스도 있었다. 이누야샤 한 명이 개귀를 가진 채 태어났다고 모든 개 요괴 혼혈에게 적용된다고는 할 순 없다.[13]

애니의 티저 비주얼에서 토와가 들고 있는 검이 천생아가 아니냐는 의견도 존재한다.링크 다만 이는 스페셜 방송에서 키쿠쥬몬지(菊十文字, 국십문자/국화십문자)라는 요도[14]로 확인되면서 아니라는게 확정되었다.

한국 성우들의 최대 모임장으로 알려진 유튜브 채널 홍시호의 홍SHOW의 더빙쇼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거론되었다. 심지어 이누야샤 성우였던 강수진과 나라쿠 성우였던 홍시호도 그 소식을 알고 있다.

2.2. PV

PV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반요 야샤히메/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주제가

4.1. OP1

OP1
NEW ERA
TV ver.
YouTube ver.
YouTube 한국어 Lyric ver.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노래 SixTONES
작사 Page Grace
Dr.Loui
Naoki Itai
작곡 Naoki Itai / MEG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콘티 토베 아츠오
연출
원화
작화감독 히시누마 요시히토
}}}}}}}}} ||
[이탤릭체]{{{#!folding 가사 ▼ 走り出そう 連れて行こう
하시리다소- 츠레테 유코-
달려나가자, 데려가자
달려가자, 데리고 가자

約束の場所へと
야쿠소쿠노 바쇼에토
약속의 장소로
약속한 그 곳으로

(聞き逃すな 始まりの合図)
(키키노가스나 하지마리노 아이즈)
(시작의 신호, 못 듣고 놓치지 마)
(놓치지 마, 시작의 신호)

無垢な魂が 熱を上げる
무쿠나 타마시-가 네츠오 아게루
순진무구한 영혼이 열을 뿜는다
맑은 영혼이 불타오른다

Alright, welcome to New Era

Let’s go 捕まえろ新しい時代
Let's go 츠카마에로 아타라시이 지다이
Let's go 붙잡아, 새로운 시대
Let's go 잡아라, 새로운 시대

What time is it? 君といる未来へ
What time is it? 키미토 이루 미라이에
What time is it? 너와 있는 미래로
What time is it? 너와 함께 하는 미래로

(We just came out of the blue, ok?)

何も怖くはないから
나니모 코와쿠나이 카라
무엇도 무섭지 않으니까
아무것도 두렵지 않아

Do it yourself yeah 自分次第
Do it yourself yeah 지분지다이
Do it yourself yeah 마음 가는 대로
Do it yourself yeah 내가 하기 나름

Let’s make a new world

(Oh, this is our time)

叶えよう Everything so 君と
카나에요- Everything so 키미토
이뤄보자, Everything so 너와
뜻을 이루자, Everything so 너와 함께[16]

Changing ways yeah yeah yeah

もう迷わない
모- 마요와나이
더는 망설이지 않아
이젠 망설이지 않아

yeah yeah yeah 感じるまま
yeah yeah yeah 칸지루 마마
yeah yeah yeah 느낀 대로
yeah yeah yeah 느끼는 대로

I wanna, I wanna, I wanna say
No, no, no, no, no, no, no, no, no, no, no
声上げろ 未知の世界へ
코에 아게로, 미치노 세카이에
미지의 세계를 향해 소리 높여
소리 높여 외쳐, 미지의 세계로

走り出そう 連れて行こう 約束の場所へと
하시리다소- 츠레테 유코- 야쿠소쿠노 바쇼에토
달려나가자, 데려가자. 약속의 장소로
달려가자, 데리고 가자, 약속한 그 곳으로

(聞き逃すな 始まりの合図)
(키키노가스나 하지마리노 아이즈)
(시작의 신호, 못 듣고 놓치지 마)
(놓치지 마, 시작의 신호)

奇跡を信じて
키세키오 신지테
기적을 믿고서
기적을 믿어

ひとりじゃない かけがえない 同じ[ruby(時代, ruby=とき)]刻もう
히토리쟈나이 카케가에나이 오나지 토키 키자모-
혼자가 아냐, 둘도 없는 같은 시대를 새기자
혼자가 아니야, 더없이 소중한 시간을 함께 새기자

(手を離すな駆け抜ける Life)
(테오 하나스나 카케누케루 Life)
(손을 놓지 마, 달려나가 Life)
(내 손 놓지마, 달려가는 Life)

無垢な魂が 熱を上げる
무쿠나 타마시-가 네츠오 아게루
순진무구한 영혼이 열을 뿜는다
맑은 영혼이 불타오른다
}}} ||

4.2. ED1

ED1
Break
TV ver.
Full ver.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노래 Uru
작사
작곡
편곡 Yaffl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콘티 임가희
연출
작화감독 히시누마 요시히토
}}}}}}}}} ||
{{{#!folding 가사 ▼ 記憶の片隅に
기오쿠노 카타스미니
기억의 한 구석에

声がまだ残ってる
코에가 마다 노콧데루
목소리가 아직 남아 있어

痛む胸 擦りながら
이타무 무네 사스리나가라
아파오는 가슴을 문지르며

見えてきた 道の先には
미에테키타 미치노 사키니와
보이기 시작한 길의 끝에는

光がある
히카리가 아루
빛이 있어

正しさは知らない
타다시사와 시라나이
무엇이 옳은 지 모르겠어

後悔は 何度したことだろう
코카이와 난도 시타 코토다로우
몇번이나 후회한걸까

それでも 信じた未来へ
소레데모 신지타 미라이에
그래도 믿었던 미래로

遮るものを越えて
사에기루 모노오 코에테
가로막은 벽을 넘어서

欲しいのは見せかけの姿じゃなくて
호시이노와 미세가케노 스가타쟈 나쿠테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 위한 겉모습이 아니라

ありのまま生きていく強さ
아리노마마 이키테 이쿠 츠요사
있는 그대로 살아가기 위한 강함

移りゆく時の流れに心を
우츠리유쿠 토키노 나가레니 코코로오
변해가는 시간의 흐름에 마음을

見失ってしまわないよう
미우시낫테시마와나이요우
잃어버리지 않도록

傷つけたこともある
키즈츠케타 코토모 아루
상처를 입힌 적도 있어

後悔は 何度したことだろう
코카이와 난도 시타 코토다로우
몇번이나 후회한걸까

それでも 信じた未来へ
소레데모 신지타 미라이에
그래도 믿었던 미래로

痛みを力に変えて
이타미오 치카라니 카에테
아픔을 힘으로 바꿔서

偽りの仮面をいくつも重ねて
이츠와리노 카멘오 이쿠츠모 카사네테
거짓된 가면을 몇장 겹쳐서

牙を剥いて咬み付いた弱さ
키바오 무이테 카미츠이타 요와사
송곳니로 물어뜯었던 약함

吹きつけるどんな風の冷たさにも
후키츠케루 돈나 카제노 츠메타사니모
몰아치는 어떤 바람의 차가움에도

ちゃんと立っていられるよう
챤토 탓테이라레루요우
똑바로 서 있을 수 있도록

誰かを傷つける為じゃなく
다레카오 키즈츠케루 타메쟈나쿠
누군가를 상처입히기 위해서가 아니라

誰かを守るため培う強さでありたい
다레카오 마모루 타메 츠치카우 츠요사데 아리타이
누군가를 지키기 위한 힘을 기르고 싶어

いつか いつか
이츠카 이츠카
언젠가 언젠가

願い続けた
네가이츠즈케타
계속해서 바랬던

柔らかな世界へ
야와라카나 세카이에
부드러운 세상에

欲しいのは見せかけの姿じゃなくて
호시이노와 미세가케노 스가타쟈 나쿠테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 위한 겉모습이 아니라

ありのまま生きていく強さ
아리노마마 이키테 이쿠 츠요사
있는 그대로 살아가기 위한 강함

移りゆく時の流れに心を
우츠리유쿠 토키노 나가레니 코코로오
변해가는 시간의 흐름에 마음을

見失ってしまわないよう
미우시낫테시마와나이요우
잃어버리지 않도록

僕らは今ここにいる
보쿠라와 이마 고코니 이루
우리는 지금 여기에 있어

僕らは今ここにいる-
보쿠라와 이마 고코니 이루-
우리는 지금 여기에 있어-
}}} ||

4.3. OP2

OP2
BURN
TV ver.
Full ver.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노래 NEWS
작사 AKIRA
히로이즘
작곡 히로이즘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콘티 안도 나오야(安藤尚也)
연출
작화감독 히시누마 요시히토
}}}}}}}}} ||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한국어 가사)
we’re going higher
}}} ||

4.4. ED2

ED2
結証
결증
TV ver.
Full ver.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노래 녹황색사회
작사 나가야 하루코(長屋晴子)
작곡 코바야시 잇세(小林壱誓)
편곡 soundbreakers
녹황색사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e062f,#de062f><colcolor=#ffffff,#ffffff> 콘티 오오카와 타카히로(大川貴大)
연출
작화감독 히시누마 요시히토
}}}}}}}}} ||
{{{#!folding 가사 ▼ 足元に弛む糸が
아시모토니타유무이토가
발밑으로 늘어진 실이

果てしなく伸びて光る
하테시나쿠노비테히카루
끝없이 뻗어 빛나다

どこへ向かおうが
도코에무카오오가
어디를 가든지

同じようについて回る
오나지요오니츠이테마와루
똑같이 따라다니다

逆らうなと覚悟して
사카라우나토카쿠고시테
거스르지 말라고 각오하고

遠い記憶懐古して
토오이키오쿠카이코시테
먼 기억을 회고되어

ついに手に取った
츠이니테니톳타
마침내 손에 쥐었다

震え出した
후루에다시타
떨리기 시작했다

この振動伝わる?
코노신도오츠타와루
이 진동이 전해지니?

いつかの答え合わせ
이츠카노코타에아와세
언제가의 답례

脈打つ胸を叩け
먀쿠우츠무네오타타케
두근대는 가슴을 쳐리

引かれあっていたまだ強く強く
히카레앗테이타마다츠요쿠츠요쿠
서로 이끌고 있었어 아직 강하게 강하게

ピンと張ったままで手繰り寄せて
핀토핫타마마데타구리요세테
팽팽한 채로 끌어 당겨서

こころにぎゅっと結びつけて
코코로니귯토무스비츠케테
마음에 꼭 담아두고

ほら迷ってもたどり着けるように
호라마욧테모타도리츠케루요오니
저봐 망설여도 도달할 수 있도록

ここに繋がってる証があるから
코코니츠나갓테루아카시가아루카라
여기 연결된 징표가 있으니까

何度だってまた出会えるから
난도닷테마타데아에루카라
몇 번이라도 다시 만날 수 있으니까

重ねてきた選択は
카사네테키타센타쿠와
거듭된 선택은

全て意味を持っている
스베테이미오못테이루
모두 의미를 가지고 있다

間違いはないさ
마치가이와나이사
틀림없이

あの涙だってここに繋がる
아노나미다닷테코코니츠나가루
그 눈물도 여기에 이어져

偶然は連なって
구우젠와츠라낫테
우연은 잇따라

今、 必然に変わる
이마히츠젠니카와루
이제 필연적으로 바뀐다

伸ばした手はまだ遠く遠く
노바시타테와마다토오쿠토오쿠
뻗었던 손은 아직도 멀고 멀어

それでも確かに覚えている
소레데모타시카니오보에테이루
그래도 확실리 기억하고 있다

こころにずっと残るぬくもりに
코코로니즛토노코루누쿠모리니
마음에 오래도록 남은 온기에

あの日のように生かされ続ける
아노히노요오니이카사레츠즈케루
그 날처럼 계속 살리다

明日何があっても結びつけたまま
아시타나니가앗테모무스비츠케타마마
내일 무슨 일이 있어도 결부시킨 채

想えば想うほど
오모에바오모우호도
생각하면 할 수록

手繰り寄せる手は赤く渗んでゆく
타구리요세루테와아카쿠니진데유쿠
끌어당긴 손은 빨갛게 배어 나오네

張り詰めたその糸は固く、 厚く、永く、太く
하리츠메타소노이토와카타쿠아츠쿠나가쿠후토쿠
팽팽한 그 실은 단단하고, 두껍고, 길고, 굵고

信じあっていたまだ強く強く
신지앗테이타마다츠요쿠츠요쿠
서로 믿고 있었어 아직 강하게 강하게

瞼を閉じればそこにいる
마부타오토지레바소코니이루
눈을 감으면 거기에 있어

引かれあっていたまだ強く強く
히카레앗테이타마다츠요쿠츠요쿠
서로 이끌고 있었어 아직 강하게 강하게

ピンと張ったままで手繰り寄せて
핀토핫타마마데타구리요세테
팽팽한 채로 끌어 당겨서

こころにぎゅっと結びつけて
코코로니귯토무스비츠케테
마음에 꼭 담아두어서

ほら迷ってもたどり着けるように
호라마욧테모타도리츠케루요오니
저봐 망설여도 도달할 수 있도록

ここに繋がってる証があるから
코코니츠나갓테루아카시가아루카라
여기 연결된 징표가 있으니까

何度だってまた出会えるから
난도닷테마타데아에루카라
몇 번이라도 다시 만날 수 있으니까
}}} ||

5.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제목[17]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あれからの犬夜叉
그 이후의 이누야샤
스미사와 카츠유키
(隅沢克之)
사토 테루오
(佐藤照雄)
사토 테루오 나카시마 리에
(中島里恵)
히시누마 요시히토 日: 2020.10.03.
자막: 2020.10.14.
더빙: 2020.11.16.
제2화 三匹の姫
세 소녀
오오시마 카츠야
(大島克也)
스기모토 사치코
(杉本幸子)[18]
미츠하시 사쿠라코
(三橋桜子)
마루야마 슈지
(丸山修二)
日: 2020.10.10.
자막: 2020.10.21.
더빙: 2020.11.23.
제3화 夢の胡蝶
꿈의 나비
토베 아츠오 임가희 토베 아츠오 日: 2020.10.17.
자막: 2020.10.28.
더빙: 2020.11.30.
제4화 過去への扉
과거로 가는 문
사토 테루오 카와하라 류타 스기모토 사치코
타케모리 유카
(竹森由加)
日: 2020.10.24.
자막: 2020.11.04.
더빙: 2020.12.07.
제5화 赤骨御殿の若骨丸
붉은 해골 저택의 쟈코츠마루
테라다 카즈오
(寺田和男)
요코테 소타
(横手颯太)
미우라 하루키
(三浦春樹)
마루야마 슈지
사이토 카즈야
(斉藤和也)
日: 2020.10.31.
자막: 2020.11.11.
더빙: 2020.12.14.
제6화 古寺の猫寿庵
옛절의 네코 쥬안
치바 카츠히코
(千葉克彦)
사토 테루오 모리타 유키
(森田侑希)
고토 노조미
(後藤 望)
요시다 유이치
(吉田雄一)
히라야마 마도카
(平山 円)
바바 카즈키
(馬場一樹)
오카자키 히로미
(岡崎洋美)
히사마츠 사키
(久松沙紀)
日: 2020.11.07.
자막: 2020.11.18.
더빙: 2020.12.21.
제7화 林檎の出会い
사과의 만남
스미사와 카츠유키 오오카와 타카히로
(大川貴大)
오오쿠보 토모
(大久保 朋)
신보 타쿠로 日: 2020.11.14.
자막: 2020.11.25.
더빙: 2020.12.28.
제8화 夢ひらきの罠
꿈 열기의 함정
야마모토 메구미
(山本 恵)
나카시마 리에 日: 2020.11.21.
자막: 2020.12.02.
더빙: 2021.01.04.
제9화 冥王獣の冥福
명왕수 메이후쿠
치바 카츠히코 Moriachi Hugyuk 카타야마 마나부
(片山 学)
나카시마 리에
오자키 마사유키
(尾崎正幸)
야마자키 카츠유키
(山崎克之)
타카세 켄이치
日: 2020.11.28.
자막: 2020.12.09.
더빙: 2021.01.11.
제10화 金と銀の虹色真珠
금과 은의 무지개빛 진주
타케가미 준키 오오시마 카츠야 스기모토 사치코
타케모리 유카
신보 타쿠로
日: 2020.12.05.
자막: 2020.12.16.
더빙: 2021.01.18.
제11화 人喰い沼の呪い
사람 잡아먹는 늪의 저주
카나스기 히로코
(金杉弘子)
오노 아유무
(小野 歩)
미우라 하루키
나카시마 리에
야마모토 나오코
(山本直子)
미츠하시 사쿠라코
사사지마 케이이치
(笹嶋啓一)
사이토 카즈야
마에사와 히로미
(前澤弘美)
日: 2020.12.12.
자막: 2020.12.23.
더빙: 2021.01.25.
제12화 朔の夜、黒髪のとわ
삭의 날 검은 머리 토와
타케가미 준키
스미사와 카츠유키
테라다 카즈오 사토 요지
(佐藤洋二)
마츠이 켄토
(松井健人)
요코야마 켄지
마루야마 슈지
미야타 나오미
(宮田奈保美)
히로나카 미카
(廣中美佳)
日: 2020.12.19.
자막: 2020.12.30.
더빙: 2021.02.04.
제13화 戦国おいしい法師
전국 시대의 맛있는 법사
치바 카츠히코 오노 카츠미 나카고미 켄토
(中込健人)
타카쿠 미야
(高久美弥)
스기모토 사치코
사이토 카오리
(斉藤 香)
카토 히로토
(加藤洋人)
日: 2020.12.26.
자막: 2021.01.06.
더빙: 2021.02.11.
제14화 森を焼いた黒幕
숲을 불태운 흑막
카나스기 히로코 카네코 요시유키 코다마 료
(児玉 亮)
신보 타쿠로 日: 2021.01.09.
자막: 2021.01.20.
더빙: 2021.02.18.
제15화 月蝕、運命の惜別
월식 운명의 이별
스미사와 카츠유키 코다마 켄지 토바 아키라
(鳥羽 聡)
나카시마 리에 日: 2021.01.16.
자막: 2021.01.27.
더빙: 2021.02.25.
제16화 もろはの刃
모로하 양날의 검
오노 카츠미 카와하라 류타 카지가야 미츠하루
(梶谷光春)
고토 노조미
핫토리 켄지
히사마츠 사키
마에하라 카오루
(前原 薫)
바바 카즈키
요시다 유이치
日: 2021.01.23.
자막: 2021.02.03.
더빙: 2021.03.04.
제17화 二凶の罠
이흉의 덫
치바 카츠히코 마츠오 코우 오다 사야카
(小田沙也加)
카타야마 미유키
(片山みゆき)
나카모토 나오
(中本 尚)
오자키 마사유키
나카시마 리에
야마자키 카츠유키
카토 히로토
카타야마 마나부
日: 2021.01.30.
자막: 2021.02.10.
더빙: 2021.03.11.
제18화 殺生丸と麒麟丸
셋쇼마루와 키린마루
테라다 카즈오 토바 아키라 후쿠시마 토요아키
(福島豊明)
사이토 카즈야
미츠하시 사쿠라코
마루야마 슈지
마에사와 히로미
카토 히로토
日: 2021.02.06.
자막: 2021.02.17.
더빙: 2021.03.18.
제19화 愛矢姫の紅夜叉退治
아이야 공주의 베니야샤 퇴치
카나스기 히로코 마스다 토시히코
(増田敏彦)
사토 요지
마츠이 켄토
요코야마 켄지
타카쿠 미야
나카시마 리에
히로나카 미카
미야타 나오미
日: 2021.02.13.
자막: 2021.02.24.
더빙: 2021.03.25.
제20화 半妖の隠れ里
반요의 은신처
치바 카츠히코 오노 카츠미 나카고미 켄토 스기모토 사치코
스와 카나에
(諏訪可奈恵)
야마모토 나오코
오쿠노 노리후미
(奥野倫史)
타카쿠 미야
日: 2021.02.20.
자막: 2021.03.03.
더빙: 2021.04.01.
제21화 虹色真珠の秘密
무지개빛 진주의 비밀
스미사와 카츠유키 오오시마 카츠야 신보 타쿠로
타카쿠 미야
나카시마 리에
日: 2021.02.27.
자막: 2021.03.10.
더빙: 2021.04.08.
제22화 奪われた封印
빼앗긴 봉인
오노 아유무 나카시마 리에
미야타 나오미
카토 히로토
나카모토 나오
- 日: 2021.03.06.
자막: 2021.3.17.
더빙: 2021.04.15.
제23화 三姫の逆襲
세 소녀의 역습
테라다 카즈오 사토 테루오 시시도 쿠미코
(宍戸久美子)
타케우치 신지
미츠하시 사쿠라코
마루야마 슈지
카토 히로토
나카모토 나오
사토 히사코
(佐藤寿子)
日: 2021.03.13.
자막: 2021.03.24.
더빙: 2021.04.22.
제24화 殺生丸の娘であるということ
셋쇼마루의 딸이라는 것
토베 아츠오 토베 아츠오
신보 타쿠로
코스게 카즈히사
(小菅和久)
요코야마 켄지
마에사와 히로미
日: 2021.03.20.
자막: 2021.03.31.
더빙: 2021.04.29.

6. 해외 공개

6.1. 대한민국

6.1.1. 자막

파일:반요 야샤히메.jpg
반요 야샤히메 한국방영 PV 영상

대원방송 계열 애니박스에서 2020년 9월 28일, 공식 트위터를 통해 한국 방영 확정 소식을 전하였다. 또한, 챔프에서도 2020년 10월 17일 토요일 밤 11시에 첫 방송한다고 공식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밝혔다. 뒤이어 애니박스에서도 추가 트윗을 통해 첫 방송 일정이 10월 14일 수요일 밤 10시라고 밝혔다.

자막판으로 먼저 방송되었다. 또 이누야샤는 왜색이 강한 만화임에도 현지화가 잘 된 작품으로 유명한데 카고메, 카에데, 소타 등이 현지화된 이름인 유가영, 금사매, 유태영 이름이 자막판임에도 전작 더빙판처럼 현지화되었다.[19]
[clearfix]

6.1.2. 한국어 더빙

반요 야샤히메 더빙방영 PV 영상

2020년 11월에 더빙 방영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전까지 자막으로 선행방송한 작품이 더빙으로 방영되기까지 최소 2달 이상 걸린 것에 비해[20] 매우 빠른 결정이다.

애니박스는 2020년 11월 16일 월요일 밤 9시, # 챔프는 2020년 11월 22일 요일 밤 9시 30분 #으로 첫 방영 일정이 각각 확정되었다.

애니원에서도 2020년 12월 3일 목요일 밤 10시 #로 첫 방영 일정이 확정되었다.

담당 연출은 김세중.

더빙판도 공식 VOD가 파일:라프텔 로고.svg파일:네이버 시리즈 로고.svg파일:네이버 시리즈 로고 화이트.svg파일:jbox_logo.png파일:JBOX 로고 화이트.png에 업로드됐다.

2021년 2월부터 애니박스 채널의 더빙판 본방송 시간이 매주 목요일 저녁 8시로 변경되었다.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애니박스 공식 트윗

2021년 5월부터 애니박스 채널에서 매주 목요일 밤 24시[21]에 더빙판을 2편씩 재방송했었다.
6.1.2.1. 참여 성우진
팬들의 예상대로 전작 핵심 성우진은 유지되는 걸 기본으로 하면서 링과 코하쿠 등 완결편에서 변경된 일부 캐릭터만 완결편 버전과 단역은 대원 소속 성우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캐스팅되었다.[52] 이번 작의 신캐릭터인 주인공 3인방은 2010년대에 데뷔한 대원방송 성우극회 소속의 여성 성우들로 캐스팅되었는데[53], 모두 좋은 연기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받으며 왕성하게 활동 중이기 때문에 팬들도 만족한다는 평이다.
반요 야샤히메 더빙현장 공개 영상

그리고 주연 3인방의 더빙 현장이 공개되었다.

한편, 해당 게시글에서 신 캐릭터의 이름을 현지화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편 더빙에서도 토와, 모로하, 세츠나로 그대로 갈 것으로 보인다. 전작에서도 주연 캐릭터 대다수가 원어 이름 그대로 갔기 때문에 이번에도 그런 결정을 한 듯. 11월 16일 1화 방영에서 공개된 로컬라이징 수준은 명탐정 코난 극장판이나 대원판 소년탐정 김전일과 유사하게 주요 캐릭터 몇명 이름만 손본 정도다.
6.1.2.2. 더빙판 반응
더빙판 1화가 방영된 후 전작, 본작 등장인물 가릴 것 없이 전반적으로 연기에 대해 호평이 지배적이다.[54] 유가영 역할의 경우 전작으로부터 약 4년의 시간이 흐른 것을 반영하듯 예전보다 목소리톤이 한결 성숙해진 것에 대해 인상깊었다는 반응이 많다. 완결편이 방영된지 약 10년이 지났지만 대체로 예전의 목소리를 잘 살렸다.[55][56] 여기에 더해 시리즈를 이끌어나갈 주연 3인방 역을 맡은 성우들의 연기에 대해서도 거의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특히 토와 역의 경우 부드러우면서도 동시에 카리스마 있는 목소리로 그 미묘한 연기톤을 잘 잡았다며 토와라는 캐릭터에 대한 여론이 대부분 긍정적인 방향이다.

다만 번역 자체에서 혹평이 상당히 많은데, 직역투의 번역아쉬운 영상 편집이 가장 안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자막판에선 일본어로 적힌 하단의 등장인물 소개 부분을 모자이크로 지운 후 한글로 덧씌웠는데, 그 당시에도 모자이크 부분이 너무 커서 감상을 방해한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끝내 더빙판도 개선되지 않았다.[57][58]

그래도 이건 그나마 참고 봐줄만한 부분이고, 지나친 직역투 번역은 실드가 불가능할만큼 최악이다. 자막판에서도 지적받은 부분인데 전혀 고쳐지지 않고 더빙판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고유지명인 '무사시국(武藏国)'을 '무장의 나라'라고 오역을 하는가 하면[59][60] 마치 일본어 책을 그대로 직역한 듯한 느낌의 대본 때문에 미륵 등 등장인물들의 대화가 매끄럽지 못했다. 전작인 이누야샤 애니메이션 더빙판에선 한국정서에 맞도록 대사 및 표기 등을 깔끔하게 다듬고 애드립에 가까운 추임새도 있었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아쉬운 부분.

2화의 경우 1화가 양반으로 보였을 정도의 최악의 번역의 질을 보여줬다. '아시카가 쇼군'과 같은 표현이 그대로 등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키린 오사무 선생을 비롯하여 유가영의 동생인 유태영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에 대해 로컬라이징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61] 그래도 여기까진 선택의 영역일 뿐 오역의 문제는 아니다.

1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화에서 선행 방영한 자막판의 괴이한 번역을 그대로 놔두었다. 유가영과 유태영의 어머니, 즉 토와의 양할머니는 원판에서 '大ママ'[62]라고 소개되었는데 이걸 그대로 직역하여 왕엄마라는 해괴한 명칭으로 표기했고, 이걸 더빙판에서 그대로 살려버렸다. 토와가 메이에게 한 "내 안의 또 다른 나는 그렇게 말하고 싶지 않다는데?"라는 대사는 여러모로 어색하다는 지적이 많으며, 지네요괴에게 선풍진을 날린 세츠나가 "더 이상 할 말씀은 없다"라고 한 부분은 번역 퀄리티 문제 이전에 한국어 구사의 문제라고 볼 수 있어 팬들이 기막혀 했다. 코하쿠가 모로하와 대치하면서 '모로하'으로 부르면서 존대하는 호칭을 사용하고 뒤이은 말에서는 반말을 사용하는 대목에서는 시청자들이 혹시 자신이 잘못 들은게 아닌가하는 반응도 나왔었다.[63]

요약하면 더빙을 기대한 팬들에게 큰 실망감을 안겨준셈. 더빙판 방영 전에 팬들이 가장 걱정했던 것은 전작의 퀄리티를 재현할수 있을까 였지만, 정작 내용물을 보니 성우진은 괜찮은데 허접한 발번역으로 인해 예상 못한 대목에서 팬들에게 아쉬움을 주었다.[64]

거기다 라프텔에 올라왔던 2화 더빙판의 번역이 TV에서 방영된 버전의 번역과 다르다는 것도 밝혀지는데 # 각각 홍야차와 야부스마를 서로 반대로 번역했다.(TV판 - 베니야사&화살비, 라프텔판 - 홍야차&야부스마) 이후 라프텔판도 TV버전으로 수정되면서 없어졌다.

7.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반요 야샤히메(애니메이션 1기)/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

9. 둘러보기

요미우리 TV 제작·닛폰 테레비 계열 토요일 오후 5:30 방영 애니메이션
이전 프로그램 방영 중인 프로그램 후속 프로그램
재채기 대마왕 2020
(2020년 4월 11일 - 2020년 9월 26일)
반요 야샤히메 (1기)
(2020년 10월 3일 - 2021년 3월 20일)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5기)
(2021년 3월 27일 - 2021년 9월 25일)


[1] 전작 애니판의 콘티 및 연출가 / 1기 오프닝 6기 연출 등을 담당했으며, 완결편에서는 부감독을 담당했다.[2] 전작 이누야샤 애니판의 시리즈 구성을 담당했다. 아니메쥬 2020년 10월호 인터뷰에서 주기적으로 화상회의를 통해 원작자인 타카하시 루미코에게 각본 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3] 직함은 이렇게 되어 있으나 주인공 3명의 디자인이나 설정 등에 깊이 관여했다고 한다.[4] 양쪽 모두 최속 방송채널인 애니박스 기준. 챔프애니원은 각각 며칠 뒤에 방영을 시작했다.[5] 일본의 애니메이션 잡지 아니메쥬 2020년 10월호에 실린 특집기사에 따르면, 원작자 타카하시 여사가 반요 야샤히메 제작에 직접적으로 많은 관여를 했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제작진과 주기적으로 각본 회의를 하는 중이며, 각본 감수와 주연 3인방의 캐릭터 디자인 및 설정 확립도 그녀의 손을 전부 거쳤다고. 참고로 이누야샤 애니 제작진과 매년 주기적으로 여행도 다니는 매우 절친한 사이라고 한다. 현재 이 작품이 정식 후속작인지는 아직 불분명한 상태이다. 원작자가 관여한 건 맞지만 반요 야샤히메 공식 홈페이지 스텝메뉴에 타카하시 루미코는 메인 캐릭터 디자인만 맡았다고 표시되어있다.보루토 같은 경우는 키시모토 마사시가 공식적으로 후속작으로 인정한데다가 원작/감수를 맡았다고 확실하게 표시 되어있는데 이 작품은 원작자가 공식 후속작 여부를 밝히지 않았고 메인 캐릭터 디자인만 맡았다고 되어있기 때문이다.[6] 원작은 2008년에 완결되었으니 애니판과 비교하면 시기상 그다지 큰 차이는 없다.[7] 2013년 2월 6일에 발매된 주간 소년 선데이 10호에 실린 단편.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돕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게재된 작품 중 하나였다.[8] 애니메이션이 제대로 스태프와 애니메이터를 섭외하고 스토리와 연출 기반을 쌓으려면 기획 기간이 못해도 2년은 필요하며 많게는 3년 이상인 경우도 매우 많다.[9] 완결 시점에서 적게 잡아봐야 60대 노인인데 야샤히메 시점에서 보면 90을 바라보는 나이다. 현대에도 이 정도면 충분히 장수했다고 할 나이인데 전국시대에 이 정도면 엄청 장수한 거다..[10] 그러나 이 기획은 '전작의 비중있는 주역'이라곤 개 형제밖에 나오지 않고 설령 새로운 캐릭터나 적을 넣어도 본편에는 왜 안나오는지를 개연성 있게 그려내야 하기에 오히려 훨씬 기대 가능한 폭이 좁다. 개 대장이 살아있던 시기는 카고메야 물론이고 미로쿠, 산고, 싯포, 키쿄우 같은 전작의 메인캐릭터들이 태어나기도 한참 전이기 때문. 게다가 특성상 결론이 미리 나와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갈등이 벌여지기만 하고 해결은 안 되며, '갈등 해결 과정은 백수십화짜리 전작을 알아서 보세요'라고 하는 거나 마찬가지니 신규 시청자를 전혀 유입할 수 없는 순전한 팬서비스 상품에 머물기 십상이다.[11] 다만 주의할 점은 스토리 감수만으로는 애니메이션의 전개 퀄리티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각본도 최종 결정권은 감독에게 달려있기 때문.[12] 대표적으로 셋쇼마루는 사실상 애니 쪽에서 정립된 캐릭터다. 셋쇼마루 문서 참고. 이누야샤와 카고메가 끝내 재회하는 작품의 결말도 카고메 성우 유키노 사츠키에게 의견을 물어 둘이 이어지는게 맞는것 같다는 대답을 듣고 숙고해 짜낸 마무리다.[13] 게다가 유전적으로도 반요와 인간의 피를 물려받았기 때문에 더 반감되었을수도 있다.[14] 이름상 실제로 존재하는 검인 키쿠이치몬지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보인다.[이탤릭체] 부분은 유튜브 SixTONES 공식 채널에서 올린 한국어 가사 부분.[16] 한국어판 PV의 가사에는 너와 함가 아니라 너와 함라고 오타가 나 있다.[17]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대원방송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8] 성장한 링과 셋쇼마루의 투샷 팬픽을 그린 것으로 유명한 이누야샤 애니메이터다.트위터 계정[19] 전작 여주인공은 '유가영'으로 그대로 표기되었다. 이번 시리즈의 주인공 히구라시 토와의 경우 성을 빼고 그냥 '토와'라고 자막에 표기했는데, 일부 팬들은 이에 대해 더빙판 기획과 관련하여 성을 예전처럼 '유'로 통일하여 현지화할지 고민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을 하기도 했다. 토와와 세츠나 자매는 영원과 찰나라는 대비되는 뜻이 담겨있는데 토와는 유영원으로 어색하지 않은 현지화가 가능하나 찰나라는 뜻을 담은 세츠나가 걸린다.[20] 지금까지 2달 정도 걸린 작품은 게임 원작인 역전재판과 소설 원작인 부호형사가 있었다.[21] 즉, 매주 금요일 밤 00시이다.[A] 이전 작품과 동일[23] 본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캐스팅 인증을 했는데, 이누야샤를 "반댕이"로 칭해 팬들을 빵터지게 만들었다. 깨알같이 대본이 종이가 아닌 태블릿 PC로 되어 있어서 시대가 변했다는걸 간접적으로 느끼게 해주기도 했다.[A] [A] [A] [27] 2020년 10월 31일, 전작 참여 성우들중 최초로 캐스팅 인증을 했다.[A] [29] 구자형과 마찬가지로 10월 31일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캐스팅 인증을 하였다.[30] 일본어 원문은 大ママ으로, 이를 그대로 직역했다.[31] 이쪽은 완결편에서는 김성연으로 변경되었다. 가영이의 할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원래 성우가 산고와 중복으로 담당하여 그런지 1~6기와 동일하게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A] [A] [A] [A] [36] 1~6기의 소연 성우가 아닌 완결편 성우였던 이재현 성우가 캐스팅 되었다.[A] [38] 1~6기의 오주연 성우가 아닌 완결편 성우였던 이지현 성우가 캐스팅 되었다.[A] [40] 완결편에서 대원 성우로 갈린 캐스팅 중 가영이의 엄마와 같이 1~6기 캐스팅으로 유지되었다. 완결편에서 맡은 심정민이 현재 성우계를 은퇴하였고, 마침 자켄 역도 중복으로 맡았기 때문에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A] [42] 1~6기의 김환진 성우가 아닌 완결편 성우였던 박서진 성우가 캐스팅 되었다.[A] [44] 아래 언급된대로 진짜 본인이 아니지만, 팬서비스 차원에서의 등장이라 일본어판에서 히다카 노리코가 그대로 맡았고 한국판도 이를 따랐다.[45] 본래는 김호성 성우였으나 전속으로 교체.[A] [47] 전작에서는 장은숙 성우가 맡았었다.[48] 타카하시 루미코의 또다른 대표작인 란마 1/2에서 무스를 연기한 경력이 있다.[A] [50]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극장판의 성우라 자사 성우를 섭외 할거라는 예상을 뒤엎었다. 이렇다 보니 반요 야샤히메 1기 성우진들 중에서 유일무이한 투니버스 소속 성우이다.[A] [52] 이누야샤 1~6기에서 링은 소연, 코하쿠는 오주연이 맡았었다가 완결편 방영시 교체되었다. 이 중 오주연 성우는 최근 들어 활동이 없다보니 캐스팅 교체는 불가피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사실 코하쿠가 반요 야샤히메에서는 이미 청년이기에 성우를 교체해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여담으로 이 배역들은 투니버스에서 방영한 극장판에서도 원래 맡던 성우가 아니라 각각 자사 성우이용신정유미가 대신 맡았다.[53] 참고로 우연의 일치인지 저 주역 세 성우 모두 다 예명 사용 또는 개명했다. (이새아 = 이지원, 김연우 = 김서영, 김나율 = 김혜진.)[54] 첫 장면부터 등장하는 단역인 관동관령과 요츠메의 연기부터 인상적이었다는 의견이 많다. 특히 요츠메 성우 이종혁의 경우 과거 학교괴담다크시니 역할로 유명했기 때문에 추억의 목소리를 다시 접한 팬들이 매우 반가워했다.[55] 특히 금사매, 싯포 등 일부 배역의 경우 예전 목소리톤과 100% 똑같다는 감상이 많았다. 다만 강수진 성우의 이누야샤의 경우 예전보다 앳된 목소리로 연기해서 루피 같다는 반응도 많았는데, 홍쇼에서 이누야샤 단막극할 때는 이런 문제가 없었기 때문에 시청자들이 당황했다.[56] 사실 이누야샤 더빙이야 오랜만이지만 나락을 맡았던 홍시호의 홍쇼에서 웬만한 주조연급 성우진들 싹 모여서 캐릭터 상황극으로 신나게 지지고 볶았다. 연기하던 가락 자체는 유지되고 있었다.[57] 기껏해야 바뀐 거라곤 오기였던 '교양이 요괴'를 '고양이 요괴'로 수정한 것 정도.[58] 사지절단이나 신체 노출 장면은 여지없이 모자이크 처리되었는데, 이는 이누야샤 더빙판이 방영되던 2000년대 중반에는 케이블 심의가 널널한 편이었으나 2009년을 기점으로 방심위의 케이블 심의가 상대적으로 더 빡세져 방송국 입장에선 어찌할 도리가 없는 부분이다. 이는 대원방송 말고도 다른 케이블 방송사도 어쩔 수 없이 겪는 골칫거리다.[59] 한자음대로 '무장국'이라고 하는 것만도 못하다. 참고로 저 国은 나라가 아닌 '지방, 영지'를 뜻한다. 재미있게도 연호 '레이와(令和)'는 원어 발음 그대로 놔두었다.[60] 참고로 이누야샤 극장판 3기 천하패도의 검에서도 칼집 영감이 "동쪽에 있는 뼈 먹는 우물에 던져달라"는 말을 하는데, 일본판에서는 제대로 "무사시국(むさしのくに)에 있는 뼈 먹는 우물에 던져달라"고 말한다. 아마도 이런 사태(깔끔한 더빙 불가)를 예상해서 무사시국이라는 단어를 빼버렸을지도?[61] 같은 대원방송이 수입해서 더빙한 김전일 애니 3기 및 그 이후 시리즈가 이런 식이었다. 김전일이라는 이름이 워낙 유명해져서 어쩔 수 없이 해당 주인공만 현지화 이름을 유지한 것이다.[62] 젊은 나이에 할머니가 된 여성을 부르는 일본의 신조어다.[63] 물론 일본 원판에서도 코하쿠는 모로하의 호칭을 모로하도노(もろは殿, 모로하전)라고 호칭만 도노로 부르고 반말을 사용하기는 했다. 도노(殿, 전각 전)는 일본어에서의 경칭으로 현대 일본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낡은 호칭이며 일본에서만 쓰이는 한자어로 한국어에서는 사람을 칭하는 인칭대명사의 의미가 없기 때문에 비슷하게 사극풍 말투를 주는 공(公)으로 번역되고는 한다. 공 자체가 현대 한국어에서 생소한 호칭이라 쓰지 않았다고 치면 차라리 님을 생략하고 이름으로만 호칭하는게 나았을 것이다. 당시 상황은 요괴 퇴치사와 모로하 사이에 오해로 전투가 벌어졌던 상황으로 서로 적대하고 있던 상황에 코하쿠가 모로하에게 질문을 던지는 장면이었기 때문. 한국어 기준으로 생각하면 코하쿠가 모로하보다 연상이기에 반말을 사용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다. 즉 해당 파트는 "모로하, 산 아래 사람들을 공격한 건 네가 아니라는 건가?" 정도로 번역되었어야 했다.[64] 사실 대원에 대해 알고 있던 성우팬들 입장에서는 어느 정도 걱정을 하던 부분이었는데, 대원이 원래부터 번역이 깔끔한 편이 아니었지만 그래도 최근 더빙작들은 그나마 괜찮았길래 그래도 낫지 않을까 기대했는데 이 사단이 터진 것이다.[65] 보통 소년만화들은 주인공의 아들이 후속작의 주인공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생각하면 다수의 사례는 아니긴 하다.[66] 전작 애니 52화에 나온 셋쇼마루의 명대사(?)인 반요는 반요답게 땅을 기어라를 가리킨다.[67] 15화에서는 아예 출산하는 장면이 나온다.[68] 그리고 이는 4화에서 사실로 드러난다.[69] 극단적 셋쇼마루 옹호와 도를 넘는 커플링 강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8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