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29 11:19:20

레슬링 특집 WM7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무한도전/2009년
, 무한도전/2010년
, 무한도전/역대 코너와 특집
,
,
,

무한도전의 역대 에피소드
자리재배치 WM7 시크릿 바캉스 WM7 시크릿 바캉스
아이돌 WM7 아이돌 세븐 WM7
세븐 WM7 박명수의 라이브 in 지산

파일:external/d9423e4fcd49eb3d536df807e160aab7ac953bd0d834d38bf2c276ded65c2dfb.jpg

1. 개요2. 에피소드 일람3. 비판4. 경기 당일 나온 기술5. 방송에 언급된 프로레슬러
5.1. WWE
5.1.1. 현역 선수5.1.2. 은퇴 및 이전 선수
5.2. TNA5.3. 한국 프로레슬러
6. 여담

1. 개요

2009년 7월 2일 ~ 2010년 8월 19일까지 진행된 무한도전의 1년 초대형 장기 프로젝트. 멤버들이 프로레슬링에 도전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WM7의 의미는 Wrestling(레슬링) + Muhan Dojeon(무한도전) + 7(세븐). '무도 레슬링 7인방' 정도의 의미로 보면 된다.[1]

실질적인 방송은 프로젝트 시작으로부터 정확히 1년 뒤인 2010년 7월 3일부터 시작했으며, 2010년 8월 19일에 유관중 프로레슬링 이벤트를 개최하며 끝마쳤다. 실제촬영과 방송에 상당한 시간적 차이가 있었지만, 이 사이에 방송된 특집들에서 직간접적인 떡밥을 던졌는데, 외박 특집 오마이텐트 첫 번째 방영분에서 무도 멤버들이 알래스카 항공료값 절반 지불을 걸고 족구 게임을 하던 장면에서 레슬링 코치인 손스타가 나왔고, 번지점프 팀 촬영 당시 정준하가 뜬금없이 수플렉스 이야기를 하는 등 눈썰미 좋은 시청자들이라면 충분히 눈치챌 수 있었다. 김태호 PD의 언급에 따르면 10주 분량으로 방송이라고 한다.[2] 13개월이 넘는 촬영기간 때문에 방송 분량이 엄청나게 많이 나온 것도 있겠지만, 사상 최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특별한 방식으로 기획하고 싶었다고. 10주간 레슬링만 하는 게 아니라 회당 20~30분의 미니시리즈 방식으로 타 코너와 함께 번갈아 가면서 수 주간 방영했다.

게스트로 배우 김민준체리필터의 드러머 손스타가 참가했다. 김민준은 운동좀 한다는 연예계 동료 포지선으로 1화에서만 일회성 출연했고, 손스타는 노홍철이 한국 연예계 레슬링 마니아라고 언급한 걸 계기로 무도 멤버들이 집적 찾아가 코치 겸 선수로 영입해 마지막화까지 쭉 나왔다. 이를 인연으로 체리필터가 WM7 전용곡 Show Time을 만들어 주기도 했다.

2. 에피소드 일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슬링 특집 WM7/에피소드 일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비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슬링 특집 WM7/비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경기 당일 나온 기술

프로레슬링/기술 문서도 함께 보자.

5. 방송에 언급된 프로레슬러

본방을 한 2010년도 중순 기준 소속 단체 및 현역/은퇴/사망 여부를 구분하여 표기할 것.

5.1. WWE

5.1.1. 현역 선수

5.1.2. 은퇴 및 이전 선수

5.2. TNA

5.3. 한국 프로레슬러

6. 여담

[navertv(3040858)]
'하하, 준하&형돈&재석의 기술 시도에 '가슴이 울렸다'
그리고 직접 메인 PD를 불러내서 수플렉스시전해 버렸다. 비판 문서의 Don't Try This! 문단에서도 나오지만, 몇 년 전에 그나마 좀 배운 정도인 정형돈이 전혀 낙법 등도 배우지 못한 PD에게 직접 기술을 시전하는 장면이라 논란이 될 수도 있었지만, 정형돈이 PD를 날려버린 이유 자체가 "이게 상당히 위험한데 해보지도 않은 제작진이 덜컥 받아들인 것"을 질타하기 위해 한 것이라 큰 문제는 되지 않았다. 오히려 몇 년 전에 배운 후로 그동안 따로 연습한 적도 없을텐데[30] 스냅 수플렉스를 깔끔하게 성공시킨 것을 칭찬하고 형돈의 입장에서 그렇게 고생하고 몸 상해가면서 한 특집인데 그걸 아무 생각 없이 받아들이는 제작진을 보고 얼마나 기가 막혔을지 짐작된다는 여론이 주를 이뤘다. 추천을 많이 받은 댓글 중 하나를 보면 "1년 동안 골병 들고 스포츠 마사지 받고 링거 맞고 뇌진탕까지 경험하면서 죽도록 했던 건데 그런 과정을 전혀 모르는 제작진이 단시간에 한다고 하니 웃기지도 않았겠지."라고 대차게 까버린다.[31] 사실 WM7은 그야말로 리얼 생고생 특집이었고 다들 몸 여기저기 박살나고 다치면서 많이 고생했다. 그러니 형돈 입장에서는 이게 얼마나 미친 짓인지를 뼈저리게 알고 있을 수 밖에...


[1] 정형돈이 '무한도전 레슬링 7'의 약어인 MW7이 어떻겠냐고 제안해 큰 호평을 받았는데, 협회장인 박명수가 중간에서 빼돌려(?) 마치 본인이 최초로 생각해낸 것처럼 단어 순서를 약간 바꿔서 정식 채택되었다.[2] 하지만 에피소드만 보면 11주동안 방영되었으며 이 회수는 2008 베이징 올림픽 관련특집(이색올림픽, 다찌지리와 리특집 포함시 8화)보다 가장 많다.[3] 부상으로 인해 1, 3경기 두 경기 모두에서 보여주지 못함.[4] 워낙 위험한 기술이라 WWE에선 안전하게 사용하는 극소수의 선수만 제외하고는 금지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스티브 오스틴을 비롯한 여러 선수들에게 평생 안고갈 부상을 입혔기 때문. 결국 이러한 점 때문에 비판의 목소리가 많았다.[5] 사실 파일 드라이버 가 아닌 파워밤의 원형인 루 테즈의 '리버스 슬램'에 가까운 기술이라고 볼수있다.[6] 사실 초크 슬램 시전시 목을 놔야 하지만 끝까지 잡고 있어서 초크 슬램을 시전하게 아닌 노도와오토시(ノド輪落とし)[32]를 시전 한거로 볼수 있다.[7] 방송에서는 플라잉 바디 스플래시로 잘못 나왔다.[8] 원래는 박명수가 쓸 기술이 부족해서 손스타가 제한한 기술인데 첫 연습 당시엔 제대로 됐었지만 그 다음 날 두 번째에선 호흡 부족과 잘못된 낙법으로 경직이 되면서 하하가 대신 하게 되었다.[9] 원래는 목을 공격하는 타격기지만 한쪽 다리가 높게 안뜨고 결정적으로 원래는 피폭자가 쓰러지면서 피해를 조금 줄이지만 박명수는 그대로 서있으면서 후두부에 제대로 맞았다.[10] 미숙함 때문인지 부상 위험때문인지 제대로 앉은게 아니라 어정쩡하게 누운것마냥 시전해서 비판이 많았던 맥 스터너같이 시전되었고 정형돈도 접수가 미숙해서 커터에 더 가깝게 되었다. 물론 스터너는 프로들도 접수가 힘들어서 경기력에 따라 극과 극인 경우가 대부분이다.[11] 프로그 스플래시는 시전자의 팔다리를 접었다 펼치는데 유재석의 고소공포증과 피폭자에 대한 부담때문에 어정쩡하게 뛰어버렸다. 사실상 프로그 스플래시보다는 지미 스누카의 탑로프 스플래시에 더 가깝다.[12] 그냥 해머링 연타라고 나오지만 더 락이 쓰는 특유의 손에 침을 뱉는 모션을 취했기에 구분하여 서술한다.[13] 전업 레슬러는 아니고, 해설자 기믹을 메인으로 가끔 이벤트성 경기만 뛰는 수준이다.[14] 일요일 일요일밤에, 황금어장의 라디오스타 그리고 무한도전까지. 관련 영상이 유난히 많이 나온다. 재밌는 건 무한도전의 경쟁 프로인 SBS 스타킹에서 "프로레슬링 특집"이 방영될 때 시나의 관련 영상이 나왔었다.[15] 워낙 고참인 데다 이런저런 엔터테이너 활동에 집중하느라 1년에 몇 번만 경기를 뛰는 수준.[16] 정확히는 경기보단 바비 래쉴리의 매니저로 활동 중이다.[17] 뛰어난 인성으로 인해 후배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는 데다 현 WWE 최고 권력자인 트리플 H와는 영혼의 친구이고, 다른 최고 간부진과도 친분이 두터워 대접을 받는 것으로 보면 된다.[18] 무한도전 213화에서 본 대회의 제2경기에 쓸 기술을 토의하는 중 사이드 슬램 관련 얘기가 나오자, 노홍철이 "케인이 쓰는 거"라고 명료하게 말하는 장면이 나왔다.[19] 공식적으로 은퇴를 선언하지는 않았지만 WWE 명예의 전당 헌액까지 되면서 이벤트성으로 뛰는 것 외엔 전업 레슬러 생활을 접은 거나 다름없다.[20] 전세계 프로레슬링 업계에서 넉넉 잡아도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거물 중의 거물이며, 사실상 WWE를 이끌고 있는 부회장 포지션이라고 봐도 된다.[21] 이때 그 유명한 스테이블인 불릿 클럽의 2대 리더로 활동하며 어마어마한 활약과 인기를 얻었다.[22] 2015년 중순 인종차별 발언으로 인해 북미 레슬링계에서 매장되었다가 2010년대 후반 복권된 흑역사를 저질렀다.[23] 스피드 레이싱 특집 때 길이 하차한 적이 있는데, 이건 음주운전 적발로 인해 떠난 불미스러운 사정이라 제외.[24] 일부는 4:3 비율 원본 그대로 내보냈다.[25] 일밤 코너 미스터 요리왕 이후 MBC에 오랜만에 출연했다.[26] 옆에 있던 하하가 이거 뽑으라며 넣어줬다고 한다.[27] 동시기에 진행한 시크릿 바캉스 특집과 정총무 특집 등이 기반을 닦았다.[28] 모든 방송분까지 포함하면 무한도전 갱스 오브 뉴욕, 무한도전 식객 특집, 달력 특집, 악마는 구리다를 입는다 - 총 4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촬영한 2009년 미국 뉴욕 장기 출장이 1위. 이건 박명수의 개인 유튜브 채널 할명수에서 정준하 & 정형돈 & 박명수가 직접 인증한 부분이다.[29] 실제 프로레슬링의 링에 설치되는 로프는 강철 와이어 재질이라 실제 경기처럼 체중을 실어서 로프 반동을 할 때 요령이 없으면 상당히 아프다. 프로레슬링에 입문하면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낙법과 로프 반동일 정도니 할 말 다한 셈.[30] 한번은 다른 예능에서 STF를 건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걸린 상대가 전혀 아프질 않다고 해서 형돈이 당황한 적이 있다.[31] 사실 제대로 못 배운 사람들 입장에선 체공 시간 문제 등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레 스냅 수플렉스가 될 수 밖에 없긴 하다. 원래 수플렉스는 피폭자는 충분히 크게 뛰어줘야 하고, 시전자는 낙법을 준비할 수 있게 피폭자를 들고 버티면서 최대한 체공 시간을 오래 끌어줘야 하는데, 잠깐 배운 정형돈이나 아예 배운 적 없는 PD가 이런 게 될 리가... 실제로 학창 시절 레슬링 놀이를 하던 사람들의 경험담을 들어봐도 자기들은 TV에서 본 궤적이 큰 수플렉스를 해 볼려 했지만 힘이 모자라서 결국 속도가 빠른 스냅 수플렉스가 되었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어차피 매트 깔아놓고 하다보니 등 먼저 닿는 이쪽이 덜 아프기도 했고... 단, 제대로 낙법을 못 배운 사람들은 발뒤꿈치가 내리찍히며 부상 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따라하면 안된다.

파일:CC-white.svg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를 달아 주세요.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32] 일본의 프로레슬러 타우에 아키라가 개발한 기술로 초크 슬램과 모션이 상당히 유사하지만, 상대방의 몸이 땅에 닿을 때까지 손을 놓지 않는 것이 특징인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