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4 10:13:17

동키콩 리턴즈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3b240b> 파일:Kong_Family.png동키콩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클래식
1981
동키콩
1982
동키콩 Jr.
1983
동키콩 3
1994
동키콩
컨트리 / 랜드
1994
동키콩 컨트리
(1995 · 동키콩 랜드)
1995
동키콩 컨트리 2
(1996 · 동키콩 랜드 2)
1996
동키콩 컨트리 3
(1997 · 동키콩 랜드 3)
2010
컨트리 리턴즈
2014
트로피컬 프리즈
3D
1999
동키콩 64
2025
동키콩 바난자
외전
클래식 동키콩 Jr의 산수놀이 · 동키콩 2 · 동키콩 서커스 · 동키콩 하키
레이싱 디디콩 레이싱 · 디디콩 파일럿 · 동키콩 레이싱 · 동키콩 나무통 제트 레이스
동키콩가 동키콩가 · 동키콩가 2 · 동키콩가 3 · 동키콩 정글 비트
마리오 vs. 동키콩 마리오 vs. 동키콩 · 미니미니 대행진! · 미니미니 재행진! · 돌격! 미니랜드 · 미니미니 카니발 · 다 함께 미니랜드 · amiibo 챌린지
클라이머 흔들흔들 동키 · 동키콩 정글 클라이머
기타 동키콩 코코넛 크래커스
관련 문서 등장인물 · 동키콩 아일랜드 · 크로커다일 아일랜드
닌텐도 주요 게임 · 마리오 시리즈
}}}}}}}}} ||
동키콩 리턴즈
ドンキーコング リターンズ
Donkey Kong Country Returns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91su-V7b9rL._AC_SL1500_.jpg
한글판 3DS 커버 [펼치기ㆍ접기]
파일:동리1.jpg파일:동리2.png
[1]
개발 레트로 스튜디오
이식 몬스터 게임즈 (3DS)
포에버 엔터테인먼트 (NS)
유통 닌텐도
플랫폼 Wii | 닌텐도 3DS | Nintendo Switch | NVIDIA SHIELD[2]
ESD 닌텐도 e숍
장르 횡스크롤 액션
플레이 인원수 1~2명
발매일 Wi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발매
파일:미국 국기.svg 2010년 11월 21일
파일:호주 국기.svg 2010년 12월 2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0년 12월 3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년 12월 9일
닌텐도 3DS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13년 5월 24일
파일:호주 국기.svg 2013년 5월 25일
파일:일본 국기.svg 2013년 6월 1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년 12월 7일
NVIDIA SHIELD
파일:중국 국기.svg 2019년 7월 4일
Nintendo Switch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1월 16일
판매량 Wii 653만 장
닌텐도 3DS 294만 장
Nintendo Switch 127만 장(2025.03.31 기준)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3DS, NS)
미지원(Wii)
공식 홈페이지 한국(NS) 한국(3DS) 일본(Wii)

1. 개요2. 상세
2.1. 전작과의 차이점
3. 개발 비화4. 스토리5. 게임 모드6. 등장인물
6.1. 조작 캐릭터6.2. 동료 캐릭터6.3. 배경 캐릭터6.4. 적군 캐릭터
6.4.1. 티키족 적군6.4.2. 그 외 적군
7. 아이템8. 스테이지9. 이식작
9.1. 닌텐도 3DS9.2. NVIDIA SHIELD9.3. Nintendo Switch
10. 평가
10.1. Wii10.2. 3DS10.3. HD
11. 흥행12. 기타

1. 개요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5번째 작품.

2. 상세

본래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개발사였던 레어가 엑스박스 출시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산하로 들어가는 것으로 인해 복잡한 저작권 문제 등으로 인해 오랜 세월 신작이 발매되지 않았다. 이 공백을 뚫고 오랜만에 발매된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다. 근 11년만의 복귀작.[3] 게임 제목의 '리턴즈'도 동키콩 컨트리가 부활(귀환)했다는 의미. 단, 슈퍼 패미컴으로 나온 구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와는 많이 다르다.

그 전의 동키콩 시리즈와 다른 점이 많은데, 오두막집 및 정글의 나무 디자인이 싸그리 바뀌었고, 동키콩 시리즈의 기존 캐릭터들이 대부분 구조조정되어 주연인 동키콩, 디디콩, 크랭키콩, 람비, 스쿠웍스만 남기고 전부 잘려나갔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일종의 리부트로 여겨진다. 다만 다음작에서는 레귤러인 딕시콩, 펑키콩이 복귀한다.[4]

Wii 기종으로 먼저 발매되었으며 이후 3DS판이 따로 출시되었다. 3DS판은 전체이용가로 GRAC 심의가 통과되었고, 2013년 12월 7일 발매되면서 최초로 한글화가 된 동키콩 시리즈로 남게 되었다.[5]

유일하게 국내에서 한국닌텐도를 통해 정식 발매된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 중 일본판 제목을 따라갔다. 이전에 발매된 동키콩 컨트리 1 & 2와 이후에 발매된 동키콩 컨트리 트로피컬 프리즈(Donkey Kong Country Tropical Freeze)가 비현지화 정발이 된 것과도 연관이 있어보인다.

2.1. 전작과의 차이점

3. 개발 비화

이 게임이 제작되기 이전, 레어에 이어 동키콩 시리즈를 맡은 파온은 동키콩 정글 클라이머를 마지막으로 동키콩 시리즈를 떠났고,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를 맡고 있었던 개발사인 레트로 스튜디오에서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3 커럽션 발매 이후 핵심 인물들이 퇴사하는 사태가 벌어지게 되었다. 레트로 스튜디오를 담당하는 닌텐도 측 프로듀서인 타나베 켄스케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까 고민하고 있을 때 즈음에 미야모토 시게루로부터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신작을 개발하려고 하는데 좋은 개발사가 있냐는 고민을 듣게 되었고, 레트로 스튜디오 측도 위기라기보다는 오히려 새로운 타이틀을 개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게 되면서 프로젝트를 받아들였다고 한다. 거기다 타나베도 동키콩 컨트리의 현지화를 담당했었고, 레트로 스튜디오 직원들 중에서도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팬들이 많아서[7] 기대감이 넘쳤다고 한다. #

4. 스토리

어느 날 갑자기 동키콩 아일랜드의 화산이 폭발하더니 봉우리에서 티키족들이 나타나 동물들을 세뇌시켰고, 세뇌시킨 동물들에게 명령해 동키콩 아일랜드에 있는 모든 바나나를 빼앗아 가져간다. 그 과정에서 동키콩의 바나나까지 전부 가져가버렸고, 빼앗긴 바나나를 되찾기 위해 동키콩과 디디콩의 여행이 시작된다.

5. 게임 모드

Wii판에서는 난이도 구분이 없었으나, 3DS에서 캐주얼 모드[8]가 추가되었다. HD 리마스터에서는 모던 모드로 명칭이 변경. 모던 모드에서의 변경점은 다음과 같다.

트로피컬 프리즈 스위치 버전과 달리 오리지널 모드 전용 엔딩 같은 것은 없으며, 본작의 난이도가 워낙 높다 보니 모던 모드라고 해서 난이도가 심하게 쉬워지는 것은 아니다. 자신있는 쪽을 선택하자. 한 번 정하면 도중에 변경은 불가능하다.

6. 등장인물

6.1. 조작 캐릭터

6.2. 동료 캐릭터


6.3. 배경 캐릭터


6.4. 적군 캐릭터

6.4.1. 티키족 적군

문서 참조.

6.4.2. 그 외 적군


* 벌레 (Munchers): 5-8 스테이지에 등장하는 수많은 벌레 떼이자 죽일 수 없는 무적. 처음으로 조우하면 수많은 알이 있는데, 뒤쪽의 바닥을 부수면 알들이 일제히 부화하더니 무수히 많은 벌레들이 추격해오며 여기에 휩쓸리면 즉사한다. 시간은 빠듯한데 롤링으로 부숴야 하는 벽이나 가시, 움직이는 벽 등 다양한 장애물이 진로를 방해하므로 롤링점프 등을 활용해서 최대한 빠르게 가야만 한다. 알들은 밟으면 트램펄린처럼 높이 점프할 수 있다.

7. 아이템

8. 스테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키콩 리턴즈/스테이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키콩 리턴즈/스테이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키콩 리턴즈/스테이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이식작

9.1. 닌텐도 3DS

2013년 6월 13일 동키콩 리턴즈 3D / ドンキーコング リターンズ 3D / Donkey Kong Country Returns 3D라는 제목으로 3DS로 이식되었고 동년 12월 7일 대한민국에 정발되었다.

3DS에 맞게 입체시에 대응하며, 월드 9 "스카이하이 에리어"가 추가되어 8개의 코스가 새로 수록되었다. 처음 시작할 때 Wii판 오리지널 모드와 캐주얼 모드의 2가지 모드 중에 선택할 수 있으며 캐주얼 모드에서는 최대 체력이 3으로 증가하고 상점에서 판매하는 전용 아이템이 추가되는 등 난이도가 완화된다. 도중에 모드 변경은 불가능하다.

대쉬 이동의 경우 처음부터 기본 사용이 전제된 슬라이드 패드는 빠르게 기울이고만 있어도 가능하지만 십자키 이동은 X/Y버튼을 같이 누르고 있어야 한다.

9.2. NVIDIA SHIEL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VIDIA SHIELD/닌텐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VIDIA SHIELD/닌텐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NVIDIA SHIELD/닌텐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3. Nintendo Switch

2024년 6월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동키콩 리턴즈 HD라는 제목으로 Nintendo Switch 리마스터가 발표되었으며 2025년 1월 16일에 발매되었다. 이식 담당사는 폴란드의 포에버 엔터테인먼트(Forever Entertainment S.A.).[14]

3DS 버전의 9번째 월드 스카이하이 에리어의 추가 코스가 모두 포함된다. 주된 변경점은 해상도 증가 및 간단한 수준의 텍스처 품질 향상이며, 원작 및 3DS 버전과 비교할 때 표현이 다르거나 누락된 효과가 일부 존재한다. 캐주얼 모드(뉴 모드)의 명칭이 변경되어 한국어판과 해외판 모두 모던 모드로 통일되었으며 스테이지에 들고 갈 수 있는 아이템 개수가 9개로 더욱 늘어났다. 조작은 3DS판의 버튼 조작과 Wii 방식의 모션 컨트롤을 모두 지원한다. HD 진동을 지원하고 한국어 버전 한정으로 3DS 버전의 '트램카'가 일괄적으로 '광차'로 표현이 변경되었다.

2024년 12월 12일부터 국내 예판이 시작되었다. 구매처에 따라 투명 데코 스티커, 피크닉 백, 300pcs 직소 퍼즐, 에코백 중 하나가 특전으로 제공된다.

나가사코 타카시가 동키콩의 성우를 맡은 마지막 작품이다.

10. 평가

기준일:
2025-11-14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donkey-kong-country-returns/critic-reviews/|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donkey-kong-country-returns/user-reviews/|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상세 내용

기준일:
2025-11-14(HD)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donkey-kong-country-returns-hd/critic-reviews/|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donkey-kong-country-returns-hd/user-reviews/|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상세 내용

기준일:
2025-11-14(HD)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오픈크리틱#s-2|
#!if (+average) >= 84
[[파일:오픈크리틱 mighty-man.png|width=50px]]
#!if (+average) <= 83 && (+average) >= 75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width=50px]]
#!if (+average) <= 74 && (+average) >= 66
[[파일:오픈크리틱 fair-man.png|width=50px]]
#!if (+average) <= 65 && average != null &&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weak-man.png|width=50px]]
{{{#!if average == null
average == "-"
파일:오픈크리틱 --man.png}}}]]
[[https://opencritic.com/game/16874/donkey-kong-country-returns-h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7) * 1.8deg)), #fc430a 77%, #2e2e2e 77%)"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7}}}}}}}}}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7) * 1.8deg)), #9e00b4 77%, #2e2e2e 77%)"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7}}}}}}}}}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7) * 1.8deg)), #4aa1ce 77%, #2e2e2e 77%)"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7}}}}}}}}}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7) * 1.8deg)), #80b06a 77%, #2e2e2e 77%)"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7}}}}}}}}}
평론가 평점]]
[[https://opencritic.com/game/16874/donkey-kong-country-returns-h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1) * 1.8deg)), #fc430a, #fc430a, #ffd86f, #ffd86f, #ffd86f, #fc430a, #fc430a 71%, #2e2e2e 7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1%}}}}}}}}}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1) * 1.8deg)), #b370df, #e566b1, #e566b1, #ff6ec4, #a871e3, #7973f5, #706bdf 71%, #2e2e2e 7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1%}}}}}}}}}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1) * 1.8deg)), #478c77, #76c8ff 71%, #2e2e2e 7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1%}}}}}}}}}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71) * 1.8deg)), #6c9059, #627f50 71%, #2e2e2e 71%)"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71%}}}}}}}}}
평론가 추천도]]
[[https://opencritic.com/game/16874/donkey-kong-country-returns-hd|
#!if (+average) >= 84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fc430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83 && (+average) >= 7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9e00b4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74 && (+average) >= 66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4aa1ce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if (+average) <= 65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100%; aspect-ratio: 1 / 1;  border-radius: 50%; text-align: center; background: conic-gradient(from calc(90deg + ((100 - -) * 1.8deg)), #80b06a -%, #2e2e2e -%)"
{{{#!wiki style="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width: 85%; aspect-ratio: 1 / 1; background: #2e2e2e; border-radius: 50%; color: #fff"
{{{+2 -}}}}}}}}}
유저 평점]]


개발사가 변경되면서 우려를 사기도 했지만,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이름을 잇기에 걸맞는 작품으로 완성되었다.

스테이지 하나하나의 완성도가 뛰어나며,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를 제작한 레트로 스튜디오답게 참신한 기믹과 훌륭한 레벨 디자인, 뛰어난 그래픽이 돋보인다. 다채로운 수집 요소와 각종 고난이도 모드로 인해 엔드 컨텐츠도 풍부하다.

난이도는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에서도 최고 수준이며 기존 작품에 익숙한 게이머에게도 매우 어렵게 느껴진다.[15] 그럼에도 잔기를 넘쳐나는 수준으로 뿌려대는데다 많이 죽는다고 패널티가 있지도 않으며, 히든 스테이지 소수를 제외하면 체크포인트도 많이 주어지므로 재도전에 부담이 전혀 없다. 시행착오를 반복하다 보면 언젠가는 클리어할 수 있는 절묘한 난이도로 되어 있다. 컨트리 시리즈가 그랬듯이 고난이도의 2D 플랫포머 게임으로서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난이도 면에서 비판받는 점이 있다면 단순히 난이도가 높은 점보다는 즉사 판정 기믹이 많아도 너무 많다는 점이다. 광차나 나무통 로켓 탑승 중 충돌은 모두 즉사로 처리되며 그 밖에도 즉사하는 지형이나 트랩이 꽤 있다. 특히 로켓나무통은 고도조절에 정교한 컨트롤이 필요하며 상승하강 후 제동 시 관성이 심한 점 때문에 이 구간은 게임 내에서도 지옥으로 손꼽힌다.[16] 즉사 요소가 아니라도 무너지는 지형이나 강제 스크롤 등으로 신속한 이동을 강제하는 스테이지가 많아 전체적으로 진행에 여유가 없다.

기존 캐릭터들 다수가 구조조정당한 것도 혹평을 받았다.

10.1. Wii

파일:ign_logo.png파일:IGN 레드 화이트 로고.png
IGN 선정 25대 Wii 게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IGN 'The 25 Best Wii Games of All Time'
<colcolor=#fff><colbgcolor=#000> 1위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
2위 슈퍼 마리오 갤럭시 2
3위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4위 메트로이드 프라임 트릴로지
5위 슈퍼 마리오 갤럭시
6위 동키콩 컨트리 리턴즈
7위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
8위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Wii
9위 타츠노코 VS 캡콤
10위 The Lost Story
11위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스
12위 바이오하자드 4
13위 데드 스페이스: 익스트랙션
14위 노 모어 히어로즈 2
15위 슈퍼 페이퍼 마리오
16위 몬스터 헌터 트라이
17위 오오카미
18위 마리오 카트 Wii
19위 레드 스틸 2
20위 펀치 아웃!!
21위 오보로 무라마사
22위 파이어 엠블렘 새벽의 여신
23위 죄와 벌: 우주의 계승자
24위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
25위 Wii 스포츠 리조트 }}}}}}}}}

오리지널 버전. 게임 자체는 상기한 대로 수작이지만 Wii 리모콘 조작 특성상 숨 불기, 핸드 슬랩을 쓰려다 의도치 않은 롤링이 나가는 경우가 있어 조작성에서 다소 혹평을 받았다. 게임큐브 컨트롤러Wii 클래식 컨트롤러에도 대응하지 않아 위모컨을 쓸 수밖에 없다.

10.2. 3DS

캐주얼 모드의 추가로 난이도가 높은 본작의 진입장벽이 완화되었고 8개의 추가 코스가 수록되었다. 3DS 특유의 입체시 효과도 상당히 좋다. 플랫폼의 변경으로 모션조작이 버튼조작으로 완화된 것도 장점. 대신 휴대기기의 한계로 인해 해상도와 프레임이 하향(480p -> 240p, 60fps -> 30fps)되었고 원거리 오브젝트를 보기도 힘들어졌다.

퍼포먼스 외에는 열화된 부분도 없어 호평받은 이식작. 다만 HD 리마스터가 발매된 현재는 스위치 쪽이 추천된다.

10.3. HD


위에 각주에서 언급한 이식을 맡은 회사의 전작인 팬저 드래군~ 프론트 미션 리메이크가 모두 크로스 너츠처럼 처참한 완성도의 게임이었기에 발매 전까지 많은 우려가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아쉬운 부분은 있으나 무난하게 이식되었다.

1080p 60fps의 깔끔한 고해상도 그래픽에 텍스쳐와 모델링이 향상되었으며, 모션 컨트롤과 버튼 컨트롤을 모두 지원한다. 3DS판에서 새로 추가된 컨텐츠들도 모두 포함되었다.

몇몇 그림자 묘사가 간략화되었고, 원작에서 누락된 이펙트도 생긴 탓에 연출의 일부 디테일은 3DS보다도 열화됐으며, 기본적으로 60fps로 구동되지만 보스전이나 일부 스테이지에서는 플레이에 크게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닌 수준의 약간의 프레임 드랍이 발생하기도 한다. Wii U 출신 스위치 이식작인 트로피컬 프리즈에 비해 엄청나게 길어진 로딩속도 역시 문제이다. 그나마 이건 메모리 최적화 문제라 스위치2로 플레이 하면 스위치2로 하는 트로피컬 프리즈와 비등하게 빨라진다. 또한 원 제작사인 레트로 스튜디오가 크레딧에서 빠지면서 제작 기록에서 지워진 것이 서양 웹진을 중심으로 논란을 낳았다.[17]

원작이 Wii에서 나온 작품인데다 심지어 Wii U보다 성능이 높은 스위치로 나왔음을 생각해보면 전반적으로 리마스터의 품질은 좋지 않은 편. 2년 전에 출시했던 메트로이드 프라임 리마스터가 스위치의 한계를 끌어내었다는 평가를 받은 것과 비교되어 빈축을 샀다.

이렇게 리마스터 퀄리티는 아쉬운 점이 많지만 게임을 즐기는 데에 큰 문제가 있는 수준은 아니며, 컨텐츠와 퍼포먼스 양쪽 면에서 완전판이라고는 말못해도 평타이상은 하기에 현재 본작을 처음 접하는 유저에게는 어느정도 추천하는 이식작이다.

11. 흥행

전세계 기준 Wii판 653만 장, 3DS판 287만 장으로 히트하여 시리즈의 부활을 알렸다. 시리즈 전성기 때 발매된 동키콩 컨트리 2의 515만 장과 동키콩 컨트리 3의 315만 장을 넘겼으니 대단한 실적이다.[18] 다만 서양 회사인 레트로 스튜디오가 개발을 담당하면서 이전작들보다도 양키 테이스트가 강해졌다보니 컨트리 2와 컨트리 3 시절 전체 매상의 40%를 넘게 책임졌던 일본에서는 Wii 기준 95만 장 판매에 그쳤다.

12. 기타



[1] 우: 닌텐도 셀렉츠 버전[2] 중화인민공화국 전용[3] 그 사이에 동키콩 시리즈는 리듬 액션 게임, 동키콩가 시리즈나 마리오 vs. 동키콩 시리즈 등등 마리오와의 콜라보레이션으로 버티고 있었으며, 게임큐브와 Wii로 발매된 동키콩 정글 비트를 제외하면 그럴싸한 작품이 없었다.[4] 이유는 인수 문제 때문. 파온이 개발을 담당했을 당시에는 기존의 캐릭터들도 조금 유지되긴 했으나, 동키콩 리턴즈 이후 IP 재정비와 방향성 전환과 함께 등장인물을 간소화시켰다. 한마디로 쓰일 놈들만 출연시키고 나머지는 죄다 처리한 것.[5] 한국닌텐도를 통한 정발 자체는 2008년 동키콩 컨트리 1 & 2 버추얼 콘솔 정발이 최초였다. 이후 동키콩 바난자가 한글화되기 전까지는 유일하게 한글화된 시리즈였다.[6] 엑스트라 메뉴에서 볼 수 있는 크랭키콩 상점 컨셉 아트에서는 원래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으로 색 구분이 있었는데 개발 중 취소된 듯하다. 그 잔재인지 맵 상의 크랭키콩 상점에는 3색의 풍선이 걸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7] 실제로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는 일본뿐만 아니라 북미에서도 대히트를 치면서 북미 시장에서도 세가 제네시스와의 피터지는 4세대 콘솔 경쟁을 최종적으로 닌텐도의 승리로 이끌게 해준 체크메이트와 같던 게임이였으며, 그 덕에 미국에는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의 팬들이 많다. 세가에서 세가CD와 32X를 내며 애드온 업그레이드를 시도하고 차세대기인 새턴을 발매하던 시기에 닌텐도는 동키콩 컨트리 시리즈를 통해 기존의 콘솔만으로 발전한 그래픽을 보여주며 대성공했던 것.[8] 한국어판에서의 명칭. 해외판에서는 뉴 모드.[9] 미러 모드에서의 체력은 2가 된다.[10] 독수리 또는 앵무새를 닮았다.[11] 자세히 보면 점프하는 사이에 작은 파리를 잡아먹으려고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12] 영어 명칭을 보면 아마 이빨 달린 블루베리로 비유하는 듯.[13] 일본어로는 もんキー로 몽키와 발음이 같은 말장난이다. 영어로는 단순히 Map Key.[14] 더 하우스 오브 더 데드 시리즈팬저 드래군, 나이트 슬래셔즈, 프론트 미션의 리메이크판 개발사로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전국 캐논, 중장기병 발켄 리메이크를 만든 크로스너츠(X-Nauts)처럼 악명높은 편이며 개발력이 빈말로라도 좋지 못한 회사로 유명하다.[15] 클리어만을 노린다면 해볼만 하지만 수집요소를 모으려 하면 난이도가 급상승하며, 특히 시간을 매우 촉박하게 잡아먹는 타임 어택과 각종 패널티를 받은 채로 레벨들을 거꾸로 플레이해야 되는 미러 모드까지 포함한다면 더욱 괴랄해진다.[16] 후속작 트로피컬 프리즈에서는 개선되어 광차나 로켓나무통 탑승 시 체력 2가 주어지게 되었다.[17] 닌텐도는 리마스터작을 원작과 별개의 작품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어 이전 작품의 크레딧을 싣지 않으나 레트로 스튜디오가 직접 리마스터한 메트로이드 프라임 리마스터 역시 리마스터 제작진만이 등재되어 비슷한 논란이 있었다.[18] 물론 게임 시장의 규모가 2010년대에는 1990년대보다 훨씬 커졌단걸 감안하면 동키콩 컨트리의 실적이 위상은 더 높다. 슈퍼패미콤 플랫폼 시절 다른 작품 중 하나였던 록맨 X 시리즈1편만 겨우 100만장을 넘겼다.[19] 닌텐도쿄애니교토에 있는 회사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