坊 동네 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土,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ボウ, (ボッ), ホウ | ||||||
일본어 훈독 | へや, まち | ||||||
- | |||||||
표준 중국어 | fāng, fá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坊은 '동네 방'이라는 한자로, '동네', '마을'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74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YHS(土卜竹尸)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음을 나타내는 方(모 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가방(街坊)
- 각방(各坊)
- 갑방(甲坊)
- 경방(京坊)
- 계방(桂坊)
- 관현방(管絃坊)
- 교방(敎坊)
- 내방(內坊)
- 덕기방(德驥坊)
- 방각본(坊刻本)
- 방각판(坊刻版)
- 방간(坊間)
- 방간본(坊刊本)
- 방계(坊契)
- 방곡(坊曲)
- 방곽(坊郭)
- 방국(坊局)
- 방내(坊內)
- 방리(坊里)
- 방목(坊木)
- 방민(坊民)
- 방보(坊報)
- 방본(坊本)
- 방사(坊舍)
- 방상(坊庠)
- 방역(坊役)
- 방임(坊任)
- 방장(坊長/坊將)
- 방점(坊店)
- 방주인(坊主人)
- 방촌(坊村)
- 방판(坊版)
- 방환(坊還)
- 본인방(本因坊)
- 부방제(部坊制)
- 송골방(松鶻坊)
- 승방(僧坊)
- 신라방(新羅坊)
- 신준방(神駿坊)
- 야방(冶坊)
- 연방(蓮坊)
- 영견방(永堅坊)
- 우방(右坊)
- 은방주(銀坊主)
- 음방(淫坊)
- 응방(鷹坊)
- 응준방(鷹隼坊)
- 입방(立坊)
- 자운방(紫雲坊)
- 재방(齋坊)
- 전방(錢坊)
- 조준방(調隼坊)
- 좌방(左坊)
- 직금방(織錦坊)
- 창선방(彰善坊)
- 촌방(村坊)
- 춘방(春坊)
- 팔방상(八坊廂)
- 패방(牌坊)
- 홍방(紅坊)
- 화방(花坊)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나오키 도로타보(直木 泥田坊)
- 나카보 아키라(中坊 明)
- 난코보 텐카이(南光坊 天海)
- 무사시보 벤케이(武蔵坊 弁慶)
- 아오타보(青田坊)
- 아텐보 유메(阿天坊 ゆめ)
- 우미보즈(海坊主)
- 우미보즈(은혼)(星海坊主)
- 이완보(夷腕坊)
- 잇칸자카 지단보(一貫坂 兕丹坊)
- 토쿠쟈쿠보 시란(徳雀坊 紫鷺)
- 혼인보(本因坊) 가문의 사람들
3.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연곡면 방내리(坊內里)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내면 방내로(坊內路)
-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갑천면 구방리(舊坊里)
- 경기도 남양주시 수동면 내방리(內坊里)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南坊洞)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坊築里)
- 경상남도 진주시 대곡면 오방로(梧坊路)
-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면 신방로(新坊路)
- 고린보(香林坊)
- 고보나들목(御坊インターチェンジ)
- 광주광역시 북구 서방로(瑞坊路)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坊川里)
-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炭坊洞)
-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현동(坊峴洞)
- 랑팡역(廊坊站)
- 보죠역(坊城駅)
- 부동방면(不動坊面)
- 샹팡역(香坊站)
- 웨이팡베이역(潍坊北站)
- 웨이팡시(潍坊市)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상방리(上坊里)
- 인천광역시 남동구 담방로(淡坊路)
-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초방리(草坊里)
- 충청북도 단양군 단성면 상방리(上坊里)
- 충청북도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龍坊里)
- 키이고보역(紀伊御坊駅)
3.5. 창작물
3.6. 기타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
- 계방고사(桂坊故事)
- 오룡비무방(五龍飛舞坊)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肪(기름 방)
- 紡(길쌈 방)
- 枋(다목 방)
- 𪕃[⿰鼠方](두더쥐 방)
- 㕫(들을 방)
- 防(막을 방)
- 蚄(며루 방)
- 趽(바르지않을 방)
- 昉(밝을 방)
- 𢨲[⿰戶方](방 방)[1]
- 魴(방어 방)
- 妨/㤃(방해할 방)
- 䄱(벼이름 방)
- 仿(본뜰 방)
- 㧍(비슷할 방)
- 𩨣[⿰骨方](살찔 방)
- 汸(세차게흐를 방)
- 舫(쌍배 방)
- 牥(좋은소 방)
- 鈁(준 방)
- 訪(찾을 방)
- 䲱(해오라기 방)[2]
- 彷(헤맬 방)
- 眆(희미할 방)
- 祊(제사이름 팽)
- 𪟀[⿰刀方]
- 𭁌[⿰半方]
- 𢁸[⿰巾方]
- 𢁸[⿰弓方]
- 𪭫[⿰打方]
- 𬊀[⿰火方]
- 𰠚[⿰片方]
- 𭠈[⿰房方]
- 𤤁
- 𣃤[⿰皮方]
- 𫁊[⿰穴方]
- 𬒂[⿰石方]
- 𭽍[⿰白方]
- 𱰫[⿰田方]
- 𫋳[⿰衤方]
- 𮇉[⿰米方]
- 𫎒[⿰貝方]
- 𬬐[⿰鍾方]
- 𩚠[⿰𩙿方]
- 𩖫[⿰風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