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30 08:51:07

김진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개명 전 이름이 김진해였던 여배우에 대한 내용은 김태린(1997년 12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진해 관련 둘러보기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공채 탤런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fff> 서울중앙방송(現 한국방송공사) 탤런트
1기(1961) <colbgcolor=#ffffff,#1c1d1f>김혜자 · 박병호 · 박주아 · 양영준 · 정혜선 · 최길호 · 최정훈 · 태현실
2기(1962) 강부자 · 박규채 · 여운계 · 이묵원
3기(1963) 김민자 · 김상순 · 박근형
4기(1964) 곽경환 · 김진해 · 남일우 · 반효정 · 이일웅 · 장욱제
5기(1965) 남정임 · 백일섭 · 이신재 · 이정길 · 하명중
6기(1966) 김봉근 · 남능미 · 문오장 · 민지환
7기(1967) 김용건 · 이대근
8기(1969) 기정수 · 김병기 · 김윤경 · 김창봉 · 맹호림 · 민욱 · 윤덕용유연우
9기(1970) 김진구 · 백윤식 · 이춘식 · 이원종 · 이진숙 · 이현두 · 장학수 · 장항선 · 황범식
10기(1971) 박혜숙 · 한혜숙
한국방송공사 탤런트
1기(1973) 하미혜
3기(1976) 이한수 · 임혁
4기(1977) 서영진 · 양재성 · 유순철
5기(1978) 권기선 · 정애리
6기(1979) 김미숙 · 선우은숙 · 이덕희
7기(1980) 김선화 · 이미경 · 임혁주 · 정종준
8기(1981) 권재희 · 김현주 · 안문숙 · 장희수 · 조용원 · 주용만
9기(1982) 원석연 · 윤승원 · 이원발 · 이종남 · 이청 · 이화영 · 정복임
10기(1983) 김선영 · 김영배 · 손영춘 · 안승훈 · 양미경 · 이경영 · 이한위 · 이효정 · 장정희 · 최석구 · 최재성 · 한경선
11기(1985) 김일우 · 박진성 · 윤영주 · 정하완 · 차기환 · 한혜진
12기(1987) 이영재 · 이주경 · 최수지 · 황덕재
13기(1989) 권혁호 · 김형일 · 박은영 · 변영훈 · 정재은 · 조재현 · 지경원· 지수원 · 진희진 · 홍륜의 · 홍일권
14기(1991) 강민석 · 곽근아 · 권병준 · 김덕현 · 김선애 · 김성희 · 김정균 · 김정난 · 김하균 · 김호진 · 노현희 · 배도환 · 손현주 · 손호균 · 오성열 · 윤아 · 윤진호 · 이병헌 · 이지형 · 임성민 · 조하나 · 최정원 · 함석훈 · 황준원
15기(1993) 강신조 · 김경응 · 김광영 · 김미라 · 김용준 · 김원배 · 김태형 · 박민아 · 박유승 · 박윤선 · 배윤진 · 손종범 · 신소민 · 오지영 · 이주화 · 임호 · 조민희
16기(1994) 김서형 · 성지은 · 윤손하 · 이병욱 · 이윤수
17기(1995) 김광필 · 박상아 · 박현정 · 송윤아 · 이형철 · 정의갑 · 정혜정 · 차태현 · 최재원 · 하다솜
18기(1996) 강경헌 · 김애란 · 김태우 · 박선영 · 신소미 · 안신우 · 유지연 · 윤지숙 · 은세연 · 이상인 · 이주현
19기(1997) 강성진 · 강양화 · 강우경 · 고세원 · 구자미 · 권이지 · 박상욱 · 박정철 · 배민희 · 서동수 · 서윤재 · 이은주 · 이칸희 · 황은하
20기(2003) 고규필 · 김하은 · 신동욱 · 이지훈 · 정겨운 · 정경호 · 지현우
21기(2008) 가득희 · 김예랑 · 김은유 · 이재우 · 지주연 · 최윤영
}}} †: 사망한 탤런트
※ 특채 탤런트, TBC 공채 탤런트는 제외
※ 나무위키 등재 인물만 기입}}}}}} ||

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
파일:baeksangartsawards4.png
TV 부문 남자 최우수 연기상
제12회
(1976년)
제13회
(1977년)
제14회
(1978년)
김무생
(집념)
신구
(타향)
김진해
(처용무)
한진희
(맏며느리)
최불암
(당신)
이낙훈
(천녀화)
}}} ||
파일:배우 김진해.jpg
이름 김진해(金鎭海)
출생 1941년 11월 2일
강원도 양양군 양양읍 청곡리[1]
사망 2005년 6월 26일 (향년 63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가족 부인 강애자, 아들 김정일
학력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 / 학사)
데뷔 1964년 KBS 공채 탤런트 4기

1. 개요2. 생애3. 출연 작품
3.1. 드라마3.2. 영화3.3. 연극3.4. 광고
4. 수상 경력5.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배우.

2. 생애

1941년 11월 2일, 강원도 양양군 양양면 청곡리에서 부농이던 김필구의 2대 독자로 태어났다. 부친은 젊은 시절에 가난에 시달리다 만주로 가서 장사해서 돈을 벌어다가 귀국 후, 양양으로 내려가 땅을 사서 이 곳에 정착해 온 것이다. 어린 시절부터 양양초/중/고등학교를 두루 다니면서 초등학교 시절부터 학예회마다 노래와 연극을 전부 도맡아 했고, 고향이 휴전선 인근에 있어서 일선 장병 위문을 다니고 고교 시절에는 트럼펫을 불면서 예능 쪽에서 소질이 돋보이기 시작했다. 스포츠에서도 소질이 있어서 유도 및 배구선수로도 활동한 바 있다.

고교 졸업 후 상경해서 한양대학교 연극영화과를 다니며 극단 '실험극장'에서 주최한 셰익스피어 축제에서 <리어왕>에 나오는 등 연극 활동을 많이 했고, 극단 '신형무대'에도 참여한 바 있다. 1962년 제1회 전국대학TV드라마경연대회에서 한양대 대표로 나가 <광산골 이야기>란 작품에서 열연한 끝에 최우수 연기상을 수상해 자동적으로 탤런트가 됐다. 1964년, KBS 공채 4기 탤런트로 데뷔하여[2] 일요연속극 <모란이 지는 날>로 데뷔한 후, 초기에는 이남섭 작가의 작품에 많이 출연했고, 영화에서는 김응천 감독 작품에 많이 나오며 개성이 강하고 파워풀한 연기를 주로 선보였다.

그러나 지병이던 당뇨병이 점차 나빠져 2001년, 태조 왕건을 끝으로 연기 일선에서 물러났으며, 2002년에 고향으로 귀향하였다. 이후 증세가 점차 심해져 동맥경화까지 앓았다. 게다가 혈액순환 장애로 한쪽 다리를 절단했고, 2005년 3월에는 양양 고향집마저 산불 사고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한동안 낙산요양원에서 생활해오다 5월 20일, 병세 악화로 강릉아산병원으로 옮겨졌으나 6월 26일 새벽 1시 10분에 당뇨 합병증으로 향년 63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3. 출연 작품

3.1. 드라마

3.2. 영화

3.3. 연극

3.4. 광고

4. 수상 경력

5. 참고 자료



[1] 1977년 동아일보 기사.[2] 다만 <TV가이드> 1982년 제40호 기사에선 특채되었다고 나와 있다.[3] 1991년 대하드라마와 다른 여말선초 사극.[4] 군사교육 영화.[5] 국방부 국방홍보원 제작.[6] 문화영화.[7] 광고 방영 당시 그야말로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다. 아랫목을 찾아 들어간 후 “어이구, 설설 끓는구나”라고 한 대사가 압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