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9px" | 갈문왕 | ||||||
사요 갈문왕 | 허루 갈문왕 | 마제 갈문왕 | 일지 갈문왕 | ||||
지소례 갈문왕 | 아도 갈문왕 | 세신 갈문왕 | 구도 갈문왕 | ||||
이칠 갈문왕 | 내음 갈문왕 | 복승 갈문왕 | 만천 갈문왕 | ||||
<rowcolor=#FBE673> 눌지 마립간 | 자비 마립간 | 소지 마립간 | 법흥왕 | ||||
파호 갈문왕 | 습보 갈문왕 | 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 입종 갈문왕 | ||||
<rowcolor=#FBE673> 진평왕 | 선덕여왕 | ||||||
진정 갈문왕 | 진안 갈문왕 | 문흥 갈문왕 | 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 ||||
추존 국왕 | |||||||
은열왕 | 문열왕 | 감문왕 | 문의왕 | ||||
장렬왕 | 장무왕 | 세조 | 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 ||||
문흥왕 | 흥무왕 비 왕족 | 개성왕 | 현성왕 | ||||
신영왕 | 흥평왕 | 명덕왕 | 혜충왕 태자 | ||||
익성왕 | 선강왕 태자 / 갈문왕 | 혜강왕 | 성덕왕 | ||||
의공왕 | 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 선성왕 | 흥렴왕 | ||||
성무왕 | 성희왕 | 의흥왕 | 신흥왕 | ||||
비정통 국왕 | |||||||
<rowcolor=#4a2d5b,#fff> 김인문 괴뢰왕 | 김헌창 장안왕 | 김범문 장안왕위 요구자 | 박언창 후사벌왕 | }}} {{{#!wiki style="margin: -29.5px -1px -11px" | 문헌상 언급 | ||
이사지왕 | 낭자왕 | 각절왕 | |||||
유탑왕 | 진솔왕 | 우류조부리지간 | |||||
지고 | |||||||
}}}}}}}}}}}} |
입종 갈문왕 관련 틀 | |||||||||||||||||||||||||||||||||||||||||||||||||||||||||||||||||||||||||||||||||||||||||||||||||||||||||||||||||||||||||||||||||||||||||||||||||||||||||||||||||||||||||||||||||||||||||||||||||||||||||||||||||||||||||||||||||||||||||||||||||||||||||||||||||||||||||||||||||||||||||||||||||||||||||||||||||||||||||||||||||||||||||||||||||||||||||||||||||||||||||||||||||||||||||||||||||||||||||||||||||||||||||||||||||||||||||||||||||||||||||||||||||||||||||||||||||||||||||||||||||||||||||||||||||||||||||||||||||||||||||||||||||||||||||||||||||||||||||||||||||||||||||||||||||||||||||||||||||||||||||||||||||||||||||||||||||||||||||||||||||||||||||||||||||||||||||||||||||||||||||||||||||||||||||||||||||||||||||||||||||||||||||||||||||||||||||||||||||||||||||||||||||||||||||||||||||||||||||||||||||||||||||||||||||||||||||||||||||||||||||||||||||||||||||||||||||||||||||||||||||||||||||||||||||||||||||||||||||||||||||||||||||||||||||||||||||||||||||||||||||||||||||||||||||||||||||||||||||||||||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신라의 갈문왕 입종 갈문왕 | 立宗 葛文王 | |||
출생 (음력) | 연대 미상[1] | ||
신라 | |||
사망 (음력) | 537년[2] | ||
신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 경주 김씨 | |
휘 | 입종(立宗) / 사부(徙夫) | ||
부모 | 부왕 지증왕 모후 연제부인 | ||
왕후 | 지소태후 | ||
자녀 | 아들 김삼맥종, 김숙흘종 딸 만호부인 | ||
호칭 | 입종 갈문왕(立宗 葛文王) | ||
별호 | 사부지 갈문왕(徙夫知 葛文王) | ||
골품 | 성골(聖骨) | ||
부족 | 사탁부 | }}}}}}}}} |
[clearfix]
1. 개요
신라 중기의 왕족. 갈문왕. 신라 제22대왕 지증왕의 아들이자, 제23대왕 법흥왕의 동생, 제24대왕 진흥왕의 아버지이다. 무려 세 왕과 연관이 되어 있으며, 고대 한국 왕가의 근친혼에 따라 법흥왕과는 사위 관계가 형성되기도 한다.기록이 너무 없어서 단편적인 생애밖에 확인이 불가능하지만, 그래도 각종 금석문을 통해 그의 행적을 어느 정도 확인해볼 수 있다.
2. 상세
사탁부의 사부지 갈문왕(徙夫知葛文王·徙夫智葛文王)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여기서 '사'는 음이 비슷한 '서'의 한자 '입立'을 쓴 것으로 보이고 '종宗'='부夫'인 것은 삼맥종(심맥부), 태종(이사부), 황종(거칠부) 등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다. 당시의 신라어로 이름을 재현하자면 '사보(사부)' 또는 '서보(서부)' 정도가 될 것이다. '지'는 다른 신라 금석문에서도 많이 나오는데 높은 신분을 가진 사람의 이름 끝에 붙이는 존칭 어미로 보인다. 부인은 법흥왕의 딸인 지소태후다. 이 사람에 대한 행적은 울진 봉평리 신라비와 울주 천전리 암각화에 남아있다.이를 통해서 보면 적어도 524년에는 사탁부의 사부지 갈문왕으로 있었고, 법흥왕과 거의 대등한 지위로서 국정에 참여했다. 어느 시점에 법흥왕의 딸인 지소태후와 결혼하여, 534년에 삼맥종을 낳았고, 이후 숙흘종과 만호부인을 낳았고, 537년에 죽었다는 것이 된다. 다만 만호부인의 경우 537년생이라고 가정하면 534년생인 진흥왕의 맏아들 동륜태자와 혼인하는 것에 대해서 잘 알 수 없게 된다. 진흥왕이 성인이 되어 바로 동륜태자를 낳았다고 쳐도 548년생으로 아내인 만호부인과 11살 차이가 나기 때문.
입종은 법흥왕의 왕권 강화 정책에 어느 정도 일조한 사람으로 추정된다. 법흥왕의 경우 지증왕의 재위 기간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이 높고 이후 왕실의 분란을 최대한 잠재우기 위해서 자신의 동생을 왕실이 차지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부인 사탁부의 수장으로 앉혀서 국정에 참가하게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면서 차후 왕위 계승에 대한 안정성까지 더하게 만들었다고 보면 되겠다.
3. 기타
신라 왕계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인물이다. 그의 아들인 진흥왕의 자손들이 혜공왕 대까지 지속적으로 왕통을 이어받았고, 그의 또 다른 자식인 숙흘종이 만명을 낳았고, 그 만명이 금관국 왕족 출신인 김서현과 결혼했는데 알다시피 김서현은 김유신과 태종 무열왕의 정비인 문명왕후를 낳았다. 그리고 태종 무열왕과 문명왕후에서 낳은 아들인 문무왕의 자손들이 역시 왕위를 이어가게 된다.[1] 지증왕과 모후 연제부인이 500년에 혼인했고 형인 법흥왕의 존재도 있기에 최소 500년대 중~후반에 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지증왕과 연제부인의 혼인 시기를 조금 더 당긴다면 490년대 출생도 가능하다.[2] 울주 천전리 암각화를 기반으로 전호태 교수의 해석을 따를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