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1 13:48:53

금도끼 은도끼

파일:external/mythfolklore.net/i069_th.jpg
1911년, 미국에서 발간된 동화책 'Aesop for Children'의 삽화

1. 개요2. 줄거리3. 각색 및 패러디

1. 개요

금도끼 은도끼그리스아이소포스가 지은 우화인 이솝 우화에 수록된 이야기로 원제는 '나무꾼과 헤르메스'이다.

국내에는 대한교육회가 1906년과 1907년에 간행한 초등소학 권7 제28장 '도끼'에서 처음 소개했다. 여기서는 산신령이나 신이 아니고 그냥 노인이라고 나오는데, 결말부에서는 알고보니 임금이었더라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한국민속문학사전에서는 금도끼 은도끼를 국내에 처음 소개한 것이 1896년 출간된 신정심상소학(新訂尋常小學)이라고 했는데 잘못된 출처다. 신정심상소학에는 이솝 우화 몇 편이 수록되어 있어 이솝 우화를 처음 국내에 소개한 책이기는 하지만 여기에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는 빠져 있다.

한국 전래동화에선 강가가 산 속 연못으로, 그리고 헤르메스산신령으로 각색된 버전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런데, 원판이 이솝 우화라는 사실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지라 어릴 때에는 한국의 전래동화인 줄 알고 있다가 뒤늦게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워낙 한국인에게 친숙한 이야기였기 때문에 설령 이솝 우화를 아는 사람이라도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만큼은 한국 고유 전래동화인 줄 아는 경우가 꽤 많다. 사일런트 힐 3의 산신령 이벤트나 도라에몽의 나무꾼 연못 등 일본의 미디어에서 금도끼 은도끼 이야기가 나오면 일본인들이 한국 설화를 어떻게 알았는지 신기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사실 현지화된 사례는 외국에도 존재하는데, 일본에서도 마찬가지로 에도시대로 각색되어 나오고, 인도에서는 헤르메스가 힌두교 여신으로 각색되어 나오거나, 미국에서는 나무꾼이 미국에서 굳혀진 나무꾼의 스테레오타입빨강 체크무늬 상의에 멜빵, 그리고 청바지 차림으로 등장하며, 헤르메스 대신 정령(Spirit)이 나온다.[1]

2. 줄거리

어떤 나무꾼이 벌목을 하다가 그만 하나뿐인 도끼가 강물에 풍덩 잘못 빠져서 엉엉 울고 있었다. 그런데 제우스 신의 명령을 받고 제우스의 명령을 전하러 가던 전령의 신 헤르메스가 이 모습을 목격하여 그 이유를 듣고 측은히 여겨 강 속에 들어가 번쩍번쩍 빛나는 금도끼를 들고 나와 이것이 잃어버린 도끼냐고 물었다. 나무꾼이 아니라고 대답하자 이번에는 반짝반짝 윤이 나는 은도끼를 들고 나왔다. 은도끼도 나무꾼의 물건이 아니라고 하자 헤르메스는 세 번째로 물 속에 들어가 나무꾼의 낡아빠진 쇠도끼를 들고 나왔다. 쇠도끼야말로 자신의 도끼라고 대답하자, 헤르메스는 나무꾼의 정직함을 가상하게 여겨 금도끼와 은도끼까지 모두 상으로 주었다.

나무꾼이 금도끼와 은도끼, 쇠도끼를 모두 얻었다는 소문이 널리 퍼져나가더니 이웃에 사는 욕심쟁이의 귀에도 들어갔다. 욕심쟁이는 그 길로 나무꾼을 찾아가 어떻게 해서 금도끼와 은도끼, 쇠도끼를 모두 얻었는지 물었다. 나무꾼은 친구에게 자신이 겪은 일들을 다 이야기해 주었다. 배가 아파진 욕심쟁이는 즉시 강으로 달려가 일부러 도끼를 강물에 집어던지고는 엉엉 우는 시늉을 하였다. 헤르메스 신이 나타나 금도끼를 보여 주자 욕심쟁이는 금도끼가 바로 자기 것이라고 대답했고 은도끼를 보여주니 은도끼도 자기 것이라고 대답하고 쇠도끼는 자기 것이 아니라고 대답하였다. 욕심쟁이의 욕심과 거짓말을 괘씸하게 여긴 헤르메스는 도끼를 찾아주지도 않은 채 그대로 사라져 버렸고, 그렇게 욕심쟁이는 본인의 도끼를 찾지 못한 것은 물론 금도끼와 은도끼도 얻지 못했다.

판본에 따라서는 헤르메스가 금도끼를 내밀었을 때 욕심쟁이가 금도끼가 자기 것이 맞다고 대답하자 헤르메스가 금도끼를 뺏고 욕심쟁이의 도끼를 찾아주지도 않은 채 그대로 사라져버렸다는 결말이 있다. 그리고 한국 전래동화에선 헤르메스가 산신령으로 바뀌고, 강물이 연못으로 바뀐 버전으로 나온다.

3. 각색 및 패러디



[1] 주로 어린아이들이 읽기위한 동화는 아이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정서를 고려하여 변형하는 경우가 흔하며, 금도끼 은도끼 역시 그런 사례 중 하나인 것이다. 다만 세간의 인식과 다르게 이솝 우화는 마냥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가 아닌데다 오히려 이야기 속 교훈을 어른이 되어서 곱씹게 되는 경우도 많다. 자세한 것은 이솝 우화 참조.[2] 인게임 모델링은 ADS.[3] 1. 금도끼, 2. 은도끼, 3. 둘 다 아님, 4.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