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01:50:47

국방부 근무지원단

국방부근무지원단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국방부 근무지원단/정비수송대대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직할부대 백색.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사학교
파일:합동군사대학교 엠블럼.svg
합동군사대학교
파일:국방대학교 엠블럼.svg
국방대학교
파일:국군간호사관학교 마크.svg
국군간호사관학교
합동부대
파일:사이버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사이버작전사령부
파일:국군지휘통신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지휘통신사령부
파일:국군수송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수송사령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국군심리전단
파일:드론작전사 부대마크.png
드론작전사령부
파일:대한민국 전략사령부_2.png
전략사령부
군 사법기관
파일:국방부 조사본부 로고_미니.svg
국방부 조사본부
파일:국방부 검찰단 휘장.png
국방부 검찰단
파일:군사법원 심볼마크.png
군사법원
정보기관
파일:국군방첩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방첩사령부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국방정보본부
근무지원단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계룡대 근무지원단
기타 부대
파일:국군의무사령부 부대마크.svg
국군의무사령부
파일:국방시설본부 마크.svg
국방시설본부
파일:fmc_logo.png
국군재정관리단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국군체육부대
파일:국방정신전력원 부대마크.svg
국방정신전력원
파일: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png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파일:군사편찬연구소 마크.svg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파일: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마크.svg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군 책임운영기관
파일:국방출판지원단 부대마크.svg
국방출판지원단
파일:DIDC_logo.png
국방통합데이터센터
파일:국군복지단 부대마크.svg
국군복지단
}}}<colbgcolor=#c51426><colcolor=#FFF> ※ 참고 : 국방부 조직 및 소속기관, 직할부대 예하부대
합동참모본부 [[대한민국 육군본부|{{{#!wiki style="background-color: #1e3775; padding: 0px 3px; border-radius: 8px; display: inline-block"
국방부 소속기관 국방홍보원, 국방전산정보원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 한국국방연구원, 전쟁기념사업회, 국방전직교육원
국직부대 예하 국방부 조사본부 예하: 국군교도소 | 국군방첩사령부 예하 : 국군방첩학교, 국방보안연구소 | 국방정보본부 예하: 국군정보사령부, 777사령부 | 계룡대 근무지원단 예하: 자운대 근무지원단 | 국군의무사령부 예하 : 국군의학연구소, 국군의무학교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파일:계룡대 근무지원단 로고.png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학생군사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지상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국방부 근무지원단 계룡대 근무지원단
자운대 근무지원단
상무대 근무지원단 학군교 근무지원단 지작사 근무지원단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육군3사관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png 파일:공사근지단.png
2작사 근무지원단 육사 근무지원단 3사 근무지원단 공작사 근무지원단 공사 근무지원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국군병원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 파병부대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
국방부 근무지원단
國防部 勤務支援團
MND Service Support Group
파일:국방부 근무지원단.svg
충성, 책임, 전문성, 화합
<colbgcolor=#c51426> 창설일 1989년 7월 1일 ([age(1989-07-01)]주년)
약칭 국근지단
소속 대한민국 국군
상급기관 대한민국 국방부
규모
역할 대한민국 국방부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근무 지원
단장 육군 준장 정상협(육사 52기)
참모장 육군 대령 장영탁(육사 52기)
위치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2[1][2]
용산기지

1. 개요2. 상세3. 편제4. 출신 인물
4.1. 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5.2. 단가
6. 사건사고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국방부근무지원단령
제1조(설치)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국방정보본부, 국방부 조사본부, 국방시설본부, 국방부 군비통제검증단, 중앙지역군사법원, 국방부 검찰단, 공관, 그 밖에 국방부장관이 정하는 부대 또는 기관에 대한 근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방부장관 소속하에 국방부근무지원단(이하 "근무지원단"이라 한다)을 둔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을 근거지로 하는 대한민국 국방부 소속 . 1989년 7월 1일 창설되었다.

2. 상세

국방부 본청 및 영내 부대 근무를 지원하는 국방부 직할단급 부대. 단장은 준장이 맡아왔으나 2019년 12월 1일부터 근무지원단령 개정에 따라 2급 상당의 군무원이 맡는다.

1989년에 창설되었다고는 하지만, 1989년 이전에도 국방부에 근무하는 병사들은 분명 존재했다. 국근단 창설 이전에는 육군본부 본부사령실 병력이 국방부를 지원하였으나, 1989년 각 군 본부가 계룡대로 이전하면서 서울에 남아 있는 국방부를 지원하기 위해 근무지원단이 창설되었다.

국방부 직할부대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타 육군 부대들처럼 팔에 부대마크를 부착하지 않고, 가슴 쪽에 부대마크(국방부 마크)를 부착했었다. 다만 부대 단합심 목적으로 2017년 8월 이후로는 부대마크가 생겼다.

정복근무복에는 철제, 전투복에는 포제를 부착한다. 또한 전입 신병에게도 근무복[3]단화가 지급된다.

대한민국 국방부 안에서 일한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군인들에게 있어 여기가 근무할 수 있는 최상위권 편제의 부대라고 할 수 있다. 간부들이라 할지라도 국방부 이상급의 부대에서 근무하는 건 매우 어렵다. 다만 엄밀히 말해서 여기가 국방부 그 자체는 아니다. 국방부 내에도 엄연히 현역 군인들이 있다. 예컨대 국방부 정책기획관의 경우 국방부에 소속된 군인이지 국방부 근무지원단에서 근무하는 군인이 아니며, [4] 계급도 소장으로 근무지원단장인 준장보다 높다. [5]

3. 편제

4. 출신 인물

국방부근무지원단령
제3조(단장 및 부단장)
①근무지원단에 단장과 참모장 각 1명을 두되, 단장은 2급 이상 군무원으로, 참모장은 영관급 장교로 보한다.
②단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근무지원단의 업무를 통할하고, 소속단원을 지휘·감독한다.
③참모장은 단장을 보좌하며, 단장이 사고가 있을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4.1. 단장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군 장성 수 감축우로 인하여 단장이 군무원 2급 보직[9]으로 바뀌긴 했는데, 과거 국방부근무지원단장의 경우 높은 확률로 장성 진급이 유력한 자리였다. 다만 최근 국방부에 따르면 근무지원단장의 직위를 군무원(2급)에서 준장으로 전환·추진을 위해 국방부근무지원단령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역대 국방부 근무지원단장
대수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00대 박성규 예) 육군 대장 3사 10기 제1야전군사령관
00대 이달섭 예) 육군 준장 학군 19기
00대 박재원 예) 해병 소장 해사 36기
00대 황우현 예) 해병 소장 해사 37기
00대 류지영 예) 해병 준장 2사 6기
00대 조병권 예) 공군 소장 공사 00기
00대 강규식 예) 공군 소장 공사 35기 제1전투비행단
00대 박한주 공군 소장 공사 37기 국방정보본부 해외정보부장
00대 조덕구 예) 공군 준장 공사 36기 제20전투비행단
00대 김승호 2급 군무원(군무이사관) 해병대 제9여단[10]
00대 강대용

4.2. 장교/부사관

4.3.

5. 기타

5.1. 근무환경

육군 병사들 입장에서는 타 국방부 직할부대 수준으로 편한 편이다. 부대 안에 헬스장, 목욕탕[12] 오락실(X박스), 노래방 등은 기본이다.[13] 부대 내에 BBQ치킨, 파리바게뜨, 육군회관, 피자마루, 카페, 우체국, 은행, 안경점, 휴대폰 대리점 등이 있다. 도심에 있고, 위병소만 통과해도 이태원동이 떡하니 있고, 용산 재개발사업 이후로는 삼각지-용산 일대도 엄청나게 좋아졌다. 집이 지방이라고 해도 휴가 나와서 서울역, 용산역이 순식간이다. 또 국방부 군악대와[14] 국군교향악단 그리고 국방부 의장대(일부 중대)는 동작동 국립현충원 안에 위치해 있어서 정문을 나오면 바로 앞이 4, 9호선 동작역이다.

전체적인 생활환경과 분위기는 계룡대 문서의 서술과 매우 흡사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다. 영관급이 발에 채이고 장성급이 즐비한 만큼 병사에게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위기는 마찬가지나, 국방부는 그걸 넘어서 민간인이 반 이상이기 때문이다. 계룡이야 육, 해, 공군본부가 있는 곳이니 만큼 민간인이 있어봐야 군무원 정도겠지만 국방부는 5급 공무원들이 주류를 차지하고 군인들도 이들에게 물드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간혹 요상한 영관/장성/공무원을 만난다 해도, 애초에 병사를 집어서 뭐라고 할 수 있는 분위기도 아니다.

사실상 군대 분위기가 아니라는 뜻. 당연할 수밖에 없는 게, 위병소 나오면 앞에 보이는 게 이태원이다.

국방부 본청에서 근무하는 병사들[15] 중 일부는 2018년 기준 사복을 입고 근무하도록 되어 있다. 꼭 사복이 아니더라도 근무복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와이셔츠에 단화 형태라 무거운 전투복, 전투화보다는 확실히 편하다.

시설 면에서는 국군에서 가히 최상급이라고 말할 수 있다. 2012년 중반까지만 해도 30~40년 된 낡은 건물에 지내는 대대[16]가 있는가 하면 새로 지은 건물이긴 하나 초과된 인원이 수용되어 닭장처럼 지내는 대대도 있었지만 2012년 신병영생활관 및 국방부근무지원단 본부 건물이 완성되면서 낡은 건물에 주둔중인 대대와 초과 인원이 수용되어 지내던 대대가 분산 이주하여 2016년 현재 새로 지어진 생활관에서 지내고 있으므로 상급수준이다. 생활관동의 시설이 타 부대에 비하면 굉장히 좋은 편이긴 하나 행정동 등 간부들 구역에 비하면 수준이 많이 떨어진다.

지원대대, 의장대대, 정비수송대대, 군사경찰대대, 시설대대, 군악대대가 있다. 모두 용산의 국방부 영내에 있는건 아니고 위에서 언급했듯이 일부는 영외에 떨어져 있다.

지원대대, 정비수송대대, 군사경찰대대, 시설대대는 같은 근무지원단 생활동에서 생활하고 의장대대는 의장대대 전용 건물에서, 군악대대는 현충원에서 생활한다. 군사경찰대대의 경우 경계근무를 하는 곳이 국방부 뿐만이 아니라 공관에서도 경계 근무를 하므로 60군사경찰대가 국방부에서 떨어져 영외에 있는 한남동 공관촌에서 근무를 한다. 정비수송대대의 경우 장군운전병 중대에 한해서 외부(해지단, 항안단, 기타부대)에서 파견나가기도 한다.

국방부답게 장성들이 많으며 이곳에서 별을 보는 건 흔한 일이다. 각 대대별로 설명하자면, 지원대대는 국방부, 합참, 체단장, 근지단 시설, 군종실 등에 행정지원 및 인력 지원하는 대대[17].이며, 시설대대는 소방대와 영선중대 등 인원이 많다. 전 청사 시설을 관리하며 대부분 업체들과 협력한다. 군사경찰대대는 청사 보안 통제와 울타리 순찰 및 정문, 동문, 서문과 후문관리를 주로 담당하며 청사완벽 방호를 담당한다.

아무래도 군사경찰은 경계 및 경호 임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소속대대 중에 병력 편제가 제일 많은 편이다. 편제가 많다고 하나, 항상 근무 투입 인원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또한 압존법과 이로 인한 선임 기수 암기강요, 후임급 병사의 조기기상 강요 등 병영부조리가 심한 편에 속한다.

이 가운데 정비수송대대로 발령받게 되면 장군운전병이 될수 있다.[18] 면접을 거쳐 경쟁 속에서 뽑히게 되는 선택받은 꽃보직이지만[19] 무게감만큼 책임감도 크기에 품위 유지 및 기밀 유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 일반 운전병들에 비해 장군운전병들은 조기출근과 늦은 퇴근이 일상이다. 따라서 평일에 아침점호를 받는 일은 거의 없을 뿐더러 저녁점호도 총 인원의 절반도 채 안되게 받는다.[20] 일반 운전병들은 국방부 내의 차량정비 및 운행지원을 담당한다.

군악대대는 현충원 의장대와 함께 현충원에 떨어져 있으며, 각종 행사를 같이 뛴다. 의장대대는 국방부, 한미연합군사령부, 국립서울현충원 의장대대로 나뉘어 정부 의전행사와 군 행사를 뛴다. 특히 의장대대와 군악대대는 대통령 임석 국경일 경축식, 대통령실 의장행사, 외국 국빈 환영식 등 대한민국 국가 1호 의전행사에 투입되는 부대이며, 3.1절이나 광복절 기념식 때 TV에서 보이는 그 부대 맞다. 다시 말해 대한민국 국군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부대이다[21]

공군 병사들의 경우, 특수한 케이스를 제외하면 훈련단 및 특기학교 등수가 중하위권인 병사들이 배속된다. 성적이 좀 되는 경우 국직부대인 여기 오느니 똑같이 서울에 있는 공군항공안전단이나 제3미사일방어여단 본부를 지원한다.

나는 반드시 이곳에서 근무하겠다! 해서 자의로 가는 방법은 자신의 키가 180을 넘긴 상태에서 국방부 의장대 면접을 보고 합격하면 된다(...)[22] 혹은 음악 전공자라면 실기연습을 빡세게 해서 국방부 군악대대 모병시험에 합격하면 된다.[23]참고로 육군만 해당. 타군의 경우에는 훈련소에서 키 크면 운 좋게 뽑혀간다.

5.2. 단가


(1989~2019년경까지 쓰였던 단가)
1절
동해에 터오는 찬란한 태양이
우리들의 뜨거운 가슴을 비추네
백두산 높은 기상 선열의 얼을이어
우렁찬 함성으로 하나가 되리라
아아 아아 아아 아아아
조국의 하늘 겨레의 땅 우리의 바다
반만년 지켜온 한강의 숨결
선봉에 서리라 국방부 근무지원단
2절
화려한 금수강산 우뚝선 낙락장송
겨레의 가슴속에 피어난 무궁화 꽃
위대한 통일 조국 앞날을 내다보며
멸공의 그 날까지 충성을 다하리라
아아 아아 아아 아아아
조국의 하늘 겨레의 땅 우리의 바다
반만년 지켜온 한강의 숨결
선봉에 서리라 국방부 근무지원단

(2019~현재 단가)
1절
조국의 밝은 미래가 우리를 부른다
대한의 전사들아 다함께 달려가자
이곳에 모여 남산의 기상 받은 우리
하나로 단결하여 힘차게 지켜내자
드넓은 대지 푸른바다 높은하늘 가슴에 안고
조국을 비추는 국방부 근무지원단
2절
국민의 꿈과 희망은 우리가 지킨다
태극의 용사들아 굳세게 나아가자
하나로 뭉쳐 한강의 물결타는 전우야
백두에서 한라까지 완벽히 지켜내자
드넓은 대지 푸른바다 높은하늘 가슴에 안고
조국을 비추는 국방부 근무지원단

6. 사건사고

7. 여담

8. 관련 문서



[1] 국방부 영내 근무지원을 위해 만들어진 부대이기에 국방부 내에 있다.[2] 군악대대와 의장대대 중 일부 중대는 서울현충원(동작구 현충로 210)에 주둔한다.[3] 공군에서는 근무복을 약복이라 칭한다.[4] 뉴스 기사 참조. 보다시피 당시 국방부 정책기획관인 장경수 준장은 국방부 근무지원단 부대표지를 포함한 그 어떠한 부대 표지도 달지 않고 있다. 심지어 국직부대 마크도 안 달았다.[5] 더 높은 위치에 현역 군인이 있는 경우로, 대통령실에도 엄연히 군 시설이 들어있어서 대통령실에서 직속으로 근무하는 군인들이 있다. 물론 국가안보실 국방개혁비서관, 국가위기관리센터장처럼 장성급이 아니라면 못 들어갈 정도의 높은 자리이긴 하다. 참고로 대통령경호처 지원부대도 있긴 한데, 이들은 공식적으로 대통령실 직속이 아닌 수도방위사령부(제33군사경찰경호대, 제55경비단, 제88경호지원대), 국군지휘통신사령부(제90정보통신단) 소속이다.[6] 대대장 심언호 중령[7] 대대장 김진수 중령[8] 왜인지 모르겠으나 어줍짢은 엘리트의식(?)이 있는지 식당에서 종종 타 대대원들과 마찰의 원인이 된다[9] 말이 좋아 군무원 2급 보직이지, 실제로는 예비역 준장 몫이나 다름이 없다. 전역한 이후에 군무원 특채 형식으로 예비역 준장을 채용한 후 보직한다.[10] #[11] 당시 헌병대 군기헌병[12] 목욕탕은 PX 바로 근처에 있으나,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듯 하다.[13] 사실 헬스장과 오락실은 미군 측 시설이긴 하지만.[14] 국방부 군악대 역시 육방부의 나라답게 육군 소속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육군본부 군악실에서는 이들 육군 소속 국방부 군악대 병력을 A급 군악대로 취급, 관리한다.[15] 정확히 말하면 국방부 각 부서에서 일하는 행정병이 아니고 군사경찰이나 당직병, 통신병 등을 이야기한다. 국방부는 정확히 말하면 군 부대가 아니라 중앙행정부처이기 때문에 행정병이 일할 수 없다. 사실 행정병 감축 추세로 인해 당장 육/해/공군본부에도 행정병은 공식적인 티오는 없어진 지가 한참 되긴 했다.[16] 헌병대대[17] 나머지 대대(의장, 정비, 군사경찰, 시설, 군악)에 대한 인사 등의 업무도 수행한다.[18] 대한민국 군인 상위 0.000001% 꽃보직의 최정상[19] 요즘에는 선발 방식에 문제가 있다 하여 다른 부대와 똑같이 뺑뺑이로 오기도 한다고는 하지만…?[20] 장군들의 일정에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출근/퇴근시간이 고정되어 있지 않다.[21] 국군을 대표하고 제일이 되어야 하는 부대가 되어야 하기 때문인지 군악대대의 인원들을 보면 상당수가 고학력자이다. 해외 유명 음대 출신들이 다 온다고 봐도 된다.[22] 다만 명심해야 할 것은, 의장대는 행사에서 실수하는 순간 그대로 개망신이 되기 때문에 부대 위치는 편하다고 해도 군기가 생각보다 강하게 잡혀서 생활은 빡센 편이다.[23]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의전부대라서 경쟁률은 상위권 음악대학 입시 수준이며 장병들의 실기능력은 TOP 1이다.[24] 뭔가 특수 임무를 맡고 있는 비밀부대 출신이라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