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22:10:11

구형왕

구해왕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F3268, #3d428b 20%, #3d428b 80%, #2F3268);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금관가야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수로왕 거등왕 마품왕 거질미왕 이시품왕
<rowcolor=#fbe673>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좌지왕 취희왕 질지왕 겸지왕 구형왕
<rowcolor=#fbe673>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봉사손
김세종 김솔지 김무력 김서현 김유신
<rowcolor=#fbe673> 대가야
<rowcolor=#fbe673> 초대 계보 미상 제?대 제?대 제?대
이진아시왕 금림왕 기본한기 하지왕
<rowcolor=#fbe673> 계보 미상 제9대 계보 미상 제16대 태자
이뇌왕 도설지왕 월광태자
<rowcolor=#fbe673> 소가야(족보상 언급)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말로왕 대아왕 미추왕 소간왕 아도왕
<rowcolor=#fbe673>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질노왕 거아왕 달나왕 이형왕
<rowcolor=#fbe673> 아라가야 탁순국 탁국
<rowcolor=#fbe673> 제?대 제?대 말대 제?대 말대
가실왕 말금한기 아리사등 기능말다간기 함파한기
}}}}}}}}}}}}


구형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537B, #006494 20%, #006494 80%, #01537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철부 김구해 김거칠부 김세종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수을부 을제 수품 비담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알천 금강 김유신 김군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진복 김문영 김개원 인품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배부 김사공 김정종 김사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신충 만종 신유 김옹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김양상 김경신 충렴 세강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김언승 김숭빈 김수종 김충공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김균정 김명 김귀 장보고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김예징 김의정 김안 김정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위진 김위홍 준흥 김성
제45대 제46대 제47대
계강 박위응 김성
문헌상 기록이 확인된 인물
김춘추, 김순정, 김주원
}}}}}}}}}



신라 제2대 상대등
<colbgcolor=#3d428b><colcolor=#fbe673>
금관가야 제10대 국왕
구형왕 | 仇衡王
파일:구형왕 표준영정.jpg
1997년 지정 대한민국 표준영정
출생
(음력)
연대 미상
금관가야
(現 경상남도 김해시)
사망
(음력)
연대 미상
신라
능묘 전 구형왕릉
재위기간
(음력)
제10대 국왕
521년 4월 8일 ~ 532년 9월 (11년)
재임기간
(음력)
신라 제2대 상대등
532년 9월 ~ 미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d428b><colcolor=#fbe673> 본관 김해 김씨
구형(仇衡) / 구해(仇亥) / 구차휴(仇次休)
부모 부왕 겸지왕
모후 숙(淑)
왕후 계화(桂花)
자녀 세종, 무득/무덕, 무도/무력
왕손 졸지공/솔우공, 김서현
시호 양왕(讓王)(?)[1]
왕호 구형왕(仇衡王)
별호 구해왕(仇亥王) / 구충왕(仇衝王)
골품 진골(真骨)[2]
직위 상대등(上大等) }}}}}}}}}

1. 개요2. 생애
2.1. 왕위에 오르다2.2. 풍랑이 몰아치는 한반도에서2.3. 망국의 군주
2.3.1. 멸망 시기
2.4. 가야 멸망 후
3. 전 구형왕릉4. 기록
4.1. 《삼국유사》 가락국기4.2. 《삼국유사》 왕력4.3. 《삼국사기》
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금관국 제10대 군주이자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기재된 마지막 군주. 그 유명한 김유신의 증조할아버지다. 김해 김씨 족보에서는 다음 말왕(末王)이 등장하는데 족보는 역사서에 비해 신빙성이 떨어지고 말왕이 즉위해 군주를 했다고 하더라도 단기간에 몰락한 것으로 보여 큰 의미는 없어 보인다.

2. 생애

2.1. 왕위에 오르다

아버지는 겸지왕이고 어머니는 출충(出忠) 각간(角干)의 딸 숙(淑)이라고 한다. 구해왕(仇亥王), 구충왕(仇衝王)이라고도 불리며 김해 김씨 족보에는 양왕(讓王)[3]이라고도 불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는 "(중략) 수로왕의 10세손인 구해(仇亥)에 이르렀는데 구차휴(仇次休)라고도 하며 김유신에게 증조부가 된다. (후략)"이라고 되어 있어서 구차휴라고도 불렸던 듯하다.

왕후분질수이질(分叱水爾叱)의 딸인 계화(桂花)이고 아들 3명이 있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이름들이 다 다르게 기재되어 있는데 삼국사기에는 첫째가 노종(奴宗), 둘째가 무덕(武德), 셋째가 무력(武力)으로 나와 있으며 삼국유사에는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 둘째는 무도(茂刀) 각간, 셋째는 무득(茂得) 각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4] 이름이 다른데 신라 상대 무렵에는 이름을 한자로 표기할 때 조선 시대나 현대처럼 한자가 고정된게 아니고 현대 일본어처럼 음차 표기, 훈차 표기, 섞어 표기를 다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런데 노종 - 세종 등은 문헌과 금석문 등으로 교차검증이 많이 되고 있어 동일 인물임이 거의 확실하다.

2.2. 풍랑이 몰아치는 한반도에서

이 시기에 많은 혼란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금관국 대신 고령 지역의 반로국가야맹주 노릇을 대신하고 있었던 데다가 신라와 백제가 북쪽 전방에서는 고구려와 맞서기 위해 나제동맹을 맺고 있지만 후방의 가야 지역을 서로 호시탐탐 노리고 있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524년 신라 법흥왕이 남쪽 지역을 순시하는데 구형왕이 직접 찾아가서 만나는 등 이런 정세에서도 활로를 찾으려 노력했다.

그러다가 가야의 맹주격인 대가야가 주도하던 친신라 정책이 결혼 동맹의 파탄 사건으로 실패하고 낙동강을 경계로 신라와 가장 가까운 김해 금관국이 궁지에 몰리게 된다. 가야 연맹의 생존을 모색하던 도중 열렸던 안라회의도 구형왕 때 열렸다. 하지만 그에 대해 당시 금관국[5]이 한 일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는다.

안라회의 이후 백제는 가야 서부의 안라국을 쳐서 가야 지역에 대한 세력권을 확대했고 신라는 다급해졌다. 안라회의가 개최된지 1년 후인 532년 신라 법흥왕은 이사부에게 3천의 병력을 주어 가야를 공격하게 하였고 이사부는 다다라원(多多羅原, 현재 부산 다대포)에 주둔하며 3달이나 군사 시위를 하였다. 이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도 등장한다.
이로 인하여 신라는 다시 상신(上臣) 이질부례지간기(伊叱夫禮智干岐)를 보내 무리 3천을 이끌고 와서 조칙 듣기를 청했다. 게나노오미(毛野臣)는 멀리서 병장기에 둘러 싸여 있는 무리 수천을 보고 웅천(熊川)에서 임나(任那) 기질기리성(己叱己利成)에 들어갔다. 이질부례지간기가 다다라(多多羅)벌에 머무르면서 삼가 돌아가지 않고 석달을 기다리며 자주 칙명을 듣고자 청했으나, 끝내 전하지 않았다. (중략) 상신은 4촌【금관(金官),배벌(背伐),안다(安多),위타(委陀)의 네촌이다. 다른 책에서는 수나라(須那羅, 현재 김해), 화다(和多), 비지(費智, 현재 웅천 부근)의 네촌이라고 하였다.】을 약탈하고 사람들을 모두 데리고 그의 본국으로 돌아갔다.
일본서기》계체기 23년 4월조.

이러한 군사적 시위에도 가야, 백제, 가 반응이 없자 낙동강을 건너 다다라, 수나라(須那羅, 현재 김해), 화다(和多), 비지(費智, 현재 진해 웅천 부근) 등 4촌을 점령하고 점령 주민들을 신라로 이주시켰다. 기록상으로는 자세히 나와 있지는 않은데 금관국은 저항하다가 포기한듯 보인다. 일본서기 흠명기에 백제 성왕의 말을 빌려 "남가라[6]는 작고 협소하여 갑자기 준비하지 못하고 의탁할 곳을 몰랐기 때문에 멸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도 "중대통(中大通) 4년 임자에 신라 제23대 법흥왕이 군사를 일으켜 가락국을 치니 왕은 친히 군졸을 지휘했으나 저 편은 군사가 많고 이 편은 적어서 맞서 싸울 수 없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에서 529년 일본에 직접 넘어가 신라의 침입에 대비한 지원군을 요청한 가야의 군주 기능말다간기가 구형왕과 동일인이라는 설이 있지만 대가야왕 이뇌왕 설이나 탁순국의 군주 아리사등 설도 있다. 설령 구형왕 설을 따라 구형왕이 지원을 요청했다 하더라도 일본의 지원은 받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2.3. 망국의 군주

이사부의 대대적인 공격을 받은 금관국(남가라)은 더이상의 저항을 그만두고 항복을 선택했다.
19년[7], 금관국(金官國)의 왕 김구해(金仇亥)가 왕비와 세 아들인 맏아들 노종(奴宗), 둘째 아들 무덕(武德), 막내 아들 무력(武力)과 더불어 자기 나라의 보물을 가지고 항복하였다. 임금이 예를 갖추어 대접하고 상등(上等)의 직위를 주었으며, 금관국을 식읍(食邑)으로 삼게 하였다. 아들 무력은 벼슬이 각간(角干)에 이르렀다.
삼국사기》 신라 본기 법흥왕 19년

이후 구형왕은 신라 수도인 서라벌에서 진골 귀족으로 살면서 식읍 김해에서 나오는 조세를 받으며 생활하다 그곳에서 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구형왕의 막내 아들 김무력이 진흥왕한강 유역 정벌과 관산성 전투에서 활약을 했고 장남 노리부도 동생만큼 눈에 띄지는 않아도 활약했기에 구형왕은 신라 전쟁 영웅들의 아버지로서 최소한 말년이 비참하지는 않았을 듯하다. 이후 김무력의 손자 김유신이 신라 진지왕의 손자 김춘추와 축국을 하다가 옷고름을 밟는 바람에 김유신의 여동생인 김문희와 김춘추가 만나 결혼하여 문무왕을 낳아서 신라 왕실에 대대로 구형왕의 혈통이 들어가게 되었으니 결과적으로는 역사의 승리자일지도 모른다.

2.3.1. 멸망 시기

《삼국유사》의 실수 중 하나가 구형왕과 관련된 부분인데 반파국과 헷갈려서 기록했다. 《삼국유사》 가락국기 사관은 논한다를 보면
사관은 논한다. 《삼국사》를 상고해보면 '구형왕이 양나라 중대통 4년에 임자를 국토로 바치고 신라에 투항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수로왕이 처음 즉위한 동한(東漢) 건무 18년인 임인부터 구형왕 말년의 임자까지 490년이나 된다. 만약 이 기록을 가지고 상고한다면 국토를 바친 것은 원위(元魏)[8] 보정 2년 임오이니 30년을 더해 모두 520년이나 된다. 이제 두 설을 모두 기록해둔다.

라고 적어 놨는데 562년은 대가야국의 멸망 시기이다. 일연이 기록을 하다 착각해서인지 아니면 가야국기에 금관국 외에 다른 나라 기록들도 있어서 혼재되어 있었는지 실수를 한 부분이다.

2.4. 가야 멸망 후

신라에 투항한 후의 구형왕의 행적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다만 진골 귀족으로 편입됐고, 아들 무력이 왕경 6부 중 하나인 사탁부 소속이라는 점을 감안해 서라벌의 사탁부에서 거주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9] 조선 헌종 8년(1842년) 편찬된 《각간선생실기(角干先生實記)》에는 구형왕이 경주 북쪽 50리 지점에 있는 기계현(杞溪縣)[10]에 살았다고 하였다.

신라에 귀순 후 "상등(上等)"의 직책을 받았다고 되어있는데, 이것이 상대등을 말하는 것이라는 설도 있다. 만약 상대등이라면 법흥왕이 처음 임명한 초대 상대등인 철부에 이어 2대 상대등에 오른 셈이지만, 아무리 상대등이 귀족의 대표가 오르는 자리라고 해도 국정을 총괄하는 재상직이란 점에서 이제 막 투항한 외국 왕이 상대등에 올랐음을 상상하기는 어렵다. 만약 상등=상대등이었다고 해도 아직 상대등직의 성격이 확립되지 못한 초창기라서 그랬거나, 명목상이고 실권은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신라 내에 상대등 외에 실질적으로 구형왕을 우대해줄만한 명예 관직 자체가 없었고, 구형왕이 끝까지 저항하다가 망한게 아니라 일정부분 자발적으로 투항한 것이라면 전혀 이상할 것이 없다. 그동안 (전쟁으로 정복한 나라를 제외하고) 순순히 신라에 투항, 합병되었던 모든 세력들 중에서는 가장 큰 세력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구형왕의 후손들이 구형왕 당대와 이후 신라에 크게 공헌한 것을 생각하면 단순한 정복이 아니라, 신라가 우위에 있는 일종의 동업관계에 가까운 관계였을 수 있다. 애당초 고대 한반도 국가들의 왕권은 결국 연합정권이지 그렇게 절대적으로 강력한 것이 아니었고, 신라의 경우 비담, 김알천 같은 다른 계파를 누르고 태종 무열왕이 즉위하면서부터 전성기의 강한 왕권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 왕권 강화에도 러닝메이트로서 구형왕 가문의 대표자인 김유신이 활약한다.

삼국유사에서는 "말왕"이라는 표기가 나오는데 삼국유사 왕력에 등장한다. 하지만 거기서 나오는 말왕은 구형왕. 말왕 구형왕이 정광 2년에 즉위하여 42년 간 통치하고는 보정 2년 9월 신라 진흥왕 대에 정벌당함에 탈지이질금을 남겨두고 신라에 투항했다고 하여, 진흥왕 23년(562)년에 망한 대가야의 멸망 년도와 혼동하여 기록해 놨다.

이 때문에 구형왕의 다른 명칭이라는 설이 유력하지만, 그가 항복했을 때 수도에 남기고 온 동생 김탈지(金脫知)를 뜻하는 것이라는 설도 존재한다.이 포스팅 참조. 가야사에 대해서는 자료가 많지 않아 앞으로 발굴 조사 등을 통해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

3. 전 구형왕릉

파일:external/cp.culturecontent.com/rp0803b02911_001_r.jpg
참고로 앞에 보이는 비석과 석물은 비교적 최근에 중건(?)한 것이다.

경상남도 산청군에 있는 "구형왕릉으로 전한다"라는 석조 건조물. 자세한 내용은 전 구형왕릉 문서 참조.

4. 기록

4.1. 《삼국유사》 가락국기

김씨이다. 정광 2년에 즉위해 42년 동안 다스렸다. 보정 2년[11] 임오 9월에 신라 24대 진흥왕이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 오자 왕이 친히 군졸을 지휘했다, 그러나 저편은 군사가 많고 이편은 적어 맞싸울수가 없었다. 그래서 아우 탈지이질금(탈지잇금, 脫知爾叱今)을 보내 나라에 머물게 하고, 왕자와 장손 졸지공(卒支公)등과 항복해 신라로 들어갔다. 왕비는 분질수이질(分叱水爾叱)의 딸 계화(桂花)인데, 아들 셋을 낳았다. 첫째는 세종(世宗) 각간(角干)이고, 둘째는 무도(茂刀) 각간, 셋째는 무득(茂得) 각간이다. 《개황록》에는 "양나라 중대통 4년 임자[12]에 신라에 항복했다"고 했다.

사관은 논한다. 《삼국사》를 상고해보면 '구형왕이 양나라 중대통 4년에 임자를 국토로 바치고 신라에 투항했다'고 한다. 그렇다면 수로왕이 처음 즉위한 동한(東漢) 건무 18년인 임인부터 구형왕 말년의 임자까지 490년이나 된다. 만약 이 기록을 가지고 상고한다면 국토를 바친 것은 원위(元魏) 보정 2년 임오이니 30년을 더해 모두 520년이나 된다. 이제 두 설을 모두 기록해둔다.

仇衡王 金氏 正光二年卽位 治四十二年 保定二年壬午九月 新羅第二十四君眞興王 興兵薄伐 王使親軍卒 彼衆我寡 不堪對戰也 仍遣同氣脫知爾叱今 留在於國 王子上孫卒支公等 降入新羅 王妃分叱水爾叱女桂花 生三子 一世宗角干 二茂刀角干 三茂得角干 開皇錄云 梁中大通四年壬子 降于新羅

議曰 案三國史 仇衡以梁中大通四年壬子 納土投羅 則計自首露初卽位東漢建武十八年壬寅 至仇衡末壬子 得四百九十年矣 若以此記考之 納土在元魏保定二年壬午 則更三十年 總五百二十年矣 今兩存之

4.2. 《삼국유사》 왕력

제10대 구형왕(仇衡王)
겸지왕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13]의 딸이다. 신축년(521년)에 즉위하여 43년 동안 다스렸다. 중대통 4년 임자년(532년)에 영토를 바치고 신라에 투항하였다. 수로왕 임인년(42년)으로부터 임자년(532년)까지 도합 490년이다.
第十 仇衡王
鉗知子母▨女辛丑立理四十三年中大通四年壬子納土投羅自首露王壬寅至壬子合四百九十年

4.3. 《삼국사기》

19년[14], 금관국(金官國)의 왕 김구해(金仇亥)가 왕비와 세 아들인 맏아들 노종(奴宗), 둘째 아들 무덕(武德), 막내 아들 무력(武力)과 더불어 자기 나라의 보물을 가지고 항복하였다. 임금이 예를 갖추어 대접하고 상등(上等)의 직위를 주었으며, 금관국을 식읍(食邑)으로 삼게 하였다. 아들 무력은 벼슬이 각간(角干)에 이르렀다.
삼국사기》 신라 본기 법흥왕 19년

5. 관련 항목



[1] 양보한다는 의미가 되겠는데 비슷하게 나라를 넘기고 편안한 말년을 지낸 신라 경순왕이나 조선 순종에서 보이는 순(順)과 비슷한 의미로 보인다.[2] 원 금관가야 왕족에서 신라 진골로 편입됨.[3] 나라를 양보했다는 뜻. 족보의 기록은 객관성이 떨어지지만 만약 호칭이 당시에 불렸다면 망국의 군주 치고 괜찮은 평가를 받은 듯하다.[4] 보면 알겠지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차남과 삼남을 서로 바꿔서 기록했다.[5] 안라회의 기록에는 "남가라"로 기록되어 있다.[6] 금관국을 말함.[7] 서기 532년[8] 북위를 뜻하는게 아니라 북주 무제 때의 연호다.[9] 권덕영, 2007년, "금관 가야 구형왕릉 전승과 역사화 과정"[10] 현재의 포항시 북구 기계면[11] 562년을 말한다. 반로국이 멸망한 해. 위에도 언급했듯이 금관국은 532년에 이미 망했다.[12] 532년[13] 원문에 1칸 조금 안 되는 공백이 있다.[14] 서기 53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