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도시철도나 철도역에서 역 주변에 위치한 관공서인 구청에서 역명을 따와서 이름을 지은 역. 구마다 있는 공공건축물이기에 역 이름으로 자주 쓰인다.2. 대한민국
2.1. 수도권 전철
- 서울 지하철 1호선, 2호선 신설동역의 가칭 역명이 구청앞역이었다.
- 1. 서울특별시 금천구의 구청이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천구청역 - 1번 출구 건너편
- 2. 서울특별시 양천구의 구청이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양천구청역 - 1번 출구에서 10분 (약 600m)
- 3.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의 구청이 있는 서울 지하철 2호선, 5호선 영등포구청역 - 2번 출구 바로 앞
- 4. 서울특별시 마포구의 구청이 있는 서울 지하철 6호선 마포구청역 - 1번 출구에서 4분 (약 200m)
- 5. 서울특별시 강남구의 구청이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강남구청역 - 1번 출구에서 7분 (약 500m)
- 6. 인천광역시 부평구의 구청이 있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구청역 - 4번 출구 바로 앞
- 7. 서울특별시 강동구의 구청이 있는 서울 지하철 8호선 강동구청역 - 2번 출구에서 3분 (약 200m)
- 8. 인천광역시 서구의 구청이 있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서구청역 - 4번 출구에서 2분 (약 100m)
- 9.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구청이 있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 남동구청역 - 4번 출구에서 9분 (약 500m)
- 10.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의 구청이 있는 신분당선 수지구청역 : 대한민국 최초이자 유일의 일반구청 역명이다. 수지구청역 외에는 전부 자치구청. - 1번 출구에서 4분 (약 200m)
2.1.1. 부역명이 구청인 역
- 1. 구로구청이 부역명인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대림역 - 4번 출구에서 15분 (약 900m)
- 2. 용산구청이 부역명인 서울 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1] - 3번 출구에서 6분 (약 300m)
- 3. 성동구청이 부역명인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왕십리역[2] - 2번,5번 출구에서 5분 (약 300m)
- 4. 광진구청이 부역명인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 - 1번 출구에서 6분 (약 300m)
- 5. 동대문구청이 부역명인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용두역 - 3번 출구 바로 앞
- 6. 강북구청이 부역명인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유역 - 8번 출구에서 2분 (약 100m)
- 7. 도봉구청이 부역명인 수도권 전철 1호선 방학역 - 2번 출구에서 6분 (약 300m)
- 8. 관악구청이 부역명인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 본역명인 서울대학교보다 부역명인 관악구청이 훨씬 가깝다! - 3번 출구에서 5분 (약 300m)
- 9. 서초구청이 부역명인 수도권 전철 3호선, 신분당선 양재역 - 12번 출구 바로 앞
- 10. 송파구청이 부역명인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 10번 출구에서 3분 (약 100m)
2.2. 동남권 전철
- 1. 부산광역시 강서구청이 있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 강서구청역 - 5번 출구 바로 앞
2.2.1. 부역명이 구청인 역
- 1. 사하구청이 부역명인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당리역[3] - 5번 출구에서 2분 (약 100m)
- 2. 동구청이 부역명인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진역 - 1번 출구에서 4분 (약 200m)
- 3. 수영구청이 부역명인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남천역 - 1번 출구에서 8분 (약 500m)
- 4. 남구청이 부역명인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못골역 - 4번 출구에서 2분 (약 100m)
- 5. 사상구청이 부역명인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감전역 - 1번 출구에서 5분 (약 400m)
2.3. 대구권 전철
- 1. 대구광역시 동구의 구청이 있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구청역 - 4번 출구에서 7분 (약 400m)
- 2.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구청이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수성구청역 - 2번 출구에서 6분 (약 400m)
- 3. 대구광역시 북구의 구청이 있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북구청역 : 북구청역이지만 역 주소는 서구 소속이다(...) 다만 실제로는 서구와 북구에 반반 걸쳐 있으며, 북구청과의 거리도 가까운 편이다. - 1번 출구에서 4분 (약 200m)
2.4. 대전 도시철도
- 1. 대전광역시 중구의 구청이 있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중구청역 - 1번 출구 바로 앞
3. 중국
3.1. 베이징 지하철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구청역 : 구청역(베이징) - 대신 이쪽은 구청(區廳)이 근처에 있어서가 아니라 고성(古城)이라는 뜻이다.
4. 대만
4.1. 타이완 철로관리국
해당 문서로.4.2. 타이베이 첩운
- 1. 신베이시 신뎬구의 구청이 있는 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신뎬구청역
4.3. 가오슝 첩운
- 1. 가오슝시 구산구의 구청이 있는 가오슝 첩운 순환선 구산구청역
5. 독일
5.1. 베를린 지하철
6. 일본
6.1. 구청역
- 1. 아이치현 나고야시 미즈호구의 구청이 있는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 미즈호쿠야쿠쇼역
- 2. 아이치현 나고야시 미나토구의 구청이 있는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코선 미나토쿠야쿠쇼역
6.1.1. 부역명이 XX구청인 역
- 1.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가와구청이 부역명인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 타카바타역
- 1. 아이치현 나고야시 나카무라구청이 부역명인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 혼진역
- 1. 아이치현 나고야시 쇼와구청이 부역명인 나고야 시영 지하철 츠루마이선, 사쿠라도리선 고키소역
6.2. 구청앞역
- 1. 도쿄도 이타바시구의 구청이 있는 도쿄도 교통국 미타선 이타바시쿠야쿠쇼마에역
- 2. 도쿄도 아라카와구의 구청이 있는 도쿄도 교통국 도덴 아라카와선 아라카와쿠야쿠쇼마에역
- 3.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의 구청이 있는 삿포로 시영 지하철 토호선 히가시쿠야쿠쇼마에역
- 4.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의 구청이 있는 삿포로 시영 전차 주오쿠야쿠쇼마에역
- 5.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의 구청이 있는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선(히로덴 제2계통) 사에키쿠야쿠쇼마에역
- 6.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미나미구의 구청이 있는 히로시마 전철 미나미선(히로덴 제5계통) 미나미쿠야쿠쇼마에역
7. 같이 보기
[1] 이전에는 효창공원역에 붙어있었다가 이전하면서 바뀌었다.[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해당하지 않는다.[3] 사하구제2청사는 신평역에서 안내방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