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위 문서: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현황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광주 도시철도 전동차 (열차번호 · 차량번호) | |||
1000호대 (현황) | ( | ||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Gwangju Transit Corporation series 1000 EMU | }}} | |||
110편성 | |||||
차량정보 | |||||
<colcolor=#009088>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편성 | 4량 1편성[1] | ||||
생산량 | 92량 | ||||
운행 노선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
도입시기 | 2002 ~ 2003년 (1차분) | ||||
2007년 (2차분) | |||||
제작사 | 주식회사 로템[2] | ||||
소유기관 | 광주교통공사 | ||||
운영기관 | |||||
차량기지 | 용산차량사업소[중정비] | ||||
편성번호 | 101 ~ 123 | ||||
차량제원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009088> 전장 | 18,000 ㎜ | |||
전폭 | 2,750 ㎜ | ||||
전고 | 3,600 ㎜(냉방기 포함 4,000 ㎜) | ||||
차량 중량 | 30.9t(Tc), 31.9t(M1), 31.8t(M2) t | ||||
편성 중량 | 125.5 t궤간 1435 ㎜ | ||||
재질 | 알루미늄 |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 ||||
보안 장치 | Nippon Signal ATC/ATO[4] | ||||
제어 방식 | 2Lv 1C4M VVVF-IGBT(IPM) | ||||
최고속도 | 영업 | 80 ㎞/h | |||
설계 | 100 ㎞/h | ||||
가속도 | 3.0 ㎞/h/s | ||||
감속도 | 상용 | 3.5 ㎞/h/s | |||
비상 | 4.5 ㎞/h/s | ||||
MT비 | 2M 2T (Tc-M'-M'-Tc) | ||||
정원(편성 정원) | 선두차: 113명(42석) 중간차: 124명(48석) | }}}}}}}}} |
[clearfix]
1. 개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최초 반입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2차분 전동차 내부 |
2. 편성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조성 | |
↑ 녹동·소태 방향 | |
11## (1)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12## (2)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IM) |
17## (3) |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VVVF, IM) |
10## (4) |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 평동 방향 |
3.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2차로 분류된다.- IPM이 적용된 IGBT는 초록색 배경이다.
<rowcolor=#ffffff> 분류 | 제어방식 | 도입 |
<colbgcolor=#009088><colcolor=white> 1차분 | VVVF IGBT | 2002~2003년 (13편성) |
2차분 | 2007년 (10편성) |
3.1. 1차분 (2002~2003)
한국형 표준 전동차를 상용화, 1단계 구간(녹동 - 상무) 개통을 앞두고 도입된 차량으로 2002년~2003년 주식회사 로템에서 제작, 최초 제작분인 101편성이 2003년 2월 도입되었다.
1차분 전 편성의 경우, 최초 제작 당시에는 가연재 내장재를 채택한 상태로 제작되었는데, 좌석 시트만 가연재 내장재를 사용했고, 나머지는 불연재 내장재를 사용했다. 출처[5][6] 얼마 되지 않아 발생한 대구 지하철 참사 때문에 개통을 앞두고 전 차량을 불연재로 개조하는 작업을 시행하였고, 개통 1년 뒤인 2005년까지 전 편성 내장재 교체가 완료되어 현재는 전 편성 모두 불연재 내장재가 적용되어 있다. 내장재 개조 전 모습을 보려면 여기로.
108편성의 경우 개통 전인 2003년 5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철도물류전시회에 전시되었던 적 있다.
2023년에 전 객실에 CCTV가 설치되었다.
3.2. 2차분 (2007)
2단계 구간(상무 - 평동) 개통을 앞두고 2007년 주식회사 로템에서 제작되어 도입되었다. 제작 당시부터 불연재 내장재를 채택했고 앞서 도입되었던 1차분 전동차와는 다르게 여러 안전 장치 등이 개선되었다.
다음은 1차분 차량에 비해 여러 가지가 개선된 2차분 차량의 특징이다.
- 문 수동 개폐 장치
1차분 차량의 경우 출입문 수동 개폐장치가 출입문 오른쪽 위에 위치해있어 손을 뻗어서 사용하는 방법이었던 거에 비해 2차분은 출입문 옆에 붙어있는 덮개형 개폐장치로 바뀌어 키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노인들도 손쉽게 탈출이 가능하도록 했다. 무엇보다도 기존의 개폐 장치는 장치가 어디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었으나 신형 개폐장치는 눈에 더 잘띄게 되었다. - 비상 인터폰
기존의 1차분 차량에 설치되었던 인터폰은 버튼을 눌러 사용하는 인터폰인데 비해 2차분 차량의 인터폰은 무전기 형식으로 되어있고 개수 역시 2차분 차량의 무전기 형식 인터폰이 더 많다.
- 그 밖에도 2차분 차량의 경우 화재감지장치가 설치되어있으며 부품의 국산화 비율이 늘어났다.[7]
2023년에 전 객실에 CCTV가 설치되었다.
4. 특이사항
- 개통 당시, 다른 도시철도들과 달리 한국형 표준 전동차 모델답게 유일하게 객실간 사이의 통로문이 없이 1칸부터 4칸 끝부분까지 훤히 보여서 주목을 받아 왔었다.
- 의외로 외국의 도시철도에서 볼법한 요소가 몇 있다. 출입문이 닫히고 나서 출발하기 전에 나는 특유의 경고음[8]은 홍콩의 MTR에서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쓰고 있다. 비슷한 사양의 대전 전동차에서도 이 소리가 난다.[9] 그러나 이와 같은 사양의 부산 3호선 차량의 경우 출입문 경고음이 나지 않는다.
* 2017년부터 1차분 전 차량의의 차내 LCD 기기가 기존의 4:3 2분할 화면의 기기에서 16:9의 1화면 기기로 교체되었다. 기존의 궁서체가 아닌 깔끔한 고딕체를 적극 활용하고 흰 바탕에 광주 1호선의 노선색인 청록색 계열을 활용하여 가독성이 매우 좋아 철도 동호인들한테 호평을 받는 중이다. 2020년부터 신형 LCD 기기에서 수어 해설도 지원하고 있다. 2차분은 2022년 현재도 4:3 2분할 LCD 기기를 사용한다.
- 1차분 차량과 2차분 차량의 손잡이가 다르다. 1차분에는 기존 수도권 전철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죽끈 + 삼각형 손잡이를 장착하였으나, 2차분에는 인천국제공항철도나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초퍼차량과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등지에서 볼 수 있는 스프링 손잡이가 장착되었다.
- 스크린도어 설치 후 모든 열차에 측면 LED안내기가 소등 되었다.
- 과거엔 대전지하철과 구동음이 같았으나 평동까지 개통후 1톤을 높였다.[10]
- 도입 당시에는 실드빔 전조등을 채택했으나 2010년대 중반부터 모든 편성의 전조등을 LED로 교체했다.
- 도입 당시에도 공기 경적이 아닌 전기 경적을 사용했다. 경적 소리는 같은 한국형 표준 전동차 기반인 공항철도주식회사 전동차의 것과 비슷하다.
- 2019년 하반기부터 일부 전동차의 부품교체와 노후화로 인해 발차와 역 진입, 전동차가 주행할때 소음이 더 심해져 이용객들의 소음 불편이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4.1. 광주비엔날레 전시작품 열차칸 운행
광주비엔날레 전시작 랩핑열차칸 |
- 맨앞칸이나 맨뒷칸쯤에 비엔날레 작품인 탐구자의 전철을 전동차 한칸에 전시하면서 가끔[11] 운행하면서 보이기도 한다. 시트도 컨셉에 맞게 개조되었던게 특징이였으며 이 열차칸이 운행하면서 많은 이들이 충격과 공포, 어지러움을 느끼기도 하였고, 광주교통공사는 이 열차칸의 랩핑전시작으로 인해 불만인 사람들을 예상했는지 불편하신 분들은 다른 칸으로 이동해 주십시오라고 안내판을 붙여놨다. 운행중인 차량은 109편성 1009호에서 운행 중이다. 과거에는 106, 107, 108편성도 있었으나 현재는 랩핑이 제거되었다. 너무 어지러워서 제거한 듯하다. 그러나 109편성도 시트도 일반 전동차에서 사용하는 시트로 다시 환원되었다. 얼룩말 열차라고 불리기도 했다.
4.2.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홍보 차량 운행
4.3. 무등산 테마열차 운행
무등산 테마열차의 객실 |
- 2020년 8월 31일부터 운행되는 테마열차. 광주광역시도시철도와 동구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지친 시민들을 위로하고자 협업을 통해 일상에서 자연을 느끼고 힐링 할 수 있도록 조성된 테마열차다. 112편성 1012호가 랩핑되었다.
5. 둘러보기
한국형 표준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표준 모델 도입형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 ||
표준 모델 개수형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 ||
서울 지하철 9호선 9000호대 전동차 |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3차분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동차 (EMU/DMU/PP) | ||||||||||
🚄 고속열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집중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라](34개 편성 한정) | 한국철도공사 110000·120000·14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130000호대 전동차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150000호대 전동차 |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욥 EMU-250 | 한국철도공사 160000호대 전동차 주식회사 SR EMU-32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용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HSR-350X운행 불가 | HEMU-430X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연구·개발 고속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EMU-370 | EMU-400 |
[[대한민국의 일반철도| 🚅 {{{#000000 간선형·준고속형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EMU-18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368000호대 전동차 | SG레일 A000호대 전동차수도권 전철 | 한국철도공사 XXX000호대 전동차 (GTX-C)수도권 전철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EMU-150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전동차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EMU-150 | |||||||||
공항철도주식회사 2000호대 전동차 4차분수도권 전철 | 우크라이나 HRCS2 |
🚆 디젤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DEC[퇴역] | NDC[퇴역]- | |||||||||
DHC-PP[퇴역] | 경복호[대우] | ||||||||||
한국철도공사 9500호대 디젤동차[퇴역] | 한국철도공사 9000호대 디젤동차[퇴역] | ||||||||||
수출차량 보기 |
🚇 통근형·근교형 전동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한국철도공사(형태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9900호대 전동차(환승 불가능)[퇴역] | 1000호대 저항제어 2~8차분(상세)[퇴역] | |||||||||
1세대 납작이[대우] | 일산선 전용 1세대(상세)[퇴역] | ||||||||||
2세대 동작이·동글이 | 3세대 뱀눈이·삼눈이 | 4세대 주둥이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서울교통공사(세대별 분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저항제어 2~4차분[대우][현공] | 2000호대 직각형 저항제어·초퍼제어 1~8차분[퇴역] | 2000·3000·4000호대 광폭형 GEC 초퍼제어 1~5차분[퇴역] | ||||||||
1000·4000호대 VVVF 1세대(상세)[대우][현공] | 5000호대 VVVF 1세대[현공] | 7000·8000호대 VVVF 1세대[대우] | |||||||||
6000호대 VVVF 2세대[현공] | 7000·8000호대 VVVF 2세대[한진] | 2000·3000호대 VVVF 2세대 | |||||||||
9000호대 VVVF 3세대 3~4차분 | 5000호대 VVVF 3세대 | 2000·4000호대 VVVF 4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수도권 전철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공항철도 1000호대(환승 불가능) | ||||||||||
공항철도 2000호대 1~3차분 | 메트로9호선 9000호대 1~2차분 |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1차분[대우], 2차분 | 네오트랜스 D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부산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000호대 1세대(1~7차분)(상세)[한진][현공] | 1000호대 2세대(8~10차분) | |||||||||
2000호대 1차분[한진], 2차분 | 3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광역시 교통공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구교통공사 1000호대[한진] |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 |||||||||
대전교통공사 1000호대 | 광주교통공사 1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시험제작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 표준형 전동차 | AUT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출용 전동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SEPTA Silverliner V | 싱가포르 J151형 | 타이완 EMU600 | ||||||||
타이완 EMU900 | 홍콩 정관오선·뚱충선 미쓰비시 합작 EMU | 홍콩 동철선 EMU | |||||||||
그 외 수출 차량보기 |
🚊경전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철제차륜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1차분 | |||||||||
우이신설경전철 UL000호대 | 김포골드라인 1000호대 | ||||||||||
동북선 DL000호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자기부상열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코비 (UTM-0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트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무가선 저상 트램 | 수소전기 트램 보기 | 수출차량 보기 |
🚂 기관차 견인 (Locomotive/Passenger Cars/Generator Cars) | |||||||||||
⚙️ 기관차 | |||||||||||
<colcolor=black>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디젤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7000호대 디젤기기관차[라][퇴역] | ||||||||||
한국철도공사 7100~7500호대 디젤기관차[라][현공] | 한국철도공사 4400호대 디젤기관차[라] | ||||||||||
한국철도공사 7600호대 기관차[라] | BR(방글라데시 철도청) 디젤기관차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전기기관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기관차[라][대우] | 한국철도공사 8100호대 전기기관차[라][대우] | |||||||||
한국철도공사 8200호대 기관차[라](73량 한정) | 한국철도공사 8500호대 기관차 | ||||||||||
TCDD(터키 철도청) 전기기관차 | TRC(탄자니아 철도공사) 전기기관차 |
💺 객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국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새마을호 장대형 객차[대우] | 무궁화호 격하 특실 [대우] | |||||||||
무궁화호 클래식 객차[한진] | 무궁화호 나뭇결 객차[대우][한진] | ||||||||||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 | 개조 새마을호 객차 (리미트 객차) |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해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미국 LA 메트로링크 2층 운전객차 | 그 외 수출차량 보기 |
⚡️ 발전차 (문서 이동) | |||||
[라]: 라이센스 제작 [퇴역]: 전량 퇴역 [현공]: 현대정공 제작 [대우]: 대우중공업 제작 [한진]: 한진중공업 제작 |
[1] 6량 증결 가능[2] 現 현대로템[중정비] [4] 궤도회로 방식으로, 발리스, 루프코일 방식의 지상자가 존재하지 않는다.[5] 해당 편성이 제작되고 도입되던 시기가 2002년~2003년 즈음인데, 2003년 2월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참사와 차량 도입시기가 얼마 차이나지 않는다.[6] 실제로 대구 지하철 참사 직전, 또는 직후인 비슷한 시기에 도입된 수도권 전철 1호선, 분당선 전동차도 제작 당시에는 가연재 내장재를 적용하여 출고되었는데, 좌석 시트, 바닥재, 손잡이만 가연재였고, 나머지는 불연재 내장재를 적용했다. 그리고 얼마 안 가 죄다 불연재로 개조되었다.[7] 근데 무슨 이유인지 2020년 3월 확인한 결과 1차분 열차인 113편성에서 바뀐것으로 확인되었다.[8] 모든 출입문이 정상적으로 닫혔음을 알리는 경고음이다. 출입문이 하나라도 열려있으면 경고음이 울리지 않는다.[9] 물론 완전히 같은 건 아닌데, MTR에서는 5번 정도 울리지만 여기는 3번 정도 울린다. 다만 가끔 4번 울리다가 끊기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아 의도적으로 끊는 것으로 보인다.[10] 그런데 무슨 이유인지 111편성의 경우 과거 구동음과 현재 구동음이 동시에 들린다. 소자가 고장나서 고장나지 않은 기존 소자로 교체했을 가능성이 높다.[11] 근데 가끔이라 하기에는 NH 시간대에 은근 자주 출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