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전작품 정보 | ||
<colbgcolor=#00aaff><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기타 보급 유닛 | }}}}}}}}} |
주: 참전작이 많고, 구별이 태그/시리즈로 혼재되어있어 스토리가 구현된 작품을 우선으로 서술합니다. |
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 SDガンダム ジージェネレーション エターナル SD Gundam G Generation ETERNAL | |
| |
<colbgcolor=#99ddff><colcolor=#000> 개발 | |
서비스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플랫폼 | iOS | Android |
장르 | 건담 시뮬레이션 |
서비스 개시일 | 2025년 4월 16일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심의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
==# 출시 전 정보 #==
- 1차 CBT
이터널 통신 Vol.2
2022년에 1차 CBT를 열었으나 아래 출시전 평가 서술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베타 평가가 매우 부정적이였으며 제작진들도 베타테스트 이후 비판적인 여론을 의식했는지 대규모로 수정 중이라고 알렸다.이터널 통신 Vol.3 그러나 이것이 무색하게도 이후 블로그 글이 매우 오랫동안 올라오지 않자 개발 중단된게 아니냐는 루머가 피어오른바 있었다.
이후 7개월이 경과한 2023년 8월에 2차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를 준비 중이란 공지가 올라왔다. 정확하게는 2023년 도쿄 게임쇼에 출품해 2차 CBT 테스터들을 모집한다는 공지. 이때 확인된 최신 빌드를 보면 크로스 레이즈 대비 몇몇 기체의 연출이 강화되는 등 발전한 모습도 보였지만 연출 하나마다 따로 로딩을 하는 등 클로즈드 베타때 지적되었던 문제점들은 해결된 게 거의 없어 도대체 그동안 뭐 했냐는 혹평만 들어야 했다.
이후 소식이 완전히 끊긴 채로 24년이 되었는데, 이터널 공식 X 계정은 시드 극장판 소식의 재게시만 있었을 뿐이었고, 반다이 남코 게임즈의 3/4분기 계획 발표와 4/4분기 계획 발표에 연속 누락되면서 진짜로 프로젝트가 취소된 거 아니냐는 루머가 재차 돌았다. - 네트워크 테스트
이터널 통신 Vol.4
그러다 2024년 12월 4일, 긴 침묵을 깨고 네트워크 테스트 참가자를 모집한다는 영상이 올라왔다. 2차 베타 모집과는 별개로 새로 모집했으며, 2차 베타 모집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불명.
영상으로 공개된 연출을 보면 제네시스를 위시로 한 우주세기 및 크로스 레이즈 미참전 기체들은 연출을 새로 만든 것으로 보이지만 크로스 레이즈에 나왔던 기체들의 연출은 여전히 똑같으며 간이 전투 연출의 피격 모션이 없어진 것도 여전하다.
테스트 기간은 2025년 1월 24일부터 1월 28일까지 4일간 진행되었다.
1차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와 비교하자면 여러 가지로 진일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파일럿 연출은 가히 쓰레기 수준에, UI는 1차 CBT 당시로 되돌려야될 정도로 구리다는 평가를 받았고, 더불어 한국어 번역의 일관성이 없고 새로 생겨난 번역 오류가 한가득[1]인 등 번역 문제도 많이 보고되었다.
한편, 모바일 가챠게임을 해왔는지 여부에 따라 평가가 갈리는 부분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가챠로 콘솔 위주 팬층에서는 "가챠의 최고 등급 기체가 개발로 만드는 기체보다 무조건 더 좋다"며 개발 컨텐츠를 무의미 하게 만든다고 이를 비판하지만 반대로 가챠 게임도 하던 유저들은 "그럼 F2P 게임에 현금을 요하는 것이 무료 컨텐츠로 얻는 것 보다 나쁘면 그건 그거대로 문제다"라고 반론을 보내는 식이다. - 사전 예약 실시
이터널 통신 Vol.5
25년 2월 12일 부로 사전 예약에 들어갔다.
동시에 공개된 이터널 통신을 통해서 추가적인 피드백을 받아 개발과 가챠간의 기체의 분리를 결정했으며 이에 따라 가챠로 뽑은 기체는 개발에 사용할 수 없도록 조정되었다.
25년 2월 19일 이터널 통신 Vol.6이 올라왔다. 서비스 개시 시점의 시나리오 스테이지는 총 10작품, 도입 유닛은 500기 이상을 예정하고 있다고 한다. 2가지 패턴(기간 한정 이벤트 시나리오, 메인 스테이지 추가)의 업데이트를 통해 1~2개월 간격으로 시나리오 추가를 검토 중이며, 최대한 오래 즐길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추가해 나갈 예정이라고 한다.
주요 변경점으로는 레어도에 따라 최대 레벨이 차이가 있다던가, 개조도, 스킬 레벨, 어빌리티 레벨 등이 삭제되었고, 유닛 및 캐릭터에 '공격', '지원', '내구' 3가지 타입이 추가되었는데, 유닛이나 파일럿을 강제하게되는 시스템이라 논란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시나리오 스테이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으나, NWT 버전부터는 순차적으로 클리어해야 다음 작품으로 넘어가게 바뀌었다. 이것도 유저들의 자유도를 박탈하는 변경으로 개발팀 내에서도 의견 충돌이 있었던걸로 추정된다.
CBT에서는 작품을 뛰어넘는 개발이 가능했지만, 작품을 뛰어넘는 개발이 불가능해졌다.
시나리오 스테이지에 스태미나(AP)를 소비하도록 변경되었다. 피로도 회복을 판매할 계획인듯하다.
25년 3월 27일 사전등록자수 100만 돌파를 알리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사전등록자수 100만을 돌파하면서 응원 감사 선물로 'SSR 유닛 확정 유닛 보급 티켓 x1'을 배포하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해당 보상은 서비스 개시 이후 게임 내 '선물'에서 수령할 수 있다. - 프로듀서 생방송
25년 2월 19일 SD건담 G 제네레이션 이터널 공식계정을 통해, 유튜브 건담채널에서 2월 26일 19시부터 이터널 프로듀서 생방송을 예고했다.
방송에서는 2022년 9월에 실시된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로부터의 변경점, 2025년 1월에 실시한 네트워크 테스트로부터의 업데이트 항목 등. 게임 시스템에 대해 상세한 정보 및 해설을 한다고 한다.
25년 3월 21일 SD건담 G 제네레이션 이터널 공식계정을 통해, 유튜브 건담채널에서 3월 27일 20시부터 두번째 이터널 프로듀서 생방송을 예고했다.
이번에는 서비스 개시 후의 추가 작품 등, 게임의 새로운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한다.
2. 요구 사양
3. 영상
티저 PV |
네트워크 테스트 참가자 모집 개시! |
서비스 개시 시점의 시나리오 수록 작품 소개 PV |
게임 시스템 소개 PV |
출시 초기 참전 기체 소개 PV |
4. 참전 작품
{{{#!folding 공식 사이트에 기재된 참전 목록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 * 기동전사 건담 (★)
| * 기동신세기 건담 X (★, ▲)
|
* ★: 서비스 개시 시점부터 시나리오가 수록된 작품. 시나리오 수록 작품은 서비스 개시 이후 순차적으로 추가 예정
| }}} |
덧붙여 본작을 통해 최초로 영상화되는 설정집 내용이 있는데, 기동전사 건담 SEED와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사이의 내용을 다루는 '기동전사 건담 SEED 리컬렉션'이다. 설정상으로만 존재하고 공식 디자인이 존재하지 않았던 기체들의 공식 디자인이 본작을 통해 최초로 공개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if external != "o"
[[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uuid=f0cd67d2-07be-4f37-b39c-404ccbb68398|r4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uuid=f0cd67d2-07be-4f37-b39c-404ccbb68398#s-2|2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from=42|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if external != "o"
[[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uuid=f0cd67d2-07be-4f37-b39c-404ccbb68398|r42]]}}}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uuid=f0cd67d2-07be-4f37-b39c-404ccbb68398#s-2|2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참전 작품?from=42|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5. 시스템
- 용어 정리
- 유닛: 기체에 해당한다.
- 캐릭터: 파일럿에 해당한다.
- 타입
유닛과 캐릭터에는 3가지가 있으며 유닛/캐릭터 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타입 마다 대미지 유불리가 없다. 유닛과 캐릭터의 타입을 맞추면 시너지 효과가 발동된다. - 공격
- 유닛: 공격력이 높고 공격력을 높히는 어빌리티를 보유할 수 있음.
- 캐릭터: 찬스 스텝 횟수 증가 스킬을 보유할 수 있음.[2] - 지원
- 유닛: 공격시 소비하는 EN량이 높으며, 공격시 디버프를 부여하는 EN과 관련된 어빌리티를 보유할 수 있음.
- 캐릭터: 지원 공격 가능, 지원 공격 횟수 증가 스킬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 - 내구
- 유닛: 높은 HP와 방어력 보유, 공격시 디버프 부여 및 HP, 명중, 회피에 관련된 어빌리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
- 캐릭터: 지원 방어 가능, 지원 방어 횟수 증가 스킬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
- 등급
등급별로 레벨이 N 등급 기준 60을 시작으로 등급이 높을 수 록 최대 레벨이 +10 해 UR등급이 되면 100을 찍을 수 있게 되며 저 등급 유닛도 SP화 아이템을 통해 최대 레벨을 올릴 수 있다.
5.1. 전투
- SRPG 형태로 진행되나, 기존 시리즈가 아닌 모바일판 시리즈의 기본 개념을 따른다.
- 편성에서 총 2개 소대를 작성할 수 있고, 소대당 총 5기까지 편성할 수 있다. 단 전투 중 게스트 부대의 전함만 조작할 수 있으며, 편성 부대의 전함은 스킬 지원만 가능하다. 스킬 지원은 출격 당 단 한 번만 사용할 수 있으니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 시나리오의 스토리 흐름에 따른 강제 편성이 존재한다. 정확히는 출전 부대 중 한 부대는 스토리 편제라 하여 반드시 해당 시나리오에 해당하는 작품 출신 기체와 유닛으로만 구성할 수 있다.[3] 해당 부대는 처음에는 배치 칸 수가 막혀 있으나 시나리오를 진행할 수록 편성 한도가 늘어나서 최종적으로 프리 편제처럼 5명까지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작품군 마다 별도로 적용되며, 지정 편제의 최소 칸은 채울 수 있도록 해당 작품의 시나리오를 시작할 때 일부 파일럿과 설계 기체를 지급한다. 4칸째부터는 플레이어가 스카우트나 뽑기, 개발 등으로 직접 구해야 한다.
- 레벨 업 방식이 격추 후가 아닌 클리어 후 일괄로 변경되었으며, 격추된 기체도 손실 없이 경험치를 받는다.[4] 게스트 부대의 에이스 게이지도 없으므로 아무 기체로나 격추해도 상관 없다.
- 출격 시 기체와 파일럿의 타입, 출전 작품[5], 서포터(전함)과의 조합을 맞추면 부스트 효과라는 이름으로 스테이터스가 증가한다. 이 증가치로 추가되는 전투력은 일부 퀘스트에서 배제된다.
- 특정 보스 기체가 등장하는 고난이도 스테이지가 존재한다. 첫 스테이지 클리어시 해당 보스 기체의 플레이어 버전을 주며, 전부 클리어하면 해당 기체의 그레이드를 끝까지 올릴 수 있다.
- 포획의 경우 포획이 가능한 유닛이 랜덤으로 스폰되는 형태이다. 해당 유닛을 처치 시 포획 처리된다. 따라서 한 전투에서 복수 기체를 포획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몇 판을 돌아도 하나도 포획하지 못할 수도 있다. 스킵 역시 마찬가지. 경우에 따라 맵 브리핑 정보에서 언급된 것 외에 추가적인 포획 가능 기체가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보자.
- 최적화 문제로 전투 연출의 경우 모든 공격 과정이 나오는 "풀 버전"과 공격측의 공격 장면만 나오는 "하프 버전"으로 나뉜다.
- 전투 연출 이후 맵 상에서 전투 모션이 나온다. 연출을 off로 설정해도 이 모션들은 그대로 나온다.
- 스테이지를 3성 클리어하면 다른 게임의 소탕 기능에 해당하는 건너뛰기가 해금된다. 다만 각 스테이지당 하루에 3번의 제한이 걸려있으며, 이후에는 유료 재화인 다이아를 써서 리셋하면 3회가 재충전 되는 형식이라 추가 파밍을 하려면 기본 3회 후에는 일일히 입장해서 클리어 해야 한다. 강화 육성 스테이지, 강적 출현처럼 재충전 할 수 없는 스테이지도 있다.
5.2. 뽑기
- 뽑기로만 등장하는 일부 UR등급 유닛의 경우 일반적으로 개발을 통해 나오는 유닛과 다른 성능을 가졌으며, 특히 필살기에 해당하는 'EX 무장'을 추가로 지니고 있다. 슈퍼로봇대전 DD 같은 무장 가챠 개념은 아니고 그냥 동일 기체의 고레어 버전이 하나 더 있는 것이다. EX 무장의 경우 개발 초기에는 '이터널 무장'이라고 불리웠으나 최종 발매 단계에서는 EX 무장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 뽑기에서 획득한 기체는 개발에 사용할 수 없다.
- 캐릭터의 경우 뽑기에서 획득하는 일부 유닛과 함께 나오거나, 시나리오 플레이로 스카우트 메뉴에 등장해 획득하는 식이다.
- 전함은 특정 캐릭터와 묶어 "서포터"로 등장한다. 전함은 꼭 뽑기에서만 나오는 것은 아니고 미션 달성이나 상점 구입을 통해서도 구할 수 있으나, 서비스 개시 시점에서는 뽑기로만 얻을 수 있는 전함이 더 많다.
5.3. 개발 및 육성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개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개발#|]][[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개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개발 계통이 임의로[6]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오픈 초 기준 다른 계통으로 넘어갈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상위 기체의 경우 같은 계통의 다른 가지의 기체들까지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 S.F.S(서브 플라이트 시스템, 추후 편의상 SFS로 표기)를 별도로 제작하거나 편성할 수 없다. 그나마 플레이어 측에서 쓸 수 있는 SFS는 건담 Mk-II의 발전 기체에 포함된 방식으로 간접 구현된 플라잉 아머 하나 뿐이다.[7] 또한 일부 TMS/TMA가 SFS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설정은 이번 작품에서도 구현되지 않았다. 적 기체는 SFS를 잘만 타고 나오지만, 대신 SFS 탑승 기체가 격추될 경우 탈출하지 못하고 그대로 격추 처리된다. 미티어 등의 합체형 기체도 동일한 사양이므로, 이후 덴드로비움이나 GN암즈 같이 비슷한 형식의 기체군들도 동일할 것으로 보인다.
- 모빌슈트 개개별로 능력을 발휘하는 어빌리티를 개방 가능.
- 유닛은 같은 유닛 또는 아이템을 소모하고 '한계 돌파''를 3회까지 시행 가능하다.
-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작품 내 제3의 개발 계통인 Ultimate 가 개방된다.
- 모체가 된 유닛의 레벨을 개발된 유닛이 이어받게 된다.
- 캐릭터는 게임 시작 시, 시나리오 시작 시, 이벤트 등으로 지급하는 방식을 제외하면 스카우트와 일부 SSR 유닛, 모든 UR 유닛을 가챠로 얻을 때로만 획득할 수 있다. 같은 캐릭터를 중복해서 얻을 수는 없고, 캐릭터는 한계돌파가 불가능하다.
- 캐릭터를 같이 얻을 수 있는 유닛을 중복해서 가챠로 획득한다고 해서 그 캐릭터를 중복해서 얻을 수는 없다.
- 지제네 크로스 레이즈처럼 파일럿들은 본인들의 다른 버전은 개별적으로 스카우트해야 얻을 수 있도록 그대로 유지되었다. 동일한 캐릭터가 여러 레어도로 존재하는 경우 역시 존재하며, 서비스 개시 기준으로 배리에이션이 가장 많은 캐릭터는 아무로 레이.
6. 평가
===# 출시 전 #=== | |
이터널의 샤이닝 건담의 샤이닝 핑거 | 크로스 레이즈의 갓 건담의 갓 핑거 |
발표전 일부 유출 자료를 본 사람들을 중심으로 프론티어와 RE의 전례를 들어 모바일 게임일 거라는 예측이 나왔으나 두 게임 모두 악평 속에서 서비스를 종료한지라 지제네 팬들 입장에서는 시리즈의 명맥이 끊길 수 있다는 소리나 다름이 없었던지라 외면에 가깝게 부정해왔었다. 특히 콘솔 유저들 입장에서 크로스 레이즈 발매 이후 신작를 기다렸는데 약 6년만의 신작 소식이 모바일 게임이라는 것에 실망한 반응이 많다.
이후 결국 본작이 공개되면서 모바일 플랫폼이라는 것이 사실로 드러나자 전세계적인 팬덤의 반발이 발생했다. 심지어 공개된 PV에서 시퀸스 돌려쓰기가 포착되자 아예 대놓고 욕설로 댓글을 도배하는 경우까지 생길 정도. 원래부터 지제네 시리즈가 시퀸스 돌려쓰기가 심했지만, 비교적 모델링 수정 품이 덜 들어가고 기간이 넉넉한 모바일 플랫폼에서 이전의 2작품보다 더한 돌려쓰기가 벌어진 것이라 팬들의 여론이 급격히 나빠질 수밖에 없었다. 2025년에 공개된 건담 버사고 연출은 영락없는 크로스 레이즈의 건담 버사고 체스트 브레이크 연출을 그대로 돌려 써먹는다. 크로스 레이즈 연출을 우려먹고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초강기 시 시작 연출[8], 마무리 연출[9], 특수 회피 연출[10]은 삭제되었다.
최적화 면에서도 불안 요소가 많았고, 실제로 앞선 모바일 2작품과 크게 다를 것 없는 발적화임이 밝혀져 더욱 욕을 먹게 되었다. 당장 전작인 크로스 레이즈의 PC판 CPU 최소 요구사항이 Intel Core i5였던 걸 생각해 보면 충분히 예상 가능한 부분이긴 했으나, 모바일 게임 3작품 연속으로 이런 짓을 해 놓으니 여론이 더 나빠지는 것 역시 당연했다.
첫 공개 당시 간이 전투의 컷신도 너무 구리기 짝이 없고, 이후 도쿄 게임쇼에 공개된 시연 버전에서는 그나마 있던 간이 전투시의 피격 모션마저 사라져서 현장 반응이 압도적으로 부정적이었다. 오죽하면 대놓고 B급 감성으로 만든 슈퍼로봇대전 DD 보다도 나쁘다는 의견이 있었을 정도이다.
서비스 지속 가능성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되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이미 두 모바일 게임이 결국 섭종을 해버렸기 때문이다.[11] 이러한 여론은 모바일 게임 과금 구조에 동양보다 훨씬 적대적인 반응을 보이고, 게임의 '평생 소장'에 훨씬 중요한 가치를 두는 서양권에서 주로 보였다.
6.1. 출시 후
개발 연기가 계속 이어져 사람들의 기대치가 거의 바닥에 가까웠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초기 평가는 나쁘지 않고, 출시 직후 세일런 1위를 달성할 정도로 매출면에서도 스타트는 좋게 끊었다. 첫 발표 및 베타 테스트 당시의 기사들과 실제로 발매된 게임의 모습을 보면 달라진 내용이 상당히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개발 중단을 의심하게 할 정도로 길었던 개발 기간은 이와 같이 게임의 많은 부분을 뜯어 고치면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발표 초기에 내걸었던 '이전의 모바일 2개 작품이 콘솔용 시리즈와 게임 방식이 차이가 많이 났었다는 단점을 개선하겠다'는 컨셉은 게임 사양 변경을 거치면서 결국 일부분은 간략화되거나 지켜지지 않게 되었고, 일반적인 가챠 게임의 밸런스와 콘솔 작품의 플레이 스타일을 최대한 양립하여 타협한 형태로 완성되었다. 초기 베타 테스트에서 플레이 템포에 대한 반응이 별로 좋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 방향성을 바꾼 것으로 보이며 이런 탓에 여전히 콘솔용 차기작을 기대하던 팬들에게서는 악평이 나오기도 하지만, 이전 2개 작품에 비해서는 서비스 초기의 완성도가 높고 기존의 G제네레이션 시리즈와 가까운 게임 방식을 구현한 편이다. 하지만 오랜 기간을 거쳐 개발했음에도 아직은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남아 있다.
6.1.1. 캐릭터 게임으로의 요소
- 볼륨: 서비스 개시 시기의 유닛 수는 492개로, 등장 기체가 네 자릿수를 넘어가는 SD건담 G제네레이션 F나 700개 이상의 기체가 등장하는 SD건담 G제네레이션 OVER WORLD 등에 비하면 많은 수는 아니나 스토리가 구현된 참전작의 수가 상당히 적음을 감안하면 낮은 수는 아니다. 다만 지제네 시리즈 특성상 고레어 유닛만 키우는 경우가 많아 잘 부각되지 않을 뿐.
그 대신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한 모바일 게임이라는 점을 살려, F 이후 보기 힘들어진 마이너 기체들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르 시뉴 등은 본작을 통해 최초로 G제네에 등장했으며, G제네 F 이후로 등장이 없었던 구 셔플동맹 탑승기 등을 출시하는 등 2D 시리즈 마지막인 오버월드, 3D 시리즈인 제네시스, CROSS RAYS 등에 미등장한 기체들의 출시도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서비스 개시 시점에서 시나리오가 제공되어 등장 기체의 거의 대부분이 출시된 참전작은 10개에 불과하고, 그마저도 그 중 절반인 G, X, 00, 철혈의 오펀스, 수성의 마녀는 스토리와 기체가 절반 정도밖에 등장하지 못한 상태다. 다만 심각한 문제는 아닌 것이 발매 전부터 추후 업데이트로 나머지 스토리와 기체를 추가할 것이라고 예고되었고, 사실 이전 두 모바일 G제네레이션을 비롯한 많은 모바일 건담 게임들이 스토리 추가를 게을리하다가 결국 완결까지 스토리를 다루지도 못하고 서비스를 종료해 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래도 중요한 작품들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시나리오를 완결까지 준비해 놓고 시작한 본 작품은 상당히 발전한 편이다. 실제로 SEED ASTRAY, 0083, SEED DESTINY, 썬더볼트 등의 작품을 지속적으로 추가할 것을 공지한 상태라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 할 부분이다.
- 연출: 발매 이전에 가장 큰 논란 중 하나였던 하프 컷인은 맵 상의 무기 연출을 참격 하나로 통일하던 전작들과 달리 무기별로 고유한 연출을 추가되면서 다소 사그라들었다. 오히려 맵 상에서 유닛들이 더 활발하게 움직이다 보니 구작들보다 역동성이 증가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하프 컷인을 사용한 대신 적 유닛의 공격 연출이 3D로 나오지 않는 점은 마이너스.
연출 퀄리티가 워낙 구렸던 제네시스 참전기(전기 우주세기 기체) 중 일부는 크로스 레이즈급 퀄리티에 맞춰 연출을 일신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니콘 건담[12]과 사자비 등. 또한 크로스본 건담이나 레드 제타, 에어리얼, 내러티브 건담 A장비와 같은 신규 참전기들도 연출 퀄리티가 높다. 물론 참전기가 워낙 많아 기체별로 연출 퀄리티의 편차는 크기 때문에 모든 기체에 해당하는 사항은 아니지만, 현실적으로 참전기가 많은 게임에서 모든 기체에 높은 퀄리티를 할당하는 건 불가능하므로 감안해야 할 부분이다.
UR 유닛들만이 가진 EX 무장의 연출에 대해서는 이견 없이 호평을 받고 있다. NEO/SEED의 SP 어택 연출처럼 그 기체가 가진 모든 무장을 꺼내 연속 공격을 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이 연출이 그대로 맵에서도 재생된다.
다만 제네시스 DLC 참전 기체와 크로스 레이즈에 참전했던 유닛이나 해당 유닛의 파생기(예: 샤이닝 건담[13])는 신규 기체더라도 기존의 모션을 재탕하고, 전작 크로스 레이즈에서 지적된 저스티스나 데스티니 건담, 더블오 퀀터 같은 연출 퀄리티에 개선이 없다는 혹평이 있다. 다만 크로스 레이즈 자체가 연출 퀄리티가 워낙 높은 게임이었기 때문에 연출이 구렸다고 평가 받은 일부 기체인 더블오 퀀터, 데스티니 건담, 저스티스 같은 사례를 제외하면 나름 평타는 치는 편. 당장 연출을 갓 건담의 연출을 우려먹었다고 욕먹은 샤이닝 건담의 연출조차 우려먹은게 문제지 객관적인 연출 퀄리티는 상당히 높다. 다만 EX 무장 퀄리티 중 저퀄라고 까이는 무장이 있는데 프리덤 건담과 스트라이크 프리덤의 EX 무장 연출로 퀄리티가 굉장히 나쁘다고 까이고 있다.
파일럿 컷인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다. 파일럿 별 포트레이트 퀄리티의 편차가 다소 눈에 띄며[14], 전작들에 있던 상호작용 대사들은 특정 무장 사용 시 외에는 거의 없어졌다. 심지어 리퀘스트 시스템에서도 기존 대사를 우려먹고 있어서 도움을 요청하는 입장이면서 고압적인 태도인 건 애교고,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줘도 상황에 맞지 않은 대사가 나온다. 음성 데이터는 F[15], 오버월드[16], 제네시스와 크로스 레이즈 당시의 라이브러리 데이터를 거의 대부분 돌려막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성우가 변경된 캐릭터들인 쥬도 아시타, 시북 아노/킨케두 나우, 하사웨이 노아 등도 이전 성우들인 야오 카즈키, 츠지타니 코지[17], 사사키 노조무의 음성이 나온다. 다만 이 부분은 어쩔 수 없는 것이, 본작은 성우 변경 이전부터 개발이 진행되어 온 '장기간 개발' 게임이라 신규 작품의 성우 라이브러리 대응과 달리 '개발 착수시 성우진' 목록에서 변경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스토리: 스토리 재현률이나 DVE의 비중 등은 종전의 G제네 시리즈와 비슷하다. 딱 평이한 수준으로 원작 애니메이션의 장면을 캡쳐한 스크린샷을 연속으로 보여 주는 형태로 간략화되었다. 기존 작품들의 경우 스토리 CG를 보여줄 경우 원작의 장면을 3DCG로 재현해 새로 만든 스틸컷을 보여주곤 했는데, 이에 비하면 힘이 덜 들어간 모양새인데다 본편과는 달리 원작 그대로의 리얼 체형이라 통일성이 없는 등으로 불만을 사기도 하지만 본작에서는 과거작들에 비해 훨씬 많은 스틸컷을 사용하는 데다 기체가 아닌 인물 묘사도 많다 보니 원작의 장면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G건담이나 수성의 마녀 등 1:1 결투가 주가 되는 시리즈는 최근 작품들처럼 게스트 스테이지를 사용하지 않고[18] 구작처럼 원작의 에피소드가 1:1이었어도 적 유닛들이 추가적인 적으로 나오는 형태로 어레인지되었고, G건담은 구작처럼 데빌 건담 군단과의 전투가 주가 되는 에피소드만 골라서 선별했다.
스토리가 있는 스테이지는 원작 스테이지에만 한정하지 않고, 원작 세계관과 연결되는 신규 외전 스테이지가 본작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첫 타자로는 기동전사 건담 SEED와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의 사이의 시점, 키라와 아스란의 행보를 그린 이야기인 <기동전사 건담 시드 리콜렉션>이 본작을 통해 최초 발표 예정에 있다. 또한 건담 U.C.인게이지나 철혈 우르드헌트처럼 신규 외전 스토리에는 숏 애니메이션까지 새롭게 그려진다. 건담 U.C.인게이지가 숏 애니메이션이 딸린 신규 스토리를 계속해서 공개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본작도 그러한 방향성으로 나아갈 것으로 보이며, 차후 다른 작품의 와전 스토리도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6.1.2. BM
리세마라 편의성은 압도적으로 높다. 초기 재화를 넉넉하게 제공한 것도 있지만, UR 확정 10연챠를 원하는 유닛을 획득할 때까지 무한히 재시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원하는 UR을 여럿 획득하는 것도 시간을 조금만 투자하면 충분히 가능하다. 그래서 무과금으로 플레이하기는 어렵지 않으나 과금의 효율은 나쁘다. 그 흔한 시즌 패스나 월정액 패키지 하나 존재하지 않으며, UR 보장 시스템도 부실하다. 그나마 천장이라도 있는 UR 기체와 달리 원하는 전함이나 파일럿을 가챠로 얻는 것은 완전한 운의 영역이다. SSR 기체와 달리 SSR 파일럿은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도 없고, 소수의 SSR 기체를 획득했을 때만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가챠 의존도가 높고, 전함은 게임 시작 시 주는 3개의 전함과 GP로 교환 가능한 전함 2개를 제외하면 획득할 방법이 거의 없어[19] 리세마라 성공의 척도가 전함으로 평가될 정도다. 또한 파일럿 쪽은 더 심각한 게 스카웃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여러모로 육성이나 성능에 제약이 걸려 있는 SR 등급의 캐릭터가 한계다 보니 어디까지나 가챠 캐릭터가 부족한 초반에 어거지로 쓰는 수준에 그칠 것이 뻔한 상황인 것도 문제다. 아직까지는 공격형 파일럿 중 찬스 스텝 횟수 증가가 있는 것은 UR 세츠나 와 UR 샤아 ( 역습의 샤아 )인 것에 비해[20] 그나마 지원, 방어형 캐릭터는 효율과 횟수가 떨어지긴 해도 지원 횟수 증가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는 것이 다행.6.1.3. 시스템
초기 베타 버전에서는 기존 G제네 시리즈처럼 전함과 함재기 시스템이 존재했으나, 최종 발매판에서는 전함이 맵상에 나오지 않고 능력치 버프만을 제공하는 파츠와 비슷한 형태로 격하되었고, CROSS RAYS의 유격 부대 스타일로만 편성이 가능하다. 이 부대는 '시리즈 부대'와 '프리 부대'로 나뉘는데, 시리즈 부대는 시나리오마다 출격할 수 있는 기체와 캐릭터가 제한되어 있어 가챠 못지 않게 개발로 얻는 유닛도 중요하다. 가차로 나오는 유닛만으로는 절대로 시리즈 부대를 만족스럽게 채울 수 없기 때문. 특히 엔드 컨텐츠인 '이터널 로드'의 경우 프리 부대는 아예 사용할 수 없어 적절하게 기체를 개발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전함이 없어져 HP, EN의 회복 기회가 매우 제한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종전의 G제네 시리즈에 비해 탱커의 가치가 매우 높아졌다. 물론 탱커도 회복이 어렵다는 건 변하지 않기에 복수의 지원형 기체로 적의 반격을 받지 않을 사거리 밖에서 체력을 줄인 후 집중 육성한 공격형 캐릭터로 지원 공격을 곁들여 마무리해 찬스 스텝을 띄우는 것을 반복하는 식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며 플레이하는 방식이 효율적이다.따라서 다양한 유닛을 많이 개발하는 것이 여러 엔드 컨텐츠에 도달하기 위해 필수적인데, 고레어 유닛의 개발에 필요한 전용 재화인 '개발 재료'를 오로지 스테이지 클리어만으로 모을 수 있게 해 두어 플레이 타임을 늘렸다. 이 개발 재료는 SSR 등급의 기체 한 대를 처음부터 만들기 위해서는 약 30~60개가 필요하나, 스테이지 최초 클리어 보상을 제외하면 1회 클리어당 1~3개밖에 주지 않기 때문에 제작 기체의 풀돌을 노리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가챠 게임 특유의 레어리티 개념이 도입된 탓에, 기체 간의 성능 밸런스는 기존의 콘솔용 G제네레이션 시리즈와는 다르고 이전 모바일 2작품들에 가까운 밸런스이다. 같은 세계관 내에서는 설정에 맞추어 시대상 후기의 기체가 성능이 순차적으로 좋아지도록 책정되어 있던 콘솔용 시리즈와는 달리 원작에서의 활약상이나 중요도를 주요 기준으로 설정된 레어리티에 따라 대략적인 성능이 결정되기 때문에, 뽑기가 주 획득 경로가 되는 최상위 레어리티 UR 기체들은 설정에 관계없이 최상위 능력치를 지니고 있으며 개발을 통해 만드는 기체도 개발 트리 후기에 있을수록 레어리티가 높아지도록 설정해두기는 했지만 여전히 간혹 원작 설정이나 기존 시리즈의 밸런스와는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21] 그나마 이러한 레어리티 차에 의한 성능차를 줄이고 기존 시리즈에서 있었던 약한 기체라도 많이 강화해서 활약시키는 플레이를 재현할 수 있는 요소로 'SP화' 시스템이 들어가서, 이를 통해 한정적으로나마 SSR 이하의 유닛을 추가 강화할 수는 있다.
개발 기체의 레어리티는 특별한 기체인 Ultimate 기체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SSR이 한계이고 SP화를 한다 해도 무장이나 스킬의 성능 문제 등으로 인해 뽑기로 나오는 UR 기체의 성능을 넘을 수는 없으나, 가챠로 수익을 내는 모바일 게임인 이상 공짜로 제작이 가능한 기체가 뽑기 기체보다 성능이 좋게 나오면 수익이 떨어져 게임 지속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이전 모바일 작품 G 제네레이션 RE가 빠른 서비스 종료로 증명한 바가 있으며[22], 기존 콘솔용 작품에서도 약한 기체를 강화해서 쓰는 것은 같은 한계점을 감수하고 사용하는 것이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반면 파일럿의 경우 기존 정통파 작품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 선의 성능 차이에 어빌리티 간 격차나 성능을 조절하는 식으로 육성에 따라 본작의 오리지널 캐릭터가 원작 출신의 네임드 파일럿보다 강한 경우도 있었으나, 본 게임에서는 등급제를 채택함으로 일부 인기 네임드 파일럿 위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농후하다. 당장 오픈 초 지제네 오리지널 캐릭터는 전부 어빌리티 하나만 들고 있는 최저 등급 캐릭터인 등 노골적인 차이가 있다. 물론 이전 반다이가 퍼블리싱한 건담 소재 모바일 게임인 건담 브레이커 M도 출시 초기 오리지널 캐릭터가 저등급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며 BM 캐릭터로 출시한 바 있던 만큼 본 게임도 시간이 지나면 다양한 캐릭터가 풀릴 가능성이 높으나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가 나오기 전까지는 큰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는 점은 캐릭터 게임으로서는 단점이다.
피로도 시스템인 AP는 1회 플레이에 10AP가 필요하고, 5분당 1AP가 충전되기 때문에 1회 플레이를 위해서는 50분을 기다려야 한다. 단 3시간마다 재화를 보급해 주는 시스템이 있어 실제로는 3시간에 5~6회 정도 플레이가 가능하며, 한국 시간으로 오전 1시마다 매일 50AP가 충전된다. 여담으로 개발 초기에는 메인 스토리 스테이지에서는 AP를 소모하지 않고 이벤트나 고난도 스테이지에서만 소모하는 것으로 발표되었으나, 최종 버전에서는 클리어 보상 설정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소모하도록 변경되었다.
GP 수급이 매우 불친절하다. 기체를 분해하는 것을 메인으로 수급하게 되어 있음에도 기체 생산(본 작은 개발), 해체 시스템은 별다른 개선은 없어서 GP 수급을 위해서는 일일히 생산하고 분해해줘야 한다. 이렇게 얻어지는 양도 기체 랭크에 따라 20~100 정도가 들어오는 데, 가장 저렴한 데일리 옵션 파츠 구입에만 개당 1000GP가 필요하고 나머지 상품도 수 천대에 달하므로 엄청난 노가다가 필수적. 가장 비싼 상품이 SSR 등급 상승 아이템이 30,000GP이므로 가성비가 가장 우수한 1단계 기체 기준 1500대를 갈아야 하고, EX 무장 업그레이드 재화인 무장 강화 파츠 UR만 해도 1500 x 1개 3000 x 5개이므로 매달 825대는 갈아줘야 한다. 설계 시스템이 변경되면서 악화된 점은 기존 작품은 아무 기체나 캐피털만 투자하면 생산할 수 있었기에 그냥 들어가는 캐피털 대비 GP 가성비가 우수한 기체를 생산해서 해체하면 됐지만 본 작은 상위 기체를 생산하려면 하위 기체를 생산 내지 포획하여 일정 수준의 경험치를 쌓아야 하는데 들어간 투자 비용은 고려되지 않고 기체의 랭크에 따라서만 결정되므로 개발 계통도 가장 하위 티어의 N등급 1렙 기체를 생산해서 분해하는 것이 가장 가성비가 높은 방법이 되었다는 점이다. 그나마 일괄 해체 기능은 지원하기는 하니 조건을 지정해주고 다른 용도로 사용할 기체를 매번 선호 기체 지정을 해주면 해체 노가다는 덜 수 있지만,[23] 생산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노가다다.
따로 시스템 ui의 안내가 없어서 모르고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인데 화면 상단 돌아가기 버튼을 누르면 이전 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으며 파일럿 혹은 기체 포트레잇을 꾹 누르고 있으면 상세 페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좌상단 뒤로키를 누르면 전 화면으로 돌아와진다) 유닛 개발 혹은 리퀘스트할 때 즐겨찾기가 되어서 선택 못하는 유닛도 즐찾된 상태의 유닛 아이콘을 꾹 누르면 바로 그 유닛의 상세페이지로 넘어가진다.
BGM쪽은 기존 G제네 시리즈의 각 작품 원작의 OST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은 프론티어와 RE에 이어 이번 모바일 작품이기 때문에 지켜지지 않았다. 이전 2개의 작품들처럼 범용 BGM들로 돌려막기하는 방식인데, 이터널의 경우 원작별 BGM 세트를 유료 패키지 아이템으로 상점에 추가할 예정이라고 개발자 노트에서 밝혀 유저들이 모바일에서도 프리미엄 BGM을 사야하냐고 뒷목을 잡게 만들었다. 이전의 2작품은 이런 식으로 BGM으로 장사를 시도하는 일까지는 없었다. 거기다 '검토 중' 이라고만 했기 때문에 판매조차 안 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라 BGM은 없다고 무방하다.
6.1.4. 번역
한국 서비스는 번역의 질이 매우 좋지 않다. 시스템 설명이 잘못되어 게임 플레이에 대놓고 지장을 주는 정도의 문제는 없으나, 시나리오나 설정 등의 번역과 캐릭터 설명의 띄어쓰기 오류가 문제가 되고 있다.- 바운드 독이 하운드로 번역되어 있다.
- 뉴욕을 뉴약이라고 번역했다. 네트워크 테스트 때도 지적되었으나 고쳐지지 않았다.
- 라라아 슨이 죽는 장면에서 샤아 아즈나블에게 대령님이 아닌 오빠라고 부르는 기본 검수 자체가 안 된 심각한 발번역 사례도 있다.[24]
- 슬레거 로우의 특공 장면에서는 슬레거가 전사한 직후 아무로가 빅 잠에 대고 외치는 "잘도 했겠다!(やったな!)"를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슬레거에게 말하는 것으로 해석했는지 "중위님 해냈군요!"라고 번역해서 마치 아무로가 슬레거의 죽음이 성공적이었다며 기뻐하는 것 같은 기괴한 번역이 되었다.
- Ultimate 전용 개발 재료 아이템의 설명문이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의 경로도에 등장하는 유닛의 개발에 필요한 재료'로 되어 있는데, 이는 한국어판에서 번역이 잘못된 것으로 다른 언어판을 보면 썬더볼트와 관계 없이 Ultimate 기체의 개발에 필요한 재료라고 되어 있어야 한다.
- 캐릭터들의 교전개시 대사는 다양한 편이지만 대부분을 죽어라 로 통일해 놓았으며, 쥬도 등 일부 캐릭터는 음성과 자막이 정반대로 출력되는 오류까지 존재한다.
- 건담 에어리얼의 무기 중 에스커천[25]을 이스커천이라는 이름으로 번역했다. 이는 해당 개발도 계통의 유닛 모두에게 해당되며 가챠전용 UR등급 건담 에어리얼(EX)도 마찬가지.
7. 기타 이야기거리
- 기본 오퍼레이터 겸 튜토리얼 가이드로 마리아 오엔스가 선정되었다.
- 유저 데이터만 지우면 바로 리세마라가 가능한 게임이라[26] 정식 서비스 이후에도 게임 공략보단 리세마라 이륙에 대한 얘기가 더 많고[27] 리세마라를 통해 초기 스타팅을 어떻게 가져가야 좋을지 많은 얘기가 나오고 있다. 특정태그덱 UR위주 총정리
지제네 시리즈 고증대로 UR 등급이면서 혼자 우주 적성 반감인 UR 건담 Ez-8, 특히 혼자서 적성이 우주, 공중 2개밖에 없는데다 그마저도 공중이 반감이여서 이동력이 답답한 UR 내러티브 건담 A장비는 꽝카드 평가를 받는다.[28] 대체적으로 1% 확률인 서포터를 구하고 서포터에 맞춘 기체까지 확보하면 시작하는 쪽으로 잡혀있다. 서포터는 리더 스킬 돌파력[29], 일격필살[30], 전광석화[31], 견고[32]가 메이져이며 넷 중 견고는 일본과는 달리[33] 한국에서는 타 리더스킬 대비 갖춰야할 조건이 많아서[34] 평가가 많이 낮다.
- 반다이 남코 ID와의 계정연동 시스템이 영 시원찮아 곳곳에서 오류나 계정연동 불가에 대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해결방법으로는 2가지가 있다.
- 사용중인 Wifi 무선 인터넷을 변경하거나 데이터로 바꾼 후 계정생성&연동 페이지를 새로고침. 이를 시도하면 계정연동 페이지에서 무한로딩이 뜨며 하로가 계속 입질하고 있는 오류에서 벗어날 수 있다.
2. 반다이 남코 ID에서 직접 로그아웃[35]을 먼저 한 후 게임 내에서 계정연동/신규생성을 하는 것.
- 내구 타입의 지원 방어의 경우. 지원 방어를 했는데 회피했다면 지원 방어 회수가 소모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회피 탱커에 대해서 진지하게 이야기가 나오는 중.
8. 외부 링크
9. 둘러보기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53535> 톰 크리에이트 개발 (정통파, NEO, 브레이크) | G제네레이션 | ZERO | F |
F.I.F | PORTABLE | NEO | ||
SEED | SPIRITS | WARS | ||
WORLD | 3D | OVER WORLD | ||
GENESIS | CROSS RAYS | |||
뱅가드 개발 (개더비트) | 개더비트 | 개더비트 2 | 모노아이 건담즈 | |
ADVANCE | DS | CROSS DRIVE | ||
모바일판 | 프론티어 | RE | 이터널 | |
관련 문서 | 오리지널 등장인물 | 오리지널 기체 | ID커맨드 | |
가챠퐁전사 | GENERATION of C.E. | 슈퍼 히어로 제네레이션 |
<color#fff>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발매순서 | ||||
SD건담 G제네레이션 CROSS RAYS | ← | ,2025, SD건담 지 제네레이션 이터널 | → |
[1] 캬라 슨, 플츠 등.[2] 다른 타입이 거의 대부분의 캐릭터가 횟수 증가 스킬을 1스킬로 가지고 있는데 비해 찬스 스텝 증가 스킬을 가진 캐릭터는 희소하다.[3] 해당 작품의 외전도 인정. ZZ 시나리오는 ZZ 설계 계보에는 없지만 원작에선 등장한 Z 출신 기체들도 인정해준다.[4] 리절트 점수는 깎이므로 가능한 격추당하지 않는 것이 좋다.[5] 외전도 인정.[6] 기본적으로 작품과 세력을 기준으로 나눈 것 같으나 예외적인 경우가 너무 많다.[7] 간혹 G아머나 암드베이스 오키스, 미티어나 GN 암즈 등 SFS와 비슷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언급이 있는 기체들도 있으나 이런 전용 서포트 메카는 독자적인 기체나 본체와 합체한 강화형 유닛으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술한 플라잉 아머 역시 원작 내에선 사실상 막투의 전용기처럼 다뤄졌다.[8] 원작 크로스 레이즈 기준으로 톨기스2, 에피온(&EW)윙제로 EW, 데사헬 EW, 톨기스3, 헤비암즈 이겔, 샌드록 아머딜로, 센롱 라오야, 건담 그리프, 하이드라 건담, 프리덤, 프로비던스, 디스트로이 건담(변형까지 있다.), 스트라이크 프리덤, 레전드, 레드 프레임 개, 레드 프레임 드래곤, 블루 프레임 리바이, 골드 프레임 아마츠, 골드 프레임 아마츠 미나, 스타게이저, 알바토레, 알바아온, 엑시아 아반렌처, 더블오라이저, 더블오라이저(최종결전), 리본즈, 더블오 잔라이저, 레그넌트, 가데라자, 발바토스 4형태, 발바토스 루프스, 하슈말, 건담 부알이 있다.[9] 윙 건담, 데스사이즈 루세트, 프로트 윙제로, 퍼펙트 스트라이크, 프리덤, 저스티스, 레드 프레임, 블루 프레임 L, 데스티니 건담, 스트라이크 프리덤, 인피니트 저스티스, 엑시아, 아스트레아 F2, 야크트 아르케, 발바토스 루프스 렉스, 구시온 리베이크, 구시온 리베이크 풀시티, 플라우로스, 비다르, 키마리스 비다르, 아스타로트 리나멘시트, 피닉스 건담(능력해방)[10] 톨기스, 윙제로 EW, 스트라이크, 프리덤, 스트라이크 프리덤, 스트라이크 느와르, 더블라이저(최종결전), 더블오 퀀터, 더블오 퀀터 풀세이버, 바알, 아스타로트 오리진[11] 다만 프론티어의 경우 매우 빨리 섭종한 한섭과 달리 일섭은 8년가량 서비스를 지속했다.[12] 참고로 제네시스의 유니콘 건담 연출은 구리다고 많이 까였다.[13] 샤이닝 핑거의 연출은 갓 건담의 연출 일부를 유용했다.[14] 가장 최악으로 평가받는 캐릭터 중 하나는 미오리네. 표정이 웃음끼가 가득한 밝은 표정인데 대사는 진지해서 위화감이 심한데, 사실 이것은 전작 크로스 레이즈에서 지적받는 부분으로 대표적으로 알렐루야 극장판 버전에서 할렐루야 인격의 대사가 나오는데 할렐루야 포트레이트 만들지않고 알렐루야의 포트레이트을 그대로 써서 대사는 웃고 있는데 표정은 진지해서 어색하다고 까였다.[15] D 건담 한정[16] F91, F90, F91 실루엣, 크본, V[17] 이터널 개발전 2018년에 별세해서 트란잠, 다크니스 핑거, 퍼펫 스코어 상호대사는 없다.[18] W, 00, X 등 일부 시리즈의 도입부로는 유지되었다.[19] 오픈 초기 초보 유저 이벤트인 패널 임무를 클리어하다보면 중급자를 거쳐 상급자까지 이어지는데, 상급자 임무 5단계 보상이 서포터(전함) UR 확정 교환권 한 장을 주긴 한다. 다만 유저 랭크를 28렙까지 올려야 하고, 부스트 없이 순수 전투력 요구치가 매우 높아서 UR 기체가 없거나 적다면 달성하기 어렵다.[20] 배포 아마테도 가지고 있기는 하나 배포 지쿠악스 탑승 시 한정인 조건부 능력이다. 결국 둘 다 배포인만큼 고점이 높지 않을 것은 뻔하다.[21] 한가지 예를 들면 백식 改는 원래 설정을 따지면 이름 그대로 백식의 전투 능력을 개선해서 나온 더 고성능의 기체여야 하나, 본작에서는 백식 改가 ZZ 에우고 개발 루트 중간에 있는 SR 유닛이고, 백식은 Z 에우고 개발 루트 최종 단계에 있는 SSR 유닛인 탓에 백식이 백식 改보다 더 강하다. 애초에 백식이 에우고 개발 루트 최종 단계에 있는 것 자체가 원작에서의 중요도를 반영하기 위한 작위적인 설정으로, 백식은 파일럿의 기량으로 뛰어난 활약을 펼쳤지만 기술적으로는 그리프스 전역 비교적 초기에 개발된 기체로 결코 Z 건담과 동급의 최종 단계에 있을 만한 기체가 아니다.[22] 뽑기로 나오는 최고 그레이드인 그레이드 5 기체가 설계를 통해 나오는 그레이드 4 기체보다 가성비가 좋지 않거나 아예 화력 자체가 떨어지는 경우가 너무 많아, 팬이 아닌 이상 새 기체를 뽑을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 서비스 후반이 되어서야 비로소 가챠산 기체의 밸런스 패치나 처음부터 성능이 좋은 가챠산 기체가 등장했지만 때는 이미 늦어 게임은 1주년을 맞이한 지 얼마 후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다. 한편 G 제네레이션 프론티어의 경우 거의 일관되게 뽑기산 기체가 압도적으로 좋은 밸런스를 유지했고 게임 운영도 훨씬 더 길게 되었다.[23] 조건 지정으로 검색을 해도 일괄 해체는 별도의 시스템인지, 검색한 대상 외의 기체까지 지정되므로 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기체들은 따로 빼줘야 한다.[24] 이 경우는 상식적으로 원래 "대령님!"이라고 외치던 원문에서 오빠라는 번역이 나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오역이라기보다는 세이라 마스의 대사가 잘못 들어간 것을 제대로 검수하지 않고 방치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 또한 다른 장면에서는 라라아가 샤아를 오빠라고 부르는 부분이 없다.[25] 반다이남코 정식 번역명이다.[26] 단 삭제 후 재설치 시에는 튜토리얼을 다시 한 번 봐야 한다. 이미 반남 계정과 연동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는 것이라면 상관이 없지만, 용량 부족으로 앱을 지웠다가 새 계정을 만들 때는 주의.[27] 사실 공략이라 할 만한 요소도 없는 게, 게임 시스템이 대폭 간략화된 데다 원하는 UR유닛 하나를 확정으로 가져갈 수 있는 게임 특성상 강력한 UR 유닛 하나를 최대한 육성하면 어지간한 스테이지는 혼자서 다 썰어버리는 게 가능하기 때문. 이게 극명히 드러나는 게 공격형에 찬스스텝 보너스, EX기에 대미지 보너스(엑시아는 가까울수록 보너스, 사자비는 멀수록 보너스)가 존재하는 UR 엑시아+세츠나와 UR 사자비+샤아로, 이 둘은 명함이라도 유닛/파일럿 100레벨을 찍고 무장만 적당히 강화해 주면 매 턴 최대 10만 대미지로 3번씩 공격해 대서 어지간히 강한 보스 유닛도 두세번만 공격하면 박살내 버린다.[28] 그나마 기체의 지형적응이 구릴 뿐이지 넓은 범위의 맵병기나 파일럿 요나의 탱커로서 성능이 상당히 괜찮아 써먹을 구석은 있다.[29] 마리나, 레인 / UR 엑시아, 피닉스, 르시뉴[30] 티파 / UR 프리덤, 사자비, 스트라이커 커스텀, 에어리얼[31] 쿠델리아, 화 / UR 발바토스, 유니콘, 뉴건담[32] 프라우, 비챠 / UR 내러티브, Ez-8, 크로스본[33] 일본 유저들의 경우 Ez-8의 낮은 우주 이동력은 지원 방어로 커버해버리고 보스급 적에게 가장 높은 데미지를 먹일 수 있는 점에서 견고덱을 재미있어하는 유저가 꽤 있다.[34] 견고덱을 제대로 하려면 Ez-8, 요나, 건담 필수, 요나를 내러티브 대신 건담(EX)에 태워야 전천후 탱커로서 기용 가능하다.[35] 의아하게도 반다이 남코, 반다이 남코 몰, 반다이 남코의 다른 작품 페이지등이 전부 제각각 따로 반응을 한다. 즉 예전에 다른 이유로 반다이 남코 계열 사이트에 접속한 적이 있으면 새로 로그인하려 할 때 이 데이터와 뭔가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해당 국가에서는 이 사이트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라는 경고문이 나오면 거의 대부분 이 케이스. 이 때문에 이 사이트들을 통합 관리하는 반다이 남코 ID 사이트에서 직접 로그아웃을 해야 다른곳에도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