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23:30:33

Mapleland/직업/섀도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apleland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41338>
파일:MapleLand-logo.png
Mapleland
구현 직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숨기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개별 문서가 없을 시 취소선빅뱅 전 직업 스킬 문서로 연결됨
전사
파일:메이플스토리 전사_서비스 초기.png파일:attachment/untitled_25.png파일:attachment/maple_dark_knight.png
히어로 팔라딘 다크나이트
마법사
파일:1547627299884.png파일:메이플스토리-구썬콜.png파일:메이플스토리-구클레릭.png
아크메이지(불,독) 아크메이지(썬,콜) 비숍
궁수
파일:궁수1.png파일:attachment/untitled_22.png
보우마스터 신궁
도적
파일:나이트로드_서비스초기.png파일:도적1.png
나이트로드 섀도어

}}}
}}}
}}} ||
1. 개요2. 평가
2.1. 장점2.2. 단점
3. 스킬
3.1. 원작과의 변경점

1. 개요

메이플랜드섀도어 직업을 설명하는 문서.

2. 평가

전설의 팔불신 그 아래에 있었던 암, 암도어로 요약할 수 있다. 2차(시프)까지만 구현되어 있던 시절엔 전 직업 2차 스킬들 중 퍼뎀이 가장 높은 새비지 블로우[1][2], 이속/점프력 파티버프 헤이스트를 앞세워 전체 직업 중 중상위권 이상의 위상을 갖고 있었다.[3]

그러나 3차 전직이 구현되자마자 그 저열한 스펙마저 그대로 구현되어 많은 단검도적들이 타 직업으로 도망간 상태다. 4차도 이 모양 이 꼴이니 메랜 고유 패치라도 없으면 답이 없는 수준. 옛날 메이플을 구현한 게임답게 뭔 직업을 해도 대부분 70 찍기 전에 나가떨어진다는 게 유일한 위안거리인 수준이다. 이런 힙스터+최약체 캐릭터답게 메랜 스트리머들에게 시켜놓고 고통받는 꼴을 보며 즐기는 시청자들용 예능 캐릭터로서의 가치는 있다.

시프의 저열한 성능에 힘입어 시프는 2024년 12월 6일자, 메이플랜드 최초로 직접적인 스킬 상향 패치를 받게 된 직업이 되었다. 이전에도 활치기와 아대치기 범위, 엘릭서의 최대 회복량 제한 등 간접적으로 밸런스에 영향을 준 패치는 있었지만, 이렇게 스킬의 성능 자체가 상향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받은 상향 내용은 시브즈의 마나 소모 감소, 어썰터의 범위 증가, 메소 가드의 지속 시간 증가. 각각의 패치는 하향 점프가 도입된 08년 3월, 전직업 밸런스 패치가 이루어졌던 09년 1월, 모험가의 귀환 패치가 진행된 10월 1일에 실제로 순정 메이플스토리에 진행되었던 패치로, 최소한 순정에서 진행된 패치라면 얼마든지 들여올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순정에서 진행된 시기에 상관없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패치는 들여올 것임을 다시 한번 보여준 밸런스 패치이다. 데미지적인 버프는 하나도 없기에 빈약한 3차 시프 마스터의 딜링 능력은 변함없지만, 어썰터의 이동 거리가 늘어나 기동성이 크게 증가하고, 시브즈의 지옥같은 MP 50이 반이나 줄어들어 사용에 부담이 많이 줄어들었다. 메소 가드가 다른 버프들과 지속 시간이 비슷하게 변경되어 모든 버프를 3분마다 한 번만 돌려도 되게 바뀌어 숨통이 제법 트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4차 전직 패치 때도 당시 부메랑 스텝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특정 지형에서 사용이 안되던 문제, 후딜레이가 크게 개선되어 못할 직업은 아니게 됐다.[4]

원작과 동일하게 퓨전 도적 빌드가 가능하다. 물론 아대와 표창값은 스스로 감안해야 한다. 힘 단검도 그대로 구현되어있어 힘 도적 플레이도 그대로 가능하다.

참고로 도적 직업군은 캐릭터 성별에 따라 성능이 갈리는데, 여캐로 생성해야 성능 상 유리하다. 왜냐하면 남캐가 착용할 수 있는 전신갑옷은 100제 이전까지 전 직업 공용이자 스텟이 없는 파란색 가운 뿐이지만, 여캐는 기본 스텟이 4 붙어있는[5] 35제 전신갑옷인 후르츠를 착용할 수 있기 때문.[6] 다만 섀도어의 경우 방어력 때문에 100제 이전까진 상하의를 입는 경우도 많은데 이러면 성능 차이가 없어지니 자유롭게 선택해도 무방하다.

2.1. 장점

2.2. 단점

3.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섀도어/RED 이전 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원작과의 변경점


[1] 480%. 전사의 파워 스트라이크는 고작 260%이다. 파이널 어택을 동원하면 510%가 되기는 하지만, 이 역시 확률이 존재한다.[2] 단검이 무기상수가 낮지만 공속이 빠르고, 파이널 어택도 확률이기에 DPS 역시 전사보다 더 높다. 심지어 새비지 블로우는 6타 스킬이므로 최소 데미지와 최대 데미지 간의 편차도 작아 원킬컷을 맞추는 것은 전사보다 훨씬 쉽다.[3] 물론 대거 마스터리 19레벨+새비지 블로우 21레벨 찍기 전까진 그런 거 없이 최악의 성능이라 퓨전 도적 빌드를 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여기에 첫 번째 동행 파퀘가 구현된 현재 헤이스트 선마가 정석이므로 시프가 빛을 보려면 꽤 시간이 걸린다.[4] 공격범위도 수정된게 아닌가 하는 의혹도 있지만 범위는 순정과 같다. 점프샷이 불가능하며, 지형에 따라 사용불가 제약이 걸린탓에 과거엔 크게 대두되지 않았었다.[5] 상옵일 시 5. 드랍 역시 레츠와 블록퍼스, 좀비루팡 등 인기가 많거나 꾸준한 수요가 있는 몬스터에서 드랍되어 구하기도 어렵지 않다.[6] 그럼에도 남캐가 훨씬 많기 때문에 주문서 작이 된 전신갑옷은 남캐 전용 전신이 더 구하기 쉽다. 대신 노작 전신갑옷은 여캐가 더 저렴하다.[7] 마스터 기준 480%로 압도적 1위다. 파워 스트라이크의 260%의 거의 2배 수준.[8] 다만 섀도어는 표도와 달리 2단 점프 기술인 플래시 점프가 없고, 어썰터는 몬스터가 있을 때만 사용이 가능한 만큼 라이딩은 여건이 될 시 마련하는 게 좋다.[9] 총 딜레이가 1000ms, 분당 60회다.[10] 시클루전 리스트는 미구현, 님블 리스트는 힘을 올려주므로 힘단도가 아니면 쓸 일이 없다.[11] 그간의 이벤트도 있었지만 각종 랜덤 60% 무기 주문서 퀘스트와 루디브리엄 파티 퀘스트, 블루머쉬맘 퀘스트 등지에서도 쏟아지는데 드랍 역시 블러드 하프와 그린코니언, 스켈레곤 등 인기 몬스터가 포함되어있다.[12] 추후 무릉도원과 니할 사막이 등장할 시 빨코의 크루, 관출의 사이티가 추가되긴 한다. 원작에선 인기 사냥터였지만, 이들은 체력 대비 경험치가 좋지 않은 60 후반 레벨의 몬스터라 메랜에서도 인기가 많을 진 출시 이후에 드러날 전망.[13] 현재 풀리는 매물은 여신의 흔적(올비완파) 파티 퀘스트 관련 퀘스트 중 하나인 "파파픽시의 전설"의 보상으로 랜덤 무기 주문서 10%, 지니 교환 시스템에서 1% 확률로 주는 랜덤 무기 주문서 10%로 습득한 경우다.[14] 그나마 잡는 몬스터가 늑영의 라이칸스로프가 소환하는 웨어울프와 리프레에서 이벤트 시즌 레범몬 잡기 일퀘만 빠르게 끝내기 좋은 레쉬 정도에 그친다.[15] 가상의 0메소 동전이 존재하더라도 대략 34메소어치, 동전 하나당 약 132~264의 데미지를 보장해준다. 하지만 메익하고 픽파킷 다 찍을 정도의 레벨이면 아무리 단단한 고렙 몬스터라도 새비지 1타당 평균딜이 1000정도는 나온다.[16] 어썰터의 이동거리 증가, 시브즈의 1회당 소모 MP가 50에서 25로 감소, 메소 가드의 지속시간이 2분에서 3분으로 증가. 다만 이 패치도 옛날 메이플 당시와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이루어졌다.[17] 개선된 부메랑 스탭으로 인해 시프가 재조명 받으면서 부캐 순위가 갑작스럽게 급상승하였고 바닥을 기었던 단검 관련 시세도 4~5배 이상 뛸 정도로 시프에 대한 인식이 크게 좋아졌다.[18] 70레벨대 초중반은 어느 직업이든 주력기가 완성되지 못해 3차 타이틀만 단 2차 구간이나 다름없고, 70 후반부터 80레벨대까진 야시장 사잇길에서 시브즈 사냥으로 버틸 수 있다.[19] 부메랑 스탭 10이 찍히는 시점이다.[20] 파풀라투스 0.8%, 다크코니언 0.0003%.[21] 다크와이번 0.002%, 좌붕 6%.[22] 피아누스 자체는 샤프아이즈 때문에 많이 잡히지만 리젠 시간이 매우 긴 필드 보스고, 기여도와 관계없이 소유권이 돌아가기에 스틸의 위험도 크다. 그야말로 무법지대.[23] 20북은 그리프 0.2%, 뉴트주니어 0.0002%. 그나마 뉴트주니어가 등장하는 망용둥이 가장 인기가 많은 사냥터 중 하나라 가격은 저렴하나 30북은 오직 길드 대항전에서 0.02% 확률로, 길드 대항전 마북 중 가장 보기 힘들다.[24] 스킬북인 검은 구름 제조법은 비인기 몬스터인 루이넬이 드랍하고, 해금 과정 또한 근접 직업과 상성이 좋지 못한 플라잉 몬스터인 치크세이버를 잡아야하고, 파풀라투스의 증표도 요구하는 등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다.[25] 원작에서 스켈로스는 비숍이 주력으로 잡아서 확률이 100제 무기급임에도 불구하고 구하기 매우 쉬웠으나 메랜에선 남둥과 죽둥의 젠률이 대폭 너프되었다. 다행인 건 스켈로스는 다른 인기 사냥터인 큰둥에서도 등장한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