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2:10:01

Mapleland/직업/보우마스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Mapleland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41338>
파일:MapleLand-logo.png
Mapleland
구현 직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숨기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개별 문서가 없을 시 취소선빅뱅 전 직업 스킬 문서로 연결됨
전사
파일:메이플스토리 전사_서비스 초기.png파일:attachment/untitled_25.png파일:attachment/maple_dark_knight.png
히어로 팔라딘 다크나이트
마법사
파일:1547627299884.png파일:메이플스토리-구썬콜.png파일:메이플스토리-구클레릭.png
아크메이지(불,독) 아크메이지(썬,콜) 비숍
궁수
파일:궁수1.png파일:attachment/untitled_22.png
보우마스터 신궁
도적
파일:나이트로드_서비스초기.png파일:도적1.png
나이트로드 섀도어

}}}
}}}
}}} ||
1. 개요2. 평가
2.1. 장점2.2. 단점
3. 스킬

1. 개요

메이플랜드보우마스터를 정리한 문서.

2. 평가

근접하면 로 치는 시스템이 쓸데없이 잘 구현되어 육성이 쉽지 않다.[1] 극초반 데미지도 심각해서 크리티컬 샷이 어느 정도 찍히기 전까지 쇠도끼나 포크창같은 템을 주워다 전사 코스프레를 해야 하며, 본격적으로 활을 들어도 1차 구간이 표도, 법사보다 구리다. 다만 1차 구간은 커닝시티 파퀘, 찰리중사 교환으로 빠르게 넘길 수 있어서 이제 와서는 그리 큰 단점은 아니라 여겨진다.

마스터리를 찍고 애로우 봄을 마스터하면 나름 할만해진다. 사수의 아이언 애로우와 비교해 보면 DPS 자체는 훨씬 낮지만, 스턴이 달려 있고 지형도 훨씬 덜 타기 때문에 솔플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2]

3차 전직의 성능은 시프마스터 다음으로 최악이다. 단일딜은 표도한테 밀리고, 범위딜은 전사와 속성뎀의 보조를 받은 법사한테 밀리기 때문. 아쿠아리움, 리프레 출시 이후 레인저가 가장 젠을 못 민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파티에서 대놓고 멸시를 받고 있다.[3] 이 사실을 체감한 많은 레인저들은 야시장 사잇길을 졸업하는 90 레벨 전후로 폐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극복하려면 샤프 아이즈와 폭풍의 시를 사용할 수 있는 4차 전직을 달성해야 하기에 앞날이 매우 험난하다.

사실 궁수 직업군의 3차 스킬은 구성에는 큰 차이가 없는 편이지만, 3차전직 구간까지는 레인저는 저격수한테 밀린다. 아이스 샷의 빙결을 빼고 봐도 스공이 더 낮기 때문.[4] 하지만 고레벨을 노리는 유저는 폭풍의 시 덕에 레인저를 키우는 쪽이 더 많다. 때문에 최소 폭풍의 시 1레벨, 샤프 아이즈 10레벨을 찍는 시점인 123레벨[5]까지 고생할 자신이 있으면 레인저를 하고, 3차 ~ 4차 초반까지만 편하게 즐기고 싶으면 저격수를 하라는 말이 있다.

4차 전직이 마침내 등장하자 날아오르는 듯 했으나, 사냥에선 여전히 기피되거나 추가 지원을 강요받고[6] 보스에선 물약값이 가장 많이 깨지는 직업 중 하나[7]라 득템이 없으면 적자로 이어지는 구조다. 필요한 주력기를 전부 마스터한다면 상황이 달라질 가능성은 충분하지만, 보우마스터의 마스터리북은 현재 터무니없을 정도로 비싸다는 게 발목을 잡고 있다.[8] 때문에 4차만 꾹 참고 바라보며 4차전직을 끝마치고 샤프아이즈[9]와 폭풍의 시를 모두 찍은 유저들마저도 의욕을 잃고 폐사로 내몰리는 상태다. 보마를 키우면 안 되는 이유.

2.1. 장점

2.2. 단점

3. 스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우마스터/RED 이전 스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물론 불쾌한건 둘째치고 메이플랜드의 취지를 생각하면 오히려 이게 맞긴 하다.[2] 단 파티 선호도는 그다지 높지 않다. 루디브리엄 파티 퀘스트까진 무난하나 올비 경파에선 뚜벅이라 클리어 타임이 늘어난다는 이유로 전사와 함께 기피되며, 죽숲 파사쩔은 비선호 자리인 좌1을 갈 수 있어 전사보단 낫고 차벌 역시 원거리 격수 전용석에 가까운 1층을 갈 수 있긴 하나 기본적으로 기피 멤버다.[3] 아쿠아리움은 전사나 표도에게 밀리고, 리프레 역시 다를 게 없다.[4] 활의 무기상수는 3.4이고 석궁은 3.6이기 때문이다.[5] 혹은 보우 엑스퍼트 27레벨(숙련도 90%, 물리 공격력 9 상승)까지 가능한 132레벨까지.[6] 망용둥 좌1 자리가 대표적인데, 샤프아이즈가 있음에도 옥상에게 지원비를 내는 것으로 모자라 직접 샤프아이즈 배달까지 다녀야하는 처참한 신세가 지속 중이다. 그렇다고 다른 사냥터를 가자니 적자에 시달리기에 3차 시절과 다를 바 없는 갑질을 당하고 있다.[7] 전사처럼 피통이 많지 않아 비숍의 힐 케어 효과를 누리지도 못하고, 도적처럼 회피율이 높은 것도 아니라서 보스가 공격 패턴을 쓰면 거의 무조건 그대로 얻어맞으면서 물약을 사용한다.[8] 샤프아이즈 포함 주력기를 한 방에 뚫는다고 가정해도 10억 가까이 필요하다. 심지어 140대 이상 초고렙 파티(망용둥, 위용둥 4인팟 등등)는 아예 지원 자격부터 샤프아이즈 20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9] 30북까지 뚫을 정도면 초고자본에 해당된다는 이야기고, 그렇기에 사냥이나 보스 어딜 가도 최우선으로 우대를 받고 지원금 역시 두둑하게 챙겨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결국은 나이트로드를 빛내주는 조연에 그치는 점에서 꺾이는 경우가 많다.[10] 메이플 랜드는 해적이 없으므로 1위[11] 옛메 당시 나로와 보마의 인구비가 1:1에 가까웠던 반면, 메랜은 2:1 ~ 3:1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다만 3차 레인저가 시프마스터 다음으로 저열하다는 점은 감안해야한다.[12] 3차때 에로우레인을 배우면 사정이 나아진다.[13] 클레릭의 힐 제외[14] 이 때문에 보스전 때 딜손실이 상당하다. 피격 시 캐릭이 공중에 뜨기 때문.[15] 올림푸스는 촉진제와 제조법을 사용해 제작이 가능하긴 하나, 재료로 민첩성의 크리스탈, 흑수정, 사파이어 등 수요가 많은 원석을 요구하는 데다 제조법의 입수 루트도 퀘스트를 제외하면 그린 트릭스터와 버블피쉬라는 답이 없는 라인업이라 시도하기도 어렵다.[16] 이런 탓에 장사꾼들의 매점매석이 상당히 심각한 품목이기도 하다. 오죽하면 아대 공격력 주문서와 대등하게 거래되기까지 할 정도.[17] 심지어 밀쳐지지 않는 경우 확률이 더 낮아진다.[18] 버블꾼도 가능은 하지만 표도의 선호도가 압도적이라 채용률은 낮다.[19] 일반 파티는 직업 차별은 적지만 파티 수가 많지 않고, 샾+심매미 파티는 표도가 가기 불편한 4층이나 상대적으로 요구 스펙이 낮은 2층 자리 정도만 비벼볼만하다.[20] 원거리 격수 입장에선 쩔 받으러 가는 거나 마찬가지다 보니 물약 지원비를 가장한 쩔값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다.[21] 좌2(알까기), 좌1, 우1 자리는 갈 수 있지만, 옥상 자리가 물약값이 무지막지하게 나가다 보니 편한 알까기 자리를 맡는 유저에게 지원하라는 파티가 많고, 좌1은 주로 4차 이후에 가게 되는데 상대도 보우마스터는 갈 사냥터가 마땅찮다는 것을 잘 알기에 지원비는 기본, 추가로 직접 샤프아이즈 배달까지 다니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샤프아이즈 20 이상을 달성하면 대우가 완전히 바뀌긴 하나 진입장벽이 너무 높다. 우1은 지원비를 내라 하는 경우는 적지만, 피격당하기 쉬워 적자가 발생한다.[22] 유리한 듀얼 파이렛 5층 자리 같은 사냥터마저도 파장을 잡아야 갈 수 있는 것은 물론 구인구직에만 최소 1시간, 그마저도 레인저 때문에 경험치가 나락갔다며 한 타임(1시간)만에 도망치는 인원이 생겨 또 다시 구인구직의 늪에 빠지는 일이 매우 빈번하다.[23] 20북은 길드 대항전이나 네스트골렘이 0.0008%, 30북은 파풀라투스 0.35%.[24] 20북은 다크코니언 0.0002%, 파풀라투스 0.5%, 30북은 자쿰으로 5.5%.[25] 콜드샤크 0.001%, 좌붕 7%. 피아누스 쪽은 확률은 높지만 리젠 시간이 매우 긴 필드 보스고, 기여도와 관계없이 소유권이 돌아가기에 전사가 아니라면 공략 자체가 힘들다. 그도 그럴 게, 전문 스틸범들은 피아누스가 소환하는 블러드붐을 돌진으로 밀쳐내 폭사를 유도하기 때문. 그래도 스틸범에게 들키지만 않는다면 좌붕의 공격은 4천을 넘지 않으므로 블러드봄만 조심하면 130 후반부터 혼자 잡을 순 있다.[26] 비숍이 주력으로 잡는 몹이라 쉬울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메랜에서 남둥과 죽둥의 젠률이 대폭 너프되었다. 다행인 건 스켈로스는 큰둥에서도 등장은 한다는 것.[27] 원작에서도 보우마스터가 게임을 접었다면 십중팔구 샤프아이즈 20이 터져버리는 경우였을 정도다.[28] 자쿰 드랍(5%)인데 원작과 달리 메랜은 채널 수가 많고 확률도 높아 50만 메소도 안 되는 가격에 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