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Mapleland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41338> | Mapleland 구현 직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보기 · 숨기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개별 문서가 없을 시 취소선 및 빅뱅 전 직업 스킬 문서로 연결됨 |
전사 |
히어로 | 팔라딘 | 다크나이트 |
마법사 |
아크메이지(불,독) | 아크메이지(썬,콜) | 비숍 |
궁수 |
보우마스터 | 신궁 |
도적 |
나이트로드 | 섀도어 |
}}}
}}}
}}} ||
1. 개요
메이플랜드의 다크나이트 직업을 설명하는 문서.2. 평가
2차전직(스피어맨)까지 구간만 보면 최약체로, 직업의 유일한 가치가 크림슨 발록 격수에게 하이퍼 바디를 걸어주는 것 뿐이라는 농담이 나올 정도로 성능에 하자가 많다.[1] 사실 전사 직업군 전체가 저열한 2차 전직 성능 때문에 전붕이, INT 4, 70까지 인생 X박고 싶은 사람은 나에게로(원본 만화)[2] 등의 놀림을 받고 있다. 그나마 분노가 있어 파티 사냥 선호 멤버인 히어로는 사정이 낫지만, 페이지와 스피어맨은 현재 10개의 직업들 중 최하위 수준이라고 평가받는다. 하이퍼 바디가 있기는 하지만 창의 데미지가 너무 들쑥날쑥해서 사냥 성능은 페이지보다도 아래이다. 그런데 의외로 인구수도 많아서 젠이 밀리는 일이 알려지다 보니 파티에서도 대놓고 멸시를 받고 있다. 그나마 현재는 올비 경파[3]나 망둥이 쩔이라는 수단이 생겨 끔찍한 2차 구간을 빨리 넘길 수 있다.2차를 거쳐 3차 용기사로 전직하는 즉시 강캐가 된다. 드래곤 로어, 스피어 버스터는 탈 3차급으로 꼽히며, 창 버스터와 폴암 쓰레셔는 70~80구간을 책임진다. 버스터와 쓰레셔는 각각 찌르기 고정, 베기 고정이라 스피어맨의 성능을 전 직업 최하위로 처박아버린 무기상수 편차를 해결했고, 퍼뎀도 마스터 기준으로 파워 스트라이크의 거의 두 배 (버스터) 또는 동률(쓰레셔)인데 타겟수도 버스터가 6, 쓰레셔가 3이다. 단순히 계산해도 주력기의 데미지가 무려 7.5배나 강해진 건데 이러고도 사기 캐릭이 안 되면 그게 더 이상한 거다. 드래곤 로어는 사실 버스터/쓰레셔보다는 DPS가 낮기는 하지만, 그래도 3차 전직으로서는 굉장히 희귀한 광역기로 용기사의 돈벌이를 책임져 준다.
3차의 사기적인 공격기에 더해 4차 전직 이후에는 비홀더스 버프/메이플 용사/버서크의 3종 버프를 받아 여전히 준수한 직업으로 손꼽힌다.
2.1. 장점
- 전사 특유의 튼튼함
옛날 메이플은 사망시 경험치를 날리는 탓에 사망 페널티가 치명적이었으나 전사들은 높은 체력과 방어력, 좋은 방어 스킬들로 해당 페널티로부터 안전할 수 있었다. 스피어맨은 파티 버프인 아이언 윌과 하이퍼 바디도 있으니 파티원도 튼튼하게 해줄 수 있다. 하지만 하이퍼 바디를 받은 대가로 파워 가드가 없기 때문에 물약값은 파이터, 페이지보다 더 든다.
- 최강의 3차 전직
원래 빅뱅 전 메이플에서도 그랬듯이, 2차 전직까지 구현되었을 당시 최고의 직업이 썬콜이면 용기사는 3차 전직 구간의 성능이 전 직업을 통틀어서 최강으로 일컫어진다. 2차 구간의 처참한 성능에도 많은 전사들이 스피어맨을 지망한 이유 역시 3차의 정신 나간 성능 하나만 보고 한 것이였다. 3차 용기사의 주력기 스피어 버스터는 계수 510%에 3타겟인데다가, 찌르기 고정이라는 무시무시한 무기상수를 자랑해 4차급 성능을 가진 주력 공격기로 꼽힌다.[4][5] 그리고 드래곤 로어 역시 쿨타임이나 HP 소비라는 단점이 있지만 비숍의 지원을 받아 저레벨 몹을 쓸어담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거기다가 공격력 증가 버프인 드래곤 블러드까지 달려 있으니 버릴 스킬이 따로 없다.
- 높은 자유도
파이널 어택의 고점이 낮아 스피어맨은 창과 폴암 스킬을 모조리 찍는 듀얼 테크를 사용하기 쉽다는 점 덕분에 사실상 검 고정이나 다름없는 파이터와 페이지에 비해 무기 선택의 자유도가 아주 높다. 3차 전직을 하게되면 이 특징이 더욱 고점을 찍는다. '창 버스터'의 높은 화력을 이용한 고레벨 몬스터 사냥, '폴암 쓰래셔'의 넓은 범위와 타깃수를 이용한 몰이 사냥, '드래곤 로어'의 광역 사냥을 자유롭게 선택, 변경이 가능해 사냥터 선택의 자유도도 매우 높다.
- 다양한 사냥터 선택 가능
용기사는 스킬 유틸로 인해 다른 직업과 다르게 사냥터를 고르게 선택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 프리스트와 파티맺기가 쉽다. 하이퍼바디로 인해 프리스트는 매직가드를 쓰지 않아도 되며 프리스트의 힐로 인해 용기사는 포션값을 아낄 수 있어서 프리스트와 1:1 시너지가 좋기 때문에 검켄, 지팬, 마데 그리고 로어사냥까지 정말 많은 사냥터를 선택할 수 있다.[6]
- 대부분의 컨텐츠 소화 가능
위의 장점을 종합하면 나오는 결론이다. 사냥은 물론이고 단일 딜도 어느 정도 나오며 무엇보다 보우마스터와 함께 파티에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기 때문에 보스 컨텐츠를 부족한 자본으로도 즐길 수 있다.
2.2. 단점
- 2차 최약체
원래 최소공격력과 최대공격력의 차이가 큰 전사지만, 스피어맨은 창과 폴암의 무기 특성 상 데미지 편차가 차이가 훨씬 크다. 창은 찌르기 모션의 무기상수가 5.0이지만 더 강하지만 베기는 고작 3.0이다. 폴암은 반대로 베기가 5.0이지만 찌르기는 3.0이다.[7] 그래서 스킬이라봤자 파워 스트라이크, 슬래시 블러스트밖에 없는 2차 구간에서는 스피어맨은 두손검을 못 쓰기 때문에 다른 두 전사들한테도 밀린다. 하이퍼 바디가 있지만 파워 가드가 없어 포션값이 더 깨진다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단점이다.
- 비싼 육성비용
전사 3직업 중 가장 많은 자본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다. 일단 파워 가드가 없어 2차 중반부터 가장 많은 포션 소모량을 보여주며, 3차 전직을 하더라도 스피어 버스터는 데미지 분산과 딜레이로 인해 몬스터를 밀치기 어렵고 공격받기도 쉬운 구조라 포션을 특히 많이 사용한다.
- 4차 스킬 버서크의 구조적인 문제
만능한 용기사 때와 다르게 다크나이트가 가장 크게 지적받는 부분이 버서크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버서크의 발동 조건은 20일 시 HP 40% 이하, 마스터 시 HP 50% 이하인데 실질적으로는 그 이하의 HP%를 유지해야 해서 버서크 발동이 쉽지가 않다. 20북은 자쿰 드롭이라 그나마 쉬우나[8] 30북은 혼테일 드롭이라 입수 난도가 매우 높고 얻더라도 보스전에서 발동하기가 까다로운 점도 문제다. 버서크의 유지 여부에 따라 딜량이 팔라딘보다 못하거나 히어로와 대등해지거나의 차이기 때문에 버서크의 유지와 입수 문제는 다크나이트들에게 가장 큰 숙제가 될 것이다.
3. 스킬
3.1. 원작과의 변경점
[1] 현재 메이플에서 주니어 발록의 공격은 간지러운 수준이지만, 빅뱅 전 메이플이라 주니어 발록의 마법 공격은 웬만한 유저한테 2000 후반대의 대미지를 주고, 크림슨 발록의 마법 공격은 한 술 더 떠서 3000 후반대의 대미지를 준다.[2] 엄밀히 말하면 80까지 인생 X박고 싶은 사람은 나에게로이다. 3차 상위권인 나이트, 용기사의 주력 스킬 하나를 마스터하는데 드는 스킬포인트가 30이기 때문이다.[3] 자본은 필요 없지만 전사와 궁수는 뚜벅이라 클리어 타임이 늘어난다는 명목으로 기피 1순위이니 파장을 잡고 직접 인원을 모집하는 것이 나을 때가 많다.[4] 스피어 버스터가 워낙 사기라 묻히지만 폴암 쓰레셔(260% 6타겟) 역시 나쁘지 않은 성능이다. 사실 스피어 쓰레셔도 있지만 쓰레셔는 버스터와 달리 베기 고정이라 폴암을 써야만 무기상수가 5이고, 창으로 쓰면 무기상수가 고작 3밖에 안 된다.[5] 참고로 버스터 때문에 70제 스페판과 60제 십자창 중 무엇이 좋은지에 대한 논쟁이 단골 소재였다. 스페판이 공격력이 5 더 높고 명중이 달렸지만, 공속이 한 단계 더 느리기 때문. 그러나 막상 3차가 나오자 그냥 공격력 높은게 무조건 좋다고 결론이 났다. 물론 최하층 출시 이후 파이렛에서 80제 호진공창이 드롭되자 둘 다 사이 좋게 몰락했다.[6] 지금도 어느 정도 마찬가지겠지만 옛날에는 이 부분이 사실상 용기사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장점이었다. 당시에는 채널이 19개 밖에 없어서 다른 직업들은 듀파나 전장 자리 구하는 것도 정말 힘들었고 프리스트의 심을 받으려면 인맥이 어지간히 넓지 않은 이상 불가능한 일이었다. 게다가 당시엔 파티 구할 때 디스코드 같은 소통 수단도 없어서 오로지 확성기로만 소통해야 했다. 여기에 더해 주말에 하는 2배 이벤트 때는 듀파, 전장 자리 구하는 건 사실상 하늘의 별따기 수준이라 게임 자체를 즐기기 힘들었는데 용기사는 프리랑 같이 지팬, 마데, 하입, 검켄 등등 사냥터 선택지가 많았기 때문에 다른 직업에 비해 게임을 즐기기 수월한 편이었다.[7] 폴암의 베기 모션 비율이 50%보다 높으므로, 2차, 3차 초기때는 폴암을 쓰는 것이 그나마 덜 답답하다. 구름공원6이나 차디찬벌판, 야시장 사잇길 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호진공창을 마련해야 하는데 스킬 초기화 주문서를 사용하는 것이 더 속편하다.[8] 자쿰은 수요가 많고 유저들의 숙련도가 늘어 격파가 수월해졌기에 매물은 많이 풀리지만 다크나이트의 인구수는 비숍, 나로 다음으로 많다보니 경쟁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