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5 09:57:33

몽골 투그릭

MNT에서 넘어옴

동아시아의 통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대한민국 원 일본 엔 중국 위안 신대만 달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북한 원 마카오 파타카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홍콩 달러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몽골 투그릭

대한민국에서 취급하는 외국 통화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799ff><colcolor=#fff> 아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위안, 파일:대만 국기.svg 신대만 달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달러,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바트,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페소,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루피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링깃,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달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달러,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타카(#),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타카(#),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텡게(# / ※)
중동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디나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디나르,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디나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신 셰켈,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리알(#)
유럽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로, 파일:영국 국기.svg 파운드 스털링,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프랑,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크로나,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크로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로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코루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즈워티,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포린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루블(사실상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리라(#)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달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달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페소,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헤알,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페소(#)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운드(#),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실링(#)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달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달러,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달러(# / ※)
범례: 제한적으로 환전 가능 (#), 외화→원화로만 환전 가능 (※) }}}}}}}}}

Монгол Төгрөг / ᠮᠣᠩᠭᠣᠯ ᠲᠥᠭᠦᠷᠢᠭ (몽골어)[1]

파일:Mongolbank_logo_eng.png

1. 개요2. 환전과 환율3. 1기(몽골 인민공화국)
3.1. 1차3.2. 2차3.3. 3차3.4. 4차
4. 2기(현행권)
4.1. 소액권
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몽골의 통화. ISO 4217 코드는 MNT이며, 기호는 ₮이다. "투그릭"의 뜻은 흔히 화폐단위로 쓰는 말하는 圓(둥글 원)과 같은 둥글다이다. 현지 발음은 툭룩에 가깝게 발음한다.

보조단위로 이라는 뜻의 "1투그릭 = 100뭉그(ᠮᠥᠩᠭᠦ, мөнгө)"가 있지만... 몽골인플레이션이 그래도 꽤 가파른 수준(연 16~17%)이기 때문에 뭉그에 해당하는 단위는 일찌감치 없어졌으며, 뭉그 단위의 동전과 지폐는 그저 관광객들한테 팔리는 신세로 전락했다.

은행에서 막 나온 빳빳한 새 지폐가 아닌 이상 위생이 굉장히 안좋은 종이다발로 인식하는 것이 좋다. 현지 위생상황에 익숙한 몽골인들이면 몰라도 관광객이 맨손으로 만졌다면 반드시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좋다. 돈을 만지고 난 직후 식사를 하는 것은 피하는 것을 추천. 몽골인들도 어린아이들에게 돈을 만지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2. 환전과 환율

원화 기준으로는 2010년까지만 해도 거의 0.8~0.9원/₮(환전수수료를 감안하면 사실상 1:1)이었다. 이 때는 가격표에 1,000투그릭이면 한국돈 가치로 1,000원이었던 셈이다. 그 때는 환율 계산하기가 굉장히 편했다.

2023년 9월 기준으로 투그릭당 현금 팔 때 기준으로는 0.29 ~ 0.3원대.

과거 2013년에는 천원에 1,477.35투그릭이었으나 2023년 9월 11일 몽골 시간으로는 천원당 2,600.25투그릭이다.

최고치는 2023년 6월 천원당 2,894.7투그릭이 나왔다.

높은 인플레이션, 외채 증가, 시중은행 연체률 증가 및 부실 대출 증가 등의 이유로 10년 동안 3배 가까이 폭락했다.

환전은 2012년 7월 초부터 KEB하나은행에서 환전이 가능해졌지만 몽골 경제 사정 및 화폐 수급의 불안정성 등으로 인하여 2018년 6월부터 시중은행에서의 환전이 중단되었다. 하지만 KEB하나은행에서는 비고시 추심을,[2], 몽골인들이 많은 지역의 일부 사설환전소에서는 고객이 투그릭이 갖고 있다면 매도 가능, 투그릭 매수 불가[3]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시중은행,사설환전소에서만 가능하다.

3. 1기(몽골 인민공화국)

3.1. 1차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1.jpg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2.jpg
모든 액면이 색깔만 다른 공통도안이다. (소욤보 도안)

1925년 소련 루블을 대체하여 1:1의 비율로 도입되었다. 당시는 18g을 1 투그릭으로 했었다. 즉 은본위제화폐. 하지만 1928년 몽골의 정식 법정화폐가 된 뒤에 은본위제는 폐지되었다. 연도가 몽골력으로 표기되어 있는 유일한 시리즈이다. (몽골력 15년)

소련 루블을 대체하기 위한 통화라, 시스템을 그대로 이어받아 8가지가 똑같이 출시되었다. 단, 3루블 대신 2투그릭을 넣었다는게 차이점이라면 차이점. 심지어 인쇄한 곳도 과거 종주국인 소련이다.

동전은 크게 3부류로 나뉜다.

그리고 이 구성이 3차까지는 거의 바뀌지 않는것도 특징. 참고로 지금 이 시리즈를 구하는 것이 무진장 만만치 않다.

3.2. 2차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3.jpg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4.jpg
1937년, 몽골력 27년에 동전부터 도입되었다. 전반적으로 기존 동전과 같지만, 성분을 바꾸어 중액권을 백동으로, 저액권을 알루미늄과 청동을 사용하였다. 이 시리즈부터 더 이상 은을 연관짓지 않게 된 점에 있어 최초의 현대화폐로 볼 수 있다. 지폐는 2년 후인 1939년, 몽골력 29년에 도입되었고, 몽골의 독립영웅인 담딘 수흐바타르가 그려진 첫 지폐이기도 하다. 1941년, 몽골력 31년에 소욤보에서 몽골인민공화국의 국장으로 문양이 바뀌었다. (동전은 4년 후에 바뀌었다.) 그리고 25투그릭이 자색에서 갈색으로 바뀌었다.

3.3. 3차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5.jpg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6.jpg
1955년에 도입되었다. 이때부터 몽골력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25투그릭이 앞은 파랑, 뒤는 갈색인 화려한(?) 버전으로 바뀐게 그나마 눈에 띄는 변화. 동전은 4년 후인 1959년에 교체되었다. 죄다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바뀐 것이 특징.

그리고 여기까지 발행된 지폐와 동전, 모두 4차 시리즈가 등장하면서 전량 폐기 및 사용이 금지되었다. (단, 중국산 동전은 1990년까지 사용이 가능했었다.)

3.4. 4차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7.jpg 파일:attachment/투그릭/tug08.jpg
1966년에 도입되었다. 전면적으로 체계를 바꾸었음과 동시에, 몽골인민공화국의 마지막 시리즈이다. 동전은 4년 후인 1970년에 발행되었다. 이 시리즈의 고액권은 사상 처음으로 그림도안이 들어가게 된 시리즈이기도 하다. (참고로 그 그림은 총독부.)

1981년에 개정판을 내놓았는데, 사실상 색깔만 차이가 날 뿐이다. 하지만 25투그릭이 없어지고 20투그릭(산업관련 도안)이 새로 생겼다.

그리고 1993년, 자본주의를 도입하면서 한 번 더 큰 개혁을 시도하였다.

4. 2기(현행권)

파일:attachment/투그릭/tug13.jpg 저액권 공통(₮5 ~ ₮100) 담딘 수흐바타르
파일:attachment/투그릭/tug14.jpg 고액권 공통(₮500 ~ ₮20,000) 칭기즈 칸
파일:attachment/투그릭/tug15.jpg ₮5~100 말이 풀 뜯어먹는 모습
파일:attachment/투그릭/tug16.jpg ₮500&1,000 이동하는 중인 게르
파일:attachment/투그릭/tug17.jpg ₮5,000&10,000 분수식수대[5]
파일:attachment/투그릭/tug18.jpg ₮20,000 9개의 흰 말총 영기

1993년에 처음 도입되었고, 2000년부터 2003년에 걸쳐 개정판 및 고액권을 내놓았다. 단, 20,000투그릭은 2006년에 첫 발행.

이 중에서 실제로 쓰이는건 10투그릭까지만이고 5투그릭과 1투그릭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몽골은 한국과 달리 가게에서 물건을 사면 영수증에 1단위까지 찍혀 나온다. 보통 반올림해서 10단위로 계산하긴 하지만, 대형 슈퍼마켓에서는 진짜 드물게 1단위까지 계산해서 잔돈을 거슬러 주는 경우도 있다. 보통 그런 경우는 남아있는 5,1투그릭 짜리를 없애려고 주는 경우. 보통 5,1투그릭은 유통이 거의 안되며 올란바토르 국영 백화점 같은 곳에서나 받아 볼 수 있다. 받아봐야 가치도 없지만 받게 된다면 십중팔구 은행에서 바로 나온 빳빳한 새 돈을 받게 된다.

동전은 1년 후인 1994년에 등장하였다. 다만 1투그릭부터 시작하는 지폐에 비해, 동전은 20투그릭부터 시작하며 이 때문인지 거의 쓰이질 않는다. 본격 몽골여행 네이버 웹툰 한 살이라도 어릴 때에서도 "동전을 사용하지 않아요. 한국 돈으로 10원짜리도 지폐더군요."라고 공언했을 정도니.

4.1. 소액권

파일:₮1.jpg

1투그릭만 독특한 표정의 사자가 그려져 있으며, 중앙은행에서도 "Lion"이라 설명하고 있다. 참고로 1투그릭의 화폐 가치는 한국에서는 아예 사용도 못하는 일원화보다 더 낮은데 1투그릭=0.4원이다.

또 1투그릭 이하의 뭉그 단위 지폐도 등장하긴 했는데... 값이 저렴하여 현지인보다도 수집가들이 넘쳐날 정도로 많이 갖고있는 지폐로도 유명하다. 들어간 도안 세 가지는 몽골의 나담 축제때 벌어지는 남자들의 민속 3종 경기.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a2032 33%,#0066b3 33% ,#0066b3 66% ,#da2032 6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d900><colbgcolor=#da2032> 상징 국장 · 국가 · 소욤보 · 몽골야생말
역사 역사 전반 · 카마그 몽골 · 몽골 제국 · 북원 · 복드 칸국 · 몽골 인민 공화국 · 준가르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행정구역 행정구역 전반 · 아르항가이 · 바잉헝거르 · 더르너드 · 트브 · 울란바토르
경제 경제 전반 · 몽골 투그릭
국방 몽골군
외교 외교 전반 · 몽골 여권
사회 언어 · 교통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아이락 · 몽골 영화 · 공휴일/몽골 · 게르 · 델(의복) · 마두금 · 텁쇼르 · 야특 · 알타이 야특 · 에웨르 부레 · 샨즈 · 대마두금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 · 오르팅 도 · 호치르 · 이킬
지리 몽골 고원 · 고비 사막 · 외몽골 · 훕스굴 호
기후 조드
언어 몽골 문자 · 몽골어 · 카자흐어 · 키르기스어 · 에벤키어 · 러시아어 · 몽골어족
관광 관광 전반 · 울란바토르 · 수흐바타르 광장 · 간등 사원 · 복드 칸 겨울궁전 · 고비 사막 · 카라코룸 · 보르항 산 · 훕스굴 호
민족 몽골인 · 몽골계 러시아인 · 몽골계 미국인 · 몽골계 한국인 · 몽골계 인물
인물 칭기즈 칸 · 복드 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욤자깅 체뎅발 · 산자수릉깅 저릭
동물 몽골야생말 · 쿨란
}}}}}}}}} ||

[1] 전자(Tögrög)는 현대 표기, 후자(Tugrik)는 고전 표기. '투그릭'은 고전 표기를 옮긴 것인데, 고전 몽골문자는 현대 몽골어의 실제 발음과 많은 차이가 있다. 현대 몽골어에선 'ө'가 실제론 ㅜ도 ㅓ도 ㅡ도 아닌 묘한 발음이 나긴 하지만 대충 발음이 '툭룩/투그룩'으로 난다.[2] 신한은행에선 2024년에 이종통화 취급 목록에서 제외되었다.[3] 즉, 해당 은행 및 사설환전소에서는 투그릭 지폐를 갖고 있어도 특별한 경우가 아닌이상 고객에게 팔지 않는다는 의미이다.[4] 잉글랜드 발행권만 가능[5] 몽케 칸 시기에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