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230 체인건 | |
<colbgcolor=lightgray,#2c2c2c> 종류 | 기관포 |
원산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이력 | |
역사 | 1975년~현재 |
개발 | 휴즈 헬리콥터즈 맥도넬 더글라스 |
생산 | 휴즈 헬리콥터즈 맥도넬 더글라스 보잉 컴퍼니 얼라이언트 테크시스템즈 오비탈 ATK |
사용국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 [[이집트| ]][[틀:국기| ]][[틀:국기| ]]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 [[요르단| ]][[틀:국기| ]][[틀:국기| ]]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우크라이나| ]][[틀:국기| ]][[틀:국기| ]] |
기종 | |
원형 | XM230 |
파생형 | M230LF |
제원 | |
전장 | 1,638mm |
중량 | 55.9kg |
구경 | 30mm |
탄약 | 30x113mm |
급탄 | 벨트형 탄띠 |
작동 방식 | 체인작동식 전기점화식 |
발사 속도 | 분당 625발 |
포구 속력 | 805m/s |
유효 사거리 | 1,500m |
최대 사거리 | 4,000m |
[clearfix]
1. 개요
M230 체인건(Chain Gun)은 미군의 제식 기관포이다.
2. 상세
2.1. 역사
AH-56 샤이엔(Cheyenne) 도입이 취소된 직후인 1972년 미국 육군의 AAH(발전형 공격헬리콥터, Advanced Attack Helicopter) 사업에 선정된 휴즈 사는 모델 77(YAH-64)의 전용 지역제압용 보조무장(AWS)으로 XM230을 함께 개발하였으며, 1975년부터 M230의 제식명으로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하였다.
1995년에는 얼라이언트(현 오비탈 ATK) 사가 보다 길어진 총열을 적용시킨 M230LF(탄띠급탄형, Link-Feed) 사양이 초기 작전 능력을 부여받은 이래로 AH-64 아파치(Apache) 및 MH-60L DAP 블랙 호크(Black Hawk) 헬리콥터의 전용 기관포로 계속 운용될 뿐만 아니라 오시코시 사의 L-ATV 차량 탑재와 미국 해군에서의 Mk.51 MAWS(모듈식 발전형 기관포, Modular Advanced Weapon System)의 통합까지도 예정되어 있다.
2.2. 특징
장탄 중인 모습 |
이는 2kW의 외부 전력에 의존하는 모터와 별도의 유압식 구동장치(Actuator)로 작동하고 이중 급탄 방지 및 노리쇠 개방을 위한 능동형 자연발화(Cook-off) 안전장치가 구비되었으며, 30x113mm 탄약 계열의 M787 연습탄(TP), M788 이중목적고폭탄(HEDP), M789 소이고폭탄(HEI) 사용에 맞추어졌다.
특히 AH-64 아파치(Apache) 공격 헬리콥터의 기수에 부착된 AN/ASQ-170 목표포작조준장치(TADS) 및 AN/AAQ-11 조종사용야간투시탐지장치(PNVS)는 물론, 조종사의 통합형 헬멧표시조준기(IHADSS)와도 상향 11°, 하향 60°, 좌우향 100°의 범위 내에서의 연동이 가능하다.
개발부터 헬기 장착을 고려했기에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으며 반동도 적다. 대신 비슷한 구경의 기관포에 비하면 포구속력과 연사력이 낮다. 다만 용도를 생각하면 적절한 정도이고 실용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805m/s 포구속력은 전투기용 기관포와 비교해서 80% 정도다. 지상에서 대 드론 임무를 수행할 수준은 된다.
프랑스의 GIAT 30 781 (헬기형)과 유사한 점이 많다.
3. 종류
제식명 제품명 | M230 | M230LF |
연도 | 1975년~현재 | 1995년~현재 |
운용처 | USSOCOM USA | USA USN |
제조처 | HH MD BC ATK | ATK OATK |
재고번호 | 1005-01-219-7599 1005-01-340-1569 1005-01-392-8598 | 불명 |
전장 | 1,638mm | 2,181mm |
중량 | 55.9kg | 72.6kg |
3.1. XM230
1972년 미국 육군의 발전형 공격헬리콥터(AAH) 사업에 채택된 YAH-64 전용의 초기형으로, 실질적인 발사는 1973년부터 이루어졌다.
3.2. M230, M230E1
1986년 미국 육군의 AH-64 아파치(Apache) 계열 공격 헬리콥터와 MH-60L DAP 블랙 호크(Black Hawk) 특수전 수송 헬리콥터 전용의 기본형으로, 1996년에는 맥도넬 더글라스(현 보잉) 사와의 계약이 새로 체결됨에 따라 노리쇠 부분의 격침이 저전력형으로 바뀐 M230E1로 개량되기도 했다.
3.3. M230LF
2009년 미국 해군의 사이클론급 USS 허리케인(USS Hurricane) 초계정에 시험 탑재되거나 2019년 미국 육군의 경정찰차량(L-ATV) 전용으로 예정된 신뢰성 및 정비성 개량형으로, 그외에는 연장된 총열로 인해 전장과 중량 또한 늘어난 동시에 발사속도는 분당 200발로 줄어들었다.
2023년 호주에서 이 기관포를 바탕으로 신형 탄종과 카메라, 안정화장치 및 측풍 센서 등을 추가해 대드론용으로 개량한 슬링어가 개발되었고, 이는 우크라이나에도 제공되었다.
기존의 12.7mm 중기관총 및 40mm 고속유탄발사기에 비해서 위력이나 사정거리 등이 훨씬 뛰어나면서도 반동은 위력에 비해 상당히 낮게 억제되었고 연사력 역시 양호하며 여기에 더해서 크기나 무게도 기존의 중기관총 및 고속유탄발사기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소형 경량이 되어 있기에, 기존의 중기관총 및 고속유탄발사기를 통합하여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중화기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본래 그러한 용도로는 현용 기관포 중 가장 소구경인 20mm 기관포를 사용하는 것이 한때 일부 소수의 국가에서 고려된 적이 있었으나 대세가 되지는 못했는데[1], 20mm 포탄보다 강력한 30mm 포탄을 사용하면서도 기존의 중기관총 및 고속유탄발사기를 대체 가능할 정도의 소형화·경량화가 이루어진 M230LF가 등장하면서 기존의 중기관총 및 고속유탄발사기를 통합하여 대체하는 차세대 중화기의 가능성이 열리게 되어[2]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4. 장착되는 장비
5. 기타
요르단 공군에서 운용 중인 ACN-235 지상 공격기의 주요 무장 중 하나로 M230LF가 동체 좌측면에 탑재되기도 한다.
6. 출처
6.1. 웹사이트
- https://en.wikipedia.org/wiki/M230_chain_gun
- https://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aircraft/systems/m230.htm
- http://www.deagel.com/Cannons-and-Gear/M230-Chain-Gun_a001602001.aspx
- https://cuashub.com/content/kinetic-counter-drone-capability-launched/
- https://cuashub.com/content/eos-confirms-slinger-exports-to-support-ukraine/
6.2. PDF
- https://www.orbitalatk.com/defense-systems/armament-systems/automatic-cannons-chain-guns/docs/109493_10%20M230LF%20Chain%20Gun.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3/gun/lam.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2/armaments/Tuesday14031mcconkie.pdf
- https://www.flightglobal.com/FlightPDFArchive/1975/1975%20-%200071.PDF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0/armament/TuesdayLandmarkAStevenCannon.pdf
- http://gomotherrucker.com/mem/fdrgifhsnu4/ah64/MTP_Student%20Handouts/WEAPONS%5B1%5D.pdf
7. 등장매체
대부분이 AH-64 아파치(Apache) 공격 헬리콥터가 등장하는 작품이라 봐도 무방하다.7.1. 영화
- 캠퍼스 군단(1991)
- 쫄병 람보(1994)
- 슈터(1999)
- 킹덤(2007)
7.2. 게임
- 배틀필드 시리즈
- 배틀필드 2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
- 배틀필드 4 - 아파치는 없지만 고속정의 기관포로 나온다. 25mm 모델 기준 전차를 후방은 2탄창, 전방은 3탄창 안에 뚫을 수 있다.
- 배트맨: 아캄 시리즈
- 아파치 에어 어썰트
- 홈프론트 시리즈
AH-64D M230 30mm
TP,HEDP 2가지 탄종류가있다
7.3. 애니메이션
8. 둘러보기
현대의 미군 화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곡사포 | <colbgcolor=#ffffff,#191919>M101A1S, M102, M119A1, M119A2, M119A3, M198R, M284, M777, M777A1, M777A2, M777ER, XM907, | |||
박격포 | M120, M120A1, M121, M224, M224A1, M252, M252A1, M252A2, M327R, Mk.2 Mod.0, Mk.2 Mod.1R, Mk.4 Mod.0R, RMS6L, XM905, | ||||
무반동포 | M3, M3A1, M3E1, M67R, M136, M136A1 | ||||
함포 | Mk.7R, Mk.12R, Mk.38 Mod.0, Mk.38 Mod.2, Mk.38 Mod.3, Mk.45 Mod.2, Mk.45 Mod.4, Mk.46 Mod.2, Mk.75 Mod.0, Mk.110 Mod.0, | ||||
전차포 | M35, M68A1, M68A2, M81E1, M81E1, M162, M256, | ||||
기관포 | 다포신 | GAU-8/A, GAU-12/U, GAU-22/A, M61A1, M61A2, M197, | |||
단포신 | Mk.12R, GAU-23/A, L/60R, M39, M39A1, M39A2, M39A3, M230, M230A1, M230LF, M242, XM813, | ||||
※ 윗첨자S: 비축 또는 예포로 운용 ※ 윗첨자R: 퇴역 상태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화포 | }}} }}}}}} |
화포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 연합군 | 미국 | 영국 | 소련 | 프랑스 |
추축군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
냉전 | 소련 | ||
현대전 | 미국 | }}}}}}}}} |
[1] 실제로 냉전 시기에는 독일연방군 등 서방권의 일부 군대에서 20mm 기관포를 12.7mm 중기관총을 대신하는 용도로 종종 사용하곤 했다. 독일의 경우에는 12.7mm 중기관총보다도 오히려 20mm 기관포를 선호하였기에 자국산 20mm 기관포인 라인메탈 Rh202를 다양한 차량에 주무장 또는 부무장으로 탑재하여 사용했다.
하지만 소구경 경량 기관포가 중기관총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독일과는 달리 미국이나 소련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애매한 위력이나 부족한 장탄수 등의 결점을 가지는 20mm 기관포는 항공기용 기총으로는 적합해도 지상차량용 무장으로서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12.7mm 중기관총이나 14.5mm 중기관총을 대신할 수 없다고 여겼기에 독일의 시도가 국제적인 대세가 되지는 못 했다. 또한 독일과는 달리 미국이나 소련 등 다른 국가들에서는 기관포는 기관포대로 중기관총은 중기관총대로 각각의 고유한 역할이 있기에 두 무장을 병용하여 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기도 했다.[2] 기존에는 중기관총과 고속유탄발사기가 각각 특성이 다르고 각각의 고유한 역할의 차이가 있다고 여겨졌기에 두 무장이 용도에 맞춰 병용되어 쓰였으나, 이제는 M230LF와 같이 다목적기관포로서 쓸 수 있는 소구경 경량 기관포를 통해서 중기관총과 고속유탄발사기라는 두 종류의 무장이 각각 담당하던 역할을 하나의 무장으로 일원화하여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고속유탄발사기가 베트남 전쟁과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통해 막 등장하였을 당시 직사화기인 중기관총과 곡사화기인 박격포의 특성을 겸비하여 둘을 통합하여 대체할 수 있는 화기로 각광을 받았던 것과도 어찌 보면 비슷하다. 또한 이는 보급체계의 단순화라는 점에서도 병참의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마침 기존의 중기관총과 고속유탄발사기가 대 드론 화기로서는 성능상의 한계를 보였던 반면 M230LF는 대 드론 화기로서 높은 효율성을 발휘한 것도 소구경 경량 기관포의 새로운 가능성이 주목을 끄는 데에 한 몫을 했다.[3] USS 허리케인 한정 시험장착[출처] 밀리터리 리뷰 2024년 12월호[5] 작중 영상에서 보여주는 위력이 7.62mm 급 총알 수준으로 심하게 너프되었다.
하지만 소구경 경량 기관포가 중기관총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독일과는 달리 미국이나 소련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애매한 위력이나 부족한 장탄수 등의 결점을 가지는 20mm 기관포는 항공기용 기총으로는 적합해도 지상차량용 무장으로서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하여 12.7mm 중기관총이나 14.5mm 중기관총을 대신할 수 없다고 여겼기에 독일의 시도가 국제적인 대세가 되지는 못 했다. 또한 독일과는 달리 미국이나 소련 등 다른 국가들에서는 기관포는 기관포대로 중기관총은 중기관총대로 각각의 고유한 역할이 있기에 두 무장을 병용하여 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기도 했다.[2] 기존에는 중기관총과 고속유탄발사기가 각각 특성이 다르고 각각의 고유한 역할의 차이가 있다고 여겨졌기에 두 무장이 용도에 맞춰 병용되어 쓰였으나, 이제는 M230LF와 같이 다목적기관포로서 쓸 수 있는 소구경 경량 기관포를 통해서 중기관총과 고속유탄발사기라는 두 종류의 무장이 각각 담당하던 역할을 하나의 무장으로 일원화하여 통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고속유탄발사기가 베트남 전쟁과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통해 막 등장하였을 당시 직사화기인 중기관총과 곡사화기인 박격포의 특성을 겸비하여 둘을 통합하여 대체할 수 있는 화기로 각광을 받았던 것과도 어찌 보면 비슷하다. 또한 이는 보급체계의 단순화라는 점에서도 병참의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마침 기존의 중기관총과 고속유탄발사기가 대 드론 화기로서는 성능상의 한계를 보였던 반면 M230LF는 대 드론 화기로서 높은 효율성을 발휘한 것도 소구경 경량 기관포의 새로운 가능성이 주목을 끄는 데에 한 몫을 했다.[3] USS 허리케인 한정 시험장착[출처] 밀리터리 리뷰 2024년 12월호[5] 작중 영상에서 보여주는 위력이 7.62mm 급 총알 수준으로 심하게 너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