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12:25:04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LCK 징크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 파일:LCK 로고 흰색.svg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1c192b> 구성 스토브리그(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LCK CupLCK
새터데이 쇼다운
기록 입상팀승강전기록MVPFMVPAll-Pro Team어워드
평가 시즌별 평가 및 위상비판 및 문제점논란 및 사건 사고
콘텐츠 LCK 10th. 베스트 모먼트 | 영상 및 삽입곡 | LCK 위클리 매드 무비/국제 대회 | LCK 마이크 체크
LoLLy Night | 시크릿 보드룸 | 리:플레이 | 우틀않 | 후아유맨 | LCK 단합대회
기타 징크스 | 엄크펀성블 (모두아요) | 동부 · 서부 | 4대 미드 | 제오페구케 | 제도기
}}}}}}}}} ||

1. 유지 중인 징크스
1.1. 3연속 우승 달성 시 결승전 스코어1.2. 올퍼스트 우승 실패1.3. MSI 우승팀의 서머 우승 실패
2. 깨진 징크스
2.1. 펜타킬의 저주2.2. Frost vs Blaze2.3. 홀짝 년도 월드 챔피언십 진출2.4. 서머 2R 최고 성적 팀의 우승2.5. 서머에만 풀세트, 윈터는 일방적 압살2.6. 스프링 결승에 없는 풀세트 경기2.7. 스프링 3~4강 중 1팀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2.8. 서머 정규시즌 3위의 저주2.9. 챔피언십 포인트 3위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2.10. 선발전 3시드 결정전에서 패배한 팀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

1. 유지 중인 징크스

1.1. 3연속 우승 달성 시 결승전 스코어

2023 서머시즌 종료 기준, LCK 3연속 우승은 총 4번 달성되었는데, 3연속 우승을 달성한 경우 결승전에서 3:0 승리 2번과 3:1 승리 1번을 기록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3연속 우승에서 달성한 결승전 스코어 순서도 2015 스프링 ~ 2016 스프링 T1(3:0, 3:0, 3:1) - 2019 스프링 ~ 2020 스프링 T1(3:0, 3:1, 3:0) - 2020 서머 ~ 2021 서머 DK(3:0, 3:0, 3:1) - 2022 서머 ~ 2023 서머 GEN(3:0, 3:1, 3:0)으로 두 패턴이 번갈아가며 나타났다.

1.2. 올퍼스트 우승 실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CK All-Pro Team 문서
6.1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MSI 우승팀의 서머 우승 실패

2016, 2017년 SKT T1과 2024 젠지는 스프링과 MSI를 연달아 우승하면서 서머 우승시 골든 로드에 도전 할 자격을 얻을 수 있었으나 서머에서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면서 중간에 좌절되었다.

17년 이후 LCK 팀이 MSI 우승에 실패하면서 잊혀진 징크스로 여겨졌으나 2024년 서머에서 MSI를 우승한 젠지가 서머에서 준우승을 기록하면서 부활하였다.

2. 깨진 징크스

2.1. 펜타킬의 저주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가 있는 팀은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둔다는 징크스. 위 펜타킬 데이터를 중심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 1회 12.4.18 - 'Hiro' 이우석(그레이브즈) /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8강 vs MiG Frost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탈락, 8강 탈락.
* 2회 12.6.22 - 'Doublelift' 피터 펭(그레이브즈) /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예선 vs Psw Ares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진출, 8강 탈락.
* 3회 12.7.20 - 'Locodoco' 최윤섭(코르키) / Azubu the Champions Summer 2012 16강 vs CJ Entus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진출, 8강 탈락.
* 4회 12.12.19 - 'Hermes' 김강환(트위치) /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12강 vs NaJin Sword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탈락, 12강 탈락.
* 5회 12.12.22 - 'Imp' 구승빈(케이틀린) / OLYMPUS Champions Winter 2012-2013 12강 vs kt Rolster A
* 해당 경기 패배[1], 해당 라운드 진출, 8강 탈락.
* 6회 13.4.13 - 'Ambition' 강찬용(카직스) /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12강 vs kt Rolster A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진출, 해당 시즌 준우승.
* 7회 13.7.12 - 'Riris' 백승민(베인) / HOT6 Champions Summer 2013 16강 vs Jin Air Stealths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진출, 8강 탈락.
* 8회 13.11.22 - 'Pray' 김종인(베인) /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 16강 vs Samsung Galaxy Blue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탈락, 16강 탈락, NLB 준우승.
* 9회 14.4.4 - 'Imp' 구승빈(징크스) / HOT6 Champions Spring 2014 16강 vs Midas FIO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진출, 4강 탈락.
* 10회 14.4.23 - 'Emperor' 김진현(징크스) / HOT6 Champions Spring 2014 8강 vs kt Rolster Arrows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진출, 4강 탈락.
* 11회 14.7.30 - 'Bang' 배준식(트리스타나) / HOT6 Champions Summer 2014 4강 vs kt Rolster Arrows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탈락, 4강 탈락.
* 12회 14.11.20 - 'Sonstar' 손승익(루시안) / 2015 LoL Champions Korea 시드 선발전 5경기 vs HUYA Tigers
* 해당 경기 승리, LCK로 승격 후 해당 시즌 7위.[2]
* 13회 15.1.07 - 'Faker' 이상혁(르블랑) /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개막전 vs NaJin e-mFire
* 해당 경기 승리, 해당 라운드 4위, 해당 시즌 우승.[3]

블레이즈와 오존, SKS를 제외하고 2라운드째인 8강을 넘긴 팀이 없다. 준우승을 한 블레이즈도 결승전 당시에는 압도적인 우승이 예상되었으나 결과는 정반대였고 오존도 블루에게 1:3 참패를 당했다. LCK뿐 아니라 펜타킬의 저주가 NLB까지 이어지는지 NLB 우승도 없다.

그러나 2015 스프링에서 SKT가 펜타킬을 기록했음에도 우승하면서 펜타킬 징크스는 사라지게 되었다. 이후에도 2015 서머, 2016 스프링에도 각각 SKT 소속 'Bang' 배준식이 펜타킬을 했으나 모두 우승을 달성함으로써 완전히 깨진 징크스. 공교롭게도 LCK가 토너먼트제에서 리그제로 전환하자마자 깨진 징크스이고, 이후에는 펜타킬과 우승이 같은 팀에서 나오는 경우가 허다하다.

2.2. Frost vs Blaze

대회 승리 팀 패배 팀 스코어
2012 스프링 결승 MiG Blaze MiG Frost 3:0
2012 서머 4강 Azubu Frost Azubu Blaze 3:2
2012 - 2013 윈터 4강 Azubu Frost Azubu Blaze 6:4
2013 스프링 4강 CJ Entus Blaze CJ Entus Frost 3:0
2013 스프링까지 프로스트와 블레이즈는 매 시즌마다 내전을 겪었다. 특히 블레이즈가 프로스트를 이길 때는 압도적인 3:0, 프로스트가 블레이즈를 이길 때는 아슬아슬한 3:2 스코어가 내전을 겪을 때마다 나왔다. (참고로 2012 - 2013 윈터에는 준결승전을 1, 2차전으로 치렀고 1차전에서도 3:2로 프로스트가 승리하고, 2차전에서도 마찬가지로 프로스트가 3:2로 승리해 총 6:4로 프로스트가 블레이즈를 이기고 결승전에 진출했다.

아쉽게도 이 징크스는 2013 서머에 프로스트는 4강에 진출했지만 블레이즈가 8강에서 탈락함으로써 깨지고 말았다. 이후 두 팀 모두 심각한 부진을 겪으며 2014 서머까지 내전을 겪지 않았으며, 2015 스프링부터 하나의 게임단에서 한 팀만 출전할 수 있게 변경되며 내전을 겪을 일은 사라졌다.

2.3. 홀짝 년도 월드 챔피언십 진출

홀수 년도는 우승팀이, 짝수 년도는 준우승팀이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한다는 징크스가 있었다.
대회 우승팀
2013 스프링 MVP Ozone
2013 서머 SK telecom T1
2015 스프링 SK telecom T1
2015 서머 SK telecom T1
대회 준우승팀
2012 스프링 MiG Frost
2012 서머 CLG.EU
2013 - 2014 윈터[4] Samsung Galaxy Ozone
2014 스프링 NaJin White Shield
2014 서머 Samsung Galaxy Blue
2016 스프링 ROX Tigers
2016 서머 kt Rolster
해당 시즌의 우승, 준우승한 모든 팀이 그 해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였다. 다만 2015 시즌부터는 서머 우승팀은 무조건 월드 챔피언십 직행 티켓을 받게 된다.

2016 서머 준우승팀인 kt Rolster가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여 징크스가 깨지고 말았다. 이후로도 2018 서머 준우승팀인 Griffin이 마찬가지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실패하는 사례가 생기면서 깨진 징크스임이 확정되었다.

2.4. 서머 2R 최고 성적 팀의 우승

LCK가 풀리그로 전환된 2015 시즌 이후 100% 적용되고 있었던 징크스로 서머 정규시즌 2R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팀이 그 대회를 우승하는 징크스. 다만 2023 서머 시즌에 KT가 2R와 정규시즌까지 1위를 기록했지만 최종 3위를 기록하며 징크스가 깨졌다.

원래 2018 서머까지는 서머 2R에서 8승 1패를 한 팀이 우승을 하는 징크스였지만 2019, 2020 시즌 연속으로 8승 1패팀이 나오지 않아 깨지는 듯 했으나 그동안 8승 1패를 하고 우승을 한 팀들이 모두 서머 2R에서 가장 성적이 높았음[5]이 재조명되어 오래 살아남았던 징크스다.
대회 2R 최고 성적 팀 2R 성적 정규시즌 순위/최종 순위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ummer SK telecom T1 8승 1패 +13 1위/우승
2016 코카-콜라 제로 LoL Champions Korea Summer ROX Tigers 8승 1패 +13 1위/우승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Longzhu Gaming 8승 1패 +11 1위/우승
2018 LoL Champions Korea Summer kt Rolster 8승 1패 +11 1위/우승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SK telecom T1 7승 2패 +9 4위/우승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DAMWON Gaming 9승 +17 1위/우승
2021 LoL Champions Korea Summer DWG KIA 6승 3패 +9 1위/우승
2022 LoL Champions Korea Summer Gen.G 9승 +16 1위/우승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kt Rolster 9승 +15 1위/3위

2.5. 서머에만 풀세트, 윈터는 일방적 압살

대회 우승 준우승 스코어
2012 서머
결승전
Azubu Frost CLG.EU 3:2
2012 - 2013 윈터
결승전
NaJin Sword Azubu Frost 3:0
2013 서머
결승전
SK telecom T1 kt Rolster Bullets 3:2
2013 - 2014 윈터
결승전
SK telecom T1 K Samsung Galaxy Ozone 3:0
2014 서머
결승전
kt Rolster Arrows Samsung Galaxy Blue 3:2
2016 서머
결승전
ROX Tigers kt Rolster 3:2
2018 서머
결승전
kt Rolster Griffin 3:2
원래는 서머 시즌 결승은 풀세트로, 윈터 시즌 결승은 셧아웃으로 끝난다는 징크스였다. 이 때문에 서머는 명경기로, 윈터는 싱거운 경기로 기억된다. 사실 2012 - 2013 윈터는 최초의 2번 우승 & 2연속 우승을 할 가능성이 높은 Azubu Frost vs 전통의 라이벌 NaJin Sword라는 구도에서 Azubu Frost가 밴픽을 말아먹으며 예상과 달리 쪽도 못 쓰고 밀렸다면, 2013 - 2014 윈터는 열에 아홉 정도는 SKK의 3:0 셧아웃을 예상했을 정도로 전력차가 컸다. 이들 결과는 월즈 진출 및 시즌 변화와 맞물려서 굉장히 흥미로운 결과를 가져왔다.
2025년부터 라이엇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윈터 시즌이 부활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윈터 시즌의 징크스가 이어질지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그 뒤 2015 서머에서 SKT가 kt를 3:0으로 대파하고 우승을 하면서 서머 시즌 결승은 풀세트로만 치러진다는 징크스는 깨졌다. 또한 윈터 시즌 폐지로 인해, 어떻게 보면 이 징크스는 완전히 사라진 것일 수도 있다. 다만 2018 서머에 그리핀 vs KT가 치열한 풀세트 접전 끝에 KT가 승리하면서 서머의 3:2가 지켜진다. SKT가 결승에서 처음으로 무너졌던 2017 서머를 포함해서 유독 서머에 명경기가 많은 편. 그러나 2024 스프링 시즌 결승이 풀세트로 치러지면서 이 징크스도 같이 깨졌다.

2.6. 스프링 결승에 없는 풀세트 경기

2023 스프링 종료 기준 12번의 스프링 결승전 중 5세트까지 간 경기는 단 한 번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스프링 결승전에서는 Silver Scrapes가 나온 적이 없다.

13번째 결승전인 24 스프링 GEN vs T1전에서 최초로 스프링 5꽉이 성사되어 징크스가 깨졌다.
대회 우승 준우승 스코어
2012 스프링
결승전
MiG Blaze MiG Frost 3:0
2013 스프링
결승전
MVP Ozone CJ Entus Blaze 3:0
2014 스프링
결승전
Samsung Galaxy Blue Najin White Shield 3:1
2015 스프링
결승전
SK telecom T1 GE Tigers 3:0
2016 스프링
결승전
SK telecom T1 ROX Tigers 3:1
2017 스프링
결승전
SK telecom T1 kt Rolster 3:0
2018 스프링
결승전
KING-ZONE DragonX Afreeca Freecs 3:1
2019 스프링
결승전
SK telecom T1 Griffin 3:0
2020 스프링
결승전
T1 Gen.G 3:0
2021 스프링
결승전
DWG KIA Gen.G 3:0
2022 스프링
결승전
T1 Gen.G 3:1
2023 스프링
결승전
Gen.G T1 3:1
2024 스프링
결승전
Gen.G T1 3:2

2.7. 스프링 3~4강 중 1팀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

2014 스프링 1, 2, 3위인 삼성 블루, 나진 화이트 실드, 삼성 화이트가 모두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성공한 2014 시즌을 제외하고 매년 적용된 징크스로 이 당시 스프링 최종 순위 3위 안에 입상한 팀들 중 한 팀이 서머,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에서 부진하면서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최종 실패함으로써 오랜 기간동안 징크스 중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다 2021 스프링 1~3위인 담원, 젠지, 한화생명 모두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성공하면서 마침내 징크스가 깨지게 되었다. 월드 챔피언십 그룹 스테이지 직행 실패로 축소한다면 징크스는 유지[6]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2022 스프링 1~3위인 T1, 젠지, 담원이 각각 2, 1, 3시드로 본선에 직행하며 8년 만에 스프링 1~3위의 전원 본선 직행이 성사되면서 완전히 징크스가 깨졌다. 특히나 해당 시즌부터 월즈 진출권이 4장으로 늘고, 프차 도입 및 플옵 체계 변경으로 진출 팀이 4팀으로 늘어나고, 플옵 2라운드 진출 팀의(1~4위) 전원 월즈 진출로 규모가 확대됨으로써, 징크스가 완벽히 깨지게 되었다.

이어서 2022년에 징크스가 재발해 2023년까지 이어지다가 2024년 역시 2021년에 이어 징크스가 다시 한번 깨진 시즌이 되었다.
대회 우승 팀 준우승 팀 3위 팀 대신 진출한 팀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MiG Blaze MiG Frost
(1시드)
Xenics NaJin Sword[7]
(2시드)
OLYMPUS Champions Spring 2013 MVP Ozone
(2시드)
CJ Entus Blaze SK telecom T1 #2
(3시드)
NaJin Black Sword
(1시드)
HOT6 Champions Spring 2014 Samsung Galaxy Blue
(1시드)
NaJin White Shield
(3시드)
Samsung Galaxy White
(2시드)
없음
2015 SBENU LoL Champions Korea Spring SK telecom T1
(1시드)
GE Tigers
(2시드)
CJ Entus kt Rolster
(3시드)
2016 꼬깔콘 LoL Champions Korea Spring SK telecom T1
(2시드)
ROX Tigers
(1시드)
kt Rolster Samsung Galaxy
(3시드)
2017 LoL Champions Korea Spring SK telecom T1
(2시드)
kt Rolster Samsung Galaxy
(3시드)
Longzhu Gaming
(1시드)
2018 LoL Champions Korea Spring KING-ZONE DragonX Afreeca Freecs
(2시드)
kt Rolster
(1시드)
Gen.G Esports
(3시드)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SK telecom T1
(1시드)
Griffin
(2시드)
KING-ZONE DragonX DAMWON Gaming
(3시드)
2020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pring T1 Gen.G Esports
(3시드)[8]
DragonX
(2시드)
DAMWON Gaming
(1시드)
대회 우승 팀 준우승 팀 3위 팀 4위 팀 대신 진출한 팀
2021 LoL Champions Korea Spring DWG KIA
(1시드)
Gen.G
(2시드)
Hanwha Life Esports
(4시드)
T1
(3시드)
없음
2022 LoL Champions Korea Spring T1
(2시드)
Gen.G
(1시드)
DWG KIA
(3시드)
Kwangdong Freecs DRX
(4시드)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Gen.G
(1시드)
T1
(2시드)
kt Rolster
(3시드)
Hanwha Life Esports Dplus KIA
(4시드)
2024 LoL Champions Korea Spring Gen.G
(2시드)
T1
(4시드)
Hanwha Life Esports
(1시드)
Dplus KIA
(3시드)
없음

2.8. 서머 정규시즌 3위의 저주

서머시즌에 정규시즌 3위를 달성한 팀은 롤드컵에 진출하지 못한다는 징크스이다. 굉장히 유서 깊은 징크스로, 리그제 개편 이후인 2015년부터 2015 CJ, 2016 KT, 2018 킹존, 2019 샌드박스, 2021 농심, 2022 샌드박스, 2023 한화생명이 이 저주에 걸리면서 월즈 진출이 좌절되는 참사를 당했다. 17년과 20년에는 해당이 되지 않아 깨진 징크스로 여길 수 있지만, 그 3위 징크스를 뚫어낸 것은 선발전의 악마라 불리는, 선발전 9전 전승의 젠지(2017 SSG, 2020 젠지)이기 때문에 예외로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징크스와 저주도 악마는 못이긴다 24년 서머에 정규시즌 3위를 기록한 DK가 이 징크스를 깬다면 위의 챔피언십 포인트 3위 징크스와 동시에 깨지게 된다. 결국 DK가 T1상대로 3대2로 승리하며 깨버렸다.

2.9. 챔피언십 포인트 3위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

많은 팀들이 겪은 징크스로 2015 CJ, 2018 GRF, 2019 SB, 2020 T1, 2021 NS, 2022 LSB, 2023 HLE까지 모조리 챔피언십 포인트 3위로 선발전에서 유리한 위치에서 시작했으나 결국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 하지 못했다. 디플러스 기아가 24년도에 챔피언십 포인트 3위를 달성했기에 이 징크스가 깨질지 주목되고있다. 이도 서머 정규시즌 3위 저주와 함께 깨졌다.

2.10. 선발전 3시드 결정전에서 패배한 팀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

2022 시즌을 시작으로 3시드 결정전 패배 팀이 최종전 진출팀과 맞붙어서 짐으로써 성립되었던 징크스로 2022 LSB[9], 2023 HLE가 해당 징크스의 피해자였다.

이 징크스 역시 2024 T1의 월즈 진출로 챔피언십 포인트 3위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 실패와 함께 깨졌다.



[1] 펜타킬을 달성한 팀에서 패배한 최초의 사례다. 경기를 보면 알겠지만 딱히 한타에서 대승을 거둬서 달성했다기보단, 거의 게임이 기운 상태에서 펜타킬이라도 하자라는 식으로 달성한 것에 가깝다. 실제로 펜타킬 달성 이후 수십초만에 게임이 끝났다.[2] 강등권이면서 사실상 신생 팀 삼성을 제외하면 꼴찌. 게다가 소속팀 IM은 1라운드에 3승 4패를 찍으며 당초 예상과 다르게 선전하는 모양새였으나 후반기에 이전까지 전패 팀이던 삼성에게 1승을 내주자 팀원 전체가 막장 경기력을 선사하며 2라운드 전패를 찍었다. 게다가 삼성 전에서 패배에 크게 일조한 선수는 바로 손스타.[3] 최초로 펜타킬 후 해당 시즌 우승을 차지하였다.[4] 2013 월드 챔피언십이 끝나고 2014 시즌의 프리시즌 격이므로 짝수 연도에 포함된다.[5] 승패가 동일해도 득실차에서 타 팀보다 우위였다.[6] 2021 시즌 한화생명은 LCK의 월드 챔피언십 진출권이 담원의 2020 월드 챔피언십 우승 + 2021 MSI 준우승으로 리그 랭킹 포인트가 LEC보다 높아지면서 기존 3장에서 4장으로 늘어난 덕을 보면서 2라운드 승리로 월드 챔피언십 진출에 성공했다. 다만 선발전 최종전에서 T1에게 패배했기 때문에 기존처럼 탈락이 아닌 4시드로 진출하면서 2019 월드 챔피언십의 담원에 이어 두 번째로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시작해야 했다.[7] 2012 시즌의 LCK는 월드 챔피언십 진출팀이 2팀이었다.[8] 원래는 플레이-인부터 가야했지만 코로나 펜데믹으로 인한 VCS의 불참으로 VCS 1시드 자격을 승계 받아 본선에 직행했다.[9] 현 피어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