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20:24:38

더 플레이밍 립스

Flaming Lips에서 넘어옴
파일:UCRlogo.jpg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치 보이스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밴 헤일런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도어즈 토킹 헤즈 R.E.M. 이글스 사이먼 앤 가펑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스틸리 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올맨 브라더스 밴드 너바나 라몬즈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ZZ 탑 버즈 레너드 스키너드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카스 그레이트풀 데드 사운드가든 앨리스 쿠퍼 키스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벨벳 언더그라운드 스투지스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하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템테이션스 홀 앤 오츠 시카고 펄 잼 산타나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머틀리 크루 프랭크 자파 그리고 마더스 오브 인벤션 블론디 두비 브라더스 칩 트릭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저니 보스턴 제퍼슨 에어플레인 픽시즈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스톤 템플 파일럿츠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플레이밍 립스 푸 파이터스
출처
}}}}}}}}} ||}}}}}}}}} ||

플레이밍 립스
The Flaming Lips
파일:Flaming Lips.jpg
<colbgcolor=#000><colcolor=#fff>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결성 1983년
미국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 시티
데뷔 1985년 2월
EP <The Flaming Lips>
멤버 웨인 코인 (보컬, 기타)
스티븐 드로즈드 (드럼, 기타, 베이스, 키보드, 1991-)
데릭 브라운 (기타, 키보드, 퍼커션, 2009-)
맷 덕워스 (드럼, 퍼커션, 키보드, 2014-)
토미 맥켄지 (베이스, 2021-)
전 멤버
[ 펼치기 · 접기 ]
마이클 아이빈스 (베이스, 키보드, 1983-2021)
마크 코인 (보컬, 1983-1985)
데이브 코스트카 (드럼, 1983-1984)
리처드 잉글리쉬 (드럼, 키보드, 1984-1989)
조너선 도나휴 (기타, 1989-1991)
네이선 로버츠 (드럼, 1989-1991)
존 무니햄 (기타, 1991)
로널드 존스 (기타, 1991-1996)
클리프 스컬록 (드럼, 퍼커션 , 2002-2014)
제이크 잉골스 (키보드, 기타, 2013-2021)
니콜라스 레이 (퍼커션, 드럼, 샘플, 2014-2023)
장르 네오 사이키델리아, 사이키델릭 팝, 노이즈 록, 노이즈 팝, 얼터너티브 록, 익스페리멘탈 록
레이블 벨라 유니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음악적 성향4. 디스코그래피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록 밴드. 1981년 오클라호마에서 웨인 코인과 웨인의 형인 마크, 마이클 아이빈스가 주축으로 결성되었다. 밴드명은 포르노 영화에서 따왔다고. 의외로 전성기[1] 비해 밴드 결성은 상당히 이른 편이다. 세대로 보자면 대서양 건너 펄프랑 동세대. EP 녹음 후 마크는 결혼과 동시에 음악을 그만두었고 사실상 웨인이 밴드 중심이 되어 흘러가기 시작한다.

2. 역사

사실 초창기에는 제목 센스를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특색 있는 밴드는 아니었다. 리플레이스먼츠미트 퍼피츠, 버트홀 서퍼즈 같은 미국 하드코어 펑크 변종들을 60년대 포크와 섞는 등 나름 아이디어는 있었지만, 초기작 Hear It Is나 Telepathic Surgery 같은 앨범들에선 아직 제대로 확립시키지 못하고 헤매고 있었다. 때문에 제법 오랫동안 무명 생활을 했으며 웨인은 음식점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생계를 꾸려가야만 했다. 아래 언급할 In a Priest Driven Ambulance 녹음할때도 이걸 마지막으로 해체를 생각했을 정도였으니...

반전이 일어난건 그런지 열풍이 서서히 불던 시절 In a Priest Driven Ambulance (with Silver Sunshine Stares) 앨범을 발표하면서였다. 머큐리 레브 리더였던 조나단 도나휴와 당시 막 신출내기 프로듀서로 경력을 시작하던 (그리고 지금까지 음악적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는) 데이브 프리드먼이 참여한 이 앨범은 거칠긴 해도 드디어 노선정립에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고 워너의 러브콜을 받아 메이저 입성에 성공했다. 워너가 이 밴드를 끌어들인 계기는 불꽃놀이로 동네 향군회 홀을 거의 태워먹다시피 했던 공연 때문이였다고. 그 밴드에 그 레이블

그렇게 메이저에 입성한 이들은 Hit to Death in the Future Head라는 앨범을 만들어낸다. 메이저의 지원을 받아 스튜디오 작업과 다양한 악기를 동원한 이 앨범은 그러나 과도기적인 인상이 강하다는 평을 받았고 판매도 썩 신통치 않았다. 이 앨범 발표 후 조나단 도나휴가 머큐리 레브에 집중하려고 떠나고 대신 지금까지 장기 재적하고 있는 드러머 스티브 드로즈가 들어온다. 다음에 발표한 1993년 Transmissions from the Satellite Heart 앨범은 얼터너티브 파고를 타고 'She Don't Use Jelly'와 'Turn It On'라는 인디 히트곡을 만들어내면서 그나마 성공의 싹수가 보이기 시작한다. 물론 상업적 성공 뿐만이 아니라 이 앨범은 노이즈 록과 전원적인 포크, 버블검 멜로디, 소리의 벽 등 다양한 기법들을 동원해 안정적으로 만들어낸 중기 플레이밍 립스 수작으로 꼽히는 편이다.

이후 1995년 Clouds Taste Metallic을 발표했지만 호평과 배트맨 포에버 사운드트랙에 'Bad Days'가 실리는 등 레이블 사의 공격적인 지원과 달리 시원하게 망했고 순간적으로 상업적 실패를 받아들이지 못했는지 똘끼가 폭발한 이들은 CD 4장을 동시에 틀어야 감상할 수 있는 Zaireeka라는 앨범을 내놓는다. 당연히 다들 반응은 뭥미(...). 피치포크는 이 앨범에 0점을 주며, 플레이밍 립스의 팬들이 CDP를 더 살 돈이 있었다면 그 돈으로 마약과 마약 중독 치료를 했을 것이라며 두부 버거나 애완돌만큼 쓸모없는 앨범이라고 깠다. 그래도 지금이나 그 때나 정말로 한 번에 4개 CD를 재생할 수 있다면 대단히 훌륭한 사운드를 느낄 수 있다고 한다는 게 일반적인 평이다. 게다가 이 때 이어진 멤버들의 악재[2] 때문에 고생이 심했다.

피치포크의 Zaireeka 리뷰 번역본. #

하지만 고진감래라고 조금이나마 제정신을 차리고 만든 The Soft Bulletin이라는 앨범이 드디어 비평적으로도 상업적으로도 대박을 터트리면서 (결국 영국에선 골드 레코드를 따냈다.) 그동안의 설움을 한꺼번에 회복했으며 미국 인디 록의 거물로 올라서게 된다. The Soft Bulletin 역시 1990년대를 마무리하는 록 명반으로 자리잡게 된다.[3]

이 성공에 고무된 코언은 일본의 아방가르드 밴드인 보어덤즈의 퍼커셔니스트에 영감을 받아 핑크빛 거대로봇싸우는 미소녀 안드로이드를 주인공으로 한 컨셉 앨범 Yoshimi Battles the Pink Robots을 내놓았는데 전작보다 더욱더 큰 히트를 치고 평단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았다. 지금도 그들은 워너 브라더스의 지지를 받으며 미국 인디 록을 대표하는 밴드로 활약하고 있다. 요시미 앨범 이후로는 사이키델릭 록에 가까워지는 모양새.

이후에는 신작 정규 앨범보다는 여러 특이한 컨셉의 콜라보나 커버 앨범[4]을 내면서 창작 활동에선 다소 멀어지는 듯 했으나, 그러는 중에 낸 신작 스튜디오 앨범들인 Embryonic과 The Terror는 상당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2017년에 낸 최신보인 Oczy Mlody의 경우에는 옛날로 돌아간 싸이키델릭 록 사운드를 보여주었으나 평이 영 시원찮은 상황.

2021년 6월 4일 Audacy와의 인터뷰에서 우주 공연을 하고 싶다고 밝혔다. 일론 머스크에게 희망을 걸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

3. 음악적 성향

밴드 성격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라고 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도 1960년대 히피 세대의 낙관적인 포크 록과 사이키델릭, 버블검 팝 영향력이 강하기도 하지만 가사나 평소 컨셉도 그야말로 유쾌하고 비범하기 그지 없다. 상술한 Zaireeka 에피소드도 그렇고 쇠맛 나는 구름Clouds Taste Metallic, 신부가 운전하는 앰뷸런스In a Priest Driven Ambulance, 오, 임신한 내 머리Oh, My Pregnant Head 같은 제목 센스 등 (이건 정말 일부다.) 그야말로 똘끼충만이라는게 뭔지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정작 본인들은 자신들은 항상 크리스마스 음반을 만드는 밴드라고 하지만...

이러다보니 뮤직 비디오나 공연이 굉장히 특이한 걸로 유명하다. 웨인 코언이 미술에 재능이 있어서 [5] 공연에서는 무대 장치를 상당히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편인데 거품을 피우고 풍선을 날려 보내고 폭죽 터트리며 종이가루 날리는데다 특이한 영상을 가져다 트는 등 그야말로 사이키델릭 엔터테인먼트라고 할만한 라이브를 보여준다. 거기다 멤버들의 쇼맨십도 괜찮은 편인지라 공연 평이 좋다. 2010년 글라스톤베리에서 서브스테이지 헤드를 섰는데 역대급 공연으로 평가된다. 피라미드 헤드였던 고릴라즈를 깨끗이 발라버렸던 공연. 다만 라이브 평이 좋은 것과 별개로 웨인은 가창력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음역도 좁고 성량도 딸리는 편이며 라이브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때문에 상당히 열광적이고 충성스러운 팬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The Soft Bulletin 이후로 앨범들이 정식 발매가 된데다 두 번 내한하면서 [6] 인디 록 밴드치곤 팬층이 두터운 편이다.

리더인 웨인 코언은 똘끼에다 은근히 독설가 기질이 있어서 아케이드 파이어랑 키보드 배틀 붙은 것은 제법 유명하다.[7] 게다가 보통 락스타들도 나이가 들면서 잠잠해지는 게 보통인데 웨인은 벌써 환갑이 다가오는데도 가면 갈수록 더 좌충우돌하며 또라이짓을 하고 있다...

2011년 할로윈에는 '7 Skies H3'라는 1440분, 즉 24시간짜리 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곡은 13개 한정으로 실제 사람의 두개골에 담긴 USB 메모리 형태로 판매되었다. 가격은 5000달러. 이후 2014년엔 바쁜 사람들을 위해 따로 50분짜리 축약본을 공개했다.

2020년 오클라호마 시티에서 콘서트를 열었는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방비책이랍시고 멤버들과 관객들, 행사 관계자들이 커다란 1인풍선안에 들어가 멤버들은 연주하고 관람객들은 풍선안에서 공연을 즐기고하는데 의외로 시국에 맞는 실리적인 발상이었다고 한다. # 관련 인터뷰

4. 디스코그래피


[1] 90년대 후반 ~ 00년대까지를 보통 전성기로 친다.[2] 드러머인 드로즈드는 마약 투여 도중 팔을 일시적으로 못 쓰는 일이 일어났고 웨인은 아버지를 암으로 잃었다고 한다.[3] 참고로 음악평론사이트인 피치포크는 전작인 Zaireeka에겐 평점 0점을 주고 The Soft Bulletin에겐 10점을 준 일화는 제법 유명하다. 나중에 0점 준 리뷰는 삭제했다. 초기 똘끼충만하던 피치포크의 여러 흑역사 중 하나...[4] 예를들어 플레이밍 립스가 2014년에 발표한 'With a Little Help from My Fwends'' 앨범은 비틀즈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앨범 수록곡들을 통째로 커버한 오마주 앨범이다. 모비 등 게스트 뮤지션들도 여럿 참여했다.[5] 몇몇 앨범 커버를 직접 그리기도 했으며 미술은 아니지만 단편 영화도 몇 편 찍기도 했다. 물론 영화 내용은 아스트랄.[6] 한번은 2010년 단독 내한이였고 한번은 2013년 그랜드 민트 페스티벌이였다.[7] 엄밀히 말하면 시비를 건 것에 가까워서 나중에 변명조로 인터뷰를 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