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6:34:30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미군 의 화포 보병포 <colbgcolor=#fefefe,#191919>37mm M1916 보병포 곡사포 75mm M1 경곡사포 , 105mm M2 곡사포 , 105mm M3 경곡사포 , 155mm M1918 곡사포 , 155mm M1 곡사포 , 8인치 M1/M2 곡사포 , 240mm M1 곡사포 평사포 M1 4.5인치 평사포 , 155mm M1918 평사포 , 155mm M1/M2 평사포 'Long Tom' , 8인치 M1 평사포 대전차포 37mm M3 대전차포 , 57mm M1 대전차포 , 75mm M1897/A1/A2/A3/A4 대전차포 , 3인치 M5 대전차포 , 90mm T8 대전차포 , 76mm T124/T124E2 대전차포 , 105mm T8 대전차포 전차포 37mm M5/M6 , 75mm 전차포 M2–M6 , 76mm M1 전차포 , 3인치 M7 , 90mm M1/M2/M3 , 90mm 73구경장 T15/T15E1/T15E2 , 105mm M4 곡사포 , 105mm 전차포 T5 , 120mm 전차포 T53 , 155mm 전차포 T7 대공포 37mm M1 대공포 , 1.1 인치 75 구경장 대공포 "시카고 피아노" , 40mm M1 대공포 , 3인치 M1918 대공포 , 90mm M1/M2/M3 대공포 , 120mm M1 대공포 박격포 4.2인치 박격포 , 리틀 데이비드 열차포 8인치 Mk.VI 열차포 다연장로켓포 T34 칼리오페 (M8 로켓) 함포 3인치 50구경장 함포 ,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 Mk.16 6인치 47구경장 함포 , Mk.16 6인치 47구경장 양용포 , Mk.17 6인치 47구경장 함포 , Mk.14 8인치 55구경장 함포 , Mk.15 8인치 55구경장 함포 Mk.16 8인치 55구경장 함포 , Mk.7 12인치 50구경장 함포 , Mk.8 12인치 50구경장 함포 , Mk.10 14인치 45구경장 함포 , Mk.11 14인치 50구경장 함포 , Mk.5 16인치 45구경장 함포 , Mk.6 16인치 45구경장 함포 , Mk.2 16인치 50구경장 함포 , Mark 7 16인치 50구경장 함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화포 }}} }}}}}}
화포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군 미국 | 영국 | 소련 | 프랑스 추축군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냉전 소련 현대전 미국 }}}}}}}}}
1 . 개요2 . 제원3 . 상세4 . 포탄 목록5 . 형식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에서 개발된 구경 155mm 41 구경장 전차용 강선포 .참조 155mm Tank gun T7 제원 개발국가 미국 개발년도 1940년대 중량 2,384kg 전장 7.74m 구경 155mm 구경장 41 (6.74m) 폐쇄기 반동 메커니즘 유기압식 주퇴복좌기 강선 탄약 155mm 분리 장약식 포구초속 701~1,106m/s 발사 속도 1분에 2여발 최대 사정 거리 데이터 없음
1945년에 등장한 미국의 강선식 전차포다. T30 중전차의 주무장이었으나 2차 대전 종전 이후 T30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소수만이 생산되었다. 기존의 미국제 전차포들은 물론 105mm T5 전차포로도 단번에 완전 격파가 불확실했던 티거 2 같은 중장갑의 적들도 한방에 격파하기 위해 기존 전차포들보다 압도적으로 강한 화력을 갖추고자하는 목표로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155mm M1A1 평사포 를 기반으로 포신 길이를 6414mm(L/41.4)까지로 단축하여 설계하였고, 철갑탄 운용 능력도 부여되었다.T29 중전차의 105mm T5E1 전차포 처럼 분리장약식 포탄을 사용했다. T34 중전차의 120mm T53 (945m/s)과 T29 중전차의 105mm T5E1 (945m/s)에 비해 철갑탄 포구 탄속이 701m/s로 느렸다. 그러나 43kg의 고폭탄과 고속 철갑탄이 강력한 파괴력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1940년대 후반에 T30 프로젝트가 취소되면서 시험이 완료되기 전에 개발이 끝났다. 2차 대전 종전 이후 1950년대에 개발된 T58 중전차의 주무장으로 T7 기반의 T7E2가 개발되었다.4. 포탄 목록 M112B1 (AP) T43 (Mod.) (AP) T35 (HVAP) M107 (HE) 기본형. 장전 보조용 파워 래머와 탄피 배출 장비와 함께 사용하도록 수정되었다. 전후 1950년대에 개발된 T58 전차의 주무장. T7을 기반으로 상당한 설계 변경이 가해진 경량형 전차포로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