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 옳을 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 コク | ||||||
일본어 훈독 | べ-し, よ-い | ||||||
- | |||||||
표준 중국어 | kě, k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可는 '옳을 가'라는 한자로, '옳다', '진실로', '대략' 등을 뜻한다.2. 상세
可의 획순 |
可의 자형 |
口(입 구)와 丁 모양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丁 모양을 丁(고무래 정)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丁의 갑골문은 단순 네모 모양으로 지금과 전혀 다른 모양으로 생겼다. 따지자면 可 자의 오른쪽 부분은 丂 자와 더 닮았다. 워낙 자형이 단순해서인지 자원(字源)을 파악하기 어렵다.
성적이나 등급 따위를 평점하는 기준 중 하나인 수우미양가의 '가'이다. 충분히 노력한다면 가능성이 있다는 뜻.
카간의 음역어 '可汗'(가한)을 읽을 때 한정으로, 중국어에서는 독음이 달라진다.
유니코드는 U+53EF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NR(一弓口)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가결(可決)
- 가공(可恐)
- 가능(可能)
- 가동(可動)
- 가련(可憐)
- 가망(可望)
- 가소[1](可笑)
- 가시광선(可視光線)
- 가증(可憎)
- 가타부타(可타否타)
- 가한(可汗) - 극한이라고도 함.
- 가히(可히)
- 불가(不可)
- 이용가(利用可)
- 허가(許可)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린먀오커(林妙可)
- 릿카(律可): hololive 프로덕션의 전속 멤버
- 셰커인(谢可寅)
- 왕가도(王可道)
- 윤가이(尹可而)
- 정가신(鄭可臣)
- 좌가려(左可慮)
- 코마츠 미카코(小松 未可子): 일본 성우
- 후우라 카후카(風浦 可符香)
3.4. 지명
3.5. 창작물
- 귀여운 상사를 난처하게 만들고 싶어(可愛い上司を困らせたい)
- 귀여워서 미안해(可愛くてごめん)
- 귀엽기만 한 게 아닌 시키모리 양(可愛いだけじゃない式守さん)
- 이렇게 귀여운 아이가 여자일 리 없잖아(こんな可愛い子が女の子のはずがない)
- 진위판단불가적 망발성농후기담(真偽判断不可的 妄発性濃厚奇談)
3.6. 기타
- 표준 중국어에서 카카오, 코코아 모두 可可(한어병음: kěkě, 외래어 표기법/중국어: 커커)라 한다.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모양자
8. 여담
- 可를 두 개 합치면 哥(성씨 가)가 된다.
[1] '가소롭다' 할 때의 '가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