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23:22:43

홍윤오

<colcolor=#fff><colbgcolor=#e61e2b> 홍윤오
洪潤五 | Hong Yoon-oh
파일:홍윤오 하트.jpg
출생 1964년 10월 2일 ([age(1964-10-02)]세)
충청남도 논산시[1]
거주지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율전동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현직 국민의힘 수원시 을 당협조직위원장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겸임교수
학력 대구 경신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행정학[2] / 박사[3])
주요 경력 한국일보 사회부 기자
한국일보 정치부 기자
한국일보 아프가니스탄 전쟁 특파원
조지타운 대학교 방문연구원
URI 파이낸셜 이사
국민통합21 공보특보
국민통합21 대변인
제16대 대선 정몽준 대선캠프 대변인
재외동포재단 전문위원
SLS중공업 이사
성국산업개발 대표이사
씨하우스 대표이사
한국콘텐츠진흥원 감사
국회사무처 홍보기획관 (박근혜 정부)
대한전문건설신문 주간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겸임교수
가족 형 홍순일, 동생 홍지만 , 누이 2명
빙부 강신옥 , 처남 강한승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

2. 생애

1964년 10월 2일 충남 논산에서 아버지 홍종락의 두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경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에 입학했다. 졸업 후에는 한국일보 기자, 한국콘텐츠진흥원 감사, 기업 임원, 협회, 시민단체 활동과 미국 조지타운대 객원연구원 등 다양한 직업 경험을 가졌다.

2001년 9.11 테러이후 한국 기자로서는 처음이자 단독으로 아프가니스탄 전장을 취재한 아프간 종군 1호기자로서 당시 함께 취재하던 외국인 기자 4명이 무장괴한에게 피살되는 일을 겪기도 했다.

유신과 긴급조치 등에 항거했던 대표적인 1세대 인권변호사인 고(故) 강신옥 의원(제13, 14대)의 사위이기도 하다.

정계에는 2002년 대선 당시 정몽준 후보가 이끄는 국민통합21의 대변인을 맡으며 입문하였고 2010년 무렵 한나라당 대표실 부실장으로 일한 경험이 있다.

2008년에는 서울 마포을에 한나라당 예비후보로 도전했다 최종 경선에서 당시 강용석 후보에게 져 탈락했다.

이후 국회 홍보기획관, 현대그룹 상무, 한국콘텐츠진흥원 감사와 대한전문건설협회 신문사 주간을 맡는 등 다양한 직업 경험을 갖고 있다.

아프간 종군기를 담은 ‘아프간 블루스’(2011년)와 자유로운 삶을 동경하며 남미와 이탈리아, 그리스 등을 여행하며 쓴 ‘50년 여행 50일 인생’과 ‘조르바와 춤을’(2022년) 등의 저서가 있다.

성균관대에서 행정학 박사를 취득, 현재는 동 대학원에서 겸임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국민통합21|
파일:국민통합21 흰색 로고타입.svg
]]
2002 - 2004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04 정당 해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 - 2012 입당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 - 2015 당명 변경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5 - 2017 탈당[4]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7 - 2020 복당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0 합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합당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수원 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3,720 (38.26%) 낙선 (2위)

[1] #[2] 정책학 전공[3] 박사 학위 논문 : 건설업 업역구분 정책변동 연구 : 정책지지연합모형(ACF)과 이익집단위상변동모형(ICF)의 통합적 관점에서(2020. 2)[4] 공직 취임으로 인한 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