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12:41:24

스테파니(가수)



파일: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로고.svg

린아
다나
선데이
스테파니

[ 한국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5%>
파일:천상지희 Too Good.jpg
||<width=25%>
파일:LnOkeiV.jpg
||<width=25%>
파일:Rgb4eFv.jpg
||<width=25%>
파일:한번 더, OK? 표지.jpg
||
Too Good
1st 싱글

2005. 04. 29.
The Club
2nd

2006. 03. 08.
열정 (My Everything)
3rd 싱글

2006. 11. 03.
한번 더, OK?
정규 1집

2007. 05. 04.
[ 일본 음반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5%>
파일:Bdrs7g1.jpg
||<width=25%>
파일:4h7q0lY.jpg
||<width=25%>
파일:y8FM9Uh.jpg
||<width=25%>
파일:h0uv4mk.jpg
||
Boomerang
1st 싱글

2006. 01. 25.
The Club
2nd 싱글

2006. 03. 08.
Sweet Flower
3rd 싱글

2006. 04. 26.
juicy LOVE
4th 싱글

2006. 07. 12.
파일:XRxSrRd.jpg
파일:Uo5E2mK.jpg
파일:xQMEFAU.jpg
파일:MThxNL7.jpg
Piranha
5th 싱글

2007. 08. 01.
Graceful 4
정규 1집

2007. 11. 14.
Stand Up People
6th 싱글

2008. 07. 23.
Here
7th 싱글

2008. 10. 22.
파일:JU3gjN3.jpg
Dear...
정규 2집

2009. 01. 07.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f2023> 한국 음반 ||<width=33%> 일본 음반 ||<width=33%> 다나&선데이 ||
<colbgcolor=#2a4c96><colcolor=#fff> 스테파니
STEPHANIE
파일:스테파니_프로필.jpg
본명 스테파니 보경 킴 (Stephanie Bokyung Kim)
한국명 김보경
예명 천무 스테파니, 스테파니 더 그레이스
출생 1987년 10월 16일 ([age(1987-10-16)]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67cm, 45kg, O형, 허리둘레 24인치
가족 부모님[1], 반려견 우쭈[2]
학력 서울도곡초등학교 (졸업)
한국켄트외국인학교 (고등부 /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발레전공 / 예술사)
종교 개신교
소속사 없음
데뷔 2005년 천상지희 싱글 1집 Too Good
(데뷔일로부터 [dday(2005-04-15)]일)
소속 그룹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2005년 ~ 2010년)
포지션 리드보컬, 메인댄서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포지션
3.1. 보컬3.2. 댄스
4. 특징
4.1. 비주얼
5. 활동
5.1. 천상지희5.2. 솔로
6. 출연 작품
6.1. 연극6.2. 뮤지컬6.3. 발레6.4. 드라마
7. 그 외 활동8. 솔로 음반9. 여담10.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미국인 가수, 발레리나, 뮤지컬 배우, 사업가, 교수,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멤버다.[3]

2. 상세

한국에서 태어나고 만 10살 때부터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로 이민가서 자랐다. 5살 때부터 발레를 배웠는데 스테파니의 재능을 알아본 선생님의 추천으로 더 큰 세계에서 발레를 배우기로 결정하여 미국 이민을 떠났다고 한다. 그리고 부모님은 여전히 미국에 정착하여 살고 계신다. #

12살 때 세계예능교류협회에서 주최한 발레 콩쿨에서 대상을 받고, 그 후 미국 서든 캘리포니아 청소년 발레단에서 솔리스트로 활약했다. 2003년 보스턴 발레단 산하의 '발레스쿨'에 스카우트되면서 미국 한인 신문은 물론 미국 지역 신문에도 등장할만큼 인정받았다.

발레를 전공한 재원이었지만 만 16살 때 가수가 되기 위해 한국으로 왔다.

3. 포지션

3.1. 보컬

3.2. 댄스

4. 특징

4.1. 비주얼

5. 활동

5.1. 천상지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상지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상지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상지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search.pstatic.net/?src=http%3A%2F%2Fblogfiles9.naver.net%2Fdata42%2F2008%2F11%2F3%2F241%2F04_oh5no.jpg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lzquj9DEaf1qcfn7oo7_250.gif

5.2. 솔로

6. 출연 작품

6.1. 연극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6년 인간 사만타 [9]
2017년 술과 눈물과 지킬앤하이드 이브 댄버스

6.2. 뮤지컬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3년 오 당신이 잠든 사이 정숙자 데뷔작
오 당신이 잠든 사이 - 청주 구혜림
2018년 미인 병연
오! 캐롤 로이스
2019년 잭 더 리퍼 글로리아
워치 구혜림
워치 - 충남 구혜림
워치 - 예산 구혜림
2023년 프리다 레플레하

6.3. 발레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6년 한여름밤에 호두까기인형 클라라 /
호두까기인형
창작발레
1인 2역
2019년
2020년 레미제라블 코제트

6.4. 드라마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2017년 tvN 내성적인 보스 박 실장

7. 그 외 활동

7.1. 라디오

7.2. 예능

7.3. 불후의 명곡

<rowcolor=#ffffff> ▲ 보고 싶은 얼굴 ▲ 손대지마 ▲ Fake Love
일자 주제 곡명 승패 점수
2015.11.28 백지영 편 선택 1승 411
2016.01.16 오승근 & 조항조 편 떠나는 님아 1승 429
2016.01.30 김광석 편 먼지가 되어 1승 413
2016.02.06 우리 가족 사랑의 노래 특집 잃어버린 우산
2016.02.27 민해경 편 보고 싶은 얼굴 1승 421
2016.03.05 김종서 편 아름다운 구속[12] 1승 387
2016.03.19 박춘석 편 2부 황혼의 엘레지 2승 430
2016.08.06 룰라 편 백일째 만남
2016.12.03 최준영 편
2020.09.26 김완선 편 리듬 속의 그 춤을 1승 비공개
2020.12.05 보아 편 My Name 2승 비공개
2021.10.23 오 마이 스타 특집 2부 미쳤어[13]
2021.12.11 불후와 함께 춤을 특집 초대[14] 1승 비공개
2022.04.16 휘트니 휴스턴 편 Queen Of The Night
2022.07.02 고고 70 특집 거짓말이야
2022.10.08 더 프렌즈 특집 1부 손대지마[15] 1승 비공개
2022.12.03 패티김 편 2부 서울의 찬가[16] 1승 비공개
2022.12.24 왕중왕전 1부 Abracadabra
2023.09.02 김수철 편 1부 내일[17] 1승 비공개
2023.11.11 오 마이 스타 특집4 2부 Fake Love[18] 2승
2025.03.15 베이비복스 Killer

7.4.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7.4.1. 65, 66회

▲ 헤어진 다음날 ▲ 1,2,3,4
2016년 6월 26일, 7월 3일에 걸쳐 방영된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33차 경연에서 '출발 비디오 여행'이라는 가명으로 참가해서 2라운드까지 진출했다. 심쿵주의 눈꽃여왕로 출연했던 다나에 이어 천상지희 멤버로서는 두 번째로 참가했으며, 이후 각각 51차, 105차 경연에서 린아, 선데이도 차례대로 출연했다.

7.4.2. 476, 477회

<rowcolor=#fff> ▲ 어쩌다 마주친 그대 ▲ 어른 아이 ▲ 매직 카펫 라이드
2024년 12월 15일, 12월 22일에 걸쳐 방영된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36차 경연에서 '오늘 가왕은 호! 박! 고! 구! 마! 호! 박! 고! 구! 마! 호박고구마'라는 가명으로 재도전해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7.4.3. 경연곡 목록

출발 비디오 여행
<rowcolor=#fff> EP. 방송 날짜 곡명 원곡자 VS. 득표수
33-1 2016년 6월 26일 헤어진 다음날 이현우 주간 아이돌 72
33-2 2016년 7월 3일 1,2,3,4 이하이 치명적인 팜므파탈 47
오늘 가왕은 호! 박! 고! 구! 마! 호! 박! 고! 구! 마! 호박고구마
<rowcolor=#fff> EP. 방송 날짜 곡명 원곡자 VS. 득표수
236-1 2024년 12월 15일 어쩌다 마주친 그대 송골매 내 노래 안 들어 봤으면 말을 하지 마! 니들이 게 맛을 알아? 92
236-2 2024년 12월 22일 어른 아이 거미 그대와 발을 맞추며 걷고~ 너의 두 손을 잡고~ 같이 걸을래 63
236-3 매직 카펫 라이드 자우림 어디서 향기 나지 않아요? 내 노래는 향기를 남기고~ 꽃보다 향수 18

8. 솔로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테파니/음반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테파니/음반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테파니/음반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10. 둘러보기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

출신 아티스트
<keepall>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font-size: 0.85em"
<rowcolor=#000> 데뷔일 아티스트 팬덤 결성 인원
SM기획
1994. 03. xx. 메이저 - 3인조 남성 포크 록 밴드
1994. 08. xx. J&J - 남성 듀오
SM엔터테인먼트
1996. 09. 07. H.O.T. [[Club H.O.T.|
Club H.O.T.
]]
5인조 보이그룹[1]
1997. 11. 28. S.E.S. [[친구(S.E.S.)|
친구
]]
3인조 걸그룹
1998. 03. 24. 신화 [[신화창조|
신화창조
]]
6인조 보이그룹
1998. 07. 15. 배드 보이스 써클 - 3인조 남성 펑크 록 밴드
1999. 11. 21. 플라이 투 더 스카이
Fly High
남성 R&B 듀오
2001. 12. 17. M.I.L.K.
Milky Way
4인조 걸그룹
2002. 03. 01. 블랙비트
SOULBLACK
5인조 보이그룹
2002. 04. 01. 신비
Linos
3인조 걸그룹
2002. 09. 02. 이삭 N 지연
N
여성 R&B 듀오[2]
2003. 12. 26. 동방신기 [[카시오페아(동방신기)|
카시오페아
]]
5인조 보이그룹
2004. 07. 19. The Trax
Traxian
4인조 남성 록 밴드
2005. 04. 29.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SHAPLEY
4인조 걸그룹
2005. 11. 06. SUPER JUNIOR [[E.L.F.|
E.L.F.
]]
13인조 보이그룹
2007. 08. 05. 소녀시대 [[S♡NE|
S♡NE
]]
9인조 걸그룹
2008. 05. 25. SHINee [[SHINee WORLD|
SHINee WORLD
]]
5인조 보이그룹
2009. 09. 05. f(x) [[me(you)|
me(you)
]]
5인조 걸그룹
2012. 04. 08. EXO [[EXO-L|
EXO-L
]]
12인조 보이그룹
2014. 08. 01. Red Velvet [[ReVeluv|
ReVeluv
]]
4인조 걸그룹
2016. 04. 09. NCT [[NCTzen|
NCTzen
]]
[무한확장]
2016. 07. 07. NCT 127 [[NCTzen|
NCTzen 127
]]
7인조 보이그룹
2016. 08. 25. NCT DREAM [[NCTzen|
NCTzen DREAM
]]
2019. 01. 17. WayV [[NCTzen|
WayZenNi
]]
2019. 10. 04. SuperM
SuperM SUPPORTERS
2020. 11. 17. aespa [[MY|
MY
]]
4인조 걸그룹
2022. 01. 03. GOT the beat - 7인조 걸그룹
2023. 09. 04. RIIZE [[BRIIZE|
BRIIZE
]]
7인조 보이그룹
2024. 02. 21. NCT WISH [[NCTzen|
NCTzen WISH
]]
6인조 보이그룹
2025. 02. 24. Hearts2Hearts [[S2U|
S2U
]]
8인조 걸그룹
}}}}}}}}}
[ 솔로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1e8,#ffe1e8><rowcolor=#000> 데뷔일 ||<width=30%> 아티스트 ||<width=25%> 팬덤 ||<width=20%> 비고 ||
SM기획
1990. 04. xx. 현진영과 와와 - [4]
1991. 01. xx. 한동준 -
1991. 10. xx. 김광진 -
1993. 08. 18. 유영진 -
SM엔터테인먼트
2000. 08. 25. 보아 [[점핑보아|
Jumping BoA
]]
2001. 08. 15. 강타 [[Club K.I.T.|
Club K.I.T.
]]
[H]
2001. 09. 10. 다나
DANA For You
[6]
2001. 09. 22. 문희준
Club H.I.T.
[H]
2006. 09. 08. 장리인
Chocolate
2007. 09. 12. 제이민
J-Min Day
2013. 06. 07. 헨리
Strings
SUPER JUNIOR-M
2013. 11. 14. 이동우 -
2014. 08. 15. 태민 - SHINee
2014. 10. 31. 조미
Mitangs
SUPER JUNIOR-M
2014. 11. 13. 규현 - SUPER JUNIOR
2015. 01. 12. 종현 - SHINee
2015. 02. 13. 엠버 - f(x)
2015. 10. 07. 태연 - 소녀시대
2016. 01. 28. 려욱 - SUPER JUNIOR
2016. 04. 19. 예성 -
2016. 05. 11. 티파니 - 소녀시대
2016. 05. 31. 루나 - f(x)
2016. 12. 02. 효연 - 소녀시대
2017. 01. 17. 서현 -
2018. 10. 04. 유리 -
2018. 11. 06. KEY - SHINee
2018. 12. 05. 온유 -
2019. 03. 30. 솔희 - [AIKM]
2019. 04. 01. - EXO
2019. 06. 12. 유노윤호 - 동방신기
2019. 06. 29. 설리 - [9]
2019. 07. 10. 백현 - EXO
2019. 11. 22. 성민
성민에너지
SUPER JUNIOR
2020. 03. 30. 수호 - EXO
2020. 04. 06. 최강창민 - 동방신기
2020. 11. 30. 카이 - EXO
2021. 04. 05. 웬디 - Red Velvet
2021. 05. 26. 조이 -
2021. 07. 26. 디오 - EXO
2021. 10. 20. 은혁 - SUPER JUNIOR
2021. 12. 21. 민호 - SHINee
2022. 09. 26. 시우민 - EXO
2022. 10. 04. 슬기 - Red Velvet
2023. 06. 05. 태용 - NCT
2023. 10. 20. 찬열 - EXO
2024. 02. 13. - NCT
2024. 04. 01. 루카스 - [10]
2024. 04. 22. 도영 - NCT
2024. 08. 26. 재현 -
2024. 09. 10. nævis - 버추얼 아티스트
2024. 10. 04. 민지운 - [KRUCIALIZE]
2024. 11. 26. 아이린 - Red Velvet
2025. 04. 07. 마크 - NCT
2025. 07. 31. XngHan&Xoul - [12]
[ 영입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1e8,#ffe1e8><rowcolor=#000> 발매일 ||<width=30%> 아티스트 ||<width=25%> 팬덤 ||<width=20%> 비고 ||
솔로
2002. 08. 29. 추가열 -
2019. 02. 25. 자이언트 핑크 - [AIKM]
}}} ||
{{{#!wiki style="margin: 0px -10px -1px; min-height: 13px; font-size: 0.85em; color: #8c8c8c"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word-break: keep-all"

[1] 문희준을 제외한 4명의 멤버가 SM기획과 계약을 체결하고 SM기획 소속으로 활동을 하다가 2000년경 SM엔터로 계약을 이관했다.[2] 지연은 천상지희 멤버 린아로 2005년 재데뷔.[무한확장] NCT무한확장 시스템을 기반으로 데뷔하였다. 데뷔 싱글, NCT U의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WITHOUT YOU』 기준으로는 총 7명이 최초로 데뷔하였다. 2023년 2월 24일, 무한확장 종료를 발표하며 현재 NCT는 25인조이다.[4] 솔로 가수. 와와는 현진영의 고정 백댄서들이며 모두 독립하여 가수로 데뷔했다. 1기(클론), 2기(듀스), 3기()이 있다.[H] H.O.T. 해체 후 솔로 데뷔.[6] 2005년, 천상지희 멤버로 재데뷔.[H] [AIKM] AIKM 레이블 소속.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레이블이다.[9] f(x) 탈퇴 후 솔로 데뷔.[10] NCT 탈퇴 후 솔로 데뷔.[KRUCIALIZE] KRUCIALIZE 레이블 소속.[12] RIIZE 탈퇴 후 솔로 데뷔.[AIKM]
}}}}}}}}}


[[프리다(뮤지컬)|
파일:파일:뮤지컬 프리다 로고2.png
]] 역대 참여 배우
<rowcolor=#035d29,#035d29>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rowcolor=#035d29> 연도 프리다 레플레하 데스티노 메모리아
2022 초연 최정원, 김소향 전수미, 리사 정영아, 임정희 최서연, 허혜진, 황우림
2023 재연 김소향, 알리, 김히어라 전수미, 리사, 스테파니 정영아, 임정희, 이아름솔 최서연, 박시인, 허혜진, 황우림
2024 추가 공연 김소향 전수미 박선영 박시인
2025 삼연 김소향, 김지우, 김히어라, 정유지 전수미, 장은아, 아이키 이아름솔, 이지연, 박선영 박시인, 허윤슬(허혜진), 유연정
{{{#!wiki style="margin:0 0 4px"
}}}}}}}}} ||
[1] 무남독녀 외딸이다.[2] 개는 훌륭하다에서 밝힘[3] 현재는 연성대학교 신설학과인 K-POP학과의 객원 교수로 임명되었다.[4] 티파니와는 영본명과 본인의 예명이 "스테파니"로 같다.[5] 파일:스테파니 발레.jpg[6] 오랜 기다림 끝의 컴백이었으나 완전체가 아닌 솔로였고 미디어라인의 매니지먼트 퀄리티가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여 팬들의 탄식은 깊어졌다.[7] 이 때 아이돌학교를 통해 안면이 있는 아이즈원조유리, 에버글로우조세림, 핑크판타지조유빈, API이유정과 재회했으며, 넷이서 스테파니와 함께 찍은 사진이 스테파니의 인스타그램에 올라왔다.[8] 한미 양국을 오가며 연애중이라하며 브래디 앤더슨은 56세, 스테파니는 33세로 무려 23살 차이다. 장거리 연애에다 거의 띠동갑 2바퀴에 가까운 나이차로 관심이 집중되었다. 역대 뜬금없는 열애설 1,2위를 다툴만하다.#[9] 원작 베르나르 베르베르[10] 2019년 4월 신곡을 냈을 때 아이돌학교 참가자들 중 정식 데뷔한 조유리, 조세림, 조유빈, 이유정과 함께 찍은 사진이 본인의 인스타에 올라왔다.[11] 카메오로 출연했는데 혼자서 3가지 역할을 잘 소화해낸다.간호사,알코올 중독자,잘나가는 여인 등등 이와중에 자기소개까지 한 건 덤이다.[12] 김연지, 이세준, 손준호, DK와 함께 중창단 5벤져스로 참여했다.[13] with 설하윤[14] with 정민찬[15] with 리사[16] with 왁씨[17] with 리사, 알리, 황우림[18] with 김기태[19] 댄스 1위는 배틀신화에 나왔던 DSP 출신 김애리였다.[20] SM은 연습생 준비 기간이 긴 걸로 유명한 회사로 당시 원래 준비를 하고 있던 연습생이 솔로를 하겠다며 SM의 자회사로 빠지는 바람에 대타로 들어갔다라는 실체가 없는 이야기가 돌 정도로 이례적으로 빠른 데뷔였다. 다만 그것은 어디 까지나 루머다.[21] 당시 부른곡은 보아의 valenti와 머라이어 캐리의 hero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