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Too Good 1st 싱글
2005. 04. 29.The Club 2nd 싱글
2006. 03. 08.열정 (My Everything) 3rd 싱글
2006. 11. 03.한번 더, OK? 정규 1집
2007. 05. 04.
- [ 일본 음반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Boomerang 1st 싱글
2006. 01. 25.The Club 2nd 싱글
2006. 03. 08.Sweet Flower 3rd 싱글
2006. 04. 26.juicy LOVE 4th 싱글
2006. 07. 12.Piranha 5th 싱글
2007. 08. 01.Graceful 4 정규 1집
2007. 11. 14.Stand Up People 6th 싱글
2008. 07. 23.Here 7th 싱글
2008. 10. 22.Dear... 정규 2집
2009. 01. 07.
| <colbgcolor=#2a4c96><colcolor=#fff> 스테파니 STEPHANIE | |
| | |
| 본명 | 스테파니 보경 킴 (Stephanie Bokyung Kim) |
| 한국명 | 김보경 |
| 예명 | 천무 스테파니, 스테파니 더 그레이스 |
| 출생 | 1987년 10월 16일 ([age(1987-10-16)]세) |
|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 |
| 국적 | |
| 신체 | 167cm, 45kg, O형, 허리둘레 24인치 |
| 가족 | 부모님[1], 반려견 우쭈[2] |
| 학력 | 서울도곡초등학교 (졸업) 한국켄트외국인학교 (고등부 /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발레전공 / 예술사) |
| 종교 | 개신교 |
| 소속사 | 없음 |
| 데뷔 | 2005년 천상지희 싱글 1집 Too Good (데뷔일로부터 [dday(2005-04-15)]일) |
| 소속 그룹 |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2005년 ~ 2010년) |
| 포지션 | 리드보컬, 메인댄서 |
| 링크 | |
1. 개요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는 미국인 가수, 발레리나, 뮤지컬 배우, 사업가, 교수,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의 멤버다.[3]2. 상세
한국에서 태어나고 만 10살 때부터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로 이민가서 자랐다. 5살 때부터 발레를 배웠는데 스테파니의 재능을 알아본 선생님의 추천으로 더 큰 세계에서 발레를 배우기로 결정하여 미국 이민을 떠났다고 한다. 그리고 부모님은 여전히 미국에 정착하여 살고 계신다. #12살 때 세계예능교류협회에서 주최한 발레 콩쿨에서 대상을 받고, 그 후 미국 서든 캘리포니아 청소년 발레단에서 솔리스트로 활약했다. 2003년 보스턴 발레단 산하의 '발레스쿨'에 스카우트되면서 미국 한인 신문은 물론 미국 지역 신문에도 등장할만큼 인정받았다.
발레를 전공한 재원이었지만 만 16살 때 가수가 되기 위해 한국으로 왔다.
3. 포지션
3.1. 보컬
3.2. 댄스
- 천상지희의 메인댄서이다. 현존하는 모든 아이돌중 가장 최상위권 실력을 가지고 있다.
- 안무창작은 물론이고 발레를 배운 경력으로 유연성까지 뛰어나고 중심도 잘잡아 힐을 신고 댄스브레이크를 해도 흔들림이 없다.
4. 특징
4.1. 비주얼
- 초창기부터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로 활동할 때는 장발이었으나 이후 솔로로 활동 중일 때는 잠시 보이시스러운 외모로 변했는데 이때는 단발에다 백금발이었다. 현재는 다시 긴머리로 돌아왔다.
5. 활동
5.1. 천상지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상지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천상지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5.2. 솔로
- 허리 요양과 재활치료를 목적으로 미국에 갔던 스테파니는 건강이 회복된 뒤 한국 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를 취득하고 2010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과에 발레 전공으로 입학하여 발레 교사 티칭 라이센스를 취득했다.
- 2011년 미국 LA 발레단에 입단하여 발레 공연으로 투어에 나서는 등 가수 활동으로 잠시 멈췄던 발레리나로서의 커리어를 재개했다. 한예종은 재학 기간 중 학칙으로 연예 활동을 금지하고 있기에 팬들은 스테파니가 가수로서 다시 무대에 서기까지 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을 알곤 상심했다.[5]
- 2012년 스테파니는 SM엔터테인먼트 소속을 유지한 채 미디어라인의 위탁 매니지먼트를 통한 싱글을 국내에서 발매하고 음악 방송에 출연하며 가수로서의 활동을 재기했다.[6]
- 2012년 10월 8일 디지털 싱글 The New Biginning으로 솔로로 데뷔했다.
- 2015년 무렵부턴 SM엔터테인먼트 소속을 유지한 채 마피아레코드에 위탁 매니지먼트를 받으며 솔로 가수로 활동했다. 이번 회사와는 제법 궁합이 잘 맞아 왕성한 활동 지원이 꾸준히 이어졌다.
- 2015년 8월 12일 디지털 싱글 Prisoner로 컴백했다.
- 2015년 9월 24일 디지털 싱글 Black Out으로 컴백했다.
- 2015년 10월 13일 미니 1집 Top Secret으로 컴백했다.
- 2015년 리얼체험 프로젝트 인간의 조건을 통해 간만에 얼굴을 내비쳤다.
- 2016년
- 2016년 5월에 SM엔터테인먼트와 전속 계약을 종료하고 마피아레코드로 완전히 이적했다.
- 2016년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에 출연했다.
- 2017년에는 아이돌학교의 댄스 트레이너로 출연했다.
- 2019년
- 2021년 다시 한국으로 돌아와서 브랜드 <BODITIQUE>를 설립하고 바디로션 제품을 런칭했다.
- 2022년 연성대학교 K-POP학과 댄스 파트 객원 교수로 임명되었다.
- 현재는 한국에서 영어 발레, 케이팝 트레이닝 학원을 설립하여 운영 중이다.
- 요약하면 스테파니는 솔로 가수로서 다수의 싱글과 미니 앨범을 발매했고 예능 프로그램에도 종횡무진 출연하였다. 특히 KBS2 불후의 명곡을 통해 홀로 무대에 서 우승을 거머쥐는 등 솔로 가수로서의 가치를 증명했다. 또한 수년 간 SNS 등을 통해 천상지희와 자신의 팬들에게 꾸준히 친근한 모습을 보여주며 오랜 팬들의 신뢰와 지지를 유지하고 있다.
6. 출연 작품
6.1. 연극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6년 | 인간 | 사만타 | [9] |
| 2017년 | 술과 눈물과 지킬앤하이드 | 이브 댄버스 |
6.2. 뮤지컬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3년 | 오 당신이 잠든 사이 | 정숙자 | 데뷔작 |
| 오 당신이 잠든 사이 - 청주 | 구혜림 | ||
| 2018년 | 미인 | 병연 | |
| 오! 캐롤 | 로이스 | ||
| 2019년 | 잭 더 리퍼 | 글로리아 | |
| 워치 | 구혜림 | ||
| 워치 - 충남 | 구혜림 | ||
| 워치 - 예산 | 구혜림 | ||
| 2023년 | 프리다 | 레플레하 |
6.3. 발레
|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 2016년 | 한여름밤에 호두까기인형 | 클라라 / 호두까기인형 | 창작발레 1인 2역 |
| 2019년 | |||
| 2020년 | 레미제라블 | 코제트 |
6.4. 드라마
| 연도 | 방송사 | 제목 | 배역 |
| 2017년 | tvN | 내성적인 보스 | 박 실장 |
7. 그 외 활동
7.1. 라디오
- 슈퍼주니어의 키스 더 라디오
- Arirang Radio - Sound K
7.2. 예능
- 아이돌월드
- 아이돌학교[10]
- 나 혼자 간다 여행 3색 힐링 여행
- 더 바디쇼 4
- 풍문으로 들었쇼
- GO독한 사제들
- 언니네핫초이스
- 인간의 조건-집으로
- 노래싸움 - 승부 - 김신의, 손동운과 함께 한 팀으로 출전했으나 첫 대결부터 김경선에게 아쉽게 패하고 이후 패자부활곡 2개 역시 자신 없거나 잘 모르는 곡이라 부활도 실패했다. 그래도 김신의가 후반에 캐리한 덕에 우승하게 되었다.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출발 비디오 여행
- 수상한가수(tvn) - 참기름 복제가수
- 한식대첩 고수외전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11]
- SBS 슈퍼바이킹
- SBS X맨을 찾아라
- 돌아온 몰래카메라
- 만원의 행복
- 작렬 정신통일
7.3. 불후의 명곡
| <rowcolor=#ffffff> ▲ 보고 싶은 얼굴 | ▲ 손대지마 | ▲ Fake Love |
- 굵은 글씨는 최종 우승
| 일자 | 주제 | 곡명 | 승패 | 점수 |
| 2015.11.28 | 백지영 편 | 선택 | 1승 | 411 |
| 2016.01.16 | 오승근 & 조항조 편 | 떠나는 님아 | 1승 | 429 |
| 2016.01.30 | 김광석 편 | 먼지가 되어 | 1승 | 413 |
| 2016.02.06 | 우리 가족 사랑의 노래 특집 | 잃어버린 우산 | ||
| 2016.02.27 | 민해경 편 | 보고 싶은 얼굴 | 1승 | 421 |
| 2016.03.05 | 김종서 편 | 아름다운 구속[12] | 1승 | 387 |
| 2016.03.19 | 박춘석 편 2부 | 황혼의 엘레지 | 2승 | 430 |
| 2016.08.06 | 룰라 편 | 백일째 만남 | ||
| 2016.12.03 | 최준영 편 | 와 | ||
| 2020.09.26 | 김완선 편 | 리듬 속의 그 춤을 | 1승 | 비공개 |
| 2020.12.05 | 보아 편 | My Name | 2승 | 비공개 |
| 2021.10.23 | 오 마이 스타 특집 2부 | 미쳤어[13] | ||
| 2021.12.11 | 불후와 함께 춤을 특집 | 초대[14] | 1승 | 비공개 |
| 2022.04.16 | 휘트니 휴스턴 편 | Queen Of The Night | ||
| 2022.07.02 | 고고 70 특집 | 거짓말이야 | ||
| 2022.10.08 | 더 프렌즈 특집 1부 | 손대지마[15] | 1승 | 비공개 |
| 2022.12.03 | 패티김 편 2부 | 서울의 찬가[16] | 1승 | 비공개 |
| 2022.12.24 | 왕중왕전 1부 | Abracadabra | ||
| 2023.09.02 | 김수철 편 1부 | 내일[17] | 1승 | 비공개 |
| 2023.11.11 | 오 마이 스타 특집4 2부 | Fake Love[18] | 2승 | |
| 2025.03.15 | 베이비복스 | Killer |
7.4.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7.4.1. 65, 66회
| ▲ 헤어진 다음날 | ▲ 1,2,3,4 |
7.4.2. 476, 477회
| <rowcolor=#fff> ▲ 어쩌다 마주친 그대 | ▲ 어른 아이 | ▲ 매직 카펫 라이드 |
7.4.3. 경연곡 목록
| 출발 비디오 여행 | |||||
| <rowcolor=#fff> EP. | 방송 날짜 | 곡명 | 원곡자 | VS. | 득표수 |
| 33-1 | 2016년 6월 26일 | 헤어진 다음날 | 이현우 | 주간 아이돌 | 72 |
| 33-2 | 2016년 7월 3일 | 1,2,3,4 | 이하이 | 치명적인 팜므파탈 | 47 |
| 오늘 가왕은 호! 박! 고! 구! 마! 호! 박! 고! 구! 마! 호박고구마 | |||||
| <rowcolor=#fff> EP. | 방송 날짜 | 곡명 | 원곡자 | VS. | 득표수 |
| 236-1 | 2024년 12월 15일 | 어쩌다 마주친 그대 | 송골매 | 내 노래 안 들어 봤으면 말을 하지 마! 니들이 게 맛을 알아? | 92 |
| 236-2 | 2024년 12월 22일 | 어른 아이 | 거미 | 그대와 발을 맞추며 걷고~ 너의 두 손을 잡고~ 같이 걸을래 | 63 |
| 236-3 | 매직 카펫 라이드 | 자우림 | 어디서 향기 나지 않아요? 내 노래는 향기를 남기고~ 꽃보다 향수 | 18 | |
8. 솔로 음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테파니/음반목록#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테파니/음반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여담
-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활동 당시 사용하던 예명으로는 스테파니 더 그레이스, 천무 (天舞) 스테파니(하늘의 춤) 등이 있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그 닉네임이 마음에 들지 않았고 너무 촌스럽다고 생각해서 대놓고 윗선에다 항의를 했다고...
- 연습생 당시 스테파니는 SM 연습생 중에서 이례적으로 빠른 데뷔 과정을 거쳤는데, 2004년 2월 청소년 베스트 선발 대회에서 노래 부분 1위를 차지했고 사실은 댄스 부문 대상으로 오해하는 사람이 많지만 노래 부문이었다.[19]
- 근데 사실 스테파니는 이 얘기를 나중에 자세히 했는데 애초에 이 대회에 출전할 때 카테고리를 노래 부문으로 했기 때문에 춤은 그냥 개인기로만 선보였다고. 아무튼 스테파니는 노래 부문 대상을 받고 연습생이 되었는데 5개월 뒤 SM타운 앨범에서 천상지희 멤버들과 첫 녹음을 한 이후 1년 간의 준비를 거쳐 데뷔했다.
- 다만 스테파니는 당시 검정고시를 봤기에 시간적 여유가 많아서 남들보다 많은 연습을 했고 거의 하루도 안 빠지면서 하루 11시간의 하드 트레이닝을 받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초고속 데뷔였다.[20]
- 한국 이름은 김보경인데 SM 연습생 당시 선배 연예인인 배우 김보경이 이미 있어서 천무 스테파니라는 예명으로 데뷔하게 된다. 현재 김보경 문서에 동명이인이 많은 것을 보면 탁월한 결정이었다.
- 재미교포지만 교포치고 영어 발음이 어눌하다라는 평과 더불어 한국어를 구사할 때 특유의 고등학생이 구사할 것 같지 않은 특유의 이모님스러운 발음 때문에 이모님이라는 별명이 붙었었다. 게다가 성격도 상당히 털털한 편이다.
- 린아와는 서로 친 자매 같은 사이로 친하다고 라디오스타에서 밝혔다. 당시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가 불화설이 났을 때 고독한 상황에서 항상 자신의 마음에 맞고 잘 챙겨준 멤버라고 평했으며, 근황도 보면 둘이 서로 만나서 농담도 나누고 여가도 함께 보내는 등 돈독히 사이가 좋다. 심지어 린아 결혼식 때는 가장 크게 오열 했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들을 알지 못하는 일반인들은 스테파니와 린아와 얼굴이 닮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엄밀하게 말하면 둘이 서로 안 닮았다.
- 특기는 발레, 운동, 재즈댄스이다.
- tvN STORY 프로그램 <칼의 전쟁>에 출연한 바에 따르면, 매운 음식을 잘 못먹는다고 직접 언급했다.
- 타 회사에서 연습생 생활을 한 써니를 제외하면 SM 역대 여자 아티스트중에서 가장 연습생 기간이 짧다. 지젤이 에스파 데뷔 당시 1년이 채 안되는 기간인 11개월로 데뷔를 하며 기록을 깰 뻔 했으나 아직까지는 첫 앨범까지 4개월 2004년 12월 정식데뷔까지 10개월로 스테파니가 가장 빠른 기록을 가지고 있다.
- 엄청난 연상의 남자친구를 봐도 알 수 있듯이 나이차가 많이나는 선배들과 성향이 잘 맞아서 친한 지인들 중에도 나이차가 제법 나는 사람들이 많은 편이다. 대표적으로 김국진과 김구라. 특히 김국진은 성격상 대인관계가 넓지 않음에도 베스트 프렌드라고 당당히 스테파니를 소개할 정도로 친분이 두텁다.
- 사용 중인 휴대전화는 갤럭시 S10e → 갤럭시 S22 Ultra 기종이다. 의외로 갤럭시만 애용하는 듯.
- 데뷔한지 20년이 지났지만 계속해서 천상지희를 언급하여 팀에 애정이 상당한듯 하다.
- 연습생때 리아킴의 제자였다.
- 데뷔전 미국에서 오디션을 봤을때 당시
왠지는 모르지만슈퍼주니어 기범이 관객석에 있었다.[21]
- 금색을 좋아한다.
- 데뷔 초부터 심각한 수준의 요통이 늘 따라다녔다.
- 평발을 가지고 있는 데다가 발레리나 생활을 하는 동안 허리에 무리가 많이 갔기에 병원에 자주 방문했었고 무대를 하기 위해서는 늘 진통제를 먹었으며 허리가 아파서 걷기가 힘들어 팔자 걸음으로 걷는다고 가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 갑자기 요통으로 쓰러진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스테파니가 원래 아파도 잘 티를 내지 않기 때문인데 일본 활동 도중에는 허리에 이어 팔의 인대가 늘어나는 일이 있었으나 휴식기 없이 혼자서 안무를 다 짜고 완성 시킨 적이 있을 정도였다.이후 천상지희의 투어를 준비하면서 결국 발병했고 투어는 세 명의 멤버에게 맡긴 채 활동을 잠정 중단하게 되어 이것이 현재 공식적인 천상지희 완전체 활동의 마지막이 되었다.
- 티파니가 연습생이었을때는 춤과 노래도 가르쳐줬고 숙소도 같이 사용했다고 한다. 이 당시 연습생이었던 태연도 같이 가르쳤다고 한다.
10. 둘러보기
| 출신 아티스트 | ||||
| <keepall>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그룹 ] {{{#!wiki style="margin: -5px -1px; font-size: 0.85em" | <rowcolor=#000> 데뷔일 | 아티스트 | 팬덤 | 결성 인원 |
| SM기획 | ||||
| 1994. 03. xx. | 메이저 | - | 3인조 남성 포크 록 밴드 | |
| 1994. 08. xx. | J&J | - | 남성 듀오 | |
| SM엔터테인먼트 | ||||
| 1996. 09. 07. | H.O.T. | [[Club H.O.T.| Club H.O.T. ]] | 5인조 보이그룹[1] | |
| 1997. 11. 28. | S.E.S. | [[친구(S.E.S.)| 친구 ]] | 3인조 걸그룹 | |
| 1998. 03. 24. | 신화 | [[신화창조| 신화창조 ]] | 6인조 보이그룹 | |
| 1998. 07. 15. | 배드 보이스 써클 | - | 3인조 남성 펑크 록 밴드 | |
| 1999. 11. 21. | 플라이 투 더 스카이 | Fly High | 남성 R&B 듀오 | |
| 2001. 12. 17. | M.I.L.K. | Milky Way | 4인조 걸그룹 | |
| 2002. 03. 01. | 블랙비트 | SOULBLACK | 5인조 보이그룹 | |
| 2002. 04. 01. | 신비 | Linos | 3인조 걸그룹 | |
| 2002. 09. 02. | 이삭 N 지연 | N | 여성 R&B 듀오[2] | |
| 2003. 12. 26. | 동방신기 | [[카시오페아(동방신기)| 카시오페아 ]] | 5인조 보이그룹 | |
| 2004. 07. 19. | The Trax | Traxian | 4인조 남성 록 밴드 | |
| 2005. 04. 29. |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 SHAPLEY | 4인조 걸그룹 | |
| 2005. 11. 06. | SUPER JUNIOR | [[E.L.F.| E.L.F. ]] | 13인조 보이그룹 | |
| 2007. 08. 05. | 소녀시대 | [[S♡NE| S♡NE ]] | 9인조 걸그룹 | |
| 2008. 05. 25. | SHINee | [[SHINee WORLD| SHINee WORLD ]] | 5인조 보이그룹 | |
| 2009. 09. 05. | f(x) | [[me(you)| me(you) ]] | 5인조 걸그룹 | |
| 2012. 04. 08. | EXO | [[EXO-L| EXO-L ]] | 12인조 보이그룹 | |
| 2014. 08. 01. | Red Velvet | [[ReVeluv| ReVeluv ]] | 4인조 걸그룹 | |
| 2016. 04. 09. | NCT | [[NCTzen| NCTzen ]] | [무한확장] | |
| 2016. 07. 07. | NCT 127 | [[NCTzen| NCTzen 127 ]] | 7인조 보이그룹 | |
| 2016. 08. 25. | NCT DREAM | [[NCTzen| NCTzen DREAM ]] | ||
| 2019. 01. 17. | WayV | [[NCTzen| WayZenNi ]] | ||
| 2019. 10. 04. | SuperM | SuperM SUPPORTERS | ||
| 2020. 11. 17. | aespa | [[MY| MY ]] | 4인조 걸그룹 | |
| 2022. 01. 03. | GOT the beat | - | 7인조 걸그룹 | |
| 2023. 09. 04. | RIIZE | [[BRIIZE| BRIIZE ]] | 7인조 보이그룹 | |
| 2024. 02. 21. | NCT WISH | [[NCTzen| NCTzen WISH ]] | 6인조 보이그룹 | |
| 2025. 02. 24. | Hearts2Hearts | [[S2U| S2U ]] | 8인조 걸그룹 | |
- [ 솔로 ]
- ||<tablewidth=100%><width=10000><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ffe1e8,#ffe1e8><rowcolor=#000> 데뷔일 ||<width=30%> 아티스트 ||<width=25%> 팬덤 ||<width=20%> 비고 ||SM기획
1990. 04. xx. 현진영과 와와 - [4] 1991. 01. xx. 한동준 - 1991. 10. xx. 김광진 - 1993. 08. 18. 유영진 - SM엔터테인먼트2000. 08. 25. 보아 [[점핑보아| Jumping BoA]]2001. 08. 15. 강타 [[Club K.I.T.| Club K.I.T.]][H] 2001. 09. 10. 다나 DANA For You[6] 2001. 09. 22. 문희준 Club H.I.T.[H] 2006. 09. 08. 장리인 Chocolate2007. 09. 12. 제이민 J-Min Day2013. 06. 07. 헨리 StringsSUPER JUNIOR-M 2013. 11. 14. 이동우 - 2014. 08. 15. 태민 - SHINee 2014. 10. 31. 조미 MitangsSUPER JUNIOR-M 2014. 11. 13. 규현 - SUPER JUNIOR 2015. 01. 12. 종현 - SHINee 2015. 02. 13. 엠버 - f(x) 2015. 10. 07. 태연 - 소녀시대 2016. 01. 28. 려욱 - SUPER JUNIOR 2016. 04. 19. 예성 - 2016. 05. 11. 티파니 - 소녀시대 2016. 05. 31. 루나 - f(x) 2016. 12. 02. 효연 - 소녀시대 2017. 01. 17. 서현 - 2018. 10. 04. 유리 - 2018. 11. 06. KEY - SHINee 2018. 12. 05. 온유 - 2019. 03. 30. 솔희 - [AIKM] 2019. 04. 01. 첸 - EXO 2019. 06. 12. 유노윤호 - 동방신기 2019. 06. 29. 설리 - [9] 2019. 07. 10. 백현 - EXO 2019. 11. 22. 성민 성민에너지SUPER JUNIOR 2020. 03. 30. 수호 - EXO 2020. 04. 06. 최강창민 - 동방신기 2020. 11. 30. 카이 - EXO 2021. 04. 05. 웬디 - Red Velvet 2021. 05. 26. 조이 - 2021. 07. 26. 디오 - EXO 2021. 10. 20. 은혁 - SUPER JUNIOR 2021. 12. 21. 민호 - SHINee 2022. 09. 26. 시우민 - EXO 2022. 10. 04. 슬기 - Red Velvet 2023. 06. 05. 태용 - NCT 2023. 10. 20. 찬열 - EXO 2024. 02. 13. 텐 - NCT 2024. 04. 01. 루카스 - [10] 2024. 04. 22. 도영 - NCT 2024. 08. 26. 재현 - 2024. 09. 10. nævis - 버추얼 아티스트 2024. 10. 04. 민지운 - [KRUCIALIZE] 2024. 11. 26. 아이린 - Red Velvet 2025. 04. 07. 마크 - NCT 2025. 07. 31. XngHan&Xoul - [12]
- [ 영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1px; min-height: 13px; font-size: 0.85em; color: #8c8c8c"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word-break: keep-all" | [1] 문희준을 제외한 4명의 멤버가 SM기획과 계약을 체결하고 SM기획 소속으로 활동을 하다가 2000년경 SM엔터로 계약을 이관했다.[2] 지연은 천상지희 멤버 린아로 2005년 재데뷔.[무한확장] NCT는 무한확장 시스템을 기반으로 데뷔하였다. 데뷔 싱글, NCT U의 『일곱 번째 감각 (The 7th Sense) / WITHOUT YOU』 기준으로는 총 7명이 최초로 데뷔하였다. 2023년 2월 24일, 무한확장 종료를 발표하며 현재 NCT는 25인조이다.[4] 솔로 가수. 와와는 현진영의 고정 백댄서들이며 모두 독립하여 가수로 데뷔했다. 1기(클론), 2기(듀스), 3기(션)이 있다.[H] H.O.T. 해체 후 솔로 데뷔.[6] 2005년, 천상지희 멤버로 재데뷔.[H] [AIKM] AIKM 레이블 소속.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레이블이다.[9] f(x) 탈퇴 후 솔로 데뷔.[10] NCT 탈퇴 후 솔로 데뷔.[KRUCIALIZE] KRUCIALIZE 레이블 소속.[12] RIIZE 탈퇴 후 솔로 데뷔.[AIKM] | }}}}}}}}} |
| [[프리다(뮤지컬)| | |||||
| <rowcolor=#035d29,#035d29>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 <rowcolor=#035d29> 연도 | 프리다 | 레플레하 | 데스티노 | 메모리아 |
| 2022 초연 | 최정원, 김소향 | 전수미, 리사 | 정영아, 임정희 | 최서연, 허혜진, 황우림 | |
| 2023 재연 | 김소향, 알리, 김히어라 | 전수미, 리사, 스테파니 | 정영아, 임정희, 이아름솔 | 최서연, 박시인, 허혜진, 황우림 | |
| 2024 추가 공연 | 김소향 | 전수미 | 박선영 | 박시인 | |
| 2025 삼연 | 김소향, 김지우, 김히어라, 정유지 | 전수미, 장은아, 아이키 | 이아름솔, 이지연, 박선영 | 박시인, 허윤슬(허혜진), 유연정 | |
| {{{#!wiki style="margin:0 0 4px" | |||||
[1] 무남독녀 외딸이다.[2] 개는 훌륭하다에서 밝힘[3] 현재는 연성대학교 신설학과인 K-POP학과의 객원 교수로 임명되었다.[4] 티파니와는 영본명과 본인의 예명이 "스테파니"로 같다.[5]
[6] 오랜 기다림 끝의 컴백이었으나 완전체가 아닌 솔로였고 미디어라인의 매니지먼트 퀄리티가 기대 이하의 모습을 보여 팬들의 탄식은 깊어졌다.[7] 이 때 아이돌학교를 통해 안면이 있는 아이즈원의 조유리, 에버글로우의 조세림, 핑크판타지의 조유빈, API의 이유정과 재회했으며, 넷이서 스테파니와 함께 찍은 사진이 스테파니의 인스타그램에 올라왔다.[8] 한미 양국을 오가며 연애중이라하며 브래디 앤더슨은 56세, 스테파니는 33세로 무려 23살 차이다. 장거리 연애에다 거의 띠동갑 2바퀴에 가까운 나이차로 관심이 집중되었다. 역대 뜬금없는 열애설 1,2위를 다툴만하다.#[9] 원작 베르나르 베르베르[10] 2019년 4월 신곡을 냈을 때 아이돌학교 참가자들 중 정식 데뷔한 조유리, 조세림, 조유빈, 이유정과 함께 찍은 사진이 본인의 인스타에 올라왔다.[11] 카메오로 출연했는데 혼자서 3가지 역할을 잘 소화해낸다.간호사,알코올 중독자,잘나가는 여인 등등 이와중에 자기소개까지 한 건 덤이다.[12] 김연지, 이세준, 손준호, DK와 함께 중창단 5벤져스로 참여했다.[13] with 설하윤[14] with 정민찬[15] with 리사[16] with 왁씨[17] with 리사, 알리, 황우림[18] with 김기태[19] 댄스 1위는 배틀신화에 나왔던 DSP 출신 김애리였다.[20] SM은 연습생 준비 기간이 긴 걸로 유명한 회사로 당시 원래 준비를 하고 있던 연습생이 솔로를 하겠다며 SM의 자회사로 빠지는 바람에 대타로 들어갔다라는 실체가 없는 이야기가 돌 정도로 이례적으로 빠른 데뷔였다. 다만 그것은 어디 까지나 루머다.[21] 당시 부른곡은 보아의 valenti와 머라이어 캐리의 hero를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