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eaa 0%, #005eb8 30%, #005eb8 70%, #003eaa);"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막 베하드 | 말 콜룸 3세 | 돈카드 2세 | 알락산더르 1세 |
| 그루오크 잉겐 베터 | 1 잉에보르 핀스도티르2 웨식스의 마거릿 | 노섬브리아의 에델레다 | 노르망디의 시빌 | |
| 다비드 1세 | 일리암 1세 | 알락산더르 2세 | 알락산더르 3세 | |
| 헌팅던의 모드 | 보몽오멘의 에르멩가르드 | 1 잉글랜드의 조안2 마리 드 쿠시 | 1 잉글랜드의 마거릿2 욜란드 드 드뢰 | |
| 로버트 1세 | 데이비드 2세 | 로버트 2세 | 로버트 3세 | |
| 엘리자베스 드 버러 | 1 잉글랜드의 조앤2 마거릿 드루몬드 | 유페미아 드 로스 | 아나벨라 드루몬드 | |
| 제임스 1세 | 제임스 2세 | 제임스 3세 | 제임스 4세 | |
| 조앤 보퍼트 | 헬러의 마리아 | 덴마크의 마르그레테 | 마거릿 튜더 | |
| 제임스 5세 | 제임스 6세 | 찰스 1세 | 찰스 2세 | |
| 1 발루아의 마들렌2 기즈의 마리 | 덴마크의 아나 | 프랑스의 앙리에트 마리 | 브라간사의 카타리나 | |
| 제임스 7세 | ||||
| 모데나의 마리아 | ||||
| }}}}}}}}}}}} | ||||
| <colcolor=#ffffff><colbgcolor=#0065bd> 스코틀랜드 왕국 제임스 2세의 왕비 헬러의 마리아 Maria van Gelre | ||
| | ||
| 이름 | 네덜란드어 | 헬러의 마리아 (Maria van Gelre) |
| 영어 | 헬러의 메리 (Mary of Guelders) | |
| 출생 | 1434년 또는 1435년 | |
| 신성 로마 제국 브라반트 공국 그라브 | ||
| 사망 | 1463년 12월 1일 | |
| 스코틀랜드 왕국 록스버러셔 록스버러 성 | ||
| 배우자 | 제임스 2세 (1449년 결혼/1460년 사망) | |
| 자녀 | 제임스 3세, 메리, 알렉산더, 데이비드, 존, 마거릿 | |
| 아버지 | 아놀드 폰 에그몬트 | |
| 어머니 | 클레베의 카타리나 | |
| 형제 | 마르가레테, 아돌프, 카타리나 | |
| 직위 | 스코틀랜드 왕비 | |
1. 개요
스코틀랜드 왕국 제임스 2세의 왕비이자 제임스 3세의 어머니. 1460년부터 1463년까지 스코틀랜드의 섭정을 맡았으며, 장미 전쟁에 개입했다.2. 생애
1434년 또는 1435년 브라반트 공국 그라브에서 출생했다. 아버지는 헬러 공작 아놀드 폰 에그몬트이고, 어머니는 클레베 공작 아돌프 2세와 마리 드 부르고뉴[1]의 딸인 클레베의 카타리나다. 형제로 마르가레테[2], 아돌프[3], 카타리나[4]가 있었다. 마리아는 외종조부인 선량공 필리프[5]의 궁정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선량공 필리프와 그의 아내 포르투갈의 이자벨[6]은 1442년 마리아를 멘 백작 샤를 4세와 약혼시키려 했지만 마리아의 아버지 아놀드가 지참금을 감당할 수 없었기에 결렬되었다.이후 마리아와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2세의 결혼 협상이 시작되었지만, 쉽사리 결정되지 않았다. 아버지 아놀드는 마리아를 오스트리아 공작 알베르트 6세와 결혼시키고, 여동생 마르가레테를 제임스 2세와 결혼시키는 걸 고려했다. 하지만 1448년 1월 1일 프랑스-스코틀랜드 간의 올드 동맹이 갱신된 뒤 제임스 2세의 요청을 받은 프랑스 국왕 샤를 7세가 중재하면서, 1449년 4월 1일 브뤼셀에서 마리아와 제임스2세의 결혼 계약서가 체결되었다. 부르고뉴 공작은 조카딸에게 2년간 지참금으로 60,000 골드 크라운을 지불하기로 했다. 또한 결혼 계약서에는 제임스 2세가 일찍 죽을 경우, 마리아는 10,000 크라운과 스트래선과 애솔 백작령, 메스번 영지, 린리스고 궁전, 린리스고 마을의 수입을 받기로 했다.
스코틀랜드 대법관 윌리엄 크라이튼은 마리앙를 스코틀랜드로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녀는 1449년 6월 9윌 함선 14척에 귀족과 군인 300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수행원과 함께 슬로이스 항구에서 출항하여 북해를 따라 항해했다. 그녀는 가는 길에 스코틀랜드의 메이 섬에 들러 성 아드리안 예배당을 방문했다. 6월 18일, 그녀는 레스에서 내린 뒤 에든버러로 여행했다. 1449년 7월 3일 에든버러의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제임스 2세와 마리아의 결혼식이 거행되었고, 뒤이어 호화로운 연회가 이어졌으며, 같은 날 스코틀랜드 왕비 대관식이 거행되었다.
이후 제임스 2세와의 사이에서 일곱 자녀를 두었는데, 그 중 두 명은 유아기를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다. 두 사람의 아들들은 헬러 공국의 계승권이 배제되었다. 그러던 1460년 8월 3일, 제임스 2세가 랭커스터 왕조 편에 서서 노섬벌랜드를 침공한 뒤 록스버러 성을 포위 공격하던 중 대포 중 하나가 폭발하면서 30세가 채 되지 않은 나이에 사망했다. 마리아 왕비는 이 소식을 접한 직후 당시 9살이었던 장남 제임스 3세와 함께 전장으로 떠났고, 곧 록스버러 외곽의 스코틀랜드 진영에 도착했다. 마리아 왕비는 선왕이 미처 이루지 못한 록스버러 공략을 대신 이루라고 독려했고, 스코틀랜드군은 앵거스 백작 조지 더글러스의 지휘하에 록스버러 성을 함락했다. 그 후 마리아는 록스버러 성을 파괴하라고 명령했다.
1460년 8월 10일, 제임스 3세는 켈소 수도원에서 대관식을 거행했다. 이후 2개의 당이 형성되어 나라의 권력을 놓고 경쟁했다. 하나는 제임스 3세의 어머니 마리아 왕비가 이끌었고, 다른 하나는 세인트앤드루스 주교 제임스 케네디와 제4대 앵거스 백작 조지 더글러스가 이끌었다. 마리아와 제임스 케네디 모두 제임스 3세의 섭정을 자기가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 명의 주교가 분쟁에 개입해 마리아와 케네디가 의회에 견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한 달간 유예를 두기로 했다. 이후에 열린 의회의 논의 결과, 마리아는 섭정 위원회의 수장을 맡았고, 그녀의 파벌인 로버트 보이드가 섭정 위원회에 소속되었다. 제임스 케네디는 수석 장관을 맡았고, 앵거스 백작 조지 더글러스도 참여했다. 이후 마리아는 측근들을 에든버러, 스털링, 블랙니스, 던바 등 주요 성채의 관리인으로 임명했고, 코빙턴의 제임스 린제이를 궁내상서로 선임했다.
마리아 왕비는 당시 잉글랜드에서 격렬하게 벌어졌던 장미 전쟁에 깊숙이 개입했다. 그녀는 요크 왕조와 랭커스터 왕조가 서로 팽팽하게 대립해서 잉글랜드가 스코틀랜드를 위협할 엄두를 못내게 하려 했다. 반면, 제임스 케네디 주교는 랭커스터 왕조와 동맹을 맺고 요크 왕조에 대적하길 희망했다. 1461년 3월 29일 토우턴 전투에서 에드워드 4세에게 참패한 잉글랜드 국왕 헨리 6세, 앙주의 마르그리트 왕비, 그리고 두 사람의 외아들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가 스코틀랜드로 망명했을 때, 마리아는 이들을 따뜻하게 맞이했다. 1461년 4월 25일, 마르그리트 왕비는 스코틀랜드가 자기들을 도와주는 대가로 양국의 핵심 요새인 베릭을 스코틀랜드에 양도하기로 했다.
마르그리트 왕비는 아들 에드워드를 마리아 왕비의 어린 딸과 결혼시키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당시 에드워드 4세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던 선량공 필리프는 이에 반대했다. 1462년 4월, 마리아는 마르그리트 왕비와 에드워드 왕자를 프랑스로 보낸 뒤 에드워드 4세와 화해하려 했다. 그러나 제임스 케네디 주교는 이를 훼방 놓으려 했다. 한편, 그녀는 남편을 기리기 위해 에든버러에 트리니티 칼리지 교회를 세웠으며, 스털링 성, 포클랜드 궁전, 그리고 다른 왕실 거주지들의 대대적인 개보수 공사에도 자금을 지원했다. 그러던 1463년 12월 1일, 마리아는 록스버러 성에서 사망했고, 트리니티 칼리지 교회에 안장되었다가 1848년 스코틀랜드 왕들의 무덤이 있는 홀리루드 수도원으로 이장되었다.
3. 가족 관계
3.1. 조상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 헬러의 마리아 (Mary of Guelders) | <colbgcolor=#fff3e4,#331c00> 헬러 공작 아놀드 (Arnold, Duke of Guelders) | <colbgcolor=#ffffe4,#323300> 에그몬트의 영주 얀 2세 (John II, Lord of Egmond) | |
| 에그몬트의 영주 아놀드 1세 (Arnold I, Lord of Egmond) | |||
| 라이닝겐의 졸란테 (Jolanthe of Leiningen) | |||
| 마리아 판 아르켈 (Maria van Arkel) | |||
| 아르켈의 영주 얀 5세 (John V, Lord of Arkel) | |||
| 율리히의 요한나 (Joanna of Jülich) | |||
| 클레베의 카타리나 (Catherine of Cleves) | |||
| 클레베 공작 아돌프 1세 (Adolph I, Duke of Cleves) | |||
| 마르크 백작 아돌프 3세 (Adolph III, Count of Mark) | |||
| 율리히의 마르가레테 (Margaret of Jülich) | |||
| 부르고뉴의 마리 (Mary of Burgundy) | |||
| 용맹공 장 (John the Fearless) | |||
|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Margaret of Bavaria) |
3.2. 자녀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남 | 제임스 3세 (James III) | 1451년/1452년 | 1488년 6월 11일 | 덴마크의 마르그레테[7] 슬하 3남[8] |
| 1녀 | 아란 백작부인 메리 (Mary, Countess of Arran) | 1453년 5월 13일 | 1488년 5월 | 아란 백작 토머스 보이드 슬하 1남 1녀 |
| 제임스 해밀턴 경 슬하 2남 1녀 | ||||
| 2남 | 올버니 공작 알렉산더 (Alexander, Duke of Albany) | 1454년 | 1485년 8월 7일 | 캐서린 싱클레어 슬하 1남 1녀 |
| 안 드 라 투르 슬하 1남 | ||||
| 3남 | 모레이 백작 데이비드 (David, Earl of Moray) | 1455년 | 1457년 7월 | |
| 4남 | 마 백작 존 (John, Earl of Mar) | 1456년경 | 1479년경 | |
| 2녀 | 마거릿 스튜어트 (Margaret Stewart) | 1456년경 | 1500년경 | 제3대 오칭걸의 크릭턴 경 윌리엄 크릭턴 슬하 1남 1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