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09:39:09

함평군

함평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fcd00>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b4e><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함평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4da2>
군청
함평읍
나산면 대동면 손불면 신광면
엄다면 월야면 학교면 해보면
}}}}}}}}} ||
전라남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咸平郡
Hampyeong County
}}}
<colbgcolor=#00ab4e><colcolor=#fff> 군청 소재지 함평읍 중앙길 200(함평리)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8
면적 392.11㎢
인구 30,058명[1]
인구밀도 76.65명/㎢[2]
군수
파일:zsdkl3gasdg.svg
이상익 (재선)
군의회
파일:zsdkl3gasdg.svg
7석[3]
도의원
파일:zsdkl3gasdg.svg
1석[4]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이개호
상징 <colbgcolor=#00ab4e><colcolor=#fff> 군화 춘란
군목 은행나무
군조 먹황새
지역번호 061
홈페이지 www.hampyeong.go.kr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함평군 마스코트.svg
마스코트 1998?~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6.2. 상권6.3. 금융
7. 관광8. 생활문화
8.1. 교육
8.1.1. 유치원8.1.2. 초·중·고등학교8.1.3. 대안학교
8.2. 스포츠
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기타13.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www.anewsa.com/20121223104719.jpg
함평군청
함평읍 중앙길 200(함평리 123)
전라남도 서부에 위치한 . 동쪽으로 광주광역시나주시에 인접해 있고, 서쪽으로 함평만에, 남쪽으로 무안군, 북쪽으로 영광군, 장성군과 접해 있다.

한우함평나비축제로 유명하며, 전국 지방자치 특화 사례 중 가장 성공적인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나비 축제 기간만큼은 전국에서 사람이 몰려들어 평소엔 한산한 군내가 북적인다. 실제로 이 시기에는 관내 기차역인 함평역KTX가 정차한다.

단가 호남가의 처음 부분인 "함평천지 늙은 몸이~~" 로 잘 알려져 있다.[5]

2. 역사

백제 때 물아혜군(勿阿兮郡) 굴내현(屈乃縣)과 부지현(夫只縣)이 있었다. 백제가 멸망하자 굴내현은 군나(軍那)로, 부지현은 다지(多只)로 개칭되었다.

통일신라 경덕왕이 옛 지명을 중국식으로 바꿀 때 물아혜군은 무안군(武安郡)으로, 군나현은 함풍현(咸豊縣)으로, 다지현은 다기현(多岐縣)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태조 때 다기현은 모평현(牟平縣)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태종 때 함풍현과 모평현이 함평현으로 통합되었다. 대한제국 때 함평군(咸平郡)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현재의 학교면, 엄다면 지역을 무안군으로부터 편입했지만 동부 일부 지역(현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 등)이 나주군에 편입되었다.

대한민국 농민운동의 일대 사건이었던 함평 고구마 사건이 발생한 곳이기도 하다. 이는 6·25 전쟁 이후 최초의 농민 분규였다고 한다.

3. 지리

불갑산으로부터 내려오는 산줄기가 군을 동서로 나눈다. 군청소재지인 함평읍이 있는 서쪽은 평지와 완만한 구릉이 반복되는 지역으로, 영산강의 지류인 함평천 유역에 함평평야가 있다. 해안 지역에는 갯벌이 광활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일부는 간척을 통해 육지화되었다. 대동면과 신광면 일대는 그래도 불갑산에서 내려온 400m 미만의 산줄기가 자리잡고 있다.

동쪽은 영산강의 또 다른 지류인 고막원천 유역에 해당되며, 마찬가지로 월야평야가 장성군 삼서면에 걸쳐 상당히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 지역은 서쪽과 달리 광주광역시 생활권이며, 광주, 장성, 영광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나름 교통의 요지이다. 그러다보니 군 동부와 서부가 따로 노는 경향이 있다.

4. 인구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8,908명
1970년 125,006명
1975년 119,167명
1980년 96,358명
1985년 78,178명
1990년 63,091명
1995년 51,686명
2000년 45,232명
2005년 40,189명
2010년 36,702명
2015년 34,876명
2020년 32,050명
2024년 10월 30,0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함평읍 8,161명
월야면 3,512명
학교면 3,441명
손불면 3,131명
대동면 2,964명
해보면 2,700명
나산면 2,639명
엄다면 1,806명
신광면 1,704명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 ||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3만명 대마저도 붕괴될 위험에 처해 있다.[6] 2020년 취임한 이상익 군수는 인구를 5만명으로 늘리겠다고 공약했지만 공약이 무색하게 취임 이후로도 인구 감소는 끝없이 이어지고 있지만 2023년 9월 전남도가 월야면 인근에 1만명+α 신도시 건설을 발표했던 만큼 앞으로의 전망은 어둡지만 않는 편이다.

2022년 10월 한 가지 변수가 생겼다. 원래 무안으로 이전하기로 했던 광주 군공항이 무안군의 반대로 지지부진해지자# 군공항 이전지를 새로 물색하게 되었는데 이전후보지로 함평이 검토 대상에 올랐다. 대구경북신공항 이전을 조건으로 군위군이 대구로 편입된 것과 마찬가지로 함평에서도 광주 편입 논의가 나온 것이다. 하지만 아직 공식화된 건 아니라서 실현 여부는 좀더 두고봐야 한다.#

===# 읍면별 인구 #===
파일:함평군 CI.svg 함평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함평군 함평면 → 함평읍 승격
1966년 24,768명
1970년 22,348명
1975년 21,367명
1980년 18,732명
1985년 16,242명
1987년 1월 1일 함평읍 성남리 일부 → 엄다면 신계리 편입
1990년 13,378명
1995년 11,711명
2000년 10,646명
2005년 10,109명
2010년 9,354명
2015년 9,151명
2020년 8,401명
2024년 10월 8,1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손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7,466명
1970년 16,094명
1975년 15,619명
1980년 12,673명
1985년 10,174명
1990년 8,415명
1995년 6,339명
2000년 5,377명
2005년 4,579명
2010년 4,047명
2015년 3,754명
2020년 3,401명
2024년 10월 3,1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신광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42명
1970년 9,795명
1975년 9,421명
1980년 6,976명
1985년 5,357명
1990년 3,957명
1995년 3,293명
2000년 2,747명
2005년 2,366명
2010년 2,077명
2015년 2,020명
2020년 1,854명
2024년 10월 1,7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학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2,254명
1970년 20,300명
1973년 7월 1일 학교면 상옥리·금곡리·백호리·월송리 → 대동면 편입
1975년 15,977명
1980년 12,737명
1985년 10,693명
1987년 1월 1일 학교면 사거리 일부 → 엄다면 학야리 편입
1990년 8,255명
1995년 7,241명
2000년 6,126명
2005년 5,230명
2010년 4,709명
2015년 4,323명
2020년 3,888명
2024년 10월 3,44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엄다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980명
1970년 8,738명
1975년 8,271명
1980년 6,686명
1985년 5,308명
1987년 1월 1일
함평읍 성남리 일부 → 엄다면 신계리 편입
학교면 사거리 일부 → 엄다면 학야리 편입
1990년 4,589명
1995년 3,415명
2000년 2,996명
2005년 2,634명
2010년 2,350명
2015년 2,198명
2020년 1,923명
2024년 10월 1,8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대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98명
1970년 10,001명
1973년 7월 1일 학교면 상옥리·금곡리·백호리·월송리 → 대동면 편입
1975년 12,356명
1980년 9,641명
1985년 7,060명
1990년 6,039명
1995년 4,674명
2000년 4,114명
2005년 3,619명
2010년 3,229명
2015년 3,114명
2020년 3,122명
2024년 10월 2,9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나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6,782명
1970년 14,584명
1975년 13,427명
1980년 10,195명
1985년 7,638명
1990년 5,330명
1995년 4,671명
2000년 4,060명
2005년 3,661명
2010년 3,265명
2015년 3,129명
2020년 2,875명
2024년 10월 2,6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해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867명
1970년 9,680명
1975년 9,575명
1980년 7,948명
1985년 6,441명
1990년 5,503명
1995년 4,269명
2000년 3,917명
2005년 3,333명
2010년 3,240명
2015년 3,235명
2020년 2,860명
2024년 10월 2,70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함평군 CI.svg 월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845명
1970년 13,466명
1975년 13,141명
1980년 10,770명
1985년 9,265명
1990년 7,625명
1995년 6,073명
2000년 5,249명
2005년 4,658명
2010년 4,431명
2015년 3,952명
2020년 3,725명
2024년 10월 3,51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평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무안광주고속도로가 지나가기는 하나, 교통은 그닥 좋다고 할 수는 없다.

6. 경제

6.1. 산업

전형적인 농업지역으로서 2013년 기준으로 총경지면적 1만 3894㏊ 중 논이 9,030㏊, 밭이 4,864㏊이다. 월야평야(月也平野)·학교평야(鶴橋平野)·엄다평야(嚴多平野) 등 평지가 발달해 있다.

평야는 비옥하고 관개가 용이하여 농경지로 이용되나 때때로 홍수의 피해를 보기도 한다. 저수지는 함평평야의 젖줄인 대동저수지를 비롯하여 월천제·목교저수지·나산제·동정제 등 150여 개가 있어 군내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들 지역에는 예로부터 벼농사가 성하였으며, 특히 손불면에서 생산되는 쌀은 경기도의 이천쌀에 버금갈 만큼 질이 좋아 왕실에 진상했다고 한다. 쌀 이외에 보리·감자·고구마와 양파·고추·당근 등의 채소류 및 잎담배·왕골 등의 재배도 활발하며, 복숭아·감 등 과일 생산도 많다.

특히 양파는 1930년에 무안군으로부터 도입한 이래 주생산지가 되어 월야면·해보면을 제외한 군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농가부업으로 가축 사육이 성하며, 소·닭·오리가 많이 사육된다. 토산물로는 멀미약의 주원료인 천연산 박하와 한약재 및 식용으로 쓰이는 연근이 유명하다. 특산물로는 나산면·월야면·해보면에서는 약 300년 전통의 왕골돗자리가 생산되어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수산업은 전체가구의 0.8%만이 종사하며, 대부분 겸업농가로 미미하다. 해안선이 단조로워 개펄을 이용하는 양식업이나 염전업이 활발하지 못하다. 수산물 생산이 함평만에만 국한되어 종류가 다양하지 않다. 강달어·엽삭·준치·낙지·고막·굴 등이 잡힌다.

엽삭은 함평만에서만 잡히는 물고기인데 전어와 비슷하여 전어의 새끼라고 하지만 전어와는 다르고, 엽삭보다 작은 진피리와도 다르다. 길이는 어린 것이 5㎝, 큰 것이 15㎝, 너비는 3∼5㎝정도이다. 어로는 9∼10월이 성어기며 대부분 젓으로 담가 김장철에 판매되며, 함평장을 비롯하여 신광장·무안장에 많이 나온다. 멸치젓보다 맛이 있고 값도 싸서 김장용 또는 일반 반찬으로도 좋다.

지하자원은 고령토 매장량이 많아 조선시대 이래로 도자기 제조가 성하였으며, 곳곳에 도요지가 남아 있다. 근래는 대부분 폐쇄되고 손불면에서 백제시대부터 지금까지 옹기류가 생산되고 있다. 학교면 월산리에 현대식 요업공장이 있다. 제조업은 1984년 학교면 죽정리에 대규모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고령토기공업·요업·감자제분업·공구제작 등이 행해지고 있다.

재래공업으로 돗자리 공업이 대표적인데 월야면·해보면·나산면 등지에서 많이 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노동력의 부족으로 점차 줄어가는 추세이다. 광업·음식료 및 담배제조업, 비금속광물 제조업,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이 발달하였다. 광산물로는 납석·고령토·명반석이 생산된다.

함평군에는 2002년 현재 총 270개의 제조업체가 있으며 1,574명의 종업원을 두고 있다. 함평·학교·해보 등 3개의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36개의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402명이 종사하고 있다. 2008년에는 광주시 광산군에 걸쳐 있는 빛그린국가산단을 유치하여 조성되었으며 함평공설운동장 부근에 동함평일반산업단지도 조성했다. 대동면에는 전국 최대 규모의 난공원이 조성 중에 있어 종합관광단지로의 활용도 기대된다.

6.2. 상권

상업 활동의 경우 상설시장은 없으며, 대동면을 제외한 각 읍·면에서 5일 정기시장이 선다. 2·7일에 열리는 함평장은 1920년까지만 해도 전라남도에서 손꼽히는 규모의 장으로 인근 지방의 특산물이 모였으나 지금은 평범한 시골장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큰 소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우시장으로 유명하며 소의 거래가 많다.

3·8일에 열리는 문장리의 해보장은 돗자리장으로 널리 알려져 인근 도시뿐만 아니라 서울·부산의 상인들도 모여든다. 사거리장으로 불리는 학교장은 5·10일에 개장한다. 그 밖에도 1·6일에 열리는 손불장, 3·8일에 열리는 엄다장, 4·9일에 열리는 나산장, 5·10일에 열리는 신광장·월야장 등이 있으나 근대화에 밀려 점차 쇠퇴해가고 있다.

6.3. 금융

함평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함평우체국(9)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2)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천지농협(3) 나비골농협(3) 함평농협(2) 손불농협(1)
수산업협동조합
목포수협(1)
새마을금고
함평천지새마을금고(2)
신용협동조합
영광함평신용협동조합(2)
산림조합
함평군산림조합(1)

7. 관광

봄에는 유명한 함평나비축제, 여름에는 돌머리해수욕장 맨손고기잡이 축제, 가을에는 국향대전등의 축제를 열고 있다. 특히 함평나비축제는 전형적으로 별 볼일없는 농촌이었던 함평의 인지도 상승에 크게 기여했고 타지인들도 함평군은 몰라도 함평나비축제는 알 정도다. 이 축제기간에는 함평역에 KTX의 일부 편성도 임시정차를 한다.

관광지별로 소개해보면, 함평엑스포공원에서는 가장 유명한 함평나비축제와 국향대전을 개최하며, 나비관련 각종 전시관과 기타 생태체험관등이 있다. 작은 워터파크(물놀이장)도 있다. 비슷한 생태공원으로 함평자연생태공원이 있는데, 나비 이외의 각종 곤충 및 식물, 난 등의 전시관과 넓은 공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린이 드라마 후토스 촬영장과 임대형 캠핑 트레일러도 있다.

돌머리해수욕장은 해수욕에는 그리 좋은 환경은 아니지만, 해수욕장과 갯벌이 같이 있어 각종 갯벌체험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 해변가 해수욕은 금지되어 있고 갯벌도 너무 넓어서 해수욕 목적으로 접근하기 안좋다. 밀물 때 콘크리트 저수조로 바닷물 받아놓아 물놀이하게 한다고 하는데 사실상 흙탕물에 순환이 안되니 태양열로 데워져서 미관상 안좋다. 차라리 그 옆에 무료로 운영하는 어린이 수영장이 깨끗하고 시설도 좋다. 외진 곳이라 되려 바가지나 텃세가 없는 게 장점이라면 장점. 주포해변에서는 함평해수찜을 경험할 수 있다. 단, 샤워시설 등의 시설이 그리 현대적이지 못하다. 여름철 물놀이가 목적이라면 차라리 엑스포공원 물놀이장이 더 낫다.

1999년 한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은 줄 알았던 황금박쥐가 대동면 동굴에서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에 고무되어 황금박쥐 생태전시관을 세웠으며, 2008년에는 금 162㎏를 써서 순금 황금박쥐 조형물까지 제작했다. 제작 초기 단계인 2005년 초 당시 시세로 27억 원의 금괴를 구입해서 군 재정으로 쓸데없는 것을 만든다고 했으나, 금값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2024년 3월 기준 150억 8천만 원까지 가치가 올라가[9] 기적의 재테크로 재평가받고 지역의 상징물로 순조롭게 정착했다. 유명세를 탔으니 판매하기는 좀 어렵게 되었지만, 일단 그 가치가 확고하게 보장된 만큼 삽질로 소모되는 다른 지자체 사업들보다 확실히 낫다. 2019년 3월 15일에는 3인조 절도범이 훔쳐가려 했으나 가장 바깥의 철 셔터를 여는데만 한참 걸렸고 그 안의 방탄유리를 가격하자 경보가 울려서 도주했다. 사실 방탄유리를 뚫어도 지하 1층에 있는 황금 박쥐를 만나려면 또 보안 장치를 맞닥뜨렸을 것이다. # 아무렴 그 비싼 물건을 모셔두고 있는데 경비를 대충 했을 리가 없지…덕분에 유명세를 더 탔다. 현재는 엑스포 공원 내 1960,70년대를 재현한 추억공작소 내에 전시되어 있으며 그 옆에 별도로 금 만지기 체험할 수 있는 전시물도 있다.

함평군은 토양에 저마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기사항으로, 이 점을 농수산물 홍보에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석형 함평군수의 나비 관련 운동으로 추진된 자운영[10] 재배 덕택에 지력도 계속 확보되어 있다.

함평을 대표하는 음식으로는 선짓국, 육회비빔밥이 있으며, 화랑식당, 목포식당 등 전국구급으로 알려진 비빔밥 전문점이 있다. 주목할 만한 농수산물로서는 돌머리뻘낙지, 함평천지한우 셀비프, 민물장어 등이 있다. 함평 한우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등록되어 있다. 옆동네 무안에 비해 덜 알려졌지만, 양파 또한 주요 특산물이다.

8. 생활문화

8.1. 교육

8.1.1. 유치원

설립구분 유치원명 주소
1 공립 함평초 병설유치원 함평읍 내대화길 77
2 기산초 병설유치원 함평읍 기산길 63
3 손불초 병설유치원 손불면 손불중앙길 121
4 손불서초 병설유치원 손불면 양재길 15
5 신광초 병설유치원 신광면 신광중앙길 118
6 학다리중앙초 병설유치원 학교면 백학길 100
7 엄다초 병설유치원 엄다면 엄다길 35
8 대동향교초 병설유치원 대동면 대동길 6-9
9 나산초 병설유치원 나산면 함장로 2441-8
10 해보초 병설유치원 해보면 해삼로 313
11 월야초 병설유치원 월야면 금석길 95
12 사립 샛별유치원 함평읍 신기산길 56

8.1.2. 초·중·고등학교

파일:함평군 CI_White.svg 전라남도 함평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기산초등학교 나산초등학교 대동향교초등학교 손불서초등학교
손불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엄다초등학교 월야초등학교
학다리중앙초등학교 함평초등학교 해보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함평군 CI_White.svg 전라남도 함평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나산실용예술중학교 함평손불중학교 함평신광중학교 함평여자중학교
함평월야중학교 함평중학교 함평해보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함평군 CI_White.svg 전라남도 함평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전남보건고등학교 함평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함평학다리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8.1.3. 대안학교

설립구분 학교명 주소 특이사항
사립 월광기독학교 대동면 함장로 1750-37 기독대안학교로 광주캠퍼스(초등학교)와 함평캠퍼스(중학교, 고등학교)로 나뉘어져 있다.

8.2. 스포츠

지방자치단체의 규모 대비 사회인 야구시설이 어느 정도 갖춰진 곳이다.

KIA 타이거즈의 2군 구장[11]이 자리잡은 곳으로 구장 시설은 국내 육성군 시설 중에서는 최고의 질을 자랑한다. 2013년 7월 함평-KIA 챌린저스 필드라는 이름이 확정되고 클럽하우스까지 완공되면서 모든 육성시설이 갖춰졌다.

하지만 현 2군 구장이 생기기 전에는 같은 함평군의 전남 야구장에서 2군 경기를 했는데 이곳은 열악함을 뛰어넘어 자연친화적 구장으로 진화한 곳으로 유명하다. 심지어 야구장 바로 옆에 밭농사가 행해지고 있을 정도이면 대단하다. 참고자료 그래서 KIA 타이거즈 팬들은 성적이 부진하면 2군으로 내려가라는 뜻에서 함평 가라를 외친다. 나지완도 그런 이유로 함평(나비축제)가라고 하다가 별명이 나비가 되었다.

한 때 KIA 타이거즈의 주축 선수들이 부상 및 부진으로 인해 함평에 왔을 때 2군 등록 기간을 다 채우고 1군에 콜업되자 엄청난 활약을 보인 경우가 있었다.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열악함을 뛰어 넘은 함평 전남야구장의 시설 때문에 빨리 광주광역시로 돌아가고 싶어서 함평에서 열심히 뛰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소문에 의하면 전라도인데도 다른 지역에 비해 밥집이 많이 없다고 한다.

위에 서술한 기아 챌린저스 필드전남 야구장 외에도 전남 야구장 옆에 바로 있는 함평 대동야구장과 같은 용성리에 나비베이스타운(리틀야구장)까지 해서 총 4개의 규격 야구장이 있다. 함평군의 인구 규모 등을 고려한다면 야구장 개수가 그리 적지 않은 것이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평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함평군 해보면 문장리(조금만 넘어가면 영광이다)에는 국군함평병원이 자리잡고 있는데, 본래는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에 있었던 국군광주병원이 이전한 것이다. 덕분에 근처 군부대에서 함평=꿀빠는 동네라는 등식으로 성립되고 있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평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 광주광역시 편입 논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평군의 광주광역시 편입 논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군수가 바뀌면서(이석형 전 군수는 전라남도지사 출마하려다가 실패) 점점 흔적이 지워 나가고, 나비 마라톤도 예산 이유로 폐지되었다고 한다.

함평군청의 관용차 중에는 무당벌레 색깔로 도색한 뉴 비틀이 있다. 함평군수가 타고 다니며,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무당차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이석형 군수가 재임했을 때 일본에서 관련된 카 퍼레이드를 보고 아이디어를 얻어 2005년 1월에 출고하였다고 한다. 무당이 타고 다니는 차가 아니라 무당벌레차를 줄여서 말한 것이다. 함평군에서 열리는 나비축제와 곤충 엑스포의 홍보 차원에서 폭스바겐에다가 무당벌레 도색까지 맡겨 가며 뽑은 후 관용차로 이용 중이라고 한다. 무당벌레 도색의 뉴 비틀을 통해 나름 홍보 효과도 거뒀다고. 또 후토스의 촬영지이다.

2022년 5월 16일 국립 5·18 민주묘역에서 함평군이 직접 키운 흰나비 518마리를 상공으로 날리는 행사를 열었다. 이에 대해 이병용 함평군수 권한대행은 "순결과 평화를 상징하는 흰나비 518마리와 함께 고귀한 광주정신을 가슴 깊이 새기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함평군이 방생한 나비들이 5·18 묘역에서 집단 폐사한 채 발견돼 논란이 됐다. 5·18 묘역에서 나비 집단 폐사…"이게 최선인가"

2024년 4월 24일, 전남경찰청 반부패수사대가 골재채취 허가를 빌미로 함평군의 담당 공무원들이 뇌물을 받았다는 인지건에 대해 함평군청에 대해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했다.

13. 출신 인물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2] 2024년 10월 기준.[3] 함평군 가선거구 (함평읍, 손불면, 신광면, 엄다면): 김영인, 이남오, 정철희
함평군 나선거구 (학교면, 대동면, 나산면, 해보면, 월야면): 박문서, 윤앵랑, 정현웅
함평군 비례대표: 김은영
[4] 함평군 선거구: 모정환 (초선)[5] 이렇게 나비와 함평천지에서 따와 서해안고속도로 상의 휴게소 명칭을 함평천지휴게소, 무안광주고속도로 상의 휴게소 명칭을 함평나비휴게소로 이름 지었다.[6] 결국 2024년 10월 기준 30,058명을 기록하면서 3만명 선에 턱걸이 하였으나, 다음달인 11월 통계상 3만명 선이 무너질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9] 금이라는 게 안전자산이라 크게 오르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 하락하지도 않는다는 게 유효하게 작용했다.[10] 자운영은 토끼풀처럼 콩과 식물로 뿌리에 혹박테리아가 있어 질소고정이 가능하게 해서 지력을 키우는 식물 중 하나다. 또한 청정지역이 아니면 생육이 불가능하므로 자운영 재배에 성공했다는 것은 함평이 청정지역이라는 말과 같다.[11] 현 2군 연습장은 해태 타이거즈 시절에 이미 계획된 것이었다. 실제로 부지도 매입을 했으나# 1997년 이후 국내 경제악화와 모기업 해태의 부도로 사업이 중단되었던 것이다.#[12] 연성회로기판(FPCB) 제조 기업. 애플, 삼성전자에 납품한다.[13] 경기도 양주시에 두리랜드를 만들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