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8:40:52

함양군

함양(동음이의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f15a38>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B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 자치군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svg
의령군
파일:창녕군 CI.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63a9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함양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9240>
군청
함양읍
마천면 백전면 서상면 서하면 수동면
안의면 유림면 지곡면 휴천면 병곡면
}}}}}}}}} ||
경상남도자치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함양군 CI.svg함양군
咸陽郡
Hamyang County
}}}
군청 소재지 <colbgcolor=#fff,#1c1d1f> 함양읍 고운로 35 (운림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0
면적 725.49㎢
인구 36,131명[1]
인구밀도 49.97명/㎢[2]
군수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진병영 (초선)
군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석[3]

파일:zsdkl3gasdg.svg
1석[4]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5]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신성범 (3선)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함양군청.jpg
함양군청사

1. 개요2. 역사3. 인구4. 교통5. 금융6. 교육7. 관광
7.1. 특산물
8. 정치9. 하위 행정구역10. 사건사고
10.1. 진병영 군수 관용차 개조 사건10.2. 함양 대봉산 집라인 붕괴
11. 여담12.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이다. 북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남쪽으로 산청군, 서쪽으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동쪽으로 거창군과 접해있다.

2. 역사

삼국시대에는 가야의 고분군이 다수 있어 졸마국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된다. 이후 신라에 점령된 뒤 현 함양읍 일대에는 속함군(速含郡)이, 현 안의면 일대에는 마리현(馬利縣)이 설치되었다.

남북국시대에는 신라 경덕왕이 속함군은 천령군(天嶺郡)으로, 마리현은 이안현(利安縣)으로 개칭한다. 고운(孤雲) 최치원이 신라 말기에 천령군수로 부임해 와서 풍수설에 따라 위천변에 인공숲인 대관림을 조성하였다. 해방 이후의 농지 확보 러쉬로 지금은 상림(上林), 하림(下林)으로 나누어져 있다. 현재도 주민들의 좋은 휴식터이다.

고려 시대에 들어 지금의 명칭이기도 한 함양이라는 이름이 붙는다. 고려 말기에는 황산대첩의 일부인 사근내역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안의군의 절반[6]을 합치면서 현재의 군역이 완성되었다. 1933년 대지면이 안의면에 흡수되었다. 1957년 함양면이 석복면을 흡수하여 함양읍으로 승격되었다.

3. 인구

파일:함양군 CI.svg 경상남도 함양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2,591명
1970년 110,191명
1973년 7월 1일 함양군 안의면 진목리·춘전리 → 거창군 남상면 편입
1975년 106,433명
1980년 82,782명
1985년 70,367명
1990년 55,014명
1995년 44,768명
2000년 41,943명
2005년 41,436명
2010년 41,197명
2015년 40,339명
2020년 39,080명
2024년 10월 36,2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함양읍 17,351명
안의면 4,221명
수동면 2,270명
마천면 2,013명
지곡면 1,980명
서상면 1,737명
유림면 1,565명
백전면 1,540명
휴천면 1,455명
서하면 1,338명
병곡면 1,256명
2024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2019년 2월부로 인구수 4만명대가 무너졌다.# 경상남도에서 인구수가 3만대 이하인 군 지역은 함양 이외에 산청의령이 있다.

총 증감 인구수 -85,718명/총 증감율 -69.92%/연평균 증감율 -2.12%

===# 읍면별 인구 #===
파일:함양군 CI.svg 함양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6,750명
1970년 25,602명
1975년 26,783명
1980년 23,386명
1985년 21,861명
1990년 19,334명
1995년 18,003명
2000년 17,575명
2005년 18,312명
2010년 18,928명
2015년 18,925명
2020년 18,418명
2024년 2월 17,3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함양군 CI.svg 마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685명
1970년 9,325명
1975년 8,369명
1980년 6,074명
1985년 4,742명
1990년 3,096명
1995년 2,406명
2000년 2,182명
2005년 2,260명
2010년 2,357명
2015년 2,304명
2020년 2,172명
2024년 2월 2,01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함양군 CI.svg 휴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382명
1970년 7,530명
1975년 7,067명
1980년 4,721명
1985년 3,745명
1990년 2,481명
1995년 1,824명
2000년 1,610명
2005년 1,634명
2010년 1,643명
2015년 1,615명
2020년 1,620명
2024년 2월 1,4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함양군 CI.svg 유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760명
1970년 7,680명
1975년 7,397명
1980년 5,226명
1985년 4,498명
1990년 3,127명
1995년 2,390명
2000년 2,086명
2005년 2,041명
2010년 1,962명
2015년 1,751명
2020년 1,656명
2024년 2월 1,56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함양군 CI.svg 수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987명
1970년 8,681명
1975년 8,385명
1980년 6,509명
1985년 5,628명
1990년 4,199명
1995년 3,578명
2000년 3,059명
2005년 2,855명
2010년 2,747명
2015년 2,496명
2020년 2,403명
2024년 2월 2,27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함양군 CI.svg 지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922명
1970년 8,653명
1975년 8,273명
1980년 5,904명
1985년 4,864명
1990년 3,634명
1995년 2,730명
2000년 2,378명
2005년 2,159명
2010년 2,076명
2015년 2,116명
2020년 2,044명
2024년 2월 1,98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함양군 CI.svg 안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9,842명
1970년 17,195명
1973년 7월 1일 함양군 안의면 진목리·춘전리 → 거창군 남상면 편입
1975년 16,101명
1980년 12,685명
1985년 10,585명
1990년 8,807명
1995년 6,224명
2000년 6,003명
2005년 5,648명
2010년 5,078명
2015년 4,842명
2020년 4,574명
2024년 2월 4,2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함양군 CI.svg 서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701명
1970년 6,007명
1975년 5,534명
1980년 4,137명
1985년 3,121명
1990년 2,218명
1995년 1,800명
2000년 1,745명
2005년 1,517명
2010년 1,466명
2015년 1,388명
2020년 1,445명
2024년 2월 1,33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함양군 CI.svg 서상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973명
1970년 6,915명
1975년 7,000명
1980년 5,586명
1985년 4,734명
1990년 3,367명
1995년 2,441명
2000년 2,256명
2005년 2,114명
2010년 1,967명
2015년 1,900명
2020년 1,836명
2024년 2월 1,7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함양군 CI.svg 백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879명
1970년 6,928명
1975년 6,343명
1980년 4,720명
1985년 3,537명
1990년 2,509명
1995년 1,775명
2000년 1,642명
2005년 1,472명
2010년 1,555명
2015년 1,596명
2020년 1,553명
2024년 2월 1,54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함양군 CI.svg 병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695명
1970년 5,675명
1975년 5,164명
1980년 3,834명
1985년 3,052명
1990년 2,242명
1995년 1,597명
2000년 1,407명
2005년 1,424명
2010년 1,418명
2015년 1,406명
2020년 1,359명
2024년 2월 1,2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양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주대구고속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가 분기하는 도로교통 초강세 지역이며, 과장 좀 보태서 얘기하면 경남 서부권의 관문이다. 수도권, 대전에서 진주[7], 통영, 거제경남 서부권으로 가려면 반드시 이 곳을 지나야 하며, 대구에서 전주광주를 갈 때 반드시 이 곳을 지나야 하기 때문에 군 지역치고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다. 추후 함양울산고속도로가 완전 개통시 분기점으로서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것으로 보인다.

차후 광주광역시대구광역시를 잇는 달빛철도가 개통하면 함양역이 지나게 되어 철도교통도 어느 정도 힘을 쓸 것으로 보인다.

5. 금융

함양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함양우체국 (1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함양농협 (8) 함양산청축협 (2) 수동농협 (1) 지곡농협 (1)
안의농협 (3) 지리산마천농협 (1)
새마을금고
함양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함양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함양군산림조합 (1)

6. 교육

파일:함양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함양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금반초등학교 마천초등학교 백전초등학교 병곡초등학교 서상초등학교
서하초등학교 수동초등학교 안의초등학교 위림초등학교 위성초등학교
유림초등학교 지곡초등학교 함양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함양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함양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마천중학교 서상중학교 수동중학교
안의중학교 함양여자중학교 함양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함양군 CI_White.svg 경상남도 함양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서상고등학교 안의고등학교 함양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7. 관광

지리산 국립공원, 지리산 천왕봉[11], 지리산 자연휴양림, 지리산 벽소령, 지리산 세석평전, 남덕유산 농월정 국민관광지, 칠선계곡[12], 장터목, 한신계곡(백무동 계곡), 가내소 폭포, 한신폭포, 칠선폭포, 함양 상림, 하림 공원, 금대암 전나무, 함양 대봉산 휴양밸리 등의 관광지가 있다. 함양 대봉산 휴양밸리는 국내에서 집라인모노레일이 동시에 운영되는 몇 안 되는 곳으로, 3km가 넘는 국내 최대 길이 모노레일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2021 함양산삼항노화엑스포를 진행한 후에 떠오르고 있는 새로운 핫플레이스이다. 매일 오전 8시 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하며[13], 매주 화요일 및 마지막 주 화요일, 수요일은 정기 휴관이니 참고할 것.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함양 곶감덕유산 고로쇠물이 등록되어 있다. 함양 곶감은 전국 최대 곶감 생산지 세 곳 중 하나이다. 나머지 두 곳은 상주시영동군.

함양에는 지리산 산머루로 만든 와인밸리가 있다. 하미앙 와인밸리라는곳인데 20년에는 경상남도 민간정원 제9호로 등록이 되었으며 21년에는 찾아가는 양조장 46호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와인밸리와 브루어리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같이 운영하는 곳이기도 하다. 하미앙수제맥주도 퀄리티가 좋다고 한다.

7.1. 특산물

1. 사과: 백두대간(지리산-덕유산) 자락에 위치하여 일조량이 많고 일교차가 큰 게르마늄 지대의 해발 300~500m의 청청지역에서 생산된 고품질 사과. 2009년부터 6년간 탑프루트생산 시범사업추진, 전국 사과 품질평가 대상수상(2011년).
2. 곶감: 지리산과 덕유산의 청정 자연환경에서 위생적으로 생산 하여 육질과 맛이 아주 뛰어남. 2011년 8월 지리적표시 제39호로 등록됨.
3. 오미자: 지리산과 덕유산 국립공원을 잇는 백두대간의 고지대에서 친환경농법으로 재배하여 맛과 향이 뛰어난 항노화 농산물.
4. 양파: 일교차가 크고 해발이 높은 지리적 여건으로 저장성이 높으며 유용미생물제 시용을 통해 타 지역과 차별화된 양파.
5. 여주: 2011년 농림축산식품부 선정 향토산업육성사업으로 지정되고, 생산, 가공, 유통, 체험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전국 최고의 여주생산단지로 각광받고 있음.
6. 산삼: 게르마늄과 토양에서 자란 산양삼은 불로장생의 명약으로도 불릴 정도로 매우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이며 원기회복은 물론 당뇨병 치료, 암 예방, 간 기능 개선, 성 기능 개선, 혈압조절에 도움을 준다.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양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하위 행정구역

10. 사건사고

10.1. 진병영 군수 관용차 개조 사건


함양군에서 2023년 1월 군수 관용차를 바꾸기 위해 공고문을 올렸는데 배기량 3500cc급 9인승 카니발 차량으로 가격은 6200만원이었으며 2월 관용차가 함양군에 인도되었다. KBS 기자가 직접 해당 관용차를 확인한 결과 원래 9인승 카니발에는 없는 고급 리무진 좌석 2개가 새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였고 좌석을 뒤로 밀고 발을 뻗고 누워있을 수 있게 레일 등 바닥작업도 진행된 상태였는데 해당 개조 비용은 약 1000만원이었다. 그런데 처음부터 리무진 좌석이 설치된 7인승 대신 왜 9인승으로 출고한 후 개조를 했냐면 도로교통법상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기 위해선 9인승 이상부터 가능하기에 9인승 카니발을 출고해서 리무진 좌석으로 개조시킨 것이었다. 함양군의 재정자립도는 10%도 안 되는 9.86%에 경상남도에서 최하위권을 기록하는 상황인데 기존 관용차와 비교해서 2배 가까운 비용을 주고 바꿨다는 데 문제가 되고 있다.

10.2. 함양 대봉산 집라인 붕괴

무너진 함양 대봉산 집라인 ..설계와 다르게 시공

11. 여담

12. 출신 인물


[1]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2] 2024년 10월 기준.[3] 함양군 가선거구 (함양읍, 백전면, 병곡면): 권대근, 이용권, 임채숙, 정현철
함양군 나선거구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박용운
함양군 다선거구 (지곡면, 안의면, 서하면, 서상면): 김윤택, 양인호, 정광석
함양군 비례대표: 배우진
[4] 함양군 나선거구 (마천면, 휴천면, 유림면, 수동면): 서영재[5] 함양군 선거구: 김재웅 (재선)[6] 나머지 절반은 거창군으로 갔다.[7] 하지만 고속도로 직통으로 바뀐 거창군과 달리 시외버스는 산청군을 거쳐 모두 국도로 운행함에 따라 군민 불만이 매우 크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11] 지리산의 최고봉인 천왕봉(1,915m)은 산청군과 함양군의 경계에 걸쳐있다.[12] 천불동계곡, 탐라계곡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계곡으로 꼽힌다.[13] 단, 실질적인 운영 시작 시간은 오전 9시 30분 부터이다. 모노레일, 집라인 예약 시간도 가장 빠른 시간이 오전 9시 46분이다.[14] 실제로 이은성소설 동의보감과 이를 극화한 허준에서도 함양과 함안을 헷갈린 듯한 서술이 나온다. 작품의 초반 주요 무대가 안의, 산청 일대인데 지금도 차 타고 2시간이나 걸리는 함안을 '이웃 마을 대감 치료하러' 갈 수는 없는 것. 게다가 당시 안의에서 함안을 가려면 "산청-생비량-칠곡-의령(여기서 이미 1000미터급 험산준령을 두 번 넘는다)을 거쳐 정암나루에서 배를 타고 남강을 건너 늪지대를 끼고 군북을 지나(현재의 39보병사단 주둔지) 고개를 하나 더 넘어 현 함안면 봉성리까지" 가야 하는데 이 경로를 조선시대에 도보나 말을 타고 하루만에 가는게 말이 될래야 될 수가 없다. 조선시대 판타지 소설인가?[15] 물론 촬영 이후 설치된 설비나 진지들을 원상복구했고, 그 뒤 녹화사업까지 해 10년이 넘은 지금은 수풀이 우거져서 어디에서 촬영했는지 알아보기 힘들다.[16] 중국식 간체자로는 咸阳.[17] 1박 2일에서도 촬영을 왔었다. 처음에는 지곡면 개평한옥마을에서, 두 번째는 안의면 화림동계곡, 대봉산 휴양밸리 쪽에서 촬영했다.[18] 심지어 사람이 가장 적은 월요일조차 거의 마지막 시간대인 오후 3 ~ 4시를 제외하고 자리가 없는 경우가 대다수이다.[19] 그 당시 거창군도 마찬가지 개편이전 대구시내 국번인 42X와 비슷하고 개편후에도 동구 신암동 일부지역 94X로 사용함에 따라서 대구 지역번호를 안 누르고 그냥 하다가 장난전화로 신고당할뻔하기도 했다는 설이 있었다. 이건 가정 집 유선전화기나 해당되지 이동전화(스마트폰), 공중전화등은 아예 첨부터 걸때 지역번호를 눌러야 걸리므로 크게 의미가 없는 실정이다.[20] 태어난 곳은 일본 오사카지만 광복 후 귀국하여 함양군에서 성장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