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6 14:05:03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넘어옴
파일:정부상징.svg 파일:과학기술정보통신부_국문_흰색글자.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원자력의학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시설관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우편사업진흥원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colbgcolor=#243b7c><colcolor=#ffffff>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NIA
파일: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로고.svg
정식 명칭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자 명칭 韓國知能情報社會振興院
영문 명칭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87년 1월 30일[1]
설립목적 국가정보화 추진과 관련된 정책의 개발, 서비스 확충, 건강한 정보문화 조성 및 정보격차 해소 등을 지원함으로써 창조적 지식정보사회의 기반을 조성하여 국민행복 실현에 이바지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12조
업종명 컴퓨터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업
전신 한국전산원
(1987년 1월 30일 ~ 2006년 10월 8일)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6년 10월 9일 ~ 2009년 5월 21일)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3년 1월 1일 ~ 2009년 5월 21일)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년 5월 21일 ~ 2020년 12월 10일)
대표자 황종성[2]
주무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주요 주주 해당사항 없음
기업 분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705명(2024년 1월 기준)
자본금 89,989,437,830원(2023년 기준)
매출액 819,054,333,673원(2023년 기준)
영업이익 -2,386,725,004원(2023년 기준)
순이익 -1,030,926,033원(2023년 기준)
자산총액 191,497,120,916원(2023년 기준)
부채총액 89,243,102,921원(2023년 기준)
미션 우리는 디지털로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국가미래를 열어간다
비전 국가 디지털 대전환 선도기관, NIA
핵심가치 도전(혁신을 향한 도전), 신뢰(전문성을 통한 신뢰), 공익(청렴에 기반한 공익)
전략목표 인공지능 기반 국가 대응력 강화, 디지털플랫폼정부(DPG) 구현, 디지털로 여는 보편적 포용사회 선도, E·S·G 경영체계 확립
소재지 본사 -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53 (신서동)
서울사무소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4 (무교동)
글로벌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호중앙로 68-11 (서호동)
관련 웹사이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속도 측정 홈페이지
공식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관련 전화번호
대표전화: 053-230-1114
서울사무소: 02-6191-2114
글로벌센터: 064-909-3114

1. 개요2. 연혁
2.1. 한국정보사회진흥원2.2. 한국정보문화진흥원2.3. 한국정보화진흥원2.4.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3. 원장4. 사업5. 복지6. 조직문화7. 노동조합 현황8. 주요 간행물9. 기타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경관, 홍보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공식 홍보영상

파일:NIA본사.jpg
▲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 본사 사옥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53 (신서동)
}}}}}}}}} ||
지능정보화 기본법 제12조(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설립)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행정안전부장관은 지능정보사회 관련 정책의 개발과 국가기관등의 지능정보사회 시책 및 지능정보화 사업의 추진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지능정보사회원"이라 한다)을 설립한다.
② 지능정보사회원은 법인으로 한다.
⑥ 지능정보사회원에 관하여는 이 법 및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⑦ 지능정보사회원이 아닌 자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3]
⑧ 제1항부터 제7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지능정보사회원의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국가정보화 추진, 정보격차 해소 등의 사업을 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행정안전부가 공동으로 관리[4]하는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과거의 명칭은 한국전산원[5], 한국정보사회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

1987년 1월 30일에 설립되어 정보화 또는 IT관련 공공기관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다.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유관기관의 대빵이었고, 실제 그 기관들이 이 기관에서 빠져나왔다고 볼 수 있다.

2009년 5월 22일 한국정보사회진흥원[6](NIA)과 한국정보문화진흥원[7]이 통합되면서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되었다. 두 기관 모두 정보통신부 산하 기관이었으나 2008년 정보통신부가 폐지되면서 행정안전부 소관이 되었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범으로 두 부처의 공동 소관으로 변경되었다.

역사적으로 한국전산원(NCA)이 통합 전 양 기관과 관련이 많은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으로 이름이 바뀌게 된 현재는 약자가 NIA라서 '엔아이에이' 또는 '니아'라고도 불린다.

2013년 정부조직개편 등으로 미래창조과학부안전행정부의 공동 소관기관이 되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no=280099&year=2013| 당시 안전행정부에서는 부처 간 협업의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해명을 했다. 당시 출연예산은 안전행정부 56.3%(81,233백만원), 미래창조과학부 43.7%(63,144백만원) / 전담인력은 안전행정부 49.7%(151명), 미래창조과학부 50.3%(153명)으로 거의 절반씩 영향력이 있는 듯한 구조였다.[8]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라 서울 무교동에서 대부분의 조직을 2015년 7월 대구신서혁신도시제주도[9] 로 본부를 이전하였으며, 현재 서울 무교동에는 소수의 조직만 남아 있고 30명의 직원이 상주하고 있다.

제주도에 소재한 글로벌교육센터는 글로벌협력본부에서 시행하는 교육 또는 내부 교육을 위해 사용된다.

여담으로 한국정보화진흥원 전신인 한국정보문화센터인 1999년에 이동통신예절에 대한 공익 캠페인광고를 진행했었는데 당시 유재석, 강호동, 정선희, 홍진경이 광고모델이었는데 당시에는 큰 반응은 없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엄청난 캐스팅이다. 더군다나 노개런티가 아니라 광고 모델료를 준 광고인데 공익광고라 감안을 해도 모델료가 어마어마한데 1999년 당시라 가능하지 현재는 볼 수 없는 조합이다.

2. 연혁

2.1.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2.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3. 한국정보화진흥원

2.4.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3. 원장

4. 사업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지능정보화 기본법 제12조 제3항).

5. 복지

6. 조직문화

7. 노동조합 현황

8. 주요 간행물

9. 기타

10.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인터넷'''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비자 인터넷 상품
파일:B 인터넷 로고.svg 파일:KT 기가 인터넷 로고.svg 파일:LGUplus_Internet_Logo.pn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Hello 인터넷
백본망
국가 소유
파일: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로고.svg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로고.svg
KOREN(미래네트워크연구시험망) KREONET2(국가과학기술연구망)
통신사 소유
파일:SK텔레콤 로고.svg 파일:KT 로고.svg 파일:LG U+ 로고.svg
SK-TELECOM-NET KORNET LGTELECOM
BORANET(보라넷)
XPEED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파일:드림라인 로고.svg 파일:세종텔레콤 로고.svg
B-Net DREAMX SHINBIRO
}}}}}}}}} ||



[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으로의 사명 변경일은 2020년 12월 10일이다.[2] 2001년에 취임한 서삼영 원장에 이어 두 번째로 내부승진을 통해 원장으로 취임한 사람이다.[3] 이를 위반한 자에게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지능정보화 기본법 제70조 제1항).[4] 이렇게 두 개의 장관급 중앙행정기관이 관리하는 공공기관은 이곳이 유일하다. 다만, 공공기관경영정보시스템(알리오)의 기관별 공시에는 주무기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되어 있다. 설립 근거법률인 국가정보화 기본법 소관 부처가 2013년 12월부터 안전행정부에서 미래창조과학부(2017년 7월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이관되었는데 이것이 반영된 듯하다.[5] 설립 당시[6] 1987년 한국전산원(NCA)이 설립되고, 1991년 체신부 소관 법률인 전산망보급확장과이용촉진에관한법률에 근거 법률이 명시되었다. 이후, 1999년 정보화촉진기본법으로 한국전산원 설립근거가 이관되고, 2006년 한국전산원이 정보통신부 소관법률인 정보화촉진기본법에 따라 한국정보사회진흥원으로 명칭 변경되었다. 1994년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 전담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고, 2001년에는 전자정부기술 전담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이처럼 과거에는 전자정부 관련 업무가 정보통신부 관할이었음을 알 수 있다.[7] 1984년 재단법인 정보통신훈련센터로 설립되어 1988년 재단법인 정보문화센터로 확대개편되었으며, 1991년 체신부 소관법률인 전산망보급확장과이용촉진에관한법률에 근거 법률이 명시되면서 한국정보문화센터가 되었다가 1999년 한국전산원에 흡수되었다. 2003년 정보격차해소에관한법률에 따라 한국전산원 부설 한국정보문화센터가 독립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으로 갈라져 나왔다. 1980년대 농어촌컴퓨터교실을 운영하였고, 1994년 해외동포정보화지원 업무를 맡기도 했다. 2006년에는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전담기관으로 지정되었다.[8] 행정안전부는 전자정부법을 근거로 지방자치단체와 관련한 전자정부 지원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 힘을 실어주는 모양새다.[9] 글로벌교육센터[10] 08:10 셔틀버스는 각산역에서 승차, 대구본원 건물 앞에서 하차하며 08:40 셔틀버스는 각산역 승차는 그대로이나 대구본원 건물 뒷편에서 하차한다.[11] 17:40 및 18:10 셔틀버스 모두 대구본원 건물 앞에서 승차하며 하차는 각산역에서 한다.[12] 퇴근 시간대에는 최장 20분 정도 소요될 수 있다.[13] 전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는 동명이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