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0:49:31

헬로인터넷


파일:LG헬로비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상품
Hello 인터넷 Hello tv Hello Fone
알뜰폰
파일:헬로모바일 로고.svg
LG U+ · LG HelloVision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인터넷'''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비자 인터넷 상품
파일:B 인터넷 로고.svg 파일:KT 기가 인터넷 로고.svg 파일:LGUplus_Internet_Logo.pn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Hello 인터넷
백본망
국가 소유
파일: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로고.svg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로고.svg
KOREN(미래네트워크연구시험망) KREONET2(국가과학기술연구망)
통신사 소유
파일:SK텔레콤 로고.svg 파일:KT 로고.svg 파일:LG U+ 로고.svg
SK-TELECOM-NET KORNET LGTELECOM
BORANET(보라넷)
XPEED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파일:드림라인 로고.svg 파일:세종텔레콤 로고.svg
B-Net DREAMX SHINBIRO
}}}}}}}}}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공유기
3.1. Wi-Fi 5 (Giga WiFi) 공유기
3.1.1. HYG-G920
3.2. Wi-Fi 4 공유기3.3. 헬로tv WiFi

1. 개요

헬로인터넷LG헬로비전에서 운영중인 인터넷 서비스이다.

2. 특징

CJ 시절에는 HFC/FTTx 망을 자체 구축하고 SK브로드밴드의 백본과 해외망을 빌려서 서비스했으나, 2020년 2월부터 LG U+의 백본과 해외망으로 변경하였다. 이후 HFC에서 FTTH로 전환되는 지역은 자사망이 아닌 U+ 인터넷의 인프라를 사용한다. 저렴한 가격에 LG U+와 동일한 품질을 쓸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다만 어디까지나 케이블 방송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이므로 헬로tv 영업 지역에서만 쓸 수 있으며, LG U+의 FTTx망이 구축되지 않은 지역은 구형 케이블 인터넷이 설치되므로 가입 전 잘 알아봐야 한다.

헬로인터넷의 세대 인입망 종류는 다음과 같다.

LG헬로비전을 비롯한 4개 MSO사(CMB 제외)의 케이블 인터넷SK텔레콤, KT 회선 2~3개와 동등결합이 가능하다. SK텔레콤, LG헬로비전 양쪽에서 할인을 받는 셈. LG U+ 이동전화와 hello 인터넷을 동등결합한 상품도 2020년 출시. 현대HCN, 서경방송, GCS 푸른방송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가정용 스위칭 허브를 취급하지 않아 여러 방에 인터넷을 설치 할 경우 세대내 케이블 환경에 의해 설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3. 공유기

3.1. Wi-Fi 5 (Giga WiFi) 공유기

3.1.1. HYG-G920

파일:sogigawifiaphanyangdgt.png

한양디지텍 사에서 제조한다.

모델명은 HYC-G920 이다.

공유기 설정에 난해함을 겪는 경우가 있으므로 참고링크

3.2. Wi-Fi 4 공유기


파일:sowifiapdavolink.png

3.3. 헬로tv WiFi

딜라이브현대HCN처럼 헬로TV 디지털 셋탑박스를 이용할 경우 월 3,300원에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

본인이 공유기를 가지고 있을 경우 월 2,200원에 이용 가능하다. 단, 이 경우에는 직접 셋탑박스에 있는 랜 포트로 연결해서 써야 한다.

헬로 TV WiFi 상품도 셋톱박스케이블 모뎀 역할과 방송 출력 역할을 같이 하는 것인데, 속도가 제한적일(최대 40Mbps)뿐더러 HFC 망 방식의 한계로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인터넷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기본 제공되는 공유기로는 유선랜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있고, 직접 설치(월 2,200원 상품)시 사용이 가능하다. 타사 공유기 사용이 제한적이고, 유선랜 사용이 아예 불가능한 동종업계인 딜라이브와는 다소 대조되는 모습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