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내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808080,#555><colcolor=#fff> 경과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원인과 분석 | 시리아 내전 발발 원인 | 분석과 전망 |
주요 세력 | |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지원세력 | 러시아 연방군 · 이란군(이슬람 혁명 수비대) · 헤즈볼라 |
자유 시리아군[A] | ||
지원세력 | 미군 | ||
지원세력 | 튀르키예군 | ||
이슬람 전선[A] | ||
레반트 해방위원회 | ||
쿠르디스탄 | 셀주크 여단 | 순교자 누바르 오자냔 여단 | 여성방위대 | 인민방위대 | |
|
주요 전투 | 홈스 전투 | 알레포 전투 | 데이르에조르 포위전 | 코바니 포위전 | 팔미라 전투(2016~2017) | 하샴 전투 | 알바구즈 전투 | 2023년 북동시리아 분쟁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알레포 전투(2024년) | 다마스쿠스 함락) | 동알레포 공세 |
전쟁범죄 | 훌라 학살 | 구타 화학 무기 공격 참사 | IS의 해외 민간인 납치 살해 | IS의 요르단 조종사 분살 사건 |
사건사고 | 한국 청소년 이슬람 국가 가담 사건 | 2015 러시아 공군기 Su-24 격추사건 | 2023년 홈스 드론 공격 |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외국의 개입 | 미국의 역할 | 러시아의 개입 | 헤즈볼라의 역할 | 대IS 군사 개입 | 2019년 튀르키예 쿠르드 침공 | 케일라 뮬러 작전 | 이스라엘의 공습 |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 자유의 새벽 작전 | 이스라엘의 침공 |
관련 창작물 | 논스톱: 다마스커스 타겟 | 사마에게 |
기타 | 오해 | 난민과 참상 | 유럽 난민 사태 | 화이트 헬멧 | 통 폭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nt-size: 0.90em" {{{#!folding [ 각주 보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하샴 전투 Бой под Хашамом معركة خشام Battle of Khasham | |||
시리아 내전의 일부 | |||
| |||
■ 시리아 민주군 점령지 ■ 시리아 정부군 점령지 | |||
기간 | |||
2018년 2월 7일 ~ 2월 8일 | |||
장소 | |||
시리아 데이르에조르주 하샴 인근 | |||
교전국 및 교전 세력 | |||
[[시리아 민주군| |
[[바그너 그룹| | ||
지휘관 | |||
참전 부대 | |||
병력 | |||
40명 F-22 F-15E B-52 AC-130 AH-64 MQ-9 M777 M142 HIMARS | T-72 9대 T-55 1대 BRDM-2 등을 포함한 기타 병력수송차량 10여대 D-30 곡사포 6대 숫자 미상의 BM-21 다연장로켓 자주화된 ZU-23-2 대공포 Tu-95 또는 Tu-160으로 추정되는 기체불명의 러시아 폭격기[2] | ||
피해규모 | |||
(시리아 정부 주장) 55명 전사 (미국 주장) 최소 100명 전사 다수 부상 (SOHR 주장)68명 전사 | |||
결과 | |||
미군 및 시리아 민주군 승리 |
1. 개요
하샴 전투는 2018년 2월 7일 - 2월 8일 사이에 시리아 데이르에조르(Deir ez-Zor) 주 하샴(Khasham)과 알 타비예(Al Tabiyeh) 마을에서 벌어진 전투다.이 전투는 미군 USSOCOM 소속 특수부대, 미국 해병대와 시리아 지역에서 활동하는 러시아의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이 교전을 벌인 사례로 알려져 있다. 전투 결과, 시리아군 및 친정부 민병대와 바그너 그룹은 전차와 다연장로켓, 곡사포와 대공포 등의 중장비를 동원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군의 압도적인 항공지원과 포격지원 아래 다수의 장비를 상실, 대패하고 물러났다.[3]
2. 발단
당시 시리아 민주군은 매우 수익성이 좋은 유전과 가스전들을 보유하고 있었고 시리아 정부군은 이를 탈환하길 원했다.한편 러시아는 시리아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을 위해 희생을 감수하고 군사적으로 나설 것인가를 확인하고 싶어했다.
이해관계가 일치한 러시아와 시리아 정부는 바그너 그룹을 동원해서 하샴 인근에 위치한 광대한 천연가스전들과 이를 처리하는 코노코 정제소를 지키는 미군 전초기지를 공격하기로 한다.
러시아는 바그너 그룹에게 항공 및 방공 지원과 가스전의 25% 지분을 주기로 약속하고 시리아 정부군과 함께 미군 전초기지를 공격하라고 명령한다.
3. 전개
4. 반응
4.1. 미국
4.2. 러시아
4.3. 시리아
5. 기타
전투 종료 5년뒤인 2023년, 바그너 그룹은 해당 전투에서 전사한 용병들을 기리기 위해 추모식을 거행했다.#. 참전인들을 위한 메달또한 제작했다.#6. 참조 자료
https://www.nytimes.com/2018/05/24/world/middleeast/american-commandos-russian-mercenaries-syria.htmlhttps://www.reuters.com/article/us-mideast-crisis-syria-russia-usa-insig-idUSKCN1PU11Y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2/feb/10/marat-gabidullin-russian-mercenary-wagner
https://www.coffeeordie.com/wagner-group-syria-khash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