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00:44:58

프랑스의 알제리 원정


파일:프랑스 국장.svg 프랑스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e1000f> 백년전쟁
1337 ~ 145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플랜태저넷 왕조)
제1차 이탈리아 전쟁
1494 ~ 1498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제2차 이탈리아 전쟁
1499 ~ 1504
파일:나폴리 왕국 국기(1442-1516).svg.png 나폴리 왕국 파일:Flag_of_the_Duchy_of_Milan_(1450).svg.png 밀라노 공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3차 이탈리아 전쟁
1508 ~ 1516
파일:베네치아 공화국 국기.svg 베네치아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4차 이탈리아 전쟁
1521 ~ 152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5차 이탈리아 전쟁
1526 ~ 1530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6차 이탈리아 전쟁
1536 ~ 153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7차 이탈리아 전쟁
1542 ~ 1546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제8차 이탈리아 전쟁
1551 ~ 1559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국기.png 폴란드-리투아니아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 ~ 1659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상속 전쟁
1667 ~ 1668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svg 스웨덴 제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 프로이센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 포르투갈 왕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스페인 제국 국기.svg 스페인 제국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 ~ 1735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왕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7년전쟁
1754 ~ 1763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50-1801).svg 프로이센 왕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하노버 왕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 포르투갈 왕국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연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2 ~ 1802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 포르투갈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793-1844).svg 오스만 제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 제국
제1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38 ~ 1839
파일:멕시코 국기(1823~1864),(1867~1893).png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프랑스의 알제리 원정
1830 ~ 1904
파일:알제 섭정국_국기.png 알제 섭정국
벨기에 혁명
1830 ~ 183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연합왕국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 1860
청나라
코친차이나 원정
1858 ~ 1862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
1861 ~ 1867
파일:Bandera_Histórica_de_la_República_Mexicana_(1824-1918).svg.png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병인양요
1866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0 ~ 1871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북독일 연방
청불전쟁
1884 ~ 1885
파일:청나라 국기(1862-1889).svg 청나라
프랑스-시암 전쟁
1893
파일:태국 국기(1855).svg.png 시암
파쇼다 사건
1898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제1차 세계 대전
1914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튀르키예 독립 전쟁
1919 ~ 192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프랑스-시리아 전쟁
1920
파일:시리아 아랍 왕국 국기.svg 시리아 아랍 왕국
리프 전쟁
1925 ~ 1926
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the_Rif.svg 리프 공화국
스페인 내전
1936 ~ 1939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제2공화국 파일:스페인국 국기(1936-1938).svg 스페인 국민전선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colbgcolor=#e1000f><colcolor=#fff> 서부전선
1939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1943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1943~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아프리카 전역
1940 ~ 1942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1946 ~ 195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민주 공화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알제리 전쟁
1954 ~ 1962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
바밀레케 전쟁
1955 ~ 1964
파일:300px-Cm-upc1.png 카메룬 인민연합
제2차 중동전쟁
1956
파일:이집트 국기(1953-1958).svg 이집트
이프니 전쟁
1957 ~ 1958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가재 전쟁
1961 ~ 1963
파일:브라질 국기(1960-1968).svg 브라질
서사하라 전쟁
1977 ~ 1978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카반 작전
1979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제국
리비아-차드 분쟁
1986 ~ 1987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공화국
르완다 내전
1990 ~ 1994
파일:Rwandan_Patriotic_Front_Flag.svg.png RPF
지부티 내전
1991 ~ 1994
FRUD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진달래 작전
1995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0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제1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02 ~ 2007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NCI
차드 내전
2005 ~ 2010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진자위드
제2차 코트디부아르 내전
2010 ~ 201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COJEP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FPI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헬 내전
2011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하람 파일:안사루 깃발.svg 안사루
말리 내전
2012 ~ 2022
파일:아자와드 국기.svg MNLA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전
2012 ~ 현재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셀레카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반 발라카
제2차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차드 내분
2016 ~ 2025
차드 반군 그룹
홍해 위기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아스피데스 작전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

파일:알제리 국장.svg 알제리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fff,#1f2023> 프랑스의 알제리 원정
,1830 ~ 1904,
알제리 독립전쟁
,1954 ~ 1962,
모래전쟁
,1963,
비아프라 전쟁
,1967 ~ 1970,
제4차 중동전쟁
,1967 ~ 1970,
서사하라 전쟁
,1975 ~ 1976,
}}}}}}}}}

프랑스의 알제리 원정
Conquête de l'Algérie par la France[1]/ الغزو الفرنسي للجزائر[2]
기간
1830년 6월 14일 ~ 1904년 1월 19일
장소
알제리
원인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 야욕
교전 국가 및 세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지휘관
샤를 10세
루이 필리프 1세
후세인 데이
병력
34,000명 30,000명
결과
프랑스의 알제리 식민화
피해
100,000~200,000명 사망 및 부상 최소 1,000,000명 사망 및 부상

1. 개요2. 배경3. 전개
3.1. 알제 침공3.2. 알제리 나머지 지역 침공
4. 결과

1. 개요

프랑스북아프리카알제리를 침공해 식민지로 만든 원정으로 알제리는 프랑스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이후 수십 년에 걸친 저항과 전쟁 끝에 1847년경 프랑스 식민지로 완전히 편입되었다.

2. 배경

당시 알제리는 알제 섭정국이 차지하고 있었다. 알제 섭정국은 이론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었지만 사실상 독립국이었다. 그러나 데이는 수도인 알제와 그 주변만 다스렸고 나머지 영토는 현지 토착 세력의 통치되었다. 이 같은 상황은 지중해 일대에 바르바리 해적들이 설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지중해에 활개치는 해적들을 토벌하기 위해 영국, 프랑스, 미국, 네덜란드 함대가 주기적으로 알제리를 침공하였다. 이로인해 해적질과 노예 무역이 감소하였다. 그 결과 알제 섭정국의 수입은 감소하였고, 이 손실을 메우기 위해 세금을 인상하였다. 이로인해 세금 인상에 반발한 농민들은 봉기를 일으키거나 내륙으로 가버렸다. 이렇게 내부가 혼란스럽자 프랑스의 국왕 샤를 10세는 인기를 높이기 위해 알제리 원정을 계획하기 시작했다. 프랑스 내부도 왕당파와 자유주의자의 대립이 격화되고 있어서 내부 문제에서 대중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전쟁을 일으키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미 알제 섭정국과 바르바리 해적은 기독교 노예 무역과 해적 행위를 포기해서 전쟁을 일으킬 명분이 없었다. 그래서 프랑스 당국은 전쟁 명분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18세기 말 나폴레옹 전쟁 시기, 알제리는 프랑스에 곡물을 대량으로 수출하였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 뒤에도 프랑스는 그 대금을 지불하지 않고 미루고 있었다. 알제리의 통치자 후세인 데이는 여러 차례 빚을 갚으라고 요구했지만, 프랑스는 절반 정도만 갚고 이를 무시했다. 1827년 4월 29일, 이 날도 후세인 데이는 프랑스 대사 피에르 뒤발을 불러 대금을 갚으라고 독촉하였다. 그러자 피에르 뒤발은 갚기 싫다며 말하자 이에 분노한 후세인 데이는 파리채로 뒤발을 때렸다. 샤를 10세는 외교 대표에 대한 이러한 모욕을 이용하여 먼저 데이에게 최후통첩을 보냈다. 후세인 데이가 최후 통첩을 거부하자 알제 항구에 대한 봉쇄를 시작했다. 이러한 봉쇄는 3년 간 지속되었다. 3년 동안 알제리 원정을 준비한 프랑스는 마침내 1830년 5월 16일, 103척의 전함과 464척의 수송선으로 구성된 함대가 37,612명의 병력을 태우고 툴롱을 출발했다.

3. 전개

3.1. 알제 침공

1830년 6월 14일 프랑스군은 알제리 수도인 알제에서 서쪽으로 30km 떨어진 시디 프레디지 반도에 상륙하였다. 프랑스군은 해안 포대를 손쉽게 제압하였다. 시디 프레디지 반도를 점령한 프랑스군은 교두보에 멈춰 서서 공성 장비가 도착하기를 기다럈다. 그러자 6월 24일 아침 알제 섭정군은 프랑스 전조기지가 있던 스타우엘리 고원에 배치되기 시작했다. 알제 섭정국에서는 후세인 데이가 전투 병력을 모으기 위해 3일 동안 적극적으로 노력했고, 프랑스가 상륙 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자 알제 섭정군은 선제 공격하였다. 그러나 시디 칼레프 전투는 알제 섭정군의 패배로 끝이 났다. 6월 29일, 프랑스군이 보르즈 물레이 하산 요새 근처에 도착하였다.[3] 6월 30일, 프랑스군은 포위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참호를 파기 시작했고 7월 3일까지 모든 포병을 투입했다. 7월 4일 오전 4시경, 포병대를 지휘하는 라 히테 장군은 모든 포대에 한꺼번에 포격을 개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알제 섭정군은 맹렬히 저항하였지만 요새 내부가 포탄으로 황폐해져 더 이상 저항 할 수 없었다. 결국 알제 섭정군은 요새를 포기하고 화약고에 불을 질렀다. 이로인해 중앙에 있던 큰 탑이 파괴되었지만, 프랑스군은 보르즈 물레이 하산 요새를 성공적으로 점령하게 되었다.

요새가 함락되자 알제는 더 이상 저항 할 수 없었다. 정오 조금 지나서 데이의 사절이 프랑스군 주둔지에 와서 프랑스에 공식 사죄하고 프랑스 전쟁 지출을 상환하는 조건으로 프랑스의 철수를 협상하려 했다. 이에 드 부르몽 장군은 프랑스는 주민들의 집이 약탈당하지 않도록 보호하겠다고 약속했고, 후세인 데이도 망명 중에 개인 재산을 가져올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내용을 들은 후세인 데이는 항복하였고, 프랑스군은 7월 5일 12시에 도시에 입성했다. 며칠 후, 후세인 데이와 그의 가족은 호위함에 탑승하여 나폴리로 출발하였다.

3.2. 알제리 나머지 지역 침공

알제가 함락 된 후 프랑스에서는 7월 혁명이 일어나 샤를 10세는 퇴위하였다. 샤를 10세가 퇴위하자 원정군 총사령관인 드 부르몽 장군은 샤를 10세와 함께 영국으로 떠나버렸다. 그의 후임으로 베르트랑 클루젤이 임명되었다. 클루젤은 메데아, 오랑, 콩스탕틴의 베이들에게 프랑스의 보호령으로 들어오라고 말했다. 세 명의 베이가 거절하자 클루젤은 튀니스 베이국의 베이인 후세인과 협상하였다. 클루젤은 피를 보지않고 오랑과 콩스탕틴에 프랑스의 영향력을 확대하려고 했다. 하지만 프랑스 외무부는 클로젤의 협상에 반대했고, 그를 해임하고 베르테젠 남작을 원정군 총사령관에 임명하였다. 하지만 프랑스군은 현지 알제리인들에게 급속도로 민심을 잃어갔고, 지속적으로 게릴라에 시달리자 메데아 침공을 포기하고 후퇴하였다. 프랑스의 후퇴 소식이 알려지자 카빌인은 퇴각하는 프랑스군을 공격하였다. 이로인해 베르테젠이 통제하지 못한 공황 상태에 빠진 퇴각으로 내몰렸다. 이 퇴각 동안 프랑스의 사상자는 상당했고, 이 승리는 저항의 불길을 부채질하였다. 결국 장드디외 술트 원수는 베르테젠 남작을 해임하고 사바리 장군을 원정군 총사령관에 임명하였다.

사바리 장군은 클루젤이 점령했다가 카빌인에게 잃었던 안나바베자이아를 탈환하였다. 사바리 장군은 토지 식민지화와 재산 몰수 정책을 지속했고, 현지인들의 저항을 잔인하게 진압하였다. 1833년 초 사바리 장군이 병을 앓자 그의 후임으로 테오필 부아롤 장군이 임명되었다. 그는 아르제우와 모스타가넴을 점령하였다. 1834년 6월 22일, 프랑스는 무슬림 인구가 약 200만 명으로 추산되는 알제리의 점령 지역을 군사 식민지로 공식 합병했다. 그 후 북아프리카 프랑스령 총독으로 장 밥티스트 드루에가 임명되었다.

4. 결과

당시 징벌적 원정으로 여겨졌던 알제 원정은 반세기 전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가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간 1775년 알제 원정과 함께 회고해보면 지중해 남부 해안에 대한 프랑스의 영향력 확대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프랑스는 완전히 알제리를 점령함으로서 식민지로 삼았고 4,300만 프랑 상당의 금과 은이 프랑스로 운송되었다.
[1] 프랑스어[2] 아랍어[3] 보르즈 물레이 하산 요새는 154 년 알제를 공격한 황제 샤를 5세에 대한 대응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프랑스인들이 곧 그에게 경의를 표하며 "황제 요새(Fort de l'Empereur)"라는 별명을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