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09da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광역급행 | M5438 | |
<colcolor=#fff> 직행좌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좌석 | 8000 | ||
일반 | 시내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1. 개요
안성종합터미널에서 안성시 삼죽면, 죽산면, 일죽면을 경유하여 이천호국원, 테루미, 이천역, 이천터미널을 오가는 평택버스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100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안성시 가사동(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종점 | 경기도 이천시 중리동(이천종합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20 |
막차 | 21:00 | 막차 | 22:20 | ||
평일배차 | 60~100분 (1일 14회) | 주말배차 | 120~140분 (1일 8회) | ||
운수사명 | 평택버스 | 인가대수 | 3대 |
경유 정류장 | ||
안성(터미널) | ↔ | 이천(터미널) |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이천호국원 |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 신갈1리(상) 테루미앞(하) | |
두원공과대학교 | | |
죽산시장 | 제일은행.이천터미널 | |
일죽터미널 |
3. 역사
- 2023년 11월 13일에 개통되었다. 보도자료
- 2024년 4월 1일부터 일죽터미널, 이천호국원을 경유한다. 따라서 운행거리 증가로 인해 1일 15회에서 12회로 감편되었고, 이에 따라 배차간격도 60~80분 간격에서 80~90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1]
{{{#!folding [ 변경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 2024년 하반기 중 주말 배차간격이 1일 8회로 감회되었다.
- 2025년 3월 7일부터 평일 배차간격도 1일 8회로 감회되었다.
- 2025년 4월 1일부터 평일 배차간격이 1일 14회로 증회되었다.
4. 특징
- 37(-1)번, 26-1번, 101번과 같이 안성과 이천을 잇는다. 그러나 37번의 경우 국도를 이용하여 설성면, 장호원읍 등 이천 동남부 농어촌을, 26-1번은 단월동, 모가면 등 이천 남부 농어촌을, 101번은 마장면과 용인 백암면 등 용인 동남부와 이천 남서부 농어촌을 잇는 반면 이 노선은 이천 시내를 잇는다.[2]
- 안성과 이천시내의 거리는 안성과 여주 간 거리보다도 가깝지만, 시외버스 말고는 그동안 한 번에 이어주는 노선이 없어[3] 가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 노선의 개통으로 안성 시내/동안성과 이천 시내를 빠른 시간 안에 주파할 수 있게 된다.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의 죽산군 지역을 경유하는 최초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한때 중부고속도로 호법JC 이남(일죽IC~ 남이천IC)을 이용하는 최초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일죽면과 설성면을 경유하게 되면서 선형 문제로 고속도로를 미경유하게 되었다.
- 8201번 시간대를 놓쳤을 때, 공도 등을 제외한 안성 시내 안쪽이나 일죽, 동아방송대 등의 구간이 목적지일 경우 이천역으로 가서 경강선 환승으로 판교나 이매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서 바이패스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주박과 CNG 충전은 안성터미널에서 한다.
<rowcolor=#fff> 제일은행.이천터미널 방향 | 안성터미널 방향 |
이천역 방면 ICHEON | 안성터미널 방면 ANSEONG |
- 평택시 면허지만, 평택시를 경유하지 않는다. 그러나 안성시에서 보조금을 지원받았기 때문에 민영제로 우선 개통되었으며 추후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면 인면허기관이 안성시로 변경될 예정이다.
- 테루미앞/신갈1리 정류장 소재지인 신갈1리는 직행좌석버스가 정차할 만한 규모의 동네는 아니고, 실질적으로는 정류장 바로 남쪽의 테르메덴 수요를 노리는 정차이다.
- 수요가 많지 않다. 긴 배차 간격, 직행좌석버스 기반의 비싼 요금, 이천시와 안성시는 수도권 외곽의 도시로서 교류가 많지 않다는 점,[4] 안성시내 중심가까지 들어가지 않고 애매하게 안성종합버스터미널까지만 가는 선형으로 인한 이유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때에 따라 탐승객이 많기도 하는데, 주로 외국인 노동자들이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일죽, 죽산 등에서 이천 시내로 들어가는 노동자와 현충일시즌이 되면 이천호국원의 방문객이 늘며 20석 이상 차는 경우도 있다.
- 상술한 이유로 두 시내를 오가는 수요는 평택시로 환승하는 수요를 포함해 대당 10명 정도이고,[5] 그 외에는 수요 대다수가 이천터미널 - 이천역 - 테루미(신갈1리) 구간의 중간 수요에서 나온다. 이천시 면허의 일반시내버스보다 이 버스의 배차간격이 그나마 짧기 때문.[6]
- 죽산면에서는 죽산시외버스터미널이 아닌 죽산시장만을 경유한다. 따라서 진천착발 시외버스나 죽산터미널을 기점으로 하는 일부 시내버스와는 바로 연계되지 않는다.
4.1. 시간표
평택 버스 8203번 운행시간표 2025년 4월 1일 기준 / 출처 | |||||||||||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 평일 | 주말/공휴일 | |||||||||
횟수 | 안성터미널 | 이천터미널 (제일은행) | 횟수 | 안성터미널 | 이천터미널 (제일은행) | ||||||
1 | 05:00 | 06:20 | 1 | 05:00 | 06:20 | ||||||
2 | 06:00 | 도착 후 회차 (약 60~100분 간격) | 2 | 07:20 | 도착 후 회차 (약 120~140분 간격) | ||||||
3 | 07:40 | 3 | 09:40 | ||||||||
4 | 08:50 | 4 | 12:00 | ||||||||
5 | 09:50 | 5 | 14:20 | ||||||||
6 | 11:30 | 6 | 16:40 | ||||||||
7 | 12:40 | 7 | 19:00 | ||||||||
8 | 13:40 | 8 | 21:00 | 22:20 | |||||||
9 | 15:20 | ||||||||||
10 | 16:30 | ||||||||||
11 | 17:30 | ||||||||||
12 | 19:00 | ||||||||||
13 | 20:00 | ||||||||||
14 | 21:00 | 22:20 |
4.2. 노선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제일은행.이천터미널 32097 | |||||
이천사거리(경유) 미정차 | ↓ | ↑ | ||||
이천역 32514 | 이천역 32514 | |||||
태루미앞 32300 | ↓ | ↑ | 신갈1리 32829 | |||
이천호국원앞 51113 | 이천호국원앞 51010 | |||||
일죽터미널 34515 | ↓ | ↑ | 일죽터미널 34515 | |||
죽산시장 33309 | 죽산시장 33307 | |||||
두원공과대학 33544 | ↓ | ↑ | 두원공과대학 33544 |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33243 | 동아방송예술대학교 33478 | |||||
안성종합버스터미널(시외버스) 34711 · 34712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E2737><colcolor=#fff> | <colcolor=#fff><colbgcolor=#EE2737> 고양 | 1001[통] · 3300[공] · |
| 광주[미] | 3200[공][통] · · · · | |
| 김포 | 9000[공] · 9008[통] | |
| 부천 | ||
| 성남 | · · · · | |
| 수원 | · · · · · · · · | |
| 시흥 | · · 3401[통] · | |
| 안산 | · · · | |
| 안성 | · · | |
| 양주 | ||
| 연천 | ||
| 용인 | · | |
| 파주 | ||
| 평택 | · · · 8203[미] · 8204[미] | |
| 하남 | 3000[통] | |
| 화성 | · · · · · | |
[공] 공항버스 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통] 서울시를 경유하나 정류장이 없는 경우 |
{{{#!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003379>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일반 | 시내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일노선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ee2737> | <colcolor=#fff><colbgcolor=#ee2737>가평 | · · |
고양 | 1000[2] · · · · | ||
광주 | · | ||
김포 | · | ||
수원 | · · | ||
안산 | · · | ||
용인 | · · | ||
파주 | · · 9710-1[2] | ||
기타 | · · [미] · |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미] 면허지 미경유 | }}}}}}}}} |
[1] 5월 16일 부터는 천안-안성-이천 직행시외가 안성부터는 이 노선하고 동일하게 편성되어 기존 운행하던 직행시외노선이 이제 안성으로 단축하거나 원주 쪽으로 변경되고 천안-이천 직행 시외는 모두 폐선되었다. 따라서 공도에서 이천 이동시 안성종합버스터미널에서 이 노선을 타라는 쪽지가 붙어있다. 천안-이천 직행 시외 운행 당시에는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두원공대, 이천 신갈1리, 이천역만 경유 안했을 뿐이지 이 노선하고 완전 똑같다.[2] 천안에서 안성, 일죽을 거쳐 이천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도 있지만 문제는 중간경유지가 많고 시외버스의 국도 운임체계 때문에 비싸다. 그래서 천안에서 이천 이동시 천안 201번을 이용해 안성 시내로 간 뒤 안성터미널로 이동해 이 노선을 타고 가면 알뜰해진다. 다만 직행 시외버스의 소요시간은 1시간 45분 내외지만 이 경로는 환승 대기시간까지 2시간 넘게 걸리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3] 최소 죽산까지 가서 환승해야 했다. 안성시내에서 37(-1), 370, 380번을 타고 죽산까지 가서 26-1번으로 환승하는게 최단경로였으며 이마저도 안된다면 설성, 장호원이나 용인에서 한 번 갈아타야 했다. 이 방법은 경로상의 상당한 굴곡을 낳는다.[4] 이천시는 경강선 연선 도시(광주시, 성남시, 여주시) 및 용인시와, 안성시는 평택시, 천안시와 주로 교류하지 서로간의 교류는 거의 없다. 두 도시가 경계를 맞대고 있긴 하나 둘 다 시에서는 외곽에 속하는 이천시 남부 농촌&일죽면이 경계를 맞대고 있을 뿐 두 시내간의 거리는 상당히 멀다. 이런 이유로 이천과 안성을 잇는 노선도 죽산까지만 가는 26-1번 밖에 없었다.[5] 특히 이천역에서는 안성공단에서 일하는 외국인들이 많이 타기도 한다.[6] 고정 배차인 26-1번은 운행 횟수가 6회로 8203번의 절반이며, 나머지 노선들은 지선으로써 첫차/막차 시간에 1~2회만 운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