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3 07:17:04

패왕색 패기


파일:원피스공식로고.svg
원피스의 패기
무장색 패기 패왕색 패기 견문색 패기
패왕색 패기
覇王色の覇気 / Conqueror's Haki
[1]
파일:luffy haki02.gif
'밀짚모자' 몽키 D. 루피
파일:샹크스패기.gif
'빨간 머리' 샹크스

1. 개요2. 능력3. 단계4. 응용
4.1. 패왕색 휘감기
4.1.1. 연출 논란
4.2. 견문색 무력화4.3. 악마의 열매 능력 억제4.4. 재생 능력 억제4.5. 그 외
5. 패왕색 발현자 목록6. 발현 조건7. 기타

1. 개요

만화 원피스에 등장하는 특수능력. 패기의 일종이다.

수백만 명 중 한 명만 소유한 선택받은 자의 패기.[2] 다른 이의 위에 설 수 있는 '왕의 자질'이라고도 부르며, 세상에 크게 이름을 떨치는 인물은 거의 이 자질을 지니고 있다. 상대를 위압하는 힘이자 사용자의 기백 그 자체다.

자질의 차이는 있으나 수련을 하면 누구나 배울 수 있는 무장색 패기[3]나 강함과 상관 없이 깨우칠 수 있는 견문색 패기[4]와 다르게 패왕색은 오로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던 이들만 사용할 수 있으며, 모두가 세계에 이름을 떨치는 강자들이다.[5] 또한 이 패기는 순수히 자기 자신의 기백을 강하게 내뿜는 것이기 때문에 견문색, 무장색과 달리 수련을 한다고 해서 패왕색 패기의 위력을 강화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오직 자신의 심신이 강해지는 것으로만 그 위력이 커진다.[6] 다만 훈련과 실전을 통해서 숙련도를 높일 수 있다.

공식 설정상, 패왕색은 초기에 무형의 파동처럼 연출되었는데 드레스로자 편부터 점차 검은 번개의 형태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검은 번개는 단순한 독자용 연출이 아닌, 작중 등장 인물들 역시 인지하는 실체로 그려진다. 또한 비브르카드 설정집에서도 검은 번개/섬광이 패왕색의 시각적 표현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연출은 패왕색 충돌로 나타나며 발생 조건은 두가지로 구분된다.#

원작을 본 독자는 작가가 커다란 한 컷에 담아서 보여주기 때문에 패왕색 패기 공격이 눈 깜짝할 새에 빠르게 일어나며, 한 순간에 많은 사람이 동시에 쓰러진다고 느끼게 된다. 그에 비해 애니에서는 특유의 시간 끌기로 인해 앞에서부터 한 명 한 명 느리게 쓰러지는 데다 빛 효과 때문에 원작을 봤다가 애니를 본 경우 느릿느릿 빔 같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2. 능력

파일:루피 패왕색 리마.gif
패왕색으로 5만 명을 기절시키는 루피[7]

자신의 기백 그 자체를 발산해 상대를 위압하는 힘이다. 패왕색 패기를 내뿜으면 그 기백에 압도되는 자, 즉 힘의 차이가 너무 큰 약자는 그 자리에서 졸도한다. 위력은 단순히 숫자 단위로 나타낼 수 없으며, 그 자리에 약한 적이 몇 명이나 있는지가 문제다.[8] 가령 루피신 어인 해적단의 10만 대군을 상대로 패왕색을 내뿜어 5만 명을 기절시켰지만, 샹크스레일리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10만 명 전원을 쓰러뜨렸을지도 모른다고 한다.[9]

이러한 특성 때문에 광역기나 다름없는 패왕색 앞에서는 인해전술 자체가 무의미하다. 어중간한 역량의 병력은 아무리 많아도 한 방에 다 쓸려나갈 뿐이다.[10] 이는 보통 매체에서 아무리 강적이라도 끝없이 지치게 만드는 소모전을 유도하는 물량 앞에 장사 없다는 클리셰를 확실하게 비튼 셈이다.[11] 그나마 이보다 훨씬 더 많은 물량을 퍼붓는다면 패왕색도 소용없을 수 있겠지만, 원피스 세계관에서 10만 그 이상의 물량을 확보하는 건 사황이나 세계정부 조차 거의 불가능에 가까우며, 앞서 언급했듯 현상금 4억 수준의 해적 하나가 내뿜은 패왕색 하나로 무려 5만명이 기절한 것을 보면 사실상 이론상의 전술에 불과하다.[12]

당연히 물량전 앞에서 패왕색을 쓰고 안 쓰고는 천지차이다. 정상전쟁의 흰수염은 패왕색을 컨디션 문제로 쓰지 못해 수 만명의 해군 장교를 오로지 체술과 열매 능력만으로 쓸어버려야 했다. 물론 각자 해적, 해군의 정점으로 불렸던만큼 순조롭게 양학했지만, 압도적인 물량으로 밀어붙혀 다구리를 치니 이들이라도 체력을 상당히 허비해야 했고 이후 중요한 간부전, 네임드와의 싸움에서 위기에 몰리는 발판 중 하나가 됐다.

또한 강적과의 싸움에 앞서 방해꾼의 개입을 사전에 방지할 때도 유용하다. 가령 루피와 샬롯 카타쿠리는 패왕색으로 시끄러운 외야를 정리했다.

반대로 말하면 자신의 패왕색 패기를 버틴 상대는 어느 정도 격이 있는 상대라고 볼 수 있다. 그야말로 패왕의 패기라는 이름에 걸맞게, 자신에게 도전할 자격이 있는 전사들을 선별하는 능력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아마존 릴리에서 루피가 무의식적으로 패왕색을 사용했을 때 객석에 있던 약한 전사들은 기절했지만, 간부급인 보아 썬더소니아보아 마리골드 자매는 몸이 조금 저릿한 정도에 그쳤다. 이런 상대는 당연히 또 버틸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다시 쓰지 않는다. 샤봉디 제도에서 최악의 세대들도 레일리가 뿜어대는 패왕색 패기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13] 또한 경매장에서 케이미를 구하기위해 레일리가 위력을 줄인 패기를 발산했을때 우솝은 살짝 어지러운 느낌이 들었지만 일단 버텼고, 왜 갑자기 사람들이 왜 다 쓰러져있냐고 반문하는 모습에서 2년전 우솝도 나름대로는 그 당시에도 산전수전 다 겪은 훌륭한 전사였다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다.

별도로 단련하지 않으면 주위에 있는 무관한 사람까지 위압하기 때문에 완전히 제어할 수 없다면 함부로 써선 안 된다.[14] 가령 루피가 정상전쟁에서 패왕색을 내뿜었을 때, 해군 뿐만 아니라 엄연히 루피의 아군인 임펠 다운 탈옥수 패거리들과 흰 수염 해적단에서도 루피의 패왕색을 버티지 못하고 기절하는 사람이 나왔다.

숙련되면 군중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상에게만 위압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15] 따라서 패왕색 사용자들에게는 머릿수만 채운 인해전술은 먹히지 않는다. 평소 같으면 아무리 상대할 가치가 없는 졸개라고 해도 몇천, 몇만을 상대하면 언젠가는 체력 소모와 부상 등이 쌓일 수밖에 없으며, 꼭 그 정도가 아니더라도 광역기를 가진 것이 아니라면 시간 벌이 정도는 할 수 있으니, 그것을 뒤엎는 건 굉장한 이점이다.[16]
파일:애니패왕색.gif
루피카이도의 패왕색 충돌[17]

그리고 패왕색의 소유자들이 서로에게 기백을 발산하거나, 격돌이 벌어지면 물리적 압력을 동반한 검붉은 충격파가 발생하는데, 이를 '패왕색의 충돌'이라고 부른다. 지금까지 등장한 패왕색의 충돌은 '뉴게이트 VS 샹크스', '루피 VS 칭자오', '루피 VS 도플라밍고', '루피 VS 카타쿠리', '샬롯 링링 VS 카이도', '오뎅 VS 뉴게이트', '로저 VS 뉴게이트', '루피 VS 카이도', '야마토 VS 카이도', '조로 VS 나스쥬로', ' '지벡 VS 하랄드' 총 열한 번이다. 이들 중 로저와 뉴게이트의 패왕색이 충돌했을 때는 엄청난 파괴력의 패왕색 파동이 발생하였고, 훗날 루피와 카이도가 이를 재현한다. 극장판까지 포함하면 '루피 VS 불릿'까지 열두 번. 또한 뉴게이트와 샹크스, 뉴게이트와 로저, 빅 맘과 카이도, 루피와 카이도는 각자 충돌시에 하늘을 갈라버렸다. 지벡과 하랄드는 아예 근방 5km를 초토화 시켜버렸다.

말 그대로 ‘기백’이기 때문에, 견문색 및 무장색과 달리 사용자의 몸이 성치 않아도 그 위력이 약해지지 않는다. 만신창이가 되어 손 하나 까딱할 수 없어도 일단 패왕색을 발하면 격이 떨어지는 상대는 무조건 기절한다. 루피는 해독할 방법이 없을 만큼 다양한 독에 중독된 상태에서도 무의식적으로 패왕색을 썼다. 갖가지 신경독에 중독되어 죽는 순간만 기다리고 있었던 당시 루피의 상태를 생각하면 그때 군대 울프 무리가 '싸울 필요도 없을 만큼 약한 적'이라고 보기 힘들지만, 루피가 멀쩡했다면 일일이 상대할 가치조차 없는 잡몹들이라 모두 기절한 것이다.[18] 또한 카이도의 뇌명팔괘에 맞고 기절한 상태에서도 자신을 끌고 가려는 백수 해적단의 졸개들을 기절시켰다.

기본적으로 발산 형태라는 특성 때문에 사정거리도 넓다. 어인섬에서 루피의 패왕색은 공코르드 광장 전역을 뒤덮었으며, 정상전쟁에서는 까마득하게 멀리 떨어져 있던 처형대 위의 병사들에게까지 패기가 닿았다. 샹크스는 와노쿠니 국외에서 국내에 있는 해군대장 아라마키를 마비시키는 어마어마한 위력과 사정거리를 선보였고, 필름 레드에서는 일부 중장들을 기절시키고 볼사리노잇쇼를 긴장하게 했다. 토프먼 워큐리 성은 요괴 형태로 변신한 뒤 패왕색이 담긴 괴성을 내질러 에그헤드 섬 전체와 인근 바다를 뒤흔들었고, 더불어 기어 5 루피조차 몸이 만화영화처럼 분해될 정도의 압력을 가했다. 조이보이의 패기가 담겨있는 에메트마리조아에 있는 조차 기백을 느낄 정도였다.[19] 조이보이보다 한 수 아랫격으로 보이는 임 또한 그 무지막지한 엘바프의 양계에서 명계에까지 도달할 정도의 범위를 자랑한다.

물론 앞서 말했듯이 사용하는데 미숙하면 피아식별을 못한다는 것과 패왕색에 버티는 자들에겐 위압감만 주고 별다른 피해가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후술할 '패왕색 휘감기'로 그 단점들을 상쇄할 수가 있다.

3. 단계

파일:패왕색 등급 블루딥.jpg
공식 가이드북 『블루 딥』에 따르면, 패왕색은 초급, 중급, 상급의 순서로 발전한다.

4. 응용

4.1. 패왕색 휘감기

파일:로흰 패휘감.gif
로저흰 수염의 패왕색 휘감기
몽키 D. 루피: "방금 네 공격을 보고 깨달았다. 패왕색도... 휘감을 수 있는 거지?"
카이도: "극소수의 강자만 말이다! 반송장 놈아!!"

선택받은 패기인 패왕색의 소유자들 중에서도 또 극소수의 강자들은 패왕색을 몸이나 무기에 휘감을 수 있다. 한국 팬들은 '패휘감'이라는 약칭으로 부른다.[27] 이전까지 패왕색은 다수의 잡졸들을 손 안대고 쓸어버릴 수 있는 광역기 또는 패왕색 보유자끼리 충돌 시 두 사람의 위엄을 과시하는[28] 연출기로만 보여졌으나, 패왕색을 직접적인 공격에 사용하는 패휘감이 나오면서 주가가 크게 올라갔다. 패왕색의 개념이 정립된지 10년 넘게 지나서야 패휘감이 등장한 것이다.

패왕색을 휘감으면 공격력이 크게 상승한다. 오니가시마 결전에서 이미 무장색 수련을 마친 루피도 간혹 유효타만 줄 뿐 카이도를 단독으로 상대하는 건 무리였으나, 패왕색을 휘감기 시작하자 공격력이 극도로 증폭되어 카이도와 대등하게 겨루는게 가능할만큼 급격히 강해졌다. 무장색 경화는 가장 먼저 단단함을 증가시킴으로써 도움을 주는 매커니즘이라면,[29] 패왕색 휘감기는 공격력을 한꺼번에 끌어올려주는 매커니즘이라고 할 수 있다.[30]

참고로 공격이 닿지 않는 것은 패왕색 휘감기가 아닌 무장색 패기 때문이다. 패휘감을 쓸 때마다 닿지 않는 연출이 나온 건 패휘감이 무장색을 강화시켰기 때문이다. 실제로 패휘감을 무의식적으로 사용한 루피는 카이도의 신체를 직접 타격했지만, 이후 패왕색 휘감기와 무장색을 동시에 사용하자 닿지 않는 공격을 구사했다. # 애니메이션에서는 무장색(유앵)을 사용할 때 벚꽃이 일렁이는 연출이 나오는데, 루피가 패왕색 휘감기를 사용한 장면에서 황금색 벚꽃이 흩날리는 연출로 무장색을 사용했음을 간접적으로 묘사했다. 원작에서 루피와 카이도의 마지막 대결 중 카이도가 화룡대거로 전신에 마그마 같은 불을 두르자 루피는 "만지지 않을 방법이라면 할아범에게 배웠다고!!" 라며 닿지 않는 공격이 패왕색이 아니라 무장색의 영역임을 확실하게 언급했다.

각자 패기의 숙련도가 달라 정확한 비교는 불가능 하지만, 패휘감 사용 조건인 (패왕색을 최상급으로 발전시킨) 극소수의 강자만이 가능하므로 '극소수의 강자'는 최소한 사최간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보인다. 와노쿠니 편에서의 조로는 패휘감을 익히고 그 전까지 속수무책으로 밀리던 사황 해적단 2인자에게 필살기 일격 대결을 펼쳐 일격에 승리했고, 야마토 역시 카이도를 붙들어 놓았으니 그 정도는 될 것이다.[31]

패휘감의 개념이 등장한 이후 작중에서 강적을 일격에 리타이어시킬 때는 패휘감이 동반된다. 카이도나 샹크스가 보여준 일격에 루피나 키드를 기절시키는 충격적인 공격력은 패휘감을 사용한 효과로, 루피 역시 패휘감을 터득하기 전에는 카이도의 일격을 직격으로 허용하면 즉시 기절하는 상황이었다.

또한, 패휘감을 쓰게 되면 평타라도 당연히 공격력은 크게 증가한다. 가령 야마토가 패휘감을 두른 금쇄봉으로 아라마키를 후려쳐 잠시 넘어뜨린 것이 예시. 이때는 아라마키도 머리를 문지르며 패기가 강하다고 언급했다.[32]

엘바프 편에서 밝혀진 사실이지만 패왕색 휘감기는 꼭 숙련도가 높아야만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다.[33] 패왕색 휘감기가 가능할 정도로 강해지는 것과 발상의 문제일 뿐[34], 딱히 패왕색 숙련 단계와는 관련이 없다. 이에 해당하는 극단적인 사례가 롤로노아 조로로 본능적으로 가능할 정도의 전투력을 가졌음에도 정작 자기가 패왕색을 쓸 수 있다는 사실조차 자각하지 못해 패왕색의 패기가 흘러나오는 수준으로 숙련도는 초급만도 못한 희귀한 사례다. 오죽하면 가반과 루피가 조로를 보고 어이없어 했을 정도인데, 이는 대부분의 패왕색 휘감기 사용자가 패왕색을 단련하면서 자연스럽게 상급 컨트롤 단계를 거치기 때문이다. 이는 엔마가 가진 사용자의 패기를 빨아들이는 능력에 조로가 저항하지 않고 순순히 체내의 모든 패기를 빨아들이게 했는데, 엔마가 이 때 조로의 잠재된 패왕색의 패기까지 빨아먹었고 그렇게 패기를 빨아먹히던 상태에서 조로가 모든 패기를 검 위에 두르니 패휘감이 자연스럽게 완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작중에서 기어 5 이전에 기어 4 루피가 패휘감을 사용할 경우, 오로성과 CP 공인으로 세계 톱클래스라는 표현까지 나온다.[35]

4.1.1. 연출 논란

파일:패휘감 설정집.jpg
패왕색 번개 묘사 및 설정 #[38]

패왕색 연출에 더해, 패휘감은 무장색 경화 여부와 상관없이 항상 검은 번개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현재까지 일관되게 나타나는 연출이다. 이에 비해 무장색은 경화를 해야만 검은 번개가 나타날 확률이 높아지며, 경화를 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둘 중 한 명만 패왕색을 지녔거나 아예 보유하지 않은 경우 발생하는 검은 번개는 무장색 충돌로 구분된다.

컬러가 아닌 흑백 연재본에서는 무장색 패기가 패왕색의 시각 효과인 검은 번개로 연출되는 경우가 있어, 와노쿠니 편 당시에는 "선이 굵고 공격 궤도를 따라 선이 따라오면 패왕색 휘감기, 선이 가늘고 궤도를 따라오지 않으면 무장색 경화"#라는 비교법이 돌기도 했으나, 100% 들어맞는 비교법은 아니다. 사실 패휘감 설정이 공개되기 전인 3부 중후반에도 무장색의 공격 이펙트가 패왕색의 시각 효과인 검은 번개로 묘사된 사례가 간혹 있었으며,[39] 당시에는 별다른 혼동은 없었다. 그러나 와노쿠니 편에서 패휘감 설정이 등장하면서부터 과거의 연출과 뒤섞여 해석되는 경우가 생겨, 무장색 번개와 패휘감 번개의 구분이 모호해졌고, 최종장에 이르러서는 신 캐릭터나 전투씬이 공개되지 않았던 기존 인물이 싸울 때 공격 이펙트에 검은 번개가 나오면, 해당 캐릭터의 패왕색 소유 여부를 단정하기 어려워 독자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 탓에 전세계의 독자들은 계속해서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의견이 전혀 작가의 귀에 안 들어가는 것인지, 연출이 변화될 기미는 여전히 보이지 않고 있는 상태라서 논란은 현재 진행형 상태다.

공식 컬러판에서 무장색의 번개 색은 검은색, ‘패왕색‘의 번개 색은 캐릭터의 고유 컬러에 맞춰 사용자마다 각기 다르게 연출되고[40] 무장색과 패휘감을 같이 사용할 경우, 번개 색은 검은색과 캐릭터 고유 컬러가 섞여서 나타난다. #[41] 또한 서로의 패왕색이 충돌할 때는 황금색 스파크가 튀거나 주위가 황금색으로 빛나는 걸로 연출된다. 애니에서의 패휘감 연출은 빛나는 오오라가 사용자의 전신을 휘감고,[42] 공격하는 부위에 검은 번개가 먹물처럼 흐르며, 충돌한 무기 사이에서는 굵은 전격이 사방으로 튄다. 패휘감 상태에서 충돌 시 하늘이 갈라질 정도의 엄청난 충격파가 발생하지만, 모든 패휘감이 이런 연출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며, 정상급 강자들이 패휘감을 써야만 이런 연출이 나오는 것으로 추정된다.

애니메이션에서 초기에는 패휘감의 시각효과가 검붉은색이었으나, 이후 애니메이션 1028화에서 루피의 패휘감이 황금색으로 나왔다. 헨리 서로우에 따르면 패왕색의 묘사는 황금색으로 정해져 있다고 하며 이것의 색을 변경할 예정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이펙트가 과하다는 지적을 들은 투용처토에이 애니메이션에 건의해 황금색 오오라의 밝기는 줄인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1033화부터 전신에 황금색이 감돌지만 패기가 밖으로 발산될 때는 로저와 뉴게이트처럼 검붉은 번개가 나오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설정 충돌로 지적받은 것을 커버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검붉은 번개가 굵게 흐르는건 모든 패휘감 사용자가 동일하지만, 전신에 감도는 오오라의 색깔은 각자 다르다. 야마토는 파란색, 카이도는 보라색, 루피는 황금색, 조로는 초록색이다.

와노쿠니 에피소드 이후, 최종장부터는 패휘감을 사용해도 황금색 오오라 이펙트는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43]

4.2. 견문색 무력화

파일:샹크스 견문살해.jpg
샹크스의 견문 살해

견문 살해 / [ruby(見聞, ruby=けんぶん)][ruby(殺, ruby=ごろ)]し / Observation Killing.

원피스 필름 레드의 개봉과 함께 처음 공개된 설정. 샹크스의 패왕색 패기는 상대방의 견문색을 무력화하는데, 이를 견문 살해(見聞殺し)[44]라고 부른다.

견문 살해를 사용하면 견문색의 최상위 능력인 미래예지마저 차단할 수 있다. 견문 살해가 가능하다고 밝혀진 인물은 현재까지는 샹크스가 유일하며, 아직 원리도 밝혀지지 않았다. 때문에 샹크스만의 기술인지, 패왕색을 단련하면 누구나 도달할 수 있는 경지인지, 또한 어느 수준의 강자에게까지 통하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다만, 후술되는 '열매 능력 무효화'가 순간적으로 많은 패기가 소모된다는 리스크가 있었기 때문에 굉장히 사기적인 능력으로 추정되는 견문 살해 역시도 큰 리스크가 있거나 허점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45]

4.3. 악마의 열매 능력 억제

파일:Haki_Forcing_Detransformation.webp
오로성 능력을 전원 해제시키는 조이보이의 패왕색
파일:greenbull transform.jpg
아라마키의 능력을 원거리에서 해제시키는 샹크스의 패왕색

고출력의 패왕색 패기는 정점급 악마의 열매 능력을 억제하기도 한다. 열매 능력은 아니지만 같은 기원의 힘을 통해 괴수로 변한 오로성은 그 어떤 공격에도 재생을 거듭하며 불사신이라고 불렸지만, 조이보이의 패왕색에 휩쓸리자 변신이 풀리며 무릎을 꿇고 헐떡거리는 등 무력화 되었다. 이와 동일하게 숲숲 열매의 능력으로 거대괴수로 변신한 아라마키가 소란을 피우자 샹크스는 섬 밖에서 원격으로 변신을 풀어버리며 위협했다.

'과잉 패기에는 능력이 통하지 않는다'의 연장선. 하지만 무장색을 이용한 능력 무효화와는 매커니즘이 조금 다르다. 능력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뿐인 무장색과는 달리, 패왕색을 이용하면 해루석처럼 상대방의 능력 자체에 간섭할 수 있다. 무장색이 방어적인 역할을 한다면 패왕색은 공격적인 역할을 하는 셈.

하지만 능력을 영구적으로 봉인하는 것은 아니며, 많은 양의 패기를 요구한다. 그 예로 조이보이는 자신의 최대급 패기를 담았고 샹크스는 출력을 너무 높여 아군에게 피해를 주었다.

다만 아직 초인계 열매의 능력을 무력화 시키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없어서[46] 어떤 식으로 나올지 불명이다. 그도 그럴게 동강동강열매라던지 베리어베리어열매처럼 몸의 일부가 서로 멀리 떨어져있다거나 패기 및 단순 무력에 무적에 가까운 열매도 무력화가 가능할지, 가능하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불분명하다.[47]

4.4. 재생 능력 억제

파일:가반_부천악.jpg
패왕색을 휘감은 공격을 사용해 소머즈의 재생을 지연시키는 스코퍼 가반

오로성, 신의 기사단은 특이한 재생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스코퍼 가반에 의하면 패왕색을 휘감은 공격으로 재생능력을 차단하고 피해를 줄 수 있다고 한다. 재생능력이 강점인 신의 기사단이 패왕색을 가진 사황과 충돌을 두려워하는 이유로 이것으로 보인다.[48]

그러나 가반의 공격에 당한 소머즈 성이 나중에 몸을 도로 재생시키는 모습이 나왔기 때문에, 재생을 영구적으로 억제하는 것은 아니며, 재생을 억제하는 정확한 원리와 메커니즘은 아직 불명이다.

4.5. 그 외

파일:패왕색 응용.gif

패왕색을 응용해 사용자의 의지와 물리력을 원격으로 행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와노쿠니에서는 샹크스가 원거리에서 쏘아낸 패왕색이 해군 대장 아라마키결박하고 고통을 주고, 마치 음성까지 전달되는 듯한 모습이 연출된다.[49] 역시나 정확한 원리는 불명이며, 주변에 있던 빨간머리 해적단 선원 중 일부는 샹크스의 패기를 견디지 못해 기절했다.

원피스 필름 레드에서는 샹크스가 불꽃에 패왕색을 더해 진한색의 푸른 불꽃으로 강화했다.[50]

또한 자신의 패왕색을 다른 공간 안에 저장한 뒤 타인에게 양도, 그 타인이 일회성이긴 하나 패왕색을 쓸 수 있게 만들 수 있다. 800년전의 인물 조이보이는 생전에 이미 다량의 패왕색 패기를 에메트의 체내의 매듭에 저장해 두었고, 훗날 에그 헤드 사건에서 에메트가 이 패왕색이 저장된 매듭을 풀고 해방시켜 오로성 전원을 일시적으로 무력화시켰다. 이는 하늘섬에서 보여준 매듭의 메커니즘에 이 능력을 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구 흑도를 만드는 방법이 이와 관련되어 있을 것이란 추측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것이 원리만 안다면 누구나 가능한 것인지 불명이며, 패왕색 패기만 저장할 수 있는지, 혹은 다른 일반 패기들도 저장이 가능한 것인지는 아직 불명이다.

5. 패왕색 발현자 목록

칭자오는 왕의 자질을 가진 자 따위는 이 바다에 지천으로 널렸다고 루피에게 일갈했지만, 엘바프 편 시점에서 패왕색이 있는 사람은 원작에서 27명, 미디어 믹스 오리지널까지 포함하면 29명밖에 없다. 그 가운데 사망자[51]를 빼면 21명.[52] '스무명 안팎이면 생각보다 많은 것 아닌가?' 싶을 수 있으나 원피스 세계관에서 견문색과 무장색은 기본 소양처럼 흔한 반면, 패왕색은 여전히 희귀하다. [53]

작품의 현재 시점에서 어떤 조직에 속한 2인자 혹은 그 외의 직책이 패왕색을 가진 경우는 다수 등장했지만 조직의 우두머리가 패왕색이 없는데 하급자가 패왕색이 있는 경우는 단 한 번도 등장한 적이 없다.[54] 패왕색을 가졌다는 것은 다른 이의 위에 설 수 있는 '왕의 자질'을 가진 사람이기 때문에 같은 왕의 자질을 가진 사람의 부하가 될지언정 왕의 자질이 없는 사람의 부하가 될 수 없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55][56]

또한 패왕색을 가진 지도자는 패왕색을 가진 사람을 아래로 잘 두지 않으려고 하고, 패왕색을 가진 2인자와는 부하관계가 아니라 거의 동등한 관계로 여기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면 골 D. 로저실버즈 레일리, 그리고 몽키 D. 루피롤로노아 조로는 부하와 동료 이상의 관계를 갖고 있다.[57] 물론 임과 록스, 샬롯 링링 같은 예외가 있긴하다. 각각 패왕색을 지닌 부하를 최소 1명 내지 5명까지도 보유했지만, 오로성은 임의 부하로서 임에게 절대적으로 충성하며 임은 오로성조차도 큰 실책을 저질렀던 경우 즉각 처형시키는 자이고, 샬롯 링링 역시 마찬가지이다. 록스는 패왕색을 가진 흰 수염, 카이도, 샬롯 링링과 거의 동등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리더는 분명히 록스였다.

작중에서 패왕색 패기로 누군가를 기절시킨 인물은 볼드체로, 패왕색 패기를 두른 인물은 노란색 배경으로 나타냈다. 원작 외에서만 남을 기절시킨 인물에는 ☆을, 원작 외에서만 패왕색 패기를 두른 인물에는 △를 표기했다.
<rowcolor=#fff> 이명 이름 비고 소속 그룹
밀짚모자 일당
밀짚모자 몽키 D. 루피 [58] 밀짚모자 일당 사황
(최악의 세대)
해적 사냥꾼[59] 롤로노아 조로 [60]
[61]
사황 최고 간부
(최악의 세대)
舊 로저 해적단
해적왕[62] 골 D. 로저 [63] 로저 해적단 해적왕
명왕[64] 실버즈 레일리 [65] 로저 해적단 부선장
산먹깨비[66] 스코퍼 가반 [67] 로저 해적단 항해사
舊 흰 수염 해적단
흰 수염[68] 에드워드 뉴게이트 [69] 흰 수염 해적단[70] 사황
불주먹 포트거스 D. 에이스 흰 수염 해적단[71] 사황 고위 간부[72]
빅 맘 해적단
빅 맘[73] 샬롯 링링 빅 맘 해적단[74] 사황
- 샬롯 카타쿠리 빅 맘 해적단 사황 최고 간부[75]
'''
백수 해적단
'''
백수[76] 카이도 [77] 백수 해적단[78] 사황
빨간 머리 해적단
빨간 머리 샹크스 [79] 빨간 머리 해적단[80] 사황
舊 왕의 부하 칠무해
해적 여제 보아 행콕 [81] 구사 해적단 왕의 부하 칠무해
천야차[82] 돈키호테 도플라밍고 돈키호테 패밀리
그 밖의 해적
캡틴 유스타스 키드 [83] 키드 해적단 최악의 세대
송곳[84] 칭자오 팔보수군 밀짚모자 대선단
- 코즈키 오뎅 [85] -[86] 다이묘[87]
오니히메[88] 야마토 [89] -[90] -
최초의 해적[91] 조이보이 [92] - -
-[93] 록스 D. 지벡 [94] 록스 해적단 -
해군
부처님 센고쿠 [95]
해군 본부 해군
해군의 영웅[96] 몽키 D. 가프 [97]
세계정부
세계 제일의 금기 [98] 세계의 왕 세계정부
봉희 토프먼 워큐리 성 [99] 오로성
이츠마데 마커스 마즈 성 [100]
규키 제이가르시아 새턴 성 [101]
바코츠 에단바론 V. 나스쥬로 성
샌드웜 셰퍼드 주. 피터 성
혁명군
세계 최악의 범죄자[102] 몽키 D. 드래곤 [103] 혁명군 본부[104] 혁명군
엘바프
- 하랄드 [105] 엘바프 前 엘바프 국왕
미디어 오리지널
괴물의 후계자 더글라스 불릿 -[106] -

6. 발현 조건

정상전쟁에서 루피의 패왕색이 발현했을 때 엠포리오 이반코프"어쩐지 사람을 끌어들인다 싶었어."라는 대사를 근거로[107] 패왕색을 일컫는 '왕의 자질'은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대표적으로 같은 시간대에서 가프가 루피를 필두로 하여 전 칠무해 징베와 엠포리오 이반코프 및 휘하 혁명군, 그리고 임펠 다운의 탈옥수들, 거기에 크로커다일까지 낀 후발 참전 세력을 보고 "최소한 이 전장에서만큼은 도저히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모인 세력이라고는 볼 수 없다." 고 말한 사례가 있다. 그러나 루피처럼 패왕색이 있는 도플라밍고는 사람을 끌어들이는 힘을 패왕색이 아니라 '특수한 힘'이라고 불렀다.[108] 또한 가공할 힘을 지니고 있다고 평한 미호크 역시 "능력이나 기술이 아니다."라고 말했다.[109] 그렇게 보면 패왕색이 사람을 끌어모으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사람을 끌어모으는 카리스마가 패왕색으로 발전한다고 생각할 만한 여지가 있다.

참고로 왕의 자질을 가진 이들이 소유한 것이지, 패왕색이 있다고 꼭 다른 사람의 리더는 아니다. 실버즈 레일리, 롤로노아 조로, 샬롯 카타쿠리, 코즈키 오뎅, 포트거스 D. 에이스, 칭자오, 오로성처럼 패왕색을 보유했음에도 타인의 아래에 있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이 중 칭자오를 제외한 전원의 리더 또한 패왕색 패기의 소유자이며, 칭자오의 경우 원래 자신이 두령이었다가 손자에게 '물려 준' 것이므로 논외다. 즉 패왕색 패기를 가진 자를 휘하에 부리려면 그 자신 역시도 패왕색 패기를 소유해야 함은 물론이고 그 역량 또한 훨씬 뛰어나야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110] 그마저도 레일리, 조로, 카타쿠리는 집단의 2인자의 위치로 자신의 선장 외의 인물들을 이끄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에이스와 오뎅은 스스로의 집단에서 리더였던 적이 있다.

반면 남들 위에 서는 것을 선호하지 않을 경우 아무리 강자라도 패왕색이 발현하지는 않는다. 대표적인 인물이 쥬라큘 미호크로, 샹크스의 라이벌이고 현상금도 샹크스에 맞먹지만 누군가를 이끌지 않으며 조용한 삶을 원하는 등 왕의 자질과는 거리가 멀다. 다만 원한다면 얼마든지 왕이 될 수 있다는 점과 최종장 들어서서 최상위권 강자들은 패왕색이 거의 기본이나 다름없어서 이쪽도 나중엔 패왕색을 장착하고 나올 거란 추측도 많다. 미호크와 마찬가지로 세계최강급 반열의 강자면서 단 한번도 패왕색을 사용하는 모습이 직접적으로 묘사된 적이 없고, 남들 위에 서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 성향인 몽키 D. 가프가 패왕색 보유자로 드러나기도 했다.[111] 미호크는 따지고 보면 전력으로 싸우는 장면이 아직 안 나왔기 때문에 어떤 스타일인지는 아직 불명이다.

패왕색이 발현되는 나이도 제각각이다. 당장 루피만 해도 17세가 되서야 패왕색 초급 단계를 발현했다. 여담이지만 패왕색을 어린 나이에 각성한 경우 후에 상당한 강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어린 나이에 패왕색을 각성했다고 다 강자가 되는건 아닌데 포트거스 D. 에이스가 그 사례다. 10세의 나이에 패왕색을 각성했지만 다들 알다시피 그닥 강하지도 않았고 결국 허무하게 죽었다.

이외에도 패왕색이 유전되는 경우가 있는 듯 하다. 정상전쟁에서 루피가 패왕색을 발현하자 이반코프와 도베르만 중장은 드래곤의 아들이니 당연하다고 반응했고 가프도 역시 지니고 태어났다며 크게 동요하지 않은 것에서 알 수 있다. 물론 빅 맘의 많은 자식들 중 카타쿠리를 제외하면 패왕색을 가진 자식이 없으니 무조건이라고 보기엔 애매하다. 작중 예시는 가프 → 드래곤 → 루피, 링링 → 카타쿠리, 로저 → 에이스, 카이도 → 야마토 등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록스의 아들인 검은수염 마샬 D. 티치도 사실 패왕색 패기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112] 이로 인해 코즈키 모모노스케도 추후 패왕색을 발현할 것으로 보고 있기도 하다.[113]

7. 기타


[1] 해외에서는 Color of Conqueror, 줄여서 CoC 라고 부른다. 패왕색 휘감기 등의 '패왕색 각성'은 Advanced Conqueror Haki, 줄여서 ACoC 라고 부른다.[2] 출처: 원피스 53권.[3] 대표적으로 구성원 전원이 무장색 패기 사용자인 구사 해적단이나 이름 없는 위관~영관 장교들이 떼거리로 등장해서 무장색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 해군이 있다.[4] 모모노스케, 우솝, 레베카, 아이사, 오토히메 등. 지금은 어마어마하게 강해졌지만, 그다지 강하지 않던 상사 시절의 코비 역시 무장색보다 견문색을 먼저 습득했다.[5] 현재까지 패왕색을 가진 인물들 중 가장 약한 인물은 포트거스 D. 에이스돈키호테 도플라밍고, 돈 칭자오 정도인데 에이스는 생전에도 칠무해인 징베와 무승부를 냈으며, 사황 간부이긴 했지만 그가 골 D. 로저의 아들이란 걸 생각하면 일찍 죽어서 그 정도에 그쳤을 뿐 성장 가능성 자체는 엄청났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루피가 17살에 처음 쓴 패왕색을 에이스는 10살 때 처음 썼다. 도플라밍고의 경우는 당시 같은 칠무해인 로를 압도했었다. 칭자오는 늙어서 약해진 것이고 젊을 때는 가프의 라이벌이었을 정도의 괴물이었으므로 논외. 즉 패왕색 사용자는 하한선이 칠무해 급 이상이다. 심지어 세계정부 최고 권력자인 오로성도 패왕색 사용자인 것으로 드러났다.[6] 출처: 원피스 블루 딥. 여기서 '심신의 강함'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는 불명. 비무장 상태에서는 약하던 패기가 무기 든다고 강해지는 건 뭔가 이상하니 맨몸의 강함만이 기준으로 보이지만, 악마의 열매 능력도 패왕색의 힘과 상관관계를 가지는 '강함'에 포함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카이도의 말에 따르면 열매의 '각성' 역시 심신이 열매를 따라잡았을 때 도달하는 경지라고 하니, 강한 패왕색,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휘감기가 가능하고 상급 수준의 패왕색을 지닌 능력자라면 높은 확률로 열매 각성 능력자일 것이다. 즉 부분적인 상관관계는 있다는 것.[7] NEW-어인섬 편 SPECIAL EDITED VER에서 추가 된 연출이다. 그전엔 아무런 이펙트도 없었고 방출 시간과 적들의 녹다운도 더 길게 연출되었다.[8] 이스트 블루의 잡범이라면 10만, 100만명이라도 기절시킬 수 있겠지만, 상대가 칠무해라면 1명도 기절시키지 못할 것이다.[9] 단행본 65권 SBS.[10] 때문에 정상전쟁에서도 부사관 이하의 하급 병사는 아예 참전도 시키지 않았다. 전투 불능이 된 생존자를 수습하는데 소모되는 인력을 생각하면 아무나 참전시키는 게 훨씬 더 큰 손해를 보게 된다. 심지어 이랬는데도 해군은 당시 사황은커녕 기껏해야 루키인 루피의 패왕색에 기절하는 인원이 나오는 등 엄청난 피해를 입었다. 그나마 뉴게이트가 노화와 지병으로 인해 패왕색을 쓰지 못하는 너프를 당했으니 망정이지 뉴게이트가 컨디션 최고인 상태에서 건재하게 패왕색을 쓸 수 있었다면 진작에 중장 밑으로 죄다 패왕색에 쓸려나갔을 것이다.[11] 특히 원피스 세계관에는 총이 존재하며 그 총이 효율이 나쁜 무기도 아니다. 당장 유명한 저격수들도 있으며 말단 병사들에게 다수 모아서 그들에게 총을 쥐어준다면 엄청난 전력이 될 테고 결국 총을 가장 많이 보유할 수 있는 해군이 작중 최강이어야 한다. 하지만 패왕색 패기의 존재로 이런 단순히 숫자만 많으면 유리한 구도는 깨지게 되었다.[12] 사실 10만명을 투입했는데 패왕색 때문에 죄다 쓰러졌다면 20만을 투입했는데 된다는 보장도 없다. 거기다 패왕색을 두 번 쓰지 못한다는 법이 있는지, 패왕색의 범위가 두 배가 될 지 아닐지도 알 수 없다는 점도 문제. 이미 일반 병사 10만명을 패기로 쓰러뜨릴 수 있다면 그 이상은 사실상 의미 자체가 없는 셈이다.[13] 당시 레일리는 최악의 세대들이 자신의 패왕색에도 멀쩡한 것을 보고 보통내기가 아니라고 감탄했다.[14] 출처: 61권 SBS.[15] 사실상 첫 피로연인 옥션에서 레일리가 밀짚모자 일당을 제외하고 사용했으며, 신세계 편 시작 후 루피가 가짜 밀짚모자 일당만 골라서 기절 시키고 신 어인 해적단과 붙을 때 공코르드 광장 전역에 패왕색을 뿜었지만 신 어인 해적단만 영향을 받았다.[16] 에니에스 로비에서 루피는 1만 명이나 되는 위병들을 상대하느라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만약 이때 패왕색 패기를 쓸 줄 알았다면 1만 명 전부를 쓰러트리고 곧장 나아갈 수도 있었을 것이다.[17] 단 이쪽은 각자 자신의 무기와 주먹에 패왕색을 휘감고 충돌한거다.[18] 몸 상태에 따라서 사용 자체가 불가능할 수는 있지만, 일단 발동만 한다면 피로나 부상이 누적된 상태에서도 잔챙이들을 제압할 수 있다. 군중에게 린치 당하다가 패왕색을 써 그들을 기절시킨 어린 도플라밍고는 만전 상태 기준으로도 자기보다 훨씬 강한 다 큰 어른들을 기절시켰고, 어린 에이스 또한 당시 기준으로 '상대할 가치도 없을 정도로 약하다' 고 말하기는 어려운 블루잼 일당을 제압한 적이 있다. 설정 오류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기백이나 심신의 강함이라는 표현을 생각하면 저 약자라는 말에는 외적인 힘 외에 정신력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19] 직접적으로 느낀건지, 조이보이의 패기에 역소환 당한 오로성을 통해 간접적으로 느낀건지는 불명이라, 실제로 마리조아까지 패기가 닿았는지는 알 수 없다.[20] 때문에 정상전쟁 중반 루피가 패왕색 패기를 쓴 것을 본 주변인들은 다들 놀랐지만 정작 루피 본인은 몰랐다.[21] 루피가 정상전쟁에서 에이스의 처형을 저지하기 위해 사용했을 때 적인 해군뿐만이 아니라 루피의 아군인 흰 수염 해적단과 임펠 다운 탈옥수들 중에서도 피해자가 나왔다.[22] 이런 특성 때문에 정상전쟁에서 해군본부는 강자로 여겨지는 전력만 마린포드에 집결시켰다. 단순히 머릿수 채우기로 숫자를 늘려봤자 의미가 없기 때문.[23] 당시 어인족과의 싸움에 10만명 정도 있었고 전력의 절반을 기절시키는 상황은 가히 경이로운 수준. 기본적으로 루피는 언더독인 경우가 많으므로 잡졸들을 해치우기 위해 패기를 낭비하면 정작 우두머리와 싸울 때 곤란에 처할 수 있다. 사실 그보다는 상대편에서 알아서 잡졸들을 내보내지 않거나 혹은 그만큼 잡졸들만 많은 세력 자체가 별로 없어서이기도 하다. 사실 패왕색 패기는 정신력이므로 체력처럼 얼마만큼 쓰면 얼마만큼 소모된다는 개념이 있는 건 아니고 적의 숫자에 상관없는 힘이므로 잡졸은 많이 내보낼수록 손해일 게 뻔하다.[24] 이 단계에 도달한 인물이 패기를 아주 강하게 방출하면 그 여파로 인해 아군이 휘말릴 수 있다. 샹크스가 해군 대장 아라마키를 위압하려고 패기를 발산했을 때 빨간 머리 해적단 신참 선원들까지 쓰러져 버리는 바람에 간부들이 샹크스를 말릴 정도였다.[25] 악마의 열매를 각성하는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카이도는 능력자의 심신이 열매의 능력을 따라잡았을때 각성한다고 했는데 소유자의 심신이 성장해야 강화되는 패왕색의 특성을 생각해보면 상급의 패왕색 사용자는 악마의 열매 능력을 각성할 수준이 된다는 말이 된다. 열매 각성 전에 카이도와 충돌했을 때도 패왕색 충돌로 하늘이 갈라졌고, 열매 각성 후에는 오니가시마 옥상에서 아래층까지 패왕색을 발산하여 카이도의 부하들을 기절시켰다. 카이도조차도 당황해서 뭐가 옥상에 있냐며 눈을 부릅떴다.[26] 다만 패왕색 휘감기는 어디까지나 응용이다. 위력이 늘어난다고 패기가 숙련되는 것이 아니라 패기를 제어하고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단계가 상급이다. 애초에 단순히 패기에 숙련된다고 해서 패왕색 휘감기가 된다면 카이도가 극소수의 강자만 가능하다고 할 리가 없다. 패왕색 휘감기는 숙련도에 상관없이 극도로 강해진 강자가 패왕색도 사용이 가능하다면 딸려오는 부가효과에 가깝다. 조로가 패왕색을 쓸 수 있다는 자각조차 없었음에도 염왕 삼도류로 패왕색 패기를 다룰 수 있던 것도 조로가 패왕색 휘감기가 가능할 수준으로 전투력이 강해진 것 때문이다.[27] 미래를 예지하는 견문색이나 내부에서 파괴하는 무장색처럼 이것도 공식 명칭이 없다. '패휘감'이라는 어감이 절묘해서 다른 캐릭터들의 강화 무기도 이렇게 부르는 경향이 생겼다. 나미휘감 등.[28] 흰 수염 vs 샹크스, 루피 vs 칭자오, 루피 vs 도플라밍고 등[29] 무장색의 패기를 초기에 설명할 때 강철 갑옷을 두르는 것과 같은 원리라 설명하였다.[30] 루피는 설정상으로도 패왕색 사용에 특화되어 있다고 할 만큼 패왕색에 재능이 있는 편이기에 이정도이지 다른 사람들도 단지 패휘감을 익힌 것만으로 루피처럼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줄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조로처럼 무장색 사용에 특화된 자도 패휘감을 사용하자 카이도와 킹의 내구력을 뚫고 대미지를 입힌 것을 볼 때, 패휘감이 사용자의 능력치를 크게 증폭시켜주는 것은 사실이다. 게다가 루피의 경우도 패휘감의 개념을 인지도 못하고 있어 가장 재능 있는 패기를 전투에 활용을 아예 안하고 있다가 갑자기 활용한 것이다. 상대하는 대상들도 최정상급의 인물들에 전투도 목숨을 걸고 싸우는 혈투를 짧은 기간 연전연속으로 하다보니 폭발적인 성장을 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보기 때문.[31] 다만 조로의 경우 향후 고점과 잠재력이 극소수의 반열에 들지 언정 현재는 그렇지 않기에 자의적으로 패왕색을 휘감는 경지는 아니고 엔마가 강제로 패기를 끌어다 쓸 때 잠재된 자신의 패왕색도 같이 끌어다 줌으로 자의적으로 패왕색 휘감기가 가능한 극소수 강자의 하한선은 현재 야마토로 추정 된다.[32] 이 탓에 나오는 지적 중 하나가 샬롯 링링이 자신에게 들러붙은 로를 공격할 때, 루피가 키자루를 공격했으나 가드에 막힐 때. 패휘감을 썼으면 더 수월하게 뚫을 수 있지 않냐는 것이다. 특히 근접전에선 빅 맘, 루피가 유리한 상황이었으니 패왕색으로 공격력을 높여도 아쉬울 게 없는 상황이었다. 때문에 빅 맘이든 루피든 패휘감을 상시로 두르고 날렸다면 더 수월하게 싸울 수 있지 않았느냐 싶은 여지를 남겼다.[33] 대표적으로 로저와 함께 누벼 패왕색 휘감기를 자주 접했을 가반이 조로를 보고 어이없는 케이스로 여겼다. 이를 보아 원피스 역사를 통틀어서 패왕색 숙련이 초급이자 본인이 자각도 못한 상태에서 패왕색 휘감기를 쓴 유일한 인물이 조로일 수도 있다.[34] 루피가 카이도에게 패왕색도 두를 수 있는 거지? 라고 묻자, 카이도는 극소수의 강자만 가능하다고 답했다. 즉, 패왕색 휘감기는 강하기만 하면 될 뿐 부가적인 특정 조건은 없다는 의미.[35] 지친 카이도에게도 여전히 미치지 못했지만, 작중 공인으로 세계 톱클래스급에 속할 수 있는 강자라는 표현이 나온 것이다. 하술된 패왕색 휘감기 사용자 목록을 보면 정말로 그 강함의 허용선이 엄청나게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36] 다만 조로는 엘바프 편인 1152화에서조차 해적왕 해적단 3인자이자 패왕색 소유자인 스코퍼 가반에게 패왕색이 있는 선원으로 지목된다. 조로는 자신이 패왕색을 지니고 있다는걸 지금까지도 몰랐으나 흘러나오던 패왕색을 보고 예전부터 조로가 패왕색 보유자라는걸 알고 있던 루피는 어떻게 조로 자신이 패왕색을 가지고 있는 걸 몰랐나며 어이없어 한다. 가반도 정색하면서 "패기는 인식하고 컨트롤할 수 있어야 비로소 힘인데 그런 상태로 사황인 선장을 지탱할 셈이냐"고 꾸짖었고, 이에 조로는 당황하며 사과한다.[37] 인지조차 못하고 있음에도 본능적으로 패왕색을 사용해 사최간인 킹을 쓰러트렸을 정도이니 조로가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다. 본디 패기란 인지 여부가 매우 중요한데, 선장인 루피만 봐도 패기에 대해 인지후 폭발적인 성장을 한 것을 보면 조로도 이제 막 인지한 것을 통해 폭발적인 성장의 가능성을 남긴 것이 되었다.[38] 비브르 카드 설정집과 원작 모두 패왕색의 시각 효과를 '검은 번개' 혹은 '검은 섬광'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작중 등장 인물들 또한 이를 패왕색으로 인식하고 있다.[39] 사보와 지저스 바제스의 격돌, 엘리자베로 2세의 킹 펀치[40] 로저, 흰수염, 샹크스, 루피빨간색, 빅 맘핑크색, 카이도야마토보라색, 오뎅자홍색, 조로녹색이다.[41] 로저, 흰수염, 가프, 오뎅, 루피는 검붉은색, 조로는 검은색 & 녹색으로 연출된다.[42] 오오라의 색도 사용자마다 다르게 연출된다.[43] 애니메이션 1093화에서 검은 수염과 로의 전투 장면에 빨간 이펙트가 등장하자, 해외 팬덤에서는 이들이 패왕색을 보유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원작에서는 이 빨간 이펙트가 흔들흔들 열매의 기술인 그러쉬의 균열 효과였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이를 패기처럼 연출하고, 균열 효과는 별도의 이펙트로 표현하면서 많은 팬들이 패기 연출로 오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출 방식 때문에 아직까지도 빨간 이펙트를 그러쉬의 균열 효과가 아닌 패기의 시각 효과로 착각하는 팬들이 적지 않다. 이에 한 팬이 애니메이터 뱅샹에게 문의한 결과, 그는 해당 장면의 콘티에 패왕색 보유나 사용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답했으며, 일반적으로 패휘감의 시각 효과는 검붉은색으로 표현된다고 덧붙였다.[44] 켄분 고로시 (견문색 죽이기)[45] '열매 능력 무효화'가 오로성이나 해군 대장 같은 정상급 강자에게도 통하려면 많은 패기가 필요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견문 살해' 역시 많은 양의 패기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패기는 소모된다는 설정상 견문살해를 오래 유지한채로 싸운다면 패기의 소모는 더욱 빨라진다.[46] 물론 오로성의 변신 능력은 동물계 악마의 열매능력이거나, 최종보스인 임에게서 비롯된, 열매섭취로 인한 능력보다 좀 더 근원적인 힘에 가깝게 묘사된다.[47] 사실 패왕색 패기는 특유의 위압감으로 열매 능력자에게 물리적 압력과 정신적 충격을 주어 일정 시간 악마의 열매 능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에 가깝다.[48] 오로성이 카이도가 해적-사무라이 연합에게 쓰러지지 않는다면, 와노쿠니를 점령할 계획을 취소하기로 했던 이유 역시 카이도의 강함도 강함이지만, 패왕색에 의한 재생능력 차단을 카이도 같은 강자가 쓸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으로 보인다.[49] 당시 아라마키는 와노쿠니 국내에 있었고 샹크스는 와노쿠니 국외 해역에 있었으니, 목소리가 들리기는커녕 서로의 모습도 보이지 않는 거리였다. 하지만 샹크스가 한 독백이 마치 아라마키에게 전달되는 듯한 연출이 나온다.[50] 이 공격의 이름은 해적무쌍 4에서 밝혀졌는데 그리폰의 상격이다.[51] 총 8명(골 D. 로저, 에드워드 뉴게이트, 포트거스 D. 에이스, 코즈키 오뎅, 조이보이, 제이가르시아 새턴 성, 록스 D. 지벡, 하랄드)[52] 미디어 오리지널 제외[53] 다만 카이도가 하는 말을 보면 이것조차도 쓸데없이 많은 수인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 수는 일반적으로 보면 극소수이지만 카이도나 칭자오(현 시점에선 노인이지만 전성기 땐 무려 가프와 겨룬 거물이었다.)같은 거물들 입장에선 귀찮을 정도로 많다고 볼 수 있다. 카이도는 칠무해인 도플라밍고조차 '약해서 딱하게 됐다'며 우습게 볼 정도 거물이다. 위에서 언급됐듯이 도플라밍고는 (아직 다 성장 못하고 죽은 에이스를 빼면) 패왕색 패기 사용자의 하한선인데, 도플라밍고는 일반적으로 보면 어마어마한 강자이지만 카이도 같은 세계구급 최강자 입장에선 '동등한 왕의 자질을 가졌다'고 볼 만한 인물은 아니다.[54] 대장 시절 센고쿠와 가프를 부하로 두고 있었던 원수 시절 콩이 있겠지만 밝혀진 게 워낙 없는 캐릭터기도 해서 확실히 없다고 밝혀진 적도 없고 앞으로 밝혀질지도 미지수다.[55] 위에 언급된 콩은 설령 패왕색이 없다고 밝혀져도 이런 설정에 어긋나지는 않는다. 콩과 센고쿠, 거프는 모두 해군 소속이며 콩이 센고쿠보다 경력이 오래됐기에 먼저 상위 직책에 오른 것이지 센고쿠가 콩 밑에 들어간 것은 아니다.[56] 같은 논리로 센고쿠와 거프가 신병 시절 그를 부하로 부렸을 선임 해군들 역시 그 위에 '군림'한 것은 아니다. 가프가 패왕색이 있는 원수인 센고쿠의 명령은 (설렁설렁하면서도) 일단 듣기는 하는 반면, 훨씬 더 선임인 콩 원수의 명령은 그냥 대놓고 무시하는 것을 보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57] 이런 경우 누군가 밑에 있을 자질이 아니라고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롤로노아 조로의 살기를 본 최악의 세대 '괴승' 우루지는 루피와 만나본 적도 없지만 조로가 남의 밑에 있을 녀석이 아니라며 루피의 역량을 고평가 했다. 야마토 역시 에이스에게 "이렇게 센 녀석이 선장조차 아니라니 납득이 안 돼."라는 평가를 들으며 조로와 더불어 작중 유이하게 선장이 아니란 게 의외라는 평가를 들었다. 다만 루피는 굳이 패왕색 패기 보유자가 아니더라도 마음에 드는 사람은 동료로 취급하지 누군가를 부하로 삼고자 하는 의지가 딱히 없다.[58] 처음으로 패왕색이라는 이름이 드러났다. 듀발의 물소 '모토바로'와 싸우면서 처음으로 패왕색을 사용했다. 이후 아마존 릴리, 임펠 다운, 정상전쟁에서 무의식적으로 패왕색을 사용했으며, 전후 실버즈 레일리의 지도를 받아 자신의 의지로 방출하는 경지까지 도달했다. 와노쿠니 편에서는 카이도와 공방을 벌이며 실마리를 잡아 공격에 패왕색을 담는 경지까지 성장했다.[59] 염왕[60] 출처: 1033화. 와노쿠니 편에서 처음 발현했으며, 그리고 스코퍼 가반이 인증해주었다. 패왕색 사용과 동시에 자신의 공격에 패왕색을 휘감는 경지를 터득했다. 패왕색이 오로지 사용자의 심신의 성장에 비례하여 강해진다는 걸 보면, 조로는 발현이 늦었을 뿐 이미 공격에 패왕색을 휘감는 수준이었단 말이 된다.[61] TVA 984화에서 패왕색이 좀 더 이른 시점에 나타난다.[62] 골드 로저[63] 구세대 최강의 패왕색 패기 보유자. 출처: 원피스 GREEN. 966화에서 흰 수염과 서로 패왕색 패기 충돌을 보여줬다.[64] 해적왕의 오른팔.[65] 패왕색 휘감기는 TVA 한정. 원작에선 패왕색은 뿜었지만, 검에 어떤 패기도 담지 않는 모습을 보였으나 TVA에서는 패왕색 패기를 담아서 티치에게 위협을 가하는 오리지널 장면이 추가됐다.[66] 해적왕의 왼팔.[67] 1148, 1149화에서 패왕색을 휘감아 셰퍼드 소머즈 성을 공격하고 두동강 냈다.[68] 세계 최강의 사나이(世界最強の男)[69] 출처: 58권. 966화에서 로저와 서로 패왕색 패기 충돌을 보여줬다. 또한 episode A에서 스페이드 해적단 선원들을 패기로 제압했다.[70]록스 해적단 (괴멸) → 흰 수염 해적단 (창설)[71] 舊 스페이드 해적단 (해체) → 흰 수염 해적단 (합류)[72] 흰 수염 해적단 2번대 대장.[73] 강철 풍선.[74]록스 해적단 (괴멸) → 빅 맘 해적단 (창설)[75] 스위트 장성.[76] 최강생물(最強生物)[77] 원피스 옐로우에 따르면 하늘을 가리는 것은 패기 때문이며, 작중에서 빅 맘과의 충돌에서 하늘마저 갈라버리는 패왕색의 충돌을 선보였다. 패왕색의 충돌이 나온 시점에서 패왕색 보유자인 것은 확정. 그리고 본인이 자주 쓰는 금쇄봉에 패왕색이 둘러졌다고 루피가 언급함으로 인해 확인사살이 되었다. 애니 1062화에서 과거 회상 때 해군들을 패왕색의 패기로 기절시켰다.[78] 前 보드카 왕국군 (탈주) → 舊 록스 해적단 (괴멸) → 백수 해적단 (창설)[79] 현세대 최강의 패왕색 패기 보유자. 작중 처음으로 패왕색의 묘사가 나온 인물이다. 작중 처음으로 견문 살해를 사용했으며, 1079화에선 패왕색을 휘감은 기술인 '카무사리'를 사용했다.[80]로저 해적단 (해산) → 빨간 머리 해적단 (창설)[81] 출처: 53권.[82] 악의 카리스마, 조커(JOKER)[83] 출처: 92권. TVA 오리지널로 백수 해적단의 잡졸들을 기절시켰다.[84] 돈(Don) 칭자오.[85] 출처: 92권.[86] 와노쿠니 (출국) → 前 흰 수염 해적단 (1년 임대, 미복귀) → 舊 로저 해적단 (1년 임차, 해산) → 와노쿠니 (귀국)[87] 前 '와노쿠니' 쿠리 다이묘, 前 '흰 수염 해적단' 2번대 대장.[88] 자칭 '코즈키 오뎅'[89] 출처 1024화.[90]백수 해적단 (탈퇴) → 와노쿠니.[91] 니카[92] 출처: 원피스 1122화. 원피스 역사상 최강의 패왕색 패기 보유자.[93] 해적왕 로저 시대 이전 세계 최강, 최악의 대해적[94] 출처: 원피스 1155화.[95] 출처: 비브르 카드 ~스타터 셋 Vol.2~[96] 주먹의 가프[97] 출처: 비브르 카드 해적섬의 격전! 해군 v.s 검은수염. 쿠잔과의 전투에서 패왕색을 휘감은 기술들을 사용했다.[98] 출처: 원피스 1150화[99] 출처: 원피스 1111화[100] 출처: 원피스 1115화[101] 출처: 원피스 1115화[102] 반역룡(反逆龍)[103] 출처: TVA 479화.[104] 해군 → 자용군 → 혁명군[105] 출처: 원피스 1155화.[106] 舊 갈츠포스 (괴멸) → 前 로저 해적단 (탈퇴) → 무소속.[107] 출처: 58권.[108] 출처: 75권(752화).[109] 출처: 57권.[110] 이 '역량'은 강함과는 큰 상관이 없다. 애초부터 패왕색 패기의 보유 여부부터가 강함과는 큰 상관이 없기도 하고, 작중 패왕색 패기를 가진 2인자가 누군가를 따를 때의 모습은 그 상대의 강함이 아니라 사상이나 인품을 본 것으로 묘사된다.[111] 다만 가프의 경우 스스로가 선호하지 않을 뿐이고 어쩌다보니 이끄는 인물들이 가득했지만 미호크는 사람을 따르게 하는 카리스마는 보여준 바 없고 항상 혼자 행동한다는 차이점이 있다.[112] 덩달아 하랄드의 자식인 로키도 패왕색을 갖고 있는게 아닌가는 의견도 있다.[113] 모모노스케는 육체만 숙성숙성 열매의 힘으로 28세지 정신은 8세라서 아직 멀었다. 루피도 17세가 되서야 초급 단계를 깨우쳤다.[114] 애초에 패왕색 패기 보유자들이 타인의 밑에 있는 것을 싫어하고 정점에 서고자 하는 욕구가 강한 것을 생각한다면 세계정부에 복속되어 충성하는 해군이 되고싶어 할리 만무하다.[115] 현재까지 패왕색 보유자가 모두 일정 이상(최소 현상금 5억대의 거물들. 돈키호테 도플라밍고의 경우 3억대지만, 칠무해 폐지 이전이라 현상금 상승이 정지했을 뿐 사황 간부급의 실력자였다.)의 강자라서 착각하기 쉽지만, 사실 패왕색의 보유 여부와 강함은 아무런 상관도 없다. 패왕색 보유 조건은 순전히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 뿐으로, 굳이 강하지 않더라도, 예를 들면 사실 지나가던 엑스트라 캐릭터 중에서도 싸움에 나서지 않아서 각성하지 못했을 뿐 패왕색 잠재력이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오로성이나 해군본부패왕색을 이미 각성하거나 무의식적으로나마 발현하기 시작한 인물이나 경계하지 잠재되어 있는 패왕색 보유자는 딱히 신경쓰지 않는다. 누구한테 잠재되어있을지도 모르는 능력인 탓에 일일히 찾아내기엔 밑도 끝도 없는데다, 잘못 건드려서 발현을 시켜버리기라도 하면 해군을 증오하는 각성자가 하나 더 늘어날 뿐으로, 오히려 긁어 부스럼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116] 이 때 에이스가 패왕색을 발산했을 때는 졸개들은 전부 쓰러뜨렸으나 블루잼 본인은 멀쩡했다. 블루잼은 현상금 1,430만 베리로, 이스트 블루 기준으론 나름 거물이었지만 그래봤자, 버기와 캡틴 크로보다 한 수 아래인 현상금이며, 780만 베리짜리 컬리 다단과 싸움 좀 하는 어린애 수준인 에이스에게 패배한 조무래기 범죄자일 뿐이다. 버기가 패왕색을 습득한다고 해도 억대 현상금을 상대하는데는 전혀 도움이 안된다.[117] 극장판 스탬피드에서도 불릿의 패왕색을 맞고도 진지한 표정으로 불릿에 대한 설명만 하는 걸 보면 진짜 면역에 가까운 내성이거나 불릿이 아직도 견습 막내라고 패기의 제외 대상으로 넣었거나 둘 중 하나다.[118] 패왕색과 강함은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없지만 상관관계는 크기 때문. 위대한 항로 후반부에서도 통할 정도로 강력한 패기를 갖출 정도면 이미 몸과 마음이 모두 단련된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패기(원피스)|패기(원피스)]]}}}{{{#!if external != "o"
[[패기(원피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패기(원피스)?uuid=2af11d5b-fa95-46e8-bb7b-dec9401a7dbc|r207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패기(원피스)?uuid=2af11d5b-fa95-46e8-bb7b-dec9401a7dbc#s-3.3|3.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패기(원피스)?from=207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패기(원피스)|패기(원피스)]]}}}{{{#!if external != "o"
[[패기(원피스)]]}}}}}}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패기(원피스)?uuid=2af11d5b-fa95-46e8-bb7b-dec9401a7dbc|r207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패기(원피스)?uuid=2af11d5b-fa95-46e8-bb7b-dec9401a7dbc#s-3.3|3.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패기(원피스)?from=207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