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4:32:38

파워풀 프로야구 2024-2025

파워프로 2024에서 넘어옴
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external/cdn.img-conv.gamerch.com/1413966958001.jpg
본가 시리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4
(1994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
(1995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3
(1996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4
(1997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5
(1998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6
(1999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7/결정판
(2000년, PS2)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8/결정판
(2001년, PS2)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결정판
(2002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
초결정판 2003 메모리얼
(2003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1/초결정판
(2004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2/결정판
(2005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3/결정판
(2006년, PS2)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4&Wii/결정판
(2007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5/
2009&NEXT
(2008/2009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0
(2010년, PS3/PSP)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1/결정판
(2011년, PS3/PSP)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2/결정판
(2012년, PS3/PSP/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3
(2013년, PS3/PSP/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4
(2014년, PS3/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6
(2016년, PS4/PS3/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8
(2018년, PS4/PS Vita)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0
(2020년, PS4/Switch)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2
(2022년, PS4/Switch)
파워풀 프로야구 2024-2025
(2024년, PS4/Switch)
서브 시리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5/'95 개막판
(1995년, PS1/SS)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6 개막판 (1996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6/'EX
(1996년, 시스템 573)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7 봄
(1997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7 개막판/S
(1997년, PS1/SS)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Basic판 98
(1998년, SFC)
파워프로 GB
(1998년, GB)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8 개막판/결정판
(1998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 개막판/결정판
(1999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Dreamcast Edition
(2000년, D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0
(2000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0 개막판/결정판
(2000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1/결정판
(2001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Basic판 2001
(2001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2 봄
(2002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Premium Edition
(2003년, PS1)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2006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2006년, PSP)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2
(2006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2
(2007년, PSP)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3
(2007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3
(2007년, PSP)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2009
(2007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4
(2009년, PSP)
파워프로 석세스 레전드
(2010년, PSP)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WBC 2013
(2013년, iOS/Android)
파워프로 스타디움
(2013년, PS3/PS Vita)
파워프로 사쿠사쿠세스
(2013년, iOS/Android)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
(2014년, iOS/Android)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BALL☆SPARK
(2016년, 아케이드)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석세스 스페셜
(2016년, PS4/PS3/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히어로즈
(2016년, 3DS)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eBASEBALL
(2019년, Switch)
WBSC eBASEBALL: POWER PROS
(2023년, PS4/Switch)
파워풀 프로야구 영관나인 크로스로드
(2023년, iOS/Android/NS)
기타 작품
모바일 파워풀 석세스
(2008년, 모바일)
파워풀 프로야구 KBO '09
(2009년, 모바일)
파워풀 프로야구 KBO '10
(2010년, 모바일)
파워풀 프로야구 파워풀 고교편
(2021년, WEB 애니메이션)
}}}}}}}}}
{{{#white パワフルプロ野球2024-2025
Power Pros 2024-2025
파워풀 프로야구 2024-2025}}}
표지 로고
파일:pkg_pawa2024.png 파일:logo_pawa2024.png
발매 2024년 7월 18일
제작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장르 야구·육성
플랫폼 Nintendo Switch / PlayStation 4
플레이 인원 Nintendo Switch
  • TV 모드 1~4人
  • 테이블 모드 1~4人
  • 휴대 모드 1人
PlayStation 4
  • 1~4人(온라인 시 1~2人)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 CERO A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오프닝3. 기타4. 발매 후 평가5. 게임 모드
5.1. 석세스 모드
5.1.1. 파워풀 퓨처즈 편5.1.2. 12구단 편
5.2. 영관 나인5.3. 페넌트레이트5.4. 파워페스5.5. 마이라이프5.6. 온라인 대전
6. 등장 인물
6.1. 석세스
6.1.1. 파워풀 퓨처즈 편6.1.2. 프로야구 12구단 편
6.2. 파워페스6.3. 마이라이프

[clearfix]

1. 개요

파워풀 프로야구 정규 시리즈 26번째 작품이자, 시리즈 30주년 기념작. PS4로는 다섯번째, Nintendo Switch로는 세번째 정규 시리즈이다.

캐치카피는 30년분의 파워풀을.

2. 오프닝



오프닝에 대한 상세한 분석
오프닝 제작은 KOO-KI에서 담당. 사토 나오유키가 오랜만에 오프닝 작곡을 담당했다. 보컬의 경우 전작의 판노 미미미에 이어 현역 여고생인 후지와라 비케이가 담당했다.[1]

30주년답게 레전드 선수들이 등장하며, 등장하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팀은 영상에 뜨는 로고를 기준으로 하며, 착용한 유니폼이 전신 구단이면 괄호로 처리한다.

3. 기타


==# 발매 전 정보 #==

4. 발매 후 평가

버그가 오픈 첫날부터 연이어 터져나오고 있어서 평가가 대단히 나쁘다. 영관나인에서 리셋 페널티를 했는데 탄도가 1에서 4로 변한다던가, 영관나인에서 아수에서 투수로 컨버트하면 터무니없이 성장한다던가의 버그 등이 가득하지만 그 중에서도 정점은 돈복사 버그. 파워프로 샵에서 특정 행동을 하면 오버플로우 현상이 발생.

특히 영관나인은 버그에 더해 밸런스 미스까지 겹쳐서 거의 플레이를 못 할 수준. 영관나인 이외 다른 모드에서도 유독 자동시합만 틀면 대량 실점으로 게임이 터져나가는 사례가 잦다.

이번 파워페스는 전작의 것에 비해 너무 개악되었다는 평이 대세. 질이 높다고 볼 수 없는 미니게임만 가득한지라 템포만 뚝뚝 끊기며, 대전 팀 고정 또한 마이너스 요소. 새 모드인 레전드 배틀 또한 템포가 너무 느려 지루하다는 평가가 많다. 별의별 기록 감상 및 보상을 얻을 수 있었던 파워 아레나 모드의 폐지도 불만요소 중 하나.

제작진들도 일련의 버그 사태를 신경쓰고 있는지 7월 25일에 사과문을 올리고 빠른 패치를 예고했고 위의 버그들은 1.02~1.04 업데이트로 상당수 해결했다.

신규 석세스의 경우 특이하게도 아르바이트 개념이 없고, 오로지 상대 팀들과의 대결에서 돈을 번다. 팬이 많아지면 랭크가 올라가는데 안타나 타점, 홈런 시에는 최저 랭크 D일 경우 100엔~200엔 이였던 것이 랭크 S 달성시 경우 400엔씩 올라가기도 한다.뭐 이런식으로 올라가며 경기 승리시 +@적게는 5천엔 많게는 2만엔 까지 수입을 올릴 수 있다. 더군다나 중간에는 히로인들이 등장해서 안타나 홈런을 치라는 퀘스트를 준다. 이것에 성공을 하면 스킬 코츠 레벨이 발동하여 능력치 포인트로 좀 더 저렴하게 찍는 것도 가능.

육성 난이도는 타자는 쉽지만 투수는 어렵다. 상대팀들 전부 가상의 팀인지라 전반적으로 타자들의 능력치가 매우 높아서 삐끗하면 얻어맞는다.

미래로 타임머신한다는 석세스 시나리오의 특성 때문에 애인후보를 마이라이프에서 계속 이어주는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12구단 시나리오의 애인후보도 마이라이프에서 계승 불가.

천장고교는 지난 작품과 똑같이 3학년 봄 전국대회 결승전 진출시 같은 BGM을 사용한다. 여름 결승전도 같이 공유, 교가도 똑같이 공유하지만 영관나인에서는 사용 불가능하다.

마이라이프 오리지널 팀 참가가 가능한 것 및 최대 16개 구단으로 플레이가 가능한 것과 LIVE 시나리오에서 새로 추가된 오리지널 시나리오 작성 기능은 평가가 좋다. 다만 마이라이프 오리지널 참가엔 이하의 제약이 따른다.
이외에도 마이라이프의 변동 사항이 많은 편.

5. 게임 모드

5.1. 석세스 모드

5.1.1. 파워풀 퓨처즈 편

본작의 메인이 되는 석세스 모드. 미래의 VR세계에서 야구를 한다는 스토리로 진행된다. 게이지를 모아 훈련 효율을 높히거나, 이 게이지를 400%까지 모아 30%의 높은 부상률을 가지는 대신 날짜와 체력 소모 없이 5회까지 훈련이 가능한 시스템, 여자친구를 통한 체력회복 등이 있어 능력치 올리는 것이 꽤 쉬운 편. 반면에 금색 특수능력은 원하는 것을 노리기가 다소 힘들다. 금색 특수능력은 여러번의 플레이로 원하는 금색 특수능력이 모인 계승선수를 만들어 그 선수에게서 전수받는 것을 권장. 혹은 석세스를 완료하면 주는 포인트를 모아 다른 유저가 업로드한 선수를 받아 계승선수로 써도 된다.
계승선수는 2년차에 등장해 팀원이 되며, 계승선수의 특수능력 힌트를 얻을 수 있고, 계승선수의 능력이 높을수록 같이 훈련할때의 능력 상승도 높아진다. 퓨처즈에는 일부 네임드 선수 외에는 능력이 낮은 모브 선수이니, 이런 선수들의 포지션을 계승선수로 채우면 플레이를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타고투저가 심한 편. 특히 계승선수가 등장하지 않는 1년차에는 엄청난 난타전으로 가기 쉽다. 거기다 아군, 퓨처즈는 타자진은 꽤 강력한편인데 투수진이 심하게 약해서 플레이어가 투수가 아니거나, 계승투수가 없다면 다량실점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점수를 뽑기도 쉬운편이니 뽑을 수 있을 때 점수를 뽑아두자.
투수 조작이 타자보다 어려운편이고, 특히 수비 조작이 매우 어려운 게임이라 수비턴은 익숙해지지 않으면 매우 힘들다. 루키 난이도까지는 오토로 수비를 해주지만, AI가 나빠 슬라이딩 캐치나 점프 캐치를 거의 하지 않고 수비 백업도 잘 하지 않아 뻔히 보이는 공을 놓치는 일이 많다. 그렇다고 수동으로 조작하면, 익숙해지기 전까진 이 AI보다도 못한 수비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노멀 난이도부터는 수동 수비를 해야하기 때문에, 난이도를 높힌다면 미리 조작연습이라도 하고 하는 것을 권장.
투수 조작을 제대로 하려면, 최소한 노멀 난이도부터는 저스트입력으로 나이스피칭이 발동하는 2번 누르기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되는데, 이게 또 난이도가 매우 높다. 왼손으로 아날로그 스틱을 조작해 공을 보낼 위치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오른손으로 저스트입력을 해야하는 시스템으로 타이밍이 크게 어긋나면 실투가 터진다. 이것도 연습만이 살길.
경기 개입 설정에는 자신의 타석/투구(일부 상황 한정), 찬스와 9회 이후, 찬스, 핀치와 9회 이후, 8회 이후 전부, 전부, 완전오토 이렇게 설정이 있는데 자신의 타석, 완전오토 외의 설정으로 하면 수비까지 전부 해야한다. 노멀 이상이라면 전부 수동 수비.

5.1.2. 12구단 편

5.2. 영관 나인

발매 초기에는 버그도 많고 밸런스도 엉망이라 제대로 플레이하는 것도 힘들 지경이었으며, 여러 번의 패치가 된 지금도 좋은 밸런스라고는 하기 힘든 상황. 그래도 일단은 플레이는 가능한 수준까지는 도달했다. 운이 매우 좋고 시스템을 다 꿰고 있다면 일단은 1년차에도 코시엔 우승은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3~5년 정도에 첫 우승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
가장 중요한 것은 시작 연도와 지역 설정으로, 이 설정을 이용해 강력한 전생프로(실존하는 프로 선수를 기반으로 한 신입생)를 뽑아 시작할 필요가 있다. 우승 신경 안 쓰고 10년이상 할 게 아니라면 전생프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로, 에이스 전생프로 투수로 1년차 5승을 해 아이템샵을 해금하는 것이 기본 스타트 조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특별히 원하는 선수가 없다면 추천 전생프로는 오타니 쇼헤이(大谷翔平, 2010년 스타트, 이와테), 이나오 카즈히사(稲尾和久, 1953년 스타트, 오이타), 카네다 마사이치(金田正一, 1949년, 아이치)의 3명 정도로 셋 다 강력한 투수라 중요한 첫 1년부터 에이스로 사용할 수 있다. 출신지의 학교수가 적어, 현대회가 5전으로 끝나고 능력도 좋으며 스테미나가 뛰어난 이나오가 가장 평가가 좋다. 카네다 마사이치는 접전지인 아이치 출신이라 6전이 필요하지만 2학년에 강력한 타자가 있으며 본인의 능력도 좋고 금색 특성이 2개나 달려 강력. 또한 1949 ~ 1951년의 3년간 학교 위치를 옮기며 다른 강력한 전생프로를 모을 수 있어 팀적으로도 강하다. 오래 플레이한다면 카네다 스타트로 1953년에 이나오를 노리는 것도 유효. 1951년에 본 게임 최강의 전생프로 포수인 노무라 카츠야(野村克也, 1951, 교토)가 등장하기에 이 흐름으로 얻게되면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주로 혹평을 받는 부분은 능력치와 별개로, 시스템적으로 조정되는 경기 흐름. 특히 경기 후반부의 플레이어가 지시를 할 수 있는 수비 턴에서 심하게 발생하는데, 이 타이밍에는 아군의 수비가 초반보다 현격히 나빠지고 에러가 다발하며, 상대 팀의 타자가 능력치 이상의 능력을 발휘하는 일이 잦다. 일본에서는 연타모드라고 부르며, 실제로 컨트롤A이상의 강력한 투수가 상대 미트G파워G선수에게 안타를 맞거나 심하면 홈런까지 얻어맞는다는 보고가 있을 지경. 여러 번의 패치로 이전보다는 줄어들었지만, 아직도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았다. 시스템적으로 후반에 위기를 만드는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

또한 전술의 성능차이가 너무 심하다. 타격 전술은 거의 굴리기 원툴. 때에 따라 스퀴즈도 강력하며, 장타를 노리는 세 가지 작전은 구리다. 그나마 밀어치기, 당겨치기는 능력치 높은 선수가 하면 활약하기도 하지만 가운데로 넘기는 전술은 그냥 쓰레기. 허구한날 유격~2루간으로 공을 굴려치고 스퀴즈만 줄창하는 플레이가 주가 된다.

5.3. 페넌트레이트

5.4. 파워페스

5.5. 마이라이프

5.6. 온라인 대전

6. 등장 인물[6]

6.1. 석세스

6.1.1. 파워풀 퓨처즈 편

6.1.2. 프로야구 12구단 편[13][14]

6.2. 파워페스

6.3. 마이라이프


[1] 판노 미미미는 2022에서 오프닝을 부를 당시 고3이었다. 이후 다음해에 고교 졸업.[2] 전신-후신 관계의 팀들을 제외하면 등장 선수들이 2명인 유일한 구단. 한 번에 ON콤비 2명이 동시에 등장한다.-ON콤비 중 1명만 넣기는 좀 그랬나 보다[3] 덤으로 모바일 캐릭터들 및 최근에 출시한 본가 석세스 캐릭터들도 재등장.[4] 파워프로 8의 석세스 모드의 무대인 도라후도(ドラフ島)의 오마주로 추정된다.[5] 악마성 시리즈알루카드, 트윈비 시리즈파스텔, 고에몽 시리즈고에몽 등.[6] 결승전 상대는 볼드체[7] 하야카와 아오이의 후손.[8] 토모자와 료의 후손.[9] 젠자이, 쿠로마메 아즈키의 후손.[10] 이카리 마모루의 손자.[스포일러] 사실은 이카리 마모루의 손녀. 본인은 순수하게 자신의 실력으로 인정받고 싶어했으나, 사람들은 자신을 마모루의 손녀로만 볼 뿐,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봐주지 않는 것 때문에, 일부러 메타얀스 아바타를 우락부락한 남자 캐릭터로 만들었다고 한다. 성우는 타카기 미유.[엔딩] 끝 무렵 현실로 돌아온 에필로그에서 등장, 대사 몇 마디만 하고 이벤트 없이 종료.[13] 2023년은 센트럴 리그 1위팀일본시리즈 우승을 하였음으로 "센트럴리그" 순으로 세리그 1위팀 ~ 6팀으로 기재합니다.[14] 괄호안은 시나리오의 부제[15] 토모자와 료의 부친.[16] 강아지 건다와 똑같다. 목걸이가 파랑색인 게 포인트.[17] 파워프로 모바일에 나오는 캐릭터로, 2022 마이라이프 히로인과는 다른 인물이다.[18] 모티브는 구단의 레전드인 다르빗슈 유를 채택한 듯.[19] 이노 이타루 육성 코치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