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8:35:31

헨리 존 템플

파머스턴 자작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12e, #01013a 20%, #01013a 80%, #01012e); color: #ffc224;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조지 1세
<rowcolor=#ffc224> 초대
로버트 월폴
조지 2세
<rowcolor=#ffc224>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로버트 월폴 스펜서 컴프턴 헨리 펠럼 토머스 펠럼홀스
<rowcolor=#ffc224> 제5대 제6대
윌리엄 캐번디시 토머스 펠럼홀스
조지 3세
<rowcolor=#ffc224>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토머스 펠럼홀스 존 스튜어트 조지 그렌빌
<rowcolor=#ffc224>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대 윌리엄 피트 오거스터스 피츠로이 프레더릭 노스
<rowcolor=#ffc224>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윌리엄 페티 소 윌리엄 피트 헨리 애딩턴
<rowcolor=#ffc224>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소 윌리엄 피트 윌리엄 그렌빌 스펜서 퍼시벌
<rowcolor=#ffc224> 제22대
조지 4세
<rowcolor=#ffc224>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조지 캐닝 F. J. 로빈슨 아서 웰즐리
윌리엄 4세
<rowcolor=#ffc224>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아서 웰즐리 찰스 그레이 윌리엄 램 아서 웰즐리
<rowcolor=#ffc224> 제29대 제30대
로버트 필 윌리엄 램
빅토리아
<rowcolor=#ffc224>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윌리엄 램 로버트 필 존 러셀
<rowcolor=#ffc224>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조지 해밀턴고든 헨리 존 템플 헨리 존 템플
<rowcolor=#ffc224>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존 러셀 벤저민 디즈레일리
<rowcolor=#ffc224>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벤저민 디즈레일리
<rowcolor=#ffc224>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아치볼드 프림로즈
에드워드 7세
<rowcolor=#ffc224>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아서 밸푸어 헨리 캠벨배너먼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조지 5세
<rowcolor=#ffc224>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앤드루 보너 로 스탠리 볼드윈
<rowcolor=#ffc224>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에드워드 8세
<rowcolor=#ffc224> 제59대
스탠리 볼드윈
조지 6세
<rowcolor=#ffc224>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윈스턴 처칠
<rowcolor=#ffc224> 제63대
윈스턴 처칠
엘리자베스 2세
<rowcolor=#ffc224>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윈스턴 처칠 앤서니 이든 해럴드 맥밀런 알렉 더글러스흄
<rowcolor=#ffc224>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해럴드 윌슨 해럴드 윌슨
<rowcolor=#ffc224>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마거릿 대처 존 메이저 토니 블레어 고든 브라운
<rowcolor=#ffc224>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데이비드 캐머런 테레사 메이 보리스 존슨 리즈 트러스
찰스 3세
<rowcolor=#ffc224> 제78대 제79대 제80대
리즈 트러스 리시 수낙 키어 스타머 }}}}}}}}}

헨리 존 템플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윌리엄 페티 토머스 타운젠드 프레더릭 노스 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토머스 타운젠드 윌리엄 그렌빌 헨리 던다스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토머스 펠럼 찰스 필립 요크 로버트 젠킨슨 조지 스펜서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로버트 젠킨슨 리처드 라이더 헨리 애딩턴 로버트 필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윌리엄 스터지스 본 헨리 페티피츠모리스 로버트 필 윌리엄 램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존 폰슨비 아서 웰즐리 헨리 골번 존 러셀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콘스탄틴 핍스 제임스 그레이엄 조지 그레이 스펜서 호레이쇼 월폴
<rowcolor=#fff>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헨리 존 템플 조지 그레이 스펜서 호레이쇼 월폴 토머스 소더론에스트코트
<rowcolor=#fff>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조지 콘월 루이스 조지 그레이 스펜서 호레이쇼 월폴 개손 개손하디
<rowcolor=#fff>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헨리 브루스 로버트 로우 R. A. 크로스 윌리엄 하코트
<rowcolor=#fff>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R. A. 크로스 휴 칠더스 헨리 매튜스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rowcolor=#fff>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매튜 화이트 리들리 찰스 리치 아레터스 아커스더글러스 허버트 글래드스턴
<rowcolor=#fff>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윈스턴 처칠 레지널드 맥케나 존 시먼 허버트 새뮤얼
<rowcolor=#fff>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조지 케이브 에드워드 쇼트 윌리엄 브리지먼 아서 헨더슨
<rowcolor=#fff>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윌리엄 조인슨힉스 존 로버트 클라인즈 허버트 새뮤얼 존 길모어
<rowcolor=#fff>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존 시먼 새뮤얼 호어 존 앤더슨 허버트 모리슨
<rowcolor=#fff>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8대
도널드 소머벨 제임스 처터 에데 데이비드 맥스웰 파이프 그윌림 로이드 조지
<rowcolor=#fff> 제69대 제70대 제71대 제72대
랩 벌터 헨리 브루크 프랭크 소스키스 로이 젠킨스
<rowcolor=#fff> 제73대 제74대 제75대 제76대
제임스 캘러헌 레지널드 머들링 로버트 카 로이 젠킨스
<rowcolor=#fff>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멀린 리스 윌리엄 화이트로 레온 브리탠 더글러스 허드
<rowcolor=#fff>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데이비드 워딩턴 케네스 베이커 케네스 클라크 마이클 하워드
<rowcolor=#fff> 제85대 제86대 제87대 제88대
잭 스트로 데이비드 블런켓 찰스 클라크 존 리드
<rowcolor=#fff> 제89대 제90대 제91대 제92대
재키 스미스 앨런 존슨 테레사 메이 앰버 루드
<rowcolor=#fff> 제93대 제94대 제95대 제96대
사지드 자비드 프리티 파텔 수엘라 브레이버먼 그랜트 섑스
<rowcolor=#fff> 제97대 제98대 제99대
수엘라 브레이버먼 제임스 클레벌리 이벳 쿠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국 외무부장관 (1782~1968)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찰스 제임스 폭스 토머스 로빈슨 찰스 제임스 폭스 조지 뉴전트템플그렌빌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프랜시스 오스번 윌리엄 그렌빌 로버트 젠킨슨 더들리 라이더
<rowcolor=#fff>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헨리 핍스 찰스 제임스 폭스 찰스 그레이 조지 캐닝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헨리 배스러스트 리처드 웰즐리 로버트 스튜어트 조지 캐닝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존 워드 조지 해밀턴고든 헨리 존 템플 아서 웰즐리
<rowcolor=#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헨리 존 템플 조지 해밀턴고든 헨리 존 템플 그렌빌 레베슨고어
<rowcolor=#fff>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임스 해리스 존 러셀 조지 빌리어스 제임스 해리스
<rowcolor=#fff>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존 러셀 조지 빌리어스 에드워드 스탠리 조지 빌리어스
<rowcolor=#fff>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그렌빌 레베슨고어 에드워드 스탠리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그렌빌 레베슨고어
<rowcolor=#fff>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아치볼드 프림로드 스태퍼드 노스코트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rowcolor=#fff>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아치볼드 프림로즈 존 우드하우스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헨리 페티피츠모리스
<rowcolor=#fff> 제45대 제46대 제47대 제48대
에드워드 그레이 아서 밸푸어 조지 커즌 램지 맥도널드
<rowcolor=#fff>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오스틴 체임벌린 아서 헨더슨 루처스 아이작스 존 시먼
<rowcolor=#fff> 제53대 제54대 제55대 제56대
새뮤얼 호어 앤서니 이든 에드워드 우드 앤서니 이든
<rowcolor=#fff>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어니스트 베빈 허버트 모리슨 앤서니 이든 해럴드 맥밀런
<rowcolor=#fff>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셀윈 로이드 알렉 더글러스흄 랩 벌터 패트릭 고든 워커
<rowcolor=#fff> 제65대 제66대 제67대
마이클 스튜어트 조지 브라운 마이클 스튜어트
영국 외무·영연방부 장관 (1968~2020)
<rowcolor=#fff>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마이클 스튜어트 알렉 더글러스흄 제임스 캘러헌 앤서니 크로스랜드
<rowcolor=#fff>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데이비드 오언 피터 캐링턴 프랜시스 핌 제프리 하우
<rowcolor=#fff>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존 메이저 더글러스 허드 맬컴 리프킨드 로빈 쿡
<rowcolor=#fff> 제79대 제80대 제81대 제82대
잭 스트로 마거릿 베케트 데이비드 밀리밴드 윌리엄 헤이그
<rowcolor=#fff> 제83대 제84대 제85대 제86대
필립 해먼드 보리스 존슨 제러미 헌트 도미닉 랍
영국 외무·영연방 및 개발부 장관 (2020~현재)
<rowcolor=#fff>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도미닉 랍 리즈 트러스 제임스 클레벌리 데이비드 캐머런
<rowcolor=#fff> 제90대
데이비드 래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앤서니 애슐리 쿠퍼 존 소머즈 찰스 타운센드 로버트 월폴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헨리 펠럼 토마스 펠럼홀스 오거스터스 피츠로이 찰스 왓슨웬트워스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찰스 제임스 폭스 윌리엄 그렌빌 찰스 그레이 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찰스 그레이 윌리엄 램 존 러셀 헨리 존 템플
토리당 당수
}}}
}}}}}} ||
영국 제35·37대 총리
파머스턴 자작
Rt Hon. The Viscount Palmerston
KG GCB PC FRS MP[1]
파일:Henry_John_Temple,_3rd_Viscount_Palmerston.jpg
<colbgcolor=#01013a><colcolor=#ffc224> 본명 헨리 존 템플
Henry John Temple
출생 1784년 10월 20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미들섹스 웨스트민스터
사망 1865년 10월 18일 (향년 80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하트퍼드셔 브로켓 홀
재임기간 제35대 총리
1855년 2월 6일 ~ 1858년 2월 19일
제37대 총리
1859년 6월 12일 ~ 1865년 10월 18일
서명
파일:헨리 존 템플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1013a><colcolor=#ffc224> 작위 3대 파머스턴 자작[2]
부모 아버지 2대 파머스턴 자작[3] 헨리 템플
어머니 메리 미
배우자 에밀리 램 자작부인 (1787~1869 / 결혼: 1839)
학력 에든버러 대학교 (정치경제학 / 중퇴)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학사)
정당
(1806~1830)
(1830~1859)
(1859~1865)
}}}}}}}}}
1. 개요2. 생애3. 평가

[clearfix]

1. 개요

We have no eternal allies, and we have no perpetual enemies. Our interests are eternal and perpetual, and those interests it is our duty to follow.
우리에겐 영원한 동맹도 없고, 영구한 적도 없다. 우리의 이익만이 영원하고 영구하며, 그 이익을 따르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의무이다.[4]
영국의 제35·37대 총리. 휘그당의 마지막 총리이자 자유당의 첫번째 총리. 19세기 중반에 걸쳐 1855년부터 1865년의 기간 동안 1년 정도의 공백을 두고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였다. 작위명을 따서 흔히 파머스턴 경으로도 불리는 헨리 존 템플은, 총리도 총리지만 외무장관으로 알려진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대영제국이 정점에 오른 시기인 처음 외무장관이 된 1830년부터 총리 재임 중 사망하는 1865년까지 이른바 포함외교 등을 통한 영국의 대외 정책을 주도했다고 평가받는다.

2. 생애

헨리 존 템플은 1784년 출생하여, 아버지 헨리 템플의 아일랜드 작위[5]를 이어 1802년 3대 파머스턴 자작이 되었다.

1807년 토리당 하원의원이 되었고, 1809년부터 1828년까지 그는 전시장관(Secretary at War)에 재임하여 군 재정을 담당했다. 그는 조지 캐닝이 총리가 된 1827년 처음 장관급 직위를 맡게 되었으나, 다른 친캐닝계 의원들(Canningites)처럼 1년 뒤 사임하게 된다.

1830년 휘그당으로 당적을 옮겼으며, 이때도 파머스턴은 1830년부터 1834년까지, 1835년부터 1841년까지, 1846년부터 1851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외무장관(Foreign Secretary)을 역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그는 외무부에서 유럽에서 연이어 발생한 충돌들을 효과적으로 대처했다.

1852년 애버딘 총리는 연립정부를 꾸렸다. 그런데 로버트 필 전 총리를 지지하던 의원들은 파머스턴이 아닌 존 러셀 전 총리가 외무장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파머스턴에게 그 대신에 내무장관(Home Secretary)를 맡도록 압박하였다. 이에 파머스턴은 내무장관을 맡은 후, 비록 선거 개혁에는 반대했으나, 여러 사회 개혁을 제정했다. 그리고 애버딘의 연립정부가 1855년의 크림 전쟁 처리로 인하여 붕괴할 때, 파머스턴은 영국 의회 서민원 과반수를 유지할 수 있을 유일한 인물이었으며, 그렇게 영국 총리가 되었다.

파머스턴은 1855년부터 1858년까지 휘그당 소속 총리로, 휘그당이 기타 세력과 연합해 1859년 창당한 자유당 소속으로는 총리가 되면서 1859년부터 1865년까지, 두 차례에 걸쳐 과반수가 넘는 의석수를 달성하였고, 1865년 마지막 총선에서 승리한지 몇 달밖에 안 지난 10월에 80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총리직을 수행했다.[6]

3. 평가

파머스턴은 미숙한 인간 관계나 몇몇 정책상의 이견 등으로 빅토리아 여왕과 그 당시 대부분의 정치인들로부터 불신을 받았으나, 대중과 언론의 높은 지지를 유지하는데 능해 그들로부턴 '팜(Pam)'이라는 애정 어린 별명을 듣기도 했다. 데이비드 브라운은 “파머스턴이 대중들에게 어필할 수 있었던 중요한 점으로는 그의 역동력과 열의가 있었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우리에겐 영원한 동맹도 없고, 영구한 적도 없다. 우리의 이익만이 영원하고 영구하며, 그 이익을 따르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의무이다."[7][8][9]라는 연설로 나타나는 그의 대외관은, 모순적이지만 자유적 간섭주의라는 말마따나 자유주의적 국제주의를 내포했다. 그는 자유무역의 신봉자였고, 쇄국 정책(or 보호무역)을 행하는 나라(ex:청나라)에 대해선 무력을 통해서라도 강제 개방을 시켜 국제적 자유무역 질서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일종의 신념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허나 그 방법론이라는 게 포함외교아편전쟁처럼 당시에도, 오늘날까지도 비판받는 부도덕한 방식으로 표출되었다는 점에서 비판 역시 피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특히 제2차 아편전쟁의 경우는 당대 영국인들의 시각에서도 지나치게 정당성이 없고 추악한 전쟁이어서 하원에서 관련 안건이 부결될 정도였는데, 하원을 해산시키고 침략 전쟁을 강행한 케이스라서 뭇사람들에게 굉장히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파머스턴 사후 글래드스턴 재임기 반제국주의, 평화주의 노선이 돋보인 자유당을 생각하면 더 아이러니한 부분.

그러나 또 상당수 역사학자들은 그가 큰 위기들에 효과적으로 대처한 점, 세력 균형을 이루고자 한 그의 헌신[10], 뛰어난 분석 능력, 영국의 이해관계에 전념한 점 등을 들어, 헨리 존 템플을 '영국에서 가장 위대했던 외무장관 중 한 명'으로 꼽는데 큰 무리가 없다고 평한다.

내치에서도 1차 선거법 개정으로 유권자를 도시 중산층으로 확대하고[11] 당시 사회문제였던 아동노동을 청소년 야간노동 금지법을 통해 완화시켰으며 가톨릭 차별 금지, 전국민 예방접종 의무화 등 여러 업적을 남겼다.

인도, 청나라, 이탈리아 왕국, 벨기에, 스페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그의 정책은 영국에게 광범위하고 오래 지속될 유익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프랑스, 오스만 제국, 미국과의 관계에서는 이와 비교했을 때 더 한시적인 결과만을 보여준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1] 전직 서민원 의원임을 표기(Member of Parliament).[2] 3rd Viscount Palmerston.[3] 2nd Viscount Palmerston.[4] 훗날 미국국무장관 헨리 키신저가 주어를 미국으로 바꿔서 비슷한 말을 했다.[5] 이는 그를 귀족원이 아닌 서민원에 앉게끔 하였다.[6] 참고로 그는 재임 중 사망한 마지막 영국 총리이다.[7] I hold that the real policy of England... is to be the champion of justice and right, pursuing that course with moderation and prudence, not becoming the Quixote of the world, but giving the weight of her moral sanction and support wherever she thinks that justice is, and whenever she thinks that wrong has been done. (...) Therefore I say that it is a narrow policy to suppose that this country or that is to be marked out as the eternal ally or the perpetual enemy of England. We have no eternal allies, and we have no perpetual enemies. Our interests are eternal and perpetual, and those interests it is our duty to follow.[8] 사실 이 연설에 담긴 내용이 바로 영국이라는 국가의 근본적인 외교 정책이었다. 영국은 자국의 이익에 따라 동맹국과 적국을 수시로 바꿨다. 나폴레옹 전쟁 때까지 최대의 적국이었던 프랑스를 나폴레옹 전쟁 이후로는 동맹국으로 대했고, 반면 프랑스의 침공을 받은 스페인을 돕기 위해 군대까지 보냈으나 프랑스를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시키고 나자 영국은 곧바로 대 스페인 정책을 바꾸어 스페인의 식민지였던 중남미 지역의 독립을 돕기 위해 현지에 영국군 퇴역 장교와 병사들을 용병으로 보내어 중남미 독립군을 돕고 스페인 군대에 맞서 싸우게 하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스페인 정부가 영국에 항의했으나 영국은 개의치 않았고, 결국 1820년대에 이르러 중남미 식민지들이 대거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하면서 스페인은 국력에 큰 타격을 받고 더 이상 영국을 위협할 힘을 잃게 되었다.[9] 이 말은 훗날 미국국무장관 헨리 키신저가 주어를 미국으로 바꿔서 쓰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이름이 같은 헨리다.[10] 그는 많은 충돌에 있어서 영국에게 결정적인 중개역을 마련해주었다.[11] 다만 선거권을 노동자층까지 급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에는 반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