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War for Cybertron: Siegeトランスフォーマー シージ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시즈 완구화 시리즈의 제품 목록을 다루는 문서.
2. 특징
라인업 첫 공개 당시 일러스트 |
팬들에게 익숙한 G1 캐릭터 위주의 라인업으로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전개됐다. 로봇 모드는 G1 디자인을 따르되 비클 모드는 사이버트론 비클로 변신한다.
클래스는 무장으로 변신하는 배틀마스터, 마이크로마스터를 포함한 디럭스, 보이저, 리더, 타이탄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더보다 크고 타이탄 보다 작은 새로운 등급인 커맨더 클래스가 추가되었다.
사이버트론의 전쟁이 주 배경이어서 지금껏 나왔던 시리즈들과 다르게 비클이 사이버트론 차량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비클 모드의 모티브가 원작의 차량들인 제품들도 있어서 어스라이즈 제품들과 함께 두어도 어색하지 않은 제품들도 있다.
3. 제품 목록
정발된 제품들은 (*)표시국내에 인증은 받았으나 정발되지 않은 제품은 (@)표시
일본판 넘버링은 []표시
- 2019년
- 디럭스: 24,900(일반판 디럭스)~29,900원(랜서)
- 보이저: 34,900원
- 리더: 54,900원
- 커맨더: 79,900원
- 타이탄: 139,000원
3.1. 배틀 마스터
시즈에서 새로 나온 라인업중 하나, 무기로 변신하는 작은 제품군이며 원작의 타겟마스터가 대부분이다.3.1.1. 웨이브 1
WFC 시리즈의 첫 넘버링을 차지한 제품. 등짐을 떼어서 무기로 활용 가능하다. 이는 재탕인 신지에도 적용되는 사항이다.
댕댕검 혹은 댕댕이소드라는 애칭이 한국 유저들 사이에 존재한다. 원본은 액션 마스터 완구중 레드 with 라이오나이저의 라이오나이저다.
왼쪽이 블로우파이프. 타이탄즈 리턴 완구에서 트리거해피의 파트너로 출시된 적이 있다. 에임리스와 색 배치가 반대인 점 말고는 똑같다.
3.1.2. 웨이브 2
도끼로 변신하는 배틀마스터. 시즈 라인업에서 추가된 캐릭터이다. 설정에 따르면 양산형 개체인 듯 하다.
블로우파이프의 재탕. 이 녀석도 타이탄즈 리턴 라인업으로 출시된 적 있다.
3.1.3. 웨이브 3
블로우파이프, 에임리스의 리몰드 제품.
망치로 변신하는 배틀마스터. 인기가 좋았는지 어스라이즈 라인업에서 재판되었으며, 후에 트랜스포머 레거시 제품군에서 리페인트된다.
3.1.4. 웨이브 4
파이어드라이브의 색놀이. 동봉된 이펙트 파츠가 변경되었다. 스피니스터의 파트너 중 하나라 같이 구매하는 사람이 많다. 나머지 하나는 팬텀스트라이크 스쿼드론 세트에 포함된 슈루트.
온갖 곳에서 색놀이를 당하는 배틀마스터임에도 한정판으로 출시된 분홍색 컬러 외에는 색놀이가 없다.
3.2. 마이크로마스터
마찬가지로 시즈에서 새로 추가된 라인업, 로봇과 비클은 물론 합체해 무장으로도 변신 가능하다.두 개가 합체해 하나의 비클이 되는 제품도 있다.
주로 원작의 마이크로마스터 리메이크이다.
3.2.1. 웨이브 1
붉은색이 로드핸들러, 회색이 스윈들러다.보라색이 스톰 클라우드, 검은색이 비스퍼다. 비스퍼는 상표권 문제로 인해 '위스퍼'에서 변경되었다.
갈색이 탑샷, 올리브색이 플랙이다. 탑샷은 상표권 문제로 인해 '빅 샷'에서 변경되었다.
3.2.2. 웨이브 2
레이저비크 | 래비지 |
- WFC-S18: 레이저비크, 래비지 (사운드웨이브 스파이 패트롤)
Emgo316 리뷰
3.2.3. 웨이브 3
디셉티콘 블랙잭 | 하이퍼드라이브 |
- WFC-S32: 디셉티콘 블랙잭, 하이퍼드라이브 (스포츠카 패트롤)
Long's toys 리뷰
3.2.4. 웨이브 4
주황색이 파워트레인, 회색이 하이점프다.3.2.5. 웨이브 5
럼블 | 랫뱃 |
- WFC-S46: 럼블, 랫뱃 (사운드웨이브 스파이 패트롤 세컨드 유닛)
Emgo316 리뷰
디셉티콘 디렉트-힛 | 파워 펀치 |
- WFC-S47: 디셉티콘 디렉트-힛, 파워 펀치 (배틀 스쿼드)
Emgo316 리뷰
3.3. 디럭스
특이하게도 사지를 분리해 다른 제품에 장착시킬수 있는 제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시즈에서는 '웨포나이저'라고 불린다.
3.3.1. 웨이브 1
원작의 람보르기니 쿤타치와 유사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로 변신한다. 간단하지만 완성도 있는 변신시퀀스 및 프로포션으로 호평받는 제품이다.원본은 포트리스 맥시머스에 동봉된 제품이다. 웨포나이저의 특성상 몸을 조각조각 분해하여 다른 제품의 조인트에 장착할 수 있다.
원작의 J59 지프와 비슷하게 생긴 사이버트론 차량으로 변신한다. 가동률과 프로포션 모두 무난한 제품이다. 제네레이션 셀렉츠 라인업에서 리툴 제품인 핫 샷이 출시되었다.
배틀트랩과 함께 원작의 듀오콘 중 하나. 상반신은 전투기, 하반신은 탱크로 변신한다. 국내에는 정발되지 않았다.
3.3.2. 웨이브 2
워 포 사이버트론 이전의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제품인 문레이서의 리몰드 제품. 리몰드 치고는 상당히 많이 바뀌어 이 제품은 문레이서와 다르게 합체가 불가능하다.IDW 코믹스에 등장한 비클 모드와 유사한 사이버트론 장갑차로 변신하는 제품. 국내에 정발예정이었으나 어떤 이유인지 정발 되지 않았다. 호평받는 제품이어서 그런지 프리미엄이 많이 붙어 원성이 자자하다.
원본은 메트로플렉스에 동봉된 제품. 웨포나이저라 몸을 분리해서 다른 제품의 5mm 조인트에 장착시켜줄 수 있다.
사이버트론 경찰차로 변신하며, 외계 차량이라는 느낌을 내려고 한 것인지 바퀴가 클리어 부품으로 되어 있다. 블루스트릭, 바리케이드, 스모크스크린에게는 있는 어깨포가 없다.
3.3.3. 웨이브 3
사이드스와이프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이며 원본과 동일하지만 사이렌이 추가된 사이버트론 스포츠카로 변신한다. 사이드스와이프에게 라이플을 쥐어주려면 이 제품도 사야 한다. 후에 킹덤 라인업에서 지구 차량으로 변신하는 제품도 발매되었다.개별로는 사이버트론 우주선으로 변신하지만, 3제품을 구입하면 원작처럼 카메라로 변형 가능하다. 후에 G1 완구의 컬러링을 한 버전이 한정판으로 발매되었다.
원본은 트립티콘에 동봉된 제품으로, 변신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시즈 라인업에서 로봇 모드가 생겼다. 전갈을 연상시키는 무장 차량으로 변형하며 디자인이 상당히 멋지게 나왔다는 평가가 많다.
3.3.4. 웨이브 4
프라울의 리몰드 제품. 스모크스크린과 얼굴이 같다. 사이버트론 경찰차로 변신하며 멋진 색상으로 호평받는다. 다만 팔 하박의 도색이 안 되어있는 점은 아쉽다는 반응이 많다.사이버트론 탱크로 변신하며, 양호한 제품이 많은 시즈 라인업 중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는다. 디럭스급이지만 거의 보이저급으로 크다. 작중에서는 디셉티콘이지만 어째서인지 오토봇 마크가 새겨져 있다.
원작의 비클을 닮은 사이버트론 레이스카로 변신한다. 시즈 특유의 호불호가 갈리는 데미지 도색이 없는 제품이라 수요가 많다.
3.3.5. 웨이브 5
원작의 더블 타겟마스터중 하나이다. 사이버트론 헬기로 변신하며 변신이 재밌다는 평가를 받는다.제네레이션 셀렉츠 라인업에서 색놀이 제품인 로터스톰이 발매되었는데, 재밌게도 두 캐릭터는 코믹스에서 서로 대비되는 위치에 있는 특수부대인 레커즈와 메이헴 어택 스쿼드에 각각 속해 있다. 로터스톰이 오토봇 부대인 레커즈, 스피니스터가 디셉티콘 부대인 메이헴 어택 스쿼드에 속한다.
원작의 오토봇 타겟마스터중 하나이며 아이언하이드의 리툴 및 리데코 제품이다. 아이언하이드와 마찬가지로 사이버트론 장갑차로 변신한다. 군인 같은 특유의 얼굴이 인상적이라는 팬들이 많다.
3.4. 보이저
3.4.1. 웨이브 1
원작의 프레이트라이너 트럭과 비슷하게 생긴 사이버트론 트럭으로 변신하는 제품이다. 첫 공개 당시에는 굉장히 잘 나온 옵티머스 프라임이라는 평이 있었지만 어스라이즈 옵티머스에게 밀린 비운의 제품. 그래도 어스라이즈 옵티머스에 비하면 물량이 많이 풀려 상대적으로 저렴한데다 구하기도 쉽고, 무장 구성은 이쪽이 더 풍성해 이쪽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는듯 하다.사이버트론 탱크로 변신하는 메가트론. 잘 나왔다는 평이 많으나 손목 관절이 없고, 목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쇠가 없어서 목이 자주 내려가는 것이 단점. 무엇보다 발목 관절이 좋지 않아 옵티머스에 비해 평가가 떨어지는 편이다.
3.4.2. 웨이브 2
G1 애니메이션 시즌 1 1화 초반에 나오는 삼각형 모양의 사이버트론 전투기인 테트라젯으로 변신하는 신금형 보이저급 스타스크림 피규어로, 시커즈 조형이라고 믿기지 않을 정도의 극강의 가동성이 특징이다. 발목이 가동되는 것은 물론, 팔꿈치와 무릎이 완전히 접히고 허리 회전이 가능하다! 다만 단점은 비클 모드 시 팔다리가 전투기 동체 밑에 튀어나와 있는 것과 변신 과정에서 로봇 부품과 전투기 껍데기가 따로 노는 것이다. 종합적으로, 압도적인 가동률과 조금은 아쉽지만 깔끔한 디자인으로 인해 호평을 받은 물건이며 전시용으로도 가지고 놀기에도 좋은 수집품이다.원작과 달리 카세트 플레이어가 아닌 정체불명의 네모난 우주선으로 변신하는 점이 많은 사람들에게서 아쉬움으로 지적되지만 대체로 평은 좋다. 숨겨진 변신으로 원작 G1 1화에 잠시 등장했던 가로등으로 변신할 수도 있다. 왼손의 집게손가락은 약간 펴져있어서 원작에서처럼 스스로 어깨의 버튼을 눌러 가슴의 카세트덱을 여는 모습을 연출 가능하다. 카세트덱에는 별도로 파는 카세트 병사를 하나 넣을 수 있다. 눈색이 원작 완구와 같은 노란색이어서 빨간색으로 도색하는 사람들이 많다.
3.4.3. 웨이브 3
원작의 3단 변신을 훌륭히 구현한 신금형 스프링어. 단 시즈 특유의 웨더링이 좋은 조형을 망쳤다는 평가가 있다.3.4.4. 웨이브 4
스타스크림의 리데코, 얼굴이 썩소로 변경되었다. 이 제품과 스타스크림 외에 다른 시커즈들은 전부 한정판으로 출시된 탓에 비판이 많다. 심지어 어스라이즈 라인업에서는 썬더크래커조차 한정으로 출시되었다.3.4.5. 웨이브 5
G1 원작에서 스냅드래곤과 함께 호러콘을 담당했던 캐릭터. 트리플 체인저인 동시에 헤드마스터라는 특징이 잘 구현되어 있지만 인기는 많이 없다.3.5. 리더
3.5.1. 웨이브 1
* WFC-S13: 울트라 매그너스 (*)
Emgo316 리뷰
1980년대에 발매한 G1 울트라 매그너스 완구처럼 트럭 부분이 단독으로 변신이 가능하고, 트레일러를 아머 형태로 변형시켜 합체할 수도 있다. 트레일러를 포함한 다른 완구와는 달리 트레일러와 트럭의 연결부가 굴절되지는 않으며 다른 로봇이나 차를 실을 만한 공간도 남지 않는다.
* WFC-S14: 디셉티콘 쇼크웨이브 (*)
Emgo316 리뷰
크기가 아니라 외장파츠로 인해 리더급이 되어버린 케이스. 시즈 사운드웨이브와 유사하게 G1시절과 다른 알트모드인 사이버트론 전함으로 변신한다. 사실 이는 G1의 건 모드를 뒤집은 것일 뿐인데 총기 문제에 민감한 미국에서는 총 모양 장난감에 대한 규제가 있기 때문에 꼼수를 부린 것이다.[1]그래서 비슷한 비클모드를 지닌 FOC 쇼크웨이브와 달리 함교같은 구조물이 있는데, 원래는 권총 손잡이이다. 그래서 전함 모드를 뒤집는 것만으로도 건 모드를 쉽게 재현 할 수 있다.
모노아이 캐릭터답게 투광기믹이 발군이며 전체적인 가동 및 완성도는 호평이다. 전함 모드에서 외장을 모두 제거하면 원작의 레이저 총을 재현해줄 수 있다.
3.5.2. 웨이브 2
시즈 울트라 매그너스의 금형을 일부 유용해 제작. 로봇 모드의 무장과 어깨 부분, 다리 부분을 분리한 뒤 별도로 수납된 머리를 꺼내면 G1 옵티머스와 비슷하게 변형된다. 그리고 해당 부품은 비클 변형시 트레일러로 변형하며, 이때 남은 어깨 파츠는 뒷 부분에 수납 가능.이 제품은 사이버트론 옵티머스 프라임의 레퍼런스를 가져온 G1판 옵티머스 프라임이다. IDW G1 리부트 코믹스에서 이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옵티머스 프라임이 그려진다.
3.5.3. 웨이브 3
특이하게도 타이탄즈 리턴의 미래적인 기차가 아닌 원작의 증기기관차와 비슷하게 바뀌었다. 본체 자체는 보이저 클래스인 메가트론보다도 작지만, 대신 발사대로 변형하는 탄수차와 여러 무장이 동봉되어 있다. 탄수차를 쇼크웨이브와 합체시키거나 건담 듀나메스처럼 온몸에 망토처럼 두르는 등 활용할 수 있다.3.6. 커맨더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에서 새로 추가된 라인업. 과거의 리더급 보다도 큰 제품군이다.원작 프로포션 반영이 상당히 잘 된 제품이다. 전고 약 30cm의 거체로, 마스터피스급 트랜스포머들과 같이 둬도 위화감이 없을 정도의 높은 퀄리티를 자랑한다. 주먹을 쥐고 펼 수 있으며 쥐었을 때는 숨겨져 있던 조인트가 나와서 무기를 안정적으로 쥐어줄 수 있고, 폈을 때는 안으로 들어가 자연스럽게 감춰진다. 가슴의 진영 표시를 오토봇/디셉티콘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믹도 있다. 비클 모드에서는 아랫면에서 손잡이를 펼쳐, 다른 로봇을 매달리게 해 공수부대 같은 모습을 연출할 수 있다.
헤드기어와 흉부 장갑, 장착식 2연장 포 2개, 두 개로 분리 가능한 총, 미사일과 부스터 각각 2개 그리고 역시 여러 개로 분리 가능한 불꽃 이펙트 파츠 등 옵션이 꽤나 풍부하다. 이펙트 파츠를 제외한 다른 옵션 파츠들은 남김없이 하나로 합칠 수 있다. 2022년 재판되었다.
3.7. 타이탄
커맨더급 이상의 초대형 사이즈 제품군들.로봇 모드에서 머리까지의 높이가 50cm에 달하는 거대한 덩치를 자랑한다. 무기의 발사나 피격을 연출할 수 있는 이펙트 파츠 여러 개와 월면차로 변신하는 마이크로 마스터 '카운트다운'이 동봉된다.
85년 완구와 비교하면 우선 매우 거대하며, 남는 부품이 없이 제대로 된 모습의 로봇이 된다. 손가락을 포함해 가동 부위도 많은 편이라 꽤 다양한 포즈를 취해줄 수 있다. 전동 기믹은 없다.
3.8. 한정판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에 들어서서 한정판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일반판 라인업으로만 모든 캐릭터들을 내기에는 무리일 정도로 마이너한 캐릭터들이 대부분3.8.1. 리플렉터 3-팩
- 리플렉터 3-팩
구성품 : 스펙트로, 스파이글래스, 뷰파인더, 크림직
Optibotimus 리뷰
3.8.2. 아마존
그린라이트 | 대즐스트라이크 |
- WFC-S15: 그린라이트 & 대즐스트라이크
구성품 : 그린라이트, 대즐스트라이크, 방패, 이펙트 파츠 1개
Emgo316 리뷰
코버트 클론 사이드스와이프 | 슬램댄스 | 트렌치풋 |
- WFC-S26: 오토봇 알파스트라이크 카운터포스
구성품 : 코버트 클론 사이드스와이프, 슬램댄스, 트렌치풋, 이펙트 파츠 1개
Vecta Sigma Review 리뷰
프레이커스 | 슈르트 |
스카이워프 | 테러-닥틸 |
- WFC-S27: 디셉티콘 팬텀스쿼드 스쿼드론
구성품 : 프레이커스, 쉬루트, 스카이워프, 테러-닥틸, 이펙트 파츠 5개
PrimeVsPrime 리뷰
WFC-S55 홀로 미라지 | WFC-S56 파워대셔 아라곤 | WFC-S57 디셉티콘 임팩터 |
- 팬 보트 배틀 3팩
구성품 : 홀로 미라지, 파워대셔 아라곤, 디셉티콘 임팩터
Chefatron 리뷰
3.8.3. 타깃
해즈브로 판 | 타카라토미 판 |
- WFC-S52, 53, 54: 시커즈 3팩
구성품 : 애시드 스톰, 이온 스톰, 노바 스톰
Optibotimus 리뷰
* WFC-S58, 59, 60, 61, 62: 오토봇vs디셉티콘 (마이크로마스터 10팩)
구성품 : 로드-폴리스&휠 블레이즈, 그라운드 셰이커&오버에어, 리콘&아이언트레드, 나이트플라이트&슬라이호퍼, 크레이터메이커&파이어라인
Long's toys 리뷰
3.8.4. 월그린
아이언하이드의 리툴 제품. 사이버트론 장갑차로 변신하며, 간이 치료실로도 변신시킬 수 있다. 그린라이트와 마찬가지로 프리미엄이 많이 붙은 제품이다.3.8.5. 월마트 (35주년)
사운드웨이브의 리데코 제품, 가슴부품이 카세트 2개를 수납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특이하게도 일본은 타카라토미 몰 한정으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처럼 디셉티콘이 아닌 용병 휘장이 달려있다.프라울에서 사이렌을 빼고 색을 바꾼 제품. 월마트 한정이지만 의외로 정발 되었다.
G1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도색된 옵티머스.
G1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도색된 메가트론.
3.9. 타카라토미 몰
WFC-S11 보이저 클래스 옵티머스 프라임의 리데코 제품, 타이탄즈 리턴 보이저 클래스 알파 트라이온의 검을 색만 바꾸고 추가로 동봉했다.4. 외부링크
[1] 이러한 총기 규제 우회를 위한 꼼수는 타이탄즈 리턴즈(레전즈) 식스샷에서 건 모드를 뒤집어 잠수함 모드로 대체한 것으로 먼저 써먹은 적 있었다, 다만 억지 수준인 잠수함과 달리 쇼크웨이브의 전함모드는 외형적으로 꽤나 호평이다. FOC의 전례도 있고 전투순양함, 우주전함 야마토같은 대형 함포 우주전함이 연상되는 디자인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