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4 23:28:38

튀르키예/외교

터키/외교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외교 관련 틀 파일:튀르키예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
남유럽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아시아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캅카스
동유럽 · 중부유럽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북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 카리브 · 남아메리카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 · 멜라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 폴리네시아
}}}}}}}}} ||

서아시아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1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 미승인국가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아시아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캅카스
동유럽 · 중부유럽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북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 카리브 · 남아메리카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 · 멜라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 폴리네시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아메리카 · 아프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튀르키예·시리아·이라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튀르키예·이란·아랍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튀르키예·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30a17>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월성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히타이트 · 트로이 · 프리기아 · 리디아 · 페르가몬 왕국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아나톨리아 베이국 · 룸 술탄국 · 오스만 제국 · 튀르키예 독립 전쟁
지리 아나톨리아 · 트라키아 · 에게 해 · 보스포루스 해협 · 마르마라 해 · 차낙칼레 해협 · 아라라트 산 · 북쿠르디스탄 · 지진/튀르키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튀르키예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G20 · MIKTA · JUSCANZ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키예 여권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경제 경제 전반 · 튀르키예 리라 · 넥스트 일레븐
국방 튀르키예군 · 튀르키예 해군 · NATO · 튀르키예/방위산업
교통 터키항공 · 페가수스 항공 · 이스탄불 공항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앙카라 에센보아 공항 · 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 트라브존 공항 · YHT · 이스탄불 지하철 · 차나칼레 1915 대교
문화 문화 전반 · 튀르키예 드라마 · 튀르키예 영화 · 튀르키예 음악 · 요리 · 바클라바 · 로쿰 · 필라프 · 돈두르마 · 튀르크 커피 · 차이 · 페즈 · 공휴일/튀르키예 · 사모바르 · 튀르키예/관광 · 세계유산 · 튀르크리 · YKS
언어 아나톨리아어파 · 튀르키예어 · 튀르키예/언어
스포츠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축구 연맹 · 쉬페르리그 ·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 튀르키예 농구 국가대표팀 · 터키 그랑프리(이스탄불 파크)
인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사회 튀르키예 마피아 · 회색늑대
민족 튀르키예인(러시아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투르코만 · 튀르키예계 아프리카인 · 튀르키예계 미국인 · 튀르키예계 독일인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 튀르키예계 우크라이나인 · 튀르키예계 일본인 · 튀르키예계 캐나다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영국인 · 튀르키예계 프랑스인 · 튀르키예계 네덜란드인
기타 튀르키예/여담
}}}}}}}}} ||


1. 개요2. 전반적인 모습
2.1. 아시아2.2. 유럽2.3. 아랍 국가와의 관계2.4. 아메리카
2.4.1. 미국과의 관계2.4.2. 쿠바와의 관계2.4.3. 아이티와의 관계2.4.4. 베네수엘라과의 관계2.4.5. 브라질과의 관계
2.5. 아프리카
2.5.1. 탄자니아와의 관계
2.6. 오세아니아
2.6.1. 호주와의 관계2.6.2. 뉴질랜드와의 관계
3. 범튀르크주의4. 여담5. 지역별 관계6. 관련 기사7. 관련 문서

1. 개요

"늙은 터키인과 젊은 세르비아인을 보면 긴장해라." - 그리스 속담
"터키인들이 지나간 땅에는 100년 동안 열매가 맺지 못한다." - 독일 속담
"터키인들이 지나간 땅에는 어떤 잡초도 자라지 않는다." - 아랍 속담
"터키인들의 말이 한번 지나갔다 하면, 그곳의 풀은 다시 자라지 않는다." - 영국 속담
"한 터키인이 '낙원'이란 말을 들었다 치자, 그는 물을 것이다. "그곳은 금이 지천으로 널려있는 땅이오?"" - 페르시아 속담
"돌풍 없이 추위는 없다. 터키인이 없으면 나쁜 손님도 없다." - 세르비아 속담
"사람이 달리면 바람과 먼지가 휘날리지만 터키인이 달리면 무력이 같이 휘날린다." - 알바니아 속담

튀르키예의 외교 관계에 대한 문서다. 서아시아남유럽에 위치한 지리적인 문제부터 고대 시절부터 워낙 스펙타클했던 역사 문제 탓인지, 튀르키예의 이웃나라들이나 '튀르키예와의 역사+종교+정치적 악연이 있는 나라들'의 속담에는 튀르키예인들을 욕하는 말들이 널리고 널렸을 정도다. 이러한 선입견은 과거 오스만 제국에서 근원한 것이 많으며, 에르도안 집권 이후 이슬람권을 대표해 서방과 러시아, 중국 사이에서 제3의 노선으로 튀르키예의 발언권을 늘리려는 확장주의적인 외교정책으로 욕을 먹기도 하고 있다.

2. 전반적인 모습

공화국 수립 이후 튀르키예의 외교는 시대에 따라 달라져왔지만 기본적으로 친서방정책을 펴왔으며, 특히 냉전시기에는 소련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NATO에도 가입하고 자유진영의 입장을 대변해왔다. 하지만 냉전이후 튀르키예의 외교채널이 기존의 미국, 유럽(서방진영)위주에서 벗어나 다각화되고 특히 범튀르크주의를 위시한 중앙아시아의 신생 튀르크 국가들과의 관계를 도모하고 기존의 적대진영이었던 러시아, 중국 등과도 외교관계를 수립하는 한편, 에르도안 정부 들어 스프르 프로블렘(Sıfır problem) 정책을 내세우며 이웃국가들과의 관계개선에서 힘을 쏟았다. 한편으로는 과거 이슬람의 종주국이었던 오스만 제국의 후예임을 내세워 기존에 무관심했던 이슬람국가들 내외부의 분쟁과 로힝야족 사태나 시리아 내전, 리비아 문제등에도 목소리를 내면서 나름대로의 중재자를 자처하려고 하는 상황이다. 그러는 와중에 이슬람주의적인 국내정책과 패권국가를 꿈꾸는 튀르키예의 안보정책 등을 원인으로 기존의 서방진영과와도 거리를 두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 다만 러시아, 중국같이 완전히 반서방진영으로 돌아선 것은 아니고, 서방진영과의 관계에서 필요한 부분에서는 또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중국, 러시아에 대해서도 때때로 뜬금없이 위구르 문제와 시리아 문제등을 꺼내들고 선을 긋는 등 소위 밀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친서방 반서방도 아니면서 양쪽 진영들에게 밉상스런 모습으로 변하면서[1][2] 고립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것을 튀르키예 스스로는 균형정책(Denge politikası)이라고 부르며, 양 진영 사이에서 튀르키예의 주권, 안보, 국익에 도움이 되는 편에 서면서 스스로의 입지를 강화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양측과 교류가 활발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와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점에서 양국을 중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로써 튀르키예의 균형정책은 더욱 분명해졌다고 볼 수 있다. 일단 전반적으로는 러시아에 비판을 하면서 흑해를 봉쇄하는 행보를 보이면서 경제난 때문인지 경제제제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그리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튀르키예는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다만 러시아와 대화를 하면서도 내심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모습인데, 개전 직후 우크라이나의 요청을 받자마자 이스탄불 해협을 러시아 해군이 건너지 못하게 했다. 그 덕분에 흑해에서 러시아 해군은 제한된 전력만으로 작전을 수행하다가 모스크바함과 여러 수송함들을 날려먹었다. 동시에 전쟁중인 우크라이나에 군사무기를 적극적으로 공급하기도 했다.

친서방국가이면서 친이슬람 국가이기에 이슬람 관련 사안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며 서방 국가내에서 벌어지는 이슬람 규탄, 코란 훼손 시위에 강경한 태도를 취한다.

2.1. 아시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아시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유럽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유럽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아랍 국가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아랍 국가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아메리카

2.4.1. 미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튀르키예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2. 쿠바와의 관계

튀르키예는 쿠바와도 외교관계를 맺었다. 다만, 양국간의 교류가 많지는 않은 편이다. 2023년 2월 10일, 쿠바 정부는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일어난 강진과 관련해 의료지원단을 파견하다고 밝혔다.#

2.4.3. 아이티와의 관계

아이티는 튀르키예와도 외교관계를 맺었다. 2021년 11월 15일에 튀르키예 정부는 이스탄불에서 조브넬 모이즈 대통령 암살사건에 연루된 수배자를 체포했다고 밝혔다.# 2022년 5월 8일에 아이티에서 튀르키예 국적자 8명이 포함된 버스 승객이 갱단에 의해 납치당했다.#

2.4.4. 베네수엘라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베네수엘라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5. 브라질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브라질-튀르키예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아프리카

2.5.1. 탄자니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탄자니아-튀르키예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오세아니아

2.6.1. 호주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주-튀르키예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2. 뉴질랜드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뉴질랜드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범튀르크주의

튀르키예뿐만이 아니라 중앙아시아까지 널리 퍼진 튀르크 민족의 공동체를 추구하려는, 이른바 범튀르크주의는 19세기 말엽 이스마일 엔베르를 위시로 하는 청년 튀르크주의자들의 이데올로기에서부터 거슬러올라갈 수 있는 제법 오래된 이념이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튀르키예의 국력이 범튀르크주의를 감당하지 못하고 러시아-소련과의 마찰이 불가피했으므로 케말 아타튀르크는 범튀르크주의는 일단 접어두었다.

그러다가 소련이 붕괴하고 튀르크족이 사는 중앙아시아에 헤게모니를 장악한 세력이 부재하게 되자, 튀르키예가 다시 그 위치를 차지하려고 하고 있다.

이렇게 우호관계를 추구하는 나라들로는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등 유라시아 튀르크계 나라들이 있다. 튀르키예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국가들과 우호를 다져나가는 한편, 매년 새해같은 기념일날 앙카라바쿠, 이스탄불사마르칸트 동시 생방송 같은 방식으로 이벤트를 열고 있다.

범튀르크주의 문서 참고.

4. 여담

여러모로 이렇게 서구권에게도 밉상에다 주적 취급을 받고, 아랍-이슬람권에게도 영 좋지 않는 취급을 받는 튀르키예는 과거 역사적으로 스펙타클한 사건들이 워낙 많았기 때문에 쉽게 갈등이 해결되기도 어렵다. 그래서 정말로 친한 나라는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같은 구소련 투르크계 국가들, 인도, 파키스탄이나 미국이나 캐나다, 일본, 대한민국 같이 전통적으로 면식이 별로 없는 국가들 정도다. 하지만 지리상으로나 역사로 볼 때 방관했다가는 여러모로 위험한 나라이기 때문에 다른 국가들도 튀르키예와 외교를 할 때 조심하는 편이다.

그래서 튀르키예인들은 1990년대만 해도 유럽과 아랍권 지역 입국이 엄청 까다로웠다. 그래도 앞서 언급했듯이 2011년 통계로 튀르키예인 해외입국 (튀르키예 입장에선 출국) 수가 1154만명이나 되고 절반 가까이가 유럽 해외여행으로 조사될 만큼 튀르키예의 경제성장으로 인해 상당히 인적교류가 늘어나면서 튀르키예인들을 감정적으로 싫어한다고 해도 경제적으로 우선 입국을 받아들이는 경우도 많이 늘어났다. 역시 돈이 깡패다.

온 사방에 적이 있는 나라라 튀르키예 내 민족주의자들 중에서는 "튀르크인에게 친구는 튀르크인뿐이다."Türkün dostu Türktür."라며 고립주의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5. 지역별 관계

6. 관련 기사

7. 관련 문서



[1] 대표적으로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때는 반서방 진영에 있었고 2021년 미얀마 민주화 운동때는 친서방 진영에서 있으면서 미얀마 군부에 대한 비난을 퍼부었다.[2] 다만 따지고보면 일관성있다는 평가도 받을 수 있다. 베네수엘라 정치위기 당시 합법적 정부는 마두로이고, 과이도는 쿠데타 쪽이었다. 그리고 미얀마 민주화운동에서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튀르키예 스스로가 2016년 쿠데타를 겪었고, 그 수장이 쿠데타를 겪은 만큼 쿠데타는 어떠한 이유든 지지할 수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에 일관적으로 합법정부를 지지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