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9:01:43

파일

클리어파일에서 넘어옴

1. File
1.1. 문구 및 사무용품1.2. 문서의 다른 이름1.3. 공구1.4. 컴퓨터 용어1.5. 위키 용어1.6. 前 두산 베어스 소속 투수
2. Pile3. Pfeil4. Phile

1. File

1.1. 문구 및 사무용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류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류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서류철#|]][[서류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문서의 다른 이름

1번과는 반대로, 영어권에서는 문서를 곧 파일이라고 하며[1], 1번에 언급된 문서 정리용 사무용품은 파일 폴더, 줄여서 폴더라고 한다. 이름을 들어보면 알겠지만, 컴퓨터에서 나오는 파일과 폴더라는 용어의 유래가 바로 현실에서의 서류와 서류철이다.

서류철이라고 부르는 사람은 많이 없지만 파일의 다른 의미 때문에[2], 서류철이라 부르는 것이 올바른 표현.

1.3. 공구

참고.

1.4. 컴퓨터 용어

컴퓨터에 쓰이는 데이터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어원은 1.2번. 논리적으로는 디렉토리 안에, 물리적으로는 하드디스크등의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Microsoft Windows 등의 운영 체제에서는 일반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화면에서는 디렉터리를 폴더라고 칭하기도 한다. 파일은 공이고, 폴더는 공을 담는 천 주머니라 비유하면 된다.

예를 들면 Microsoft Word로 문서를 작성할 경우 하나의 문서가 하나의 파일이 되며 이 파일은 폴더(디렉터리)에 저장되는 식이다.

운영체제에 따라 파일명에서 특정 부분[3]확장자로 보고 특별히 취급하기도 한다.

1.4.1. 파일 관리

1.4.2. 파일 시스템

파일을 논리적/물리적으로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기 위해 파일시스템을 사용한다. OS별로 각각 파일 시스템이 다르며,Microsoft Windows의 경우 윈도NT 계열은 NTFS를 사용하며 USB 메모리등에서 FAT32도 사용되고 있긴 하다.

파일시스템은 단순히 파일을 저장하는 것만이 아니라 보안을 위한 암호화, 빠른 검색을 위한 색인 등의 기능을 지원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파일시스템은 트리형태로 디렉터리와 파일이 저장되는 계층 구조로 구성된다. 트리의 최 상단에서 부터 파일까지 각 계층을 나열한 것을 파일 경로라고 부른다.

파일은 1) 일반 파일, 2) 디렉토리 파일, 3) 장치 파일의 3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1) 일반파일은 보통 우리가 쉽게 인식하는 파일로, 아스키파일과 바이너리 파일이 있다. 아스키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면 아스키 파일, 0과 1만을 사용해서 기계가 읽는 형태로 변환되어 있으면 바이너리 파일.
2) 디렉토리 파일은 일반 파일과 마찬가지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파일을 조작 및 엑세스 하는데 쓰는 정보를 가진 파일이다.
3) 장치 파일은 프린터, USB외장하드, 프로세스간 통신, 네트워크 소켓 등등의 하드웨어 장치들을 파일로서 엑세스 할 수 있게 하는 파일이다. 장치 파일은 일반적으로 파일 시스템에서 아무런 데이터 영역을 차지하지 않는다. 단지 드라이버의 접근을 위한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일 뿐이다.

1.5. 위키 용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나무위키의 기능}}}에 대한 내용은 [[나무위키:기능 도움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무위키:기능 도움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무위키:기능 도움말#이미지 업로드|이미지 업로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나무위키의 기능: }}}[[나무위키:기능 도움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무위키:기능 도움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무위키:기능 도움말#이미지 업로드|이미지 업로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기능대문(FrontPage) · 롤백 · 리다이렉트 · 문서 이동 · 분류 · 최근 변경 · #위키 용어 · 편집 요약 · 편집 요청 · 하이퍼링크(역링크 · 인터위키)
편집 과정<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편집작성(작성 중) · 윤문 · 서술 폭주 · 저명성 · 출처 필요 · 편집 분쟁 · 동시 수정(편집 충돌)
토론끌올 · 닫힌 토론 · 방기 · 복구 토론 · 삭제 토론 · 프로토로너
서술 형태와 관점독자연구(집단연구) · Weasel Word · POV · NPOV · MPOV · 삭제주의와 포괄주의
관리 및 운영ACL · 긴급조치 · 다중 계정(다중 계정 검사 · 오리 실험) · 문서 사유화 · 문서 훼손(반달) · 비정상 이용자 · 임시조치 · 작성 금지 · 즉결처분 · 차단(IP 차단 · 무기한 차단) · 통신사 IP · 투명성 보고서 · 편집 제한 · 휴지통
문서종류고립된 문서 · 더미 · 막다른 문서 · 메타 문서 · 빈 문서 · 없는 문서 · 오래된 문서 · 작성이 필요한 문서 · 중복 문서 · 템플릿 · 토막글 · 특수 문서 ·
구조개요 · 각주 · 동음이의어 구분자 · 문단 · 목차 · 상세 · 예시 · 여담(이야깃거리 · 트리비아) · 요약문
사용자기여 · 기여자 · 사용자 문서 · 사용자 토론 · 유저박스 · 위키 금단증세 · 위키 사용자(위키니트 · 위키페어리 · 사관) · 위키질
기타개인 위키 · 고지달성 · 글상자 · 데스크톱 위키 · 몇 시에 터졌나 · 뻘문서(뻘토론 · 뻘분류) · 소송방지바람 · 암묵의 룰 · 애초에 · 위키레이싱 · 위키프로젝트 · 이전 · 취소선 드립 · 위키 엔진 · 리비전
관련 틀틀:위키 서술 관점}}}}}}}}}


위키에서 이미지, 동영상, 음원, 텍스트 파일 등 각종 미디어 자료들을 이해를 돕기 위해 본문에 첨부하는 문서를 의미한다. 나무위키에서는 파일이라고 하면 주로 이미지 파일을 의미한다.

1.6.두산 베어스 소속 투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딜런 파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딜런 파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딜런 파일#|]][[딜런 파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Pile

  1. 쌓아 올린 것, 더미를 의미하는 영단어.
  2. 건축물상의 파일, 말뚝.
  3. 파일 직물(pile fabric). 두껍고 탄력성이 있으며, 보온성 ·단열성 ·흡음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부드럽기 때문에 가정용은 물론 단열재, 필터까지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는 직물이다.
  4. 프랑스어로 건전지.
  5. 일본의 가수이자 성우의 예명, 어원은 3번에서 따왔다. 자세한 내용은 Pile로.
  6. 치질

3. Pfeil

독일어화살을 뜻한다. 독일군의 전투기 Do335의 별칭이기도 하다.

4. Phile

원래는 어떤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단어이지만, 특정 대상에 대한 성애를 가진 사람도 이렇게 지칭한다. 페도파일처럼 **필리아에서 필리아 대신 파일을 넣어 칭한다.


[1] 혹은 도큐먼트(document).[2] (예)파일 폴더?[3] 마지막 점(.) 이후의 뒷부분[4] 참고로, Internet Explorer와 붙었다가 떨어진 역사가 있다.[5] 압축 프로그램이 이미지 뷰어와 연동이 잘 되는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