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제20회 (1948년) | 제21회 (1949년) | 제22회 (1950년) | 제23회 (1951년) | 제24회 (1952년) |
구두닦이 ( 이탈리아) | 무슈 뱅상 ( 프랑스) | 자전거 도둑 ( 이탈리아) | 말라파가의 성벽 ( 이탈리아 / 프랑스) | 라쇼몽 ( 일본) | |
제25회 (1953년) | 제27회 (1955년) | 제28회 (1956년) | 제29회 (1957년) | 제30회 (1958년) | |
금지된 장난 ( 프랑스) | 지옥문 ( 일본) | 미야모토 무사시 ( 일본) | 라 스트라다 ( 이탈리아) | 카비리아의 밤 ( 이탈리아) | |
제31회 (1959년) | 제32회 (1960년) | 제33회 (1961년) | 제34회 (1962년) | 제35회 (1963년) | |
나의 삼촌 ( 프랑스) | 흑인 오르페 ( 프랑스) | 처녀의 샘 ( 스웨덴) | 거울을 통해 어렴풋이 ( 스웨덴) | 시벨의 일요일 ( 프랑스) | |
제36회 (1964년) | 제37회 (1965년) | 제38회 (1966년) | 제39회 (1967년) | 제40회 (1968년) | |
8과 1/2 ( 이탈리아) | 어제, 오늘, 내일 ( 이탈리아) | 중심가의 상점 ( 체코슬로바키아) | 남과 여 ( 프랑스) | 가까이서 본 기차 ( 체코슬로바키아) | |
제41회 (1969년) | 제42회 (1970년) | 제43회 (1971년) | 제44회 (1972년) | 제45회 (1973년) | |
전쟁과 평화 ( 소련) | Z ( 알제리) | 완전 범죄 ( 이탈리아) | 핀치 콘티니의 정원 ( 이탈리아) |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 프랑스) | |
제46회 (1974년) | 제47회 (1975년) | 제48회 (1976년) | 제49회 (1977년) | 제50회 (1978년) | |
아메리카의 밤 ( 프랑스) | 아마코드 ( 이탈리아) | 데르수 우잘라 ( 소련) | 색깔 속의 흑백 ( 코트디부아르) | 마담 로자 ( 프랑스) | |
제51회 (1979년) | 제52회 (1980년) | 제53회 (1981년) | 제54회 (1982년) | 제55회 (1983년) | |
손수건을 꺼내라 ( 프랑스) | 양철북 ( 서독) |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 소련) | 메피스토 ( 헝가리) | 비긴 더 베긴 ( 스페인) | |
제56회 (1984년) | 제57회 (1985년) | 제58회 (1986년) | 제59회 (1987년) | 제60회 (1988년) | |
화니와 알렉산더 ( 스웨덴) | 위험한 행마 ( 스위스) | 오피셜 스토리 ( 아르헨티나) | 한밤의 암살자 ( 네덜란드) | 바베트의 만찬 ( 덴마크) | |
제61회 (1989년) | 제62회 (1990년) | 제63회 (1991년) | 제64회 (1992년) | 제65회 (1993년) | |
정복자 펠레 ( 덴마크) | 시네마 천국 ( 이탈리아) | 희망의 여행 ( 스위스) | 지중해 ( 이탈리아) | 인도차이나 ( 프랑스) | |
제66회 (1994년) | 제67회 (1995년) | 제68회 (1996년) | 제69회 (1997년) | 제70회 (1998년) | |
아름다운 시절 ( 스페인) | 위선의 태양 ( 러시아) | 안토니아스 라인 ( 네덜란드) | 콜리야 ( 체코) | 캐릭터 ( 네덜란드) | |
제71회 (1999년) | 제72회 (2000년) | 제73회 (2001년) | 제74회 (2002년) | 제75회 (2003년) | |
인생은 아름다워 ( 이탈리아) | 내 어머니의 모든 것 ( 스페인) | 와호장룡 ( 대만) | 노 맨스 랜드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러브 인 아프리카 ( 독일) | |
제76회 (2004년) | 제77회 (2005년) | 제78회 (2006년) | 제79회 (2007년) | 제80회 (2008년) | |
야만적 침략 ( 캐나다) | 씨 인사이드 ( 스페인) | 갱스터 초치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타인의 삶 ( 독일) | 카운터페이터 ( 오스트리아) | |
제81회 (2009년) | 제82회 (2010년) | 제83회 (2011년) | 제84회 (2012년) | 제85회 (2013년) | |
굿' 바이: Good&Bye ( 일본) | 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 아르헨티나) | 인 어 베러 월드 ( 덴마크) |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 이란) | 아무르 ( 오스트리아) | |
제86회 (2014년) | 제87회 (2015년) | 제88회 (2016년) | 제89회 (2017년) | 제90회 (2018년) | |
그레이트 뷰티 ( 이탈리아) | 이다 ( 폴란드) | 사울의 아들 ( 헝가리) | 세일즈맨 ( 이란) | 판타스틱 우먼 ( 칠레) | |
제91회 (2019년) | 제92회 (2020년) | 제93회 (2021년) | 제94회 (2022년) | 제95회 (2023년) | |
로마 ( 멕시코) | 기생충 ( 대한민국) | 어나더 라운드 ( 덴마크) | 드라이브 마이 카 ( 일본) | 서부 전선 이상 없다 ( 독일) | |
제96회 (2024년) | 제97회 (2025년) | 제98회 (2026년) | 제99회 (2027년) | 제100회 (2028년) | |
존 오브 인터레스트 ( 영국) | - | - | - | - |
1. 개요
The Counterfeiter, Die Falscher. 2007년에 개봉한 독일, 오스트리아 영화. 감독은 슈테판 루조비츠키. 제목의 카운터페이터나 독일 제목 Falscher 둘 다 번역하면 위조자라는 뜻으로 영화 속에서는 화폐 위조를 뜻한다. 나치 독일이 꾸민 베른하르트 작전을 소재로 홀로코스트 장르와 범죄 영화 장르가 섞인 듯한 독특한 영화이다.베른하르트 작전은 2차대전 시기에 대량으로 위조한 파운드 스털링과 미국 달러를 살포하여 연합국의 경제를 뿌리부터 무너뜨린다는 계획으로 위조화폐의 위험성을 고려하면 성공할 경우 전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수도 있는 작전이었다. 작전명 베른하르트는 책임자였던 베른하르트 크루거 소령의 이름을 따왔다. 정작 베른하르트 크루거는 전후에 전범으로 처벌되지 않고 석방되었는데, 위조화폐 발행이 위험하긴 하지만 당시엔 적대국에게 위조화폐를 뿌리는 짓은 다들 하던 짓이라서 전쟁 범죄로 보기에는 애매했다. 그리고 작중에서도 나오듯이 위조화폐 생산에 동원된 유대인들은 생산을 독려하기 위해 비교적 좋은 대우[1]를 받았고, 이 때문에 동원된 유대인들은 크루거에게 유리한 내용의 증언을 해줘서 풀려난 것.
영화의 주인공 살로몬 소로비치의 실존인물은 당시 최고의 위조 지폐범 살로몬 스몰리아노프를 모델로 했다. 원작을 쓴 아돌프 브루거는 작중 주인공이 아니라 화폐 위조에 비판적인 공산주의자 레지스탕스 유태인 역할로 나온다.[2] 원작은 2006년에 출간했다. 원작이 출간되자마자 영화화 된 것이나 다름없는 셈이다.
2. 예고편
3. 한국어 더빙
KBS에서 더빙했다.- 오세홍 - 살로몬 소로비치(칼 마르코비츠)
- 박상일 - 한(틸로 프룩크너)
- 온영삼 - 아트제(베이트 스투브너)
- 김정호 - 클링어(어거스트 지르너)
- 유해무 - 헤르조크(데비드 슈트리조)
- 문관일 - 홀스트(마틴 브람바흐)
- 양석정 - 부르거(오거스트 딜)
- 최정호 - 질린스키(안드레아스 슈미트)
- 홍진욱 - 콜랴(세바스티안 우르젠도프스키)
- 곽윤상 - 로섹(렌 쿠드랴비츠키)
- 이승주 - 아글레이아(마리 바우머)
- 김석환 - 구스타프(마티아스 룬)
- 김희진 - 그레테(힐레 베슬러)